KR19990024203U -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203U
KR19990024203U KR2019970036643U KR19970036643U KR19990024203U KR 19990024203 U KR19990024203 U KR 19990024203U KR 2019970036643 U KR2019970036643 U KR 2019970036643U KR 19970036643 U KR19970036643 U KR 19970036643U KR 19990024203 U KR19990024203 U KR 199900242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ining
braking
brake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빈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36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203U/ko
Publication of KR19990024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03U/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드럼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를 개선하여 제동작용시 발생되는 라이닝분진을 용이하게 배출하며 제동 마찰열을 공기의 순환으로 방열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휠(200)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410)의 선단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450)가 마련되는데, 여기에 선단부가 외향 경사진 가이드부(452)와 통공(451)을 다수개 형성하였다. 따라서 제동작용 중에 발생되는 라이닝분진이 통공(451)과 가이드부(452)를 통해 드럼(410) 외부로 배출되며, 공기의 순환으로 인해 제동 마찰열이 방열됨으로써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 브레이크
본 고안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장치에 의해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으로써,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유압 브레이크 등이 있다.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는 디스크 대신에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형의 드럼을 그 내부에서 라이닝과 마찰시켜 제동력을 얻는 것으로, 도 1은 자동차의 휠에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가 장착된 것을 보인 개략도이다.
자동차의 휠(20)은 타이어(10)가 결합되는 림(22), 림(22)을 회전축(미도시)과 결합시키는 휠조립체(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휠(20)의 내부에는 제동작용을 하는 드럼브레이크(40)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허브(30)와 볼트(50)체결되어 휠(20)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드럼(41), 드럼(41)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42), 라이닝(42)이 접착되는 브레이크슈(43), 미도시된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브레이크슈(43)를 바깥쪽으로 밀어 라이닝(42)을 드럼(41)의 내주면과 마찰시키는 웨브(4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5는 드럼(4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감싸는 더스트커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 브레이크(40)가 장착된 자동차가 나아갈 때는 휠조립체(21)와 함께 드럼(41)도 같이 회전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제동유압이 발생되고 이 유압에 의해 라이닝(42)이 부착된 브레이크슈(43)가 바깥쪽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회전하고 있는 드럼(41)의 내주면에 라이닝(42)이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즉, 드럼 브레이크는 회전하는 드럼(41)의 내주면을 브레이크슈(43)에 부착된 라이닝(42)이 마찰함으로써 제동력을 형성한다. 이 때, 계속적인 제동작용으로 인해 라이닝(42)이 마찰 마모되어 라이닝분진이 발생되는데, 이것은 드럼(41)의 개구단부를 막는 더스트커버(45)에 의해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라이닝분진은 드럼(41)의 내주면과 라이닝(42)의 외표면에 달라붙어 제동력 저하의 원인이 되고, 제동소음 또한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동작용이 반복됨에 따라 드럼(41) 내부에서는 상당한 마찰열이 발생되는데, 더스트커버(45)에 의해 방열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라이닝(42)과 드럼(41)이 모두 과열되게 되면 마찰작용에 의한 제동력이 저하되어 안전운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아울러 마찰열은 드럼(41)과 어느정도 이격된 림(22)에도 전달됨으로써 제동 마찰열에 의해 타이어(10)가 펑크나는 경우가 발생된다. 특히 차체가 무거운 상용차의 여름철 주행시 과도한 브레이크 작동으로 인한 과열로 타이어(10) 펑크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선단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가 마련되는데, 여기에 선단부가 외향 경사진 다수개의 가이드부와 통공을 형성하여 라이닝분진을 드럼 외부로 용이하에 배출하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 목적은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순환시킴으로써, 제동 마찰열을 방열하여 안정성 있는 제동력을 발휘하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휠에 장착된 종래 드럼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의 휠에 장착된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타이어 200..휠
210..휠조립체 400..드럼 브레이크
410..드럼 420..라이닝
430..브레이크슈 450..더스트커버
451..통공 452..가이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드럼,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 드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더스트커버에는 제동작용시 발생되는 라이닝분진이 배출되는 통공과 이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가 자동차의 휠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400)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100)가 상면에 설치되는 림(220)과 휠조립체(210)로 구성된 휠(200) 내부에서 제동작용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원통형상의 드럼(410)은 허브(300)를 개재하여 휠조립체(210)와 볼트(500)체결되어 차량의 주행시 휠(20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마찰재로서 외주면에 라이닝(420)이 부착된 브레이크슈(430)와 이를 유압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웨브(440),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450) 등이 설치되어 드럼 브레이크(400)를 이룬다.
한편, 더스트커버(450)는 원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휠(200)과 함께 회전하며 개방된 드럼(410)의 선단부를 막도록 결합되는데, 여기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라이닝분진을 배출하며 공기의 순환으로 제동 마찰열을 방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452)와 통공(45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52)는 라이닝(420)과 인접하는 더스트커버(450)의 가장자리부분을 일부 절개하고 선단부를 외향 경사지게 밴딩하여 구성하며, 통공(451)은 더스트커버(450)의 일부를 절개하여 구성된 가이드부(452)로 인해 이루어진다. 즉, 더스트커버(450)를 절개하여 구성한 가이드부(452)로 인해 통공(451)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52)와 통공(451)은 더스트커버(45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 마련되어 있는데, 자동차의 주행시 더스트커버(450)를 중심으로 드럼(4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에 의해서 통공(451)을 통해 드럼(4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아울러 제동 작용시 발생되는 라이닝분진도 같이 배출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4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400)가 장착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제동유압이 발생하여 휠실린더(미도시)로 전달되고, 휠실린더(미도시)에 내장된 피스톤(미도시)이 전진함으로써 브레이크슈(430)가 원주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휠(200)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410)의 내주면에 라이닝(420)이 마찰하여 제동작용이 발생된다.
이 때, 드럼 브레이크(400)는 계속적인 제동작용이 반복되면 라이닝(420)의 마찰마모로 인해 상당한 라이닝분진이 발생함으로써, 곧바로 배출되지 않으면 드럼(410)의 내주면 등에 달라붙어 제동력 저하의 원인이 되는데, 라이닝분진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으로 더스트커버(450)의 통공(451)을 통해 드럼(4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즉, 자동차의 주행시 더스트커버(450)의 외측으로는 공기의 순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압차에 의해 드럼(410) 내부의 공기는 통공(451)과 가이드부(452)에 의해 더스트커버(450) 외부의 중심을 향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공기와 함께 라이닝분진도 같이 배출됨으로써 이것이 드럼(410) 내주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동력이 향상되며 제동 소음 역시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제동작용으로 인해 상당한 마찰열이 발생되는데, 이 제동 마찰열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작용으로 드럼(41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외부로 쉽게 방열된다.
즉, 드럼(410) 내부의 공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이닝분진과 함께 기압차에 의해 더스트커버(450) 외부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드럼(410)과 라이닝(420)의 마찰로 발생하는 제동 마찰열이 순환공기에 함게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동 마찰열이 타이어(100)가 장착된 림(220)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타이어펑크를 방지함은 물론이고, 드럼(410)이 빨리 냉각되어 제동시 떨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선단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가 마련되는데, 여기에 선단부가 외향 경사진 가이드부와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였다. 따라서 제동작용 중에 발생되는 라이닝분진이 통공과 가이드부를 통해 드럼 외부로 배출되며, 공기의 순환으로 인해 제동 마찰열이 방열됨으로써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휠(200)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드럼(410), 상기 드럼(410)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420), 상기 드럼(4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450)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커버(450)에는 제동작용시 발생되는 라이닝분진이 배출되는 통공(451)과 이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5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52)는 상기 더스트커버(45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통공(451)을 형성하며 선단부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밴딩되어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KR2019970036643U 1997-12-11 1997-12-11 드럼 브레이크 KR199900242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43U KR19990024203U (ko) 1997-12-11 1997-12-11 드럼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43U KR19990024203U (ko) 1997-12-11 1997-12-11 드럼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03U true KR19990024203U (ko) 1999-07-05

Family

ID=6967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643U KR19990024203U (ko) 1997-12-11 1997-12-11 드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2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64B1 (ko) * 2002-11-01 2005-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드럼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드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64B1 (ko) * 2002-11-01 2005-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드럼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드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4203U (ko) 드럼 브레이크
KR20080036385A (ko) 차량의 드럼 브레이크
KR20020047469A (ko) 자동차의 휠 내부구조
KR19990023033U (ko) 드럼 브레이크
KR200337397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
KR200167751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냉각장치
KR19980043322U (ko) 드럼 브레이크
KR19980039508U (ko) 드럼 브레이크
KR19980039505U (ko) 드럼 브레이크
KR200281973Y1 (ko) 드럼 브레이크
KR20010062994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드럼의 분진 배출 및 방열구조
KR0141024B1 (ko) 드럼 브레이크의 방열장치
KR0124481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드럼
KR19980054467U (ko) 자동차 후륜의 드럼식 브레이크 방열구조
KR970046093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드럼 방열구조
KR0146422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드럼 방열구조
KR0151774B1 (ko) 자동차의 분진방지용 브레이크 드럼
KR19990017274U (ko) 드럼 브레이크
KR19980054357U (ko)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 냉각 구조
KR19980029393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드럼
KR19990024957U (ko)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의 방열 구조
KR19980051577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9980031869U (ko) 휠 브레이크의 방열구조
KR20070023155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발열장치
KR19990041010A (ko) 브레이크 라이닝 가루의 제거가 용이한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