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284U -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284U
KR19990020284U KR2019970033737U KR19970033737U KR19990020284U KR 19990020284 U KR19990020284 U KR 19990020284U KR 2019970033737 U KR2019970033737 U KR 2019970033737U KR 19970033737 U KR19970033737 U KR 19970033737U KR 19990020284 U KR19990020284 U KR 199900202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hub
drive shaft
tire hub
brak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3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284U/ko
Publication of KR19990020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284U/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 드럼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타이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타이어의 펑크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며 브레이크 드럼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 내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내측 타이어와;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내측 타이어 허브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내측 타이어와의 결합면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외측 타이어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 및 외측 타이어 허브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외측 타이어 허브에 고정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브레이크 드럼측으로 유입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을 냉각시키기 위한 드럼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본 고안은 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차량의 더블 타이어 장착시 브레이크 드럼의 마찰열로부터 타이어를 보호하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휘일에 체결되어 차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하고 있고, 타이어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드럼이 설치되어 이 타이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타이어는 주행중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고, 제동, 구동 및 선회시에 노면과의 미끄럼이 적어야 한다.
도6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대형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차체(101)와, 상기한 차체(101)의 하부 각 측에 설치되는 차륜(1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차량은 운전석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기 위한 승차실(105)과, 화물 등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107)로 구성된다.
차륜(103)은 승차실(105)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을 주행시키는 전륜(109)과, 적재실(107) 하부에 설치되는 후륜(11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후륜(111)은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대체로 더블 타이어 형태로 설치된다.
도7은 도5의 B-B선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한 차량의 적재실(107) 하부에 설치되는 후륜(111)과, 상기한 후륜(111)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후륜(111)의 회전력을 정지 또는 감소시키는 브레이크 드럼(113)을 도시한다.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113)의 내부 중앙에는 구동축(115)이 설치되고, 그 구동축(115)의 외주에는 타이어 지지부재(117)이 설치된다.
상기한 타이어 지지부재(117)의 일측에는 내측 타이어(119)를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내측 타이어 허브(121)가 설치되고,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121)와 면하는 위치에는 외측 타이어 허브(125)가 설치된다.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125)는 차량의 후륜의 외측 타이어(123)를 고정지지하고 있으며, 이 내측 타이어 허브(121)과 외측 타이어 허브(125)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타이어 지지부재(117)의 일측에는 타이어 허브 이동제한부재(1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이어 허브 이동제한부재(127)는 상기한 내,외측 타이어 허브(121)(125)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내,외측 타이어 허브(121)(125)가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113)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장착구조는,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브레이크 드럼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마찰열이 타이어에 직접 전달되고, 또한 이때 발생하는 열풍이 내,외측 타이어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타이어에 빈번한 펑크가 발생하게 되어, 승차자 및 적재화물에 대한 안전성이 급격히 감소되고, 이에 따른 유지 및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 드럼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타이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타이어의 펑크율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며 브레이크 드럼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 내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내측 타이어와;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내측 타이어 허브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내측 타이어와의 결합면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외측 타이어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 및 외측 타이어 허브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외측 타이어 허브에 고정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브레이크 드럼측으로 유입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을 냉각시키기 위한 드럼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대형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을 절개하여 도시한 타이어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드럼 냉각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열차단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냉각수단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의 유동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6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대형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도4의 B-B선을 절개하여 도시한 타이어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후륜 13; 브레이크 드럼
15; 구동축 17; 타이어 지지부재
19,23; 내,외측 타이어 21,25; 내,외측 타이어 허브
31; 드럼 냉각수단 33; 열차단부재
35; 역류방지 플레이트 37; 공기유입 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대형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차체(1)와, 상기한 차체(1)의 하부 각 측에 설치되는 차륜(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차량은 운전석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기 위한 승차실(5)과, 화물 등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7)로 구성된다.
차륜(3)은 승차실(5)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을 주행시키는 전륜(9)과, 적재실(7) 하부에 설치되는 후륜(1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후륜(11)은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대체로 더블 타이어 형태로 설치된다.
도2는 도1의 A-A선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한 차량의 적재실(7) 하부에 설치되는 후륜(19)(23)과, 상기한 후륜(19)(23)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후륜(19)(23)의 회전력을 정지 또는 감소시키는 브레이크 드럼(13)과,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13)의 작동시 발생하는 마찰열을 타이어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드럼 냉각수단(31) 및 열차단부재(33)를 도시한다.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13)의 내부 중앙에는 구동축(15)이 설치되고, 그 구동축(15)의 외주에는 허브 지지부재(17)가 설치된다.
상기한 허브 지지부재(17)의 일측에는 내측 타이어(19)내에 체결되어 그 내측 타이어(19)를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내측 타이어 허브(21)가 설치되고,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21)와 면하는 위치에는 외측 타이어 허브(25)가 설치된다.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25)는 외측 타이어(23)내에 체결되어 그 외측 타이어(23)를 고정지지하고 있으며, 이 내측 타이어 허브(21)과 외측 타이어 허브(25)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허브 지지부재(17)의 일측에는 허브 이동제한부재(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허브 이동제한부재(27)는 상기한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가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13)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상기한 드럼 냉각수단(31)은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내측으로 유입시켜 브레이크 드럼(13)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열차단부재(33)는 상기한 내측 타이어(19)와 브레이크 드럼(13)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한 열차단부재(33)는 내측 타이어 허브(21)의 끝단과 내측 타이어(19) 측단의 사이의 간격인 l의 중간위치에 설치한다.
이러한 열차단부재(33)가 내측 타이어 허브(21)의 끝단과 내측 타이어(19) 측단의 중간위치에 설치되는 것은, 열차단부재(33) 끝단이 내측 타이어(19)의 바깥쪽으로 길어질수록 단열효과는 향상될 수 있으나, 서스펜션과의 간섭 및 타이어 탈부착시에 돌출된 열차단부재(33)의 손상가능성 등을 고려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3은 상기한 드럼 냉각수단(31)을 도시한다. 이 드럼 냉각수단(31)은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25)와 결합되도록 나란하게 경사를 이루어 체결수단에 의해 그 외측 타이어 허브(25)와 체결되는 체결부(35)와, 외부의 공기를 브레이크 드럼(13)측으로 유입하기 위해 복수개 설치된 공기유입 핀(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체결부(35)의 끝단에는 공기유입핀(31)을 지지하기 위해 절곡된 공기유입핀 지지부(29)가 형성된다.
상기한 드럼 냉각수단(31)의 중앙부에는 구동축 삽입공(39)이 형성되며, 이 구동축 삽입공(39)에 의해 구동축(13)으로 드럼 냉각수단(31)이 끼워지고, 그 구동축 삽입공(39)은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가 그 안에서 체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공기유입핀 지지부(29)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유입핀(37)은 외부의 공기를 브레이크 드럼(13)측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절곡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체결부(35)에는 외측 타이어 허브(25)과 결합하기 위해 그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41)이 형성된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부재(33)를 도시한다.
이 단열부(33)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를 통해 상기한 구동축(15)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한 단열부(33)는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21)와의 연결관계를 고려하여 양측의 개구부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단열부(33)의 외부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작동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엔진(도시생략)의 구동력 전달에 의해 구동축(15)이 회전하면, 그 구동축(15)의 외주면에 설치된 허브 지지부재(17)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허브 지지부재(17)의 회전에 의해 이 허브 지지부재(17)에 결합된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도 회전하게 되고, 이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와 결합되는 내,외측 타이어(19)(21)도 동기하여 회전하게 되어 차량이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구동에 따라, 내측 타이어 허브(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속 및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드럼(13)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을 감속 및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 도면에 표시는 생략하였지만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하여 연동하는 브레이크 슈의 외주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드럼(13)과 마찰되므로 제동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제동작용은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13)의 마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브레이크 드럼(13)에는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가 회전하므로,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21)와 외측 타이어 허브(25) 사이에 설치되는 드럼 냉각수단(31)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드럼 냉각수단(31)에 부착되어 있는 공기유입핀(37)도 회전하게 되어 외부에 있는 공기가 내,외측 타이어 허브(21)(25)측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 유입공기는 내측 타이어 허브(2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13)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내측 타이어 허브(21)에는 열차단부재(33)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드럼(13)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내측 타이어(19)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실용실안등록 청구범위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는 내,외측 타이어 허브의 사이에 드럼 냉각수단을 설치하고, 내측 타이어와 브레이크 드럼 사이에 단열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 작동시 발생하는 발열량이 타이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타이어의 펑크율을 감소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한다.

Claims (4)

  1.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며 브레이크 드럼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 내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내측 타이어와;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내측 타이어 허브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내측 타이어와의 결합면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외측 타이어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 및 외측 타이어 허브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외측 타이어 허브에 고정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브레이크 드럼측으로 유입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을 냉각시키기 위한 드럼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2.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며 브레이크 드럼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 내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내측 타이어와;
    상기한 구동축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내측 타이어 허브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내측 타이어와의 결합면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외측 타이어 허브와,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구동시키는 외측 타이어와;
    상기한 내측 타이어 허브에 결합되어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내측 타이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드럼 냉각수단은
    구동축이 삽입되는 구동축 삽입공이 형성되고 다수의 체결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외측 타이어 허브와 결합되도록 나란하게 경사를 이루어 체결부재에 의해 그 외측 타이어 허브와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한 체결부의 단부에서 브레이크 드럼측으로 공간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공기유입핀 지지부재와;
    상기한 공기유입핀 외주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브레이크 드럼측으로 유입하기 위해 절곡된 다수의 공기유입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열차단부재는 내측 타이어 허브 끝단과 내측 타이어의 측단 사이의 간격 l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KR2019970033737U 1997-11-25 1997-11-25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KR199900202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737U KR19990020284U (ko) 1997-11-25 1997-11-25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737U KR19990020284U (ko) 1997-11-25 1997-11-25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284U true KR19990020284U (ko) 1999-06-15

Family

ID=6967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737U KR19990020284U (ko) 1997-11-25 1997-11-25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28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27B1 (ko) * 2012-06-20 2014-01-27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차량의 복륜구조
KR101365543B1 (ko) * 2012-02-21 2014-02-20 임관순 타이어 착탈이 용이한 휠림
WO2020086090A1 (en) * 2018-10-26 2020-04-30 Arconic Inc. Vehicle whee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a vehicle whe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43B1 (ko) * 2012-02-21 2014-02-20 임관순 타이어 착탈이 용이한 휠림
KR101355027B1 (ko) * 2012-06-20 2014-01-27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차량의 복륜구조
WO2020086090A1 (en) * 2018-10-26 2020-04-30 Arconic Inc. Vehicle whee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a vehicle wheel
AU2018447005B2 (en) * 2018-10-26 2022-03-17 Howmet Aerospace Inc. Vehicle whee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a vehicle w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129B1 (ko) 인휠 모터
CA2634773C (en) Brake drum with vent hole and cooling scoop
US2808908A (en) Wheel structure with brake drum cooling means
KR19990020284U (ko) 차량용 타이어 장착구조
US5009293A (en) Disc brake apparatus
US4950035A (en) Rotating air including scoops
KR960008892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드럼
KR19990003278U (ko) 브레이크냉각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휠
KR100982011B1 (ko) 차량용 타이어 휠
KR19980031692U (ko) 자동차의 휘일
RU2413885C2 (ru)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0368652B1 (ko)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KR200170602Y1 (ko) 타이어 열해 방지용 열 차단장치
JP2819187B2 (ja) 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9980043322U (ko) 드럼 브레이크
KR0133124Y1 (ko) 차량용 바퀴
KR19990042969A (ko) 복륜식 타이어용 휠의 냉각구조
KR19990052269A (ko) 자동차의 이중타이어용 구동휠 냉각장치
KR100507225B1 (ko) 차량의 브레이크 드럼
KR980008729U (ko) 냉각기능이 구비된 브레이크 드럼
KR19980066731U (ko) 자동차용 휠
KR200174848Y1 (ko) 자동차용 휠 베어링 이탈 방지구조
JP2020133772A (ja) ブレーキダストカバー
JPS5917033A (ja) ドラムブレ−キの取付構造
KR19990009726U (ko) 차량용 냉각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