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619A -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619A
KR19990014619A KR1019980051129A KR19980051129A KR19990014619A KR 19990014619 A KR19990014619 A KR 19990014619A KR 1019980051129 A KR1019980051129 A KR 1019980051129A KR 19980051129 A KR19980051129 A KR 19980051129A KR 19990014619 A KR19990014619 A KR 19990014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pressure hose
cutting
fix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344B1 (ko
Inventor
윤순선
Original Assignee
윤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선 filed Critical 윤순선
Priority to KR101998005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34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공압등으로 작동되는 각종 기계장치에 고압호스를 연결시켜 작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기계작동부위간에 소정의 요구하는 길이에 따라 정확한 길이로 고압호스를 절단면이 매끄럽고 정확하게 직각방향으로 절단하고, 고압호스에 의해 기계작동부위에 초기에 제공된 압력이 고압호스를 따라 기계작동부위에 전달되도록 하여 기계작동부위가 오차없이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고압호스를 제공함은 물론 고압호스가 절단기에 의해 절단될 시 고압호스 양단으로 고압의 공기가 충전되는 상태에서 절단과 동시에 고압호스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각종 불순물등이 절단부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각종 자동화된 기계등의 작동부위가 섬세하고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외주면에 기어형상으로 이루어진 풀리가 양단의 축에 각각 축설되고 내면에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진 벨트가 상기 풀리와 치합 연결되는 상부가압부재 및 하부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부가압부재가 측방지지틀체의 레일을 따라 승강작동토록 하고, 상기 상,하부벨트사이로 고압호스의 진입 및 안내를 위한 지지로울러와 안내로울러가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고압호스를 상기 상부가압부재와 하부지지부재의 상,하부벨트사이로 진입시킨 후 벨트의 구동에 의해 고압호스를 전진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기대와 수평하게 병설 형성되는 이송지지대 상면에 각각 레일이 형설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케리어를 구비한 이송대 상면으로 스토퍼와 함께 병설되는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인출되는 고압호스의 길이 오차에 따라 자유이송되는 자유이송대 상면일측단에 가이드홈과 삽입공이 천설된 지지플레이트 양측면으로 고정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고압호스 일단을 클램핑하기 위한 척이 고정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공기분사구가 에어실린더와 연결되어 자유이송대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척이 고압호스 일단을 클램핑 한후 에어실린더가 공기분사구를 통해 고압호스내에 고압의 급기를 불어넣어 줌과 동시에 고압호스 타단에도 컴프레샤에 의해 고압의 급기를 불어넣어 고압의 공기가 충만된 상태에서 이송대가 이송지지대 하단에 형성된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고압호스를 소정길이 인출하도록 하는 인출부와, 상기 이송부 전방측 기대상에 고정되는 후레임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강작동되는 승강플레이트 상단으로는 구동모터가 하단에는 컷팅기가 고정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컷팅기가 벨트에 의해 연동되도록 하고, 고압호스가 통과될수 있도록 안내공이 형성되고 통과된 고압호스를 컷팅기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절단부위가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 및 컷팅기의 칼날을 안내하기 위한 컷팅날안내홈이 형성되는 컷팅안내지그가 관통공이 천공된 컷팅지그에 결합되어 컷팅기 하방 기대상에 고정되고, 기대 하단에 장착된 실린더의 로드와 연설되는 푸싱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통공상에 노출된 고압호스부를 위로 완만한 곡선상으로 상승시킨 후 컷팅기의 칼날이 상기 칼날안내홈을 따라 하강하여 고압호스를 절단시키는 컷팅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본 발명은 유압이나 공압등으로 작동되는 각종 기계장치에 고압호스를 연결시켜 작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기계작동부위간에 소정의 요구하는 길이에 따라 정확한 길이로 고압호스를 절단함은 물론, 절단된 고압호스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정확하게 직각방향으로 절단되도록 하여 고압호스와 호스간의 연결부위 또는 고압호스와 기계작동부위간의 연결부위에 틈새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고압호스에 의해 기계작동부위에 초기에 제공된 압력이 고압호스를 따라 기계작동부위에 전달되도록 하여 기계작동부위가 오차없이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고압호스를 제공함은 물론 고압호스가 절단기에 의해 절단될 시 고압호스 양단으로 고압의 공기가 충전되는 상태에서 절단되도록 하여 절단과 동시에 고압호스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각종 불순물등이 절단부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각종 자동화된 기계등의 작동부위가 섬세하고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이나 공압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섬세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각종기계의 작동부위에는 상기 유압이나 공압등을 전달하는 매체로써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철망사(b)가 여러겹으로 에워싸는 형상을 이루어 내부의 유체등이 고압으로 유동될 때 호스내부가 유체의 압력을 견딜수 있도록 제조되고 있음은 통상적이며, 기계작동부위에 전달되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여 고압호스의 직경을 달리하여 채용결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직경이 큰 고압호스 내부에는 작은 직경의 고압호스내에 삽치되는 철망사(b)보다 많은 수의 철망사(b)가 겹겹이 삽치되고 있다.
이와같이 다수개의 철망사(b)가 개재되는 고압호스는 두루마리 형상의 로울러에 감겨져 있는 상태로 출하되어 각종 기계등을 조립하는 현장등에서 기계작동부위간을 연결하기 위해 조건에 따라 고압호스를 소정의 길이로 컷팅기등에 의해 절단한 후 사용하게 되는바, 상기 고압호스를 절단하기 위해 종래에는 두루마리 형상으로 고압호스가 감겨져 있는 로울러로부터 소정길이 인출 한 후 컷팅기로 절단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절단하는 고압호스의 절단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숙련공에 의해 비교적 정확한 치수로 절단가능하나, 절단하고자 하는 고압호스의 길이가 상당한 경우에는 절단길이의 측정 및 절단을 위해 고압호스 단부를 일인(一人)이 두루마리 형상으로 고압호스가 감겨져 있는 로울러로부터 절단하고자 하는 적정 길이만큼 인출하여 고정시킨 후 타인(他人)이 컷팅기를 작동시켜 고압호스를 절단하게 되므로 작업인원이 필요이상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상당한 길이의 고압호스의 절단시 매우 정확한 길이의 측정이 곤란하여 원하는 기계작동부위간등을 이어주는데 요구되는 소정 길이보다 짧거나 길게 절단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바, 소정길이보다 길게 절단된 경우에는 고압호스의 잉여분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은 물론, 소정길이보다 짧게 절단된 경우에는 원하는 기계작동부위간을 연결하지 못하고 폐기처분하거나 절단된 길이보다 비교적 짧은 타기계작동부위간을 연결하기 위해 재차 컷팅작업을 한후 컷팅되어 남게되는 잔여분의 고압호스는 폐기처리되는등 자재의 낭비에 따른 비용상승등의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컷팅기에 의해 작업자가 수공업적으로 고압호스를 절단하게 되는바, 컷팅칼날 하방에 위치되는 고압호스가 정확한 수평,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못한 상태에서 컷팅되는 예가 많아 고압호스의 컷팅시 절단면이 도 10의 (가)에서 보는바와 같이 매끄럽게 절단되지 못하고 고압호스의 외피를 이루는 섬유질의 올(c)등이 절단면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절단면이 수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경사지게 절단되어져 기계작동부와 고압호스간 클램핑되는 면이 수직선상으로 처리되지 못하여 고압호스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기계의 작동과정에서 고압호스 외부로 유출되는 일이 빈번하여 기계작동부에 정확한 압력의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등 유압등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작동부가 정확한 작동을 수행하지 못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고압호스의 제작과정등에서 고압호스내부에 불순물등이 개재되는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컷팅과정에서 절단면을 통해 고압호스 내부로 불순물등이 투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작업자는 고압호스의 컷팅작업이 완료된 후 소정길이로 컷팅된 고압호스 내부의 불순물등을 제거하기 위해 와이어 끝단부에 솜이나 천등을 개재시킨 후 와이어를 고압호스 내부로 삽입하여 절단된 고압호스 내면부를 일일이 청소하여야 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유압이나 공압등으로 작동되는 각종 기계장치에 고압호스를 연결시켜 작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기계작동부위간에 소정의 요구하는 길이에 따라 정확한 길이로 고압호스를 절단함은 물론, 절단된 고압호스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절단되도록 하여 고압호스와 호스간의 연결부위 또는 고압호스와 기계작동부위간의 연결부위에 틈새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고압호스에 의해 기계작동부위에 초기에 제공된 압력이 고압호스를 따라 기계작동부위에 전달되도록 하여 기계작동부위가 오차없이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고압호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으며, 또한 고압호스가 절단기에 의해 절단될 시 고압호스 양단으로 고압의 공기가 충전되는 상태에서 절단되도록 하여 절단과 동시에 고압호스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각종 불순물등이 절단부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므로써 고속 고압으로 유동하는 고압호스내의 유체내에 불순물등이 함유되지 않은 상태로 각 기계의 작동부위를 오차없이 작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루마리형 로울러에 감겨져 있는 상태의 고압호스(1) 일단을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의 컷팅부(20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100)로부터 컷팅부(200)로 이송된 고압호스(1)의 일단을 척(346)등에 의해 클램핑 한 후 절단하고자 하는 소정거리 만큼 고압호스(1)를 컷팅부(200)로부터 인출하는 인출부(300)와, 소정길이만큼 인출된 상태의 고압호스(1)를 적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컷팅부(200)로 구성되는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도 중 이송부의 상부가압부재와 하부지지부재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가)도는 상부가압부재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나)도는 상부가압부재가 하강한 후의 상태도이며,
도 3은 고압호스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울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컷팅지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컷팅지그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인출부측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클램프가 고압호스를 클램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클램프가 고압호스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고압호스를 소정길이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9의 (가)(나)도는 컷팅기에 의해 고압호스가 절단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이고,
도 10의 (가)(나)도는 종래 고압호스가 절단된 단면과 본 발명에 의한 절단 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고압호스 2:기대 100:이송부 101:로딩로울러
102:지지브라켓 103:지지로울러 110:안내로울러 111:모터
112:스크류축 113:가이드 114:이송부재 120:지지틀체
121:상부지지틀체 122:측방지지틀체 123:가이드 124:볼트
125:스크류축 126:볼트 127:모터 128:레일 130:상부가압부재
131,132:축 133,134:풀리 135:상부벨트 136:로울러
137:안내부재 138:이송부재 140:하부지지부재 141,142:축
143,144:풀리 145:하부벨트 146:로울러 147:종동기어
148:볼트 150:서보모터 151:타이밍벨트구동기어 152,153:타이밍벨트
160:구동헬리컬기어 161:종동헬리컬기어 162:제1헬리컬기어
163:제2헬리컬기어 164:제1링크 165:제2링크 200:컷팅부
210:후레임 211:레일 212:실린더 213:승강플레이트
214:구동모터 215:풀리 220:컷팅기 221:풀리 222:벨트
230:컷팅지그 231:베이스 232:관통공 233:결합부재 234:돌부
235:볼트 240:컷팅안내지그 241:안내공 242:통공
243: 컷팅날 안내홈 244:홈 245:가이드플레이트 250:실린더
251:로드 252:푸싱구 253:컷팅날안내홈 260:집진장치
270:컷팅지그 271:지지플레이트 272:스프링 273:볼
280:전방후레임 281:후방후레임 282:안내공 283: 삽치구
290:컷팅안내지그 291:통공 292:칼날안내홈 293:관통공
300:인출부 310:이송지지대 311:레일 320,320':종동기어
321:컨베이어벨트 330:이송대 331:케리어 332:스토퍼
340:클램프 341:지지플레이트 342:가이드홈 343:삽입공
344:실린더 345:로드 346:척 350:공기분사구 360:에어실린더
a:불순물 b:철망사 c:올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 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압호스(1)를 컷팅부(200)로 이송토록 하는 이송부(100)와 고압호스(1)를 소정길이만큼 컷팅부(200)로부터 인출시키는 인출부(300)와 소정길이로 인출된 고압호스(1)를 컷팅하기 위한 컷팅부(200)와 상기 이송부(100), 컷팅부(200) 및 인출부(300)를 지지하는 기대(2) 및 이송지지대(31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0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두루마리 형상으로 롤링된 로울러로부터 고압호스(1)를 인출하여 기대(2)상에 로딩시키면서 전진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로딩로울러(101)가 기대(2) 일단 상면에 장착되고, 후방으로 상기 로딩로울러(101)에 로딩되어 이송되는 고압호스(1)를 후술하는 하부지지부재(140)의 상면높이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고압호스(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로울러(103)가 측방의 지지브라켓(102)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로울러(103)의 후방측으로 지지로울러(103)로부터 지지되면서 이송되는 고압호스(1)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울러(110)가 상기 지지브라켓(102)에 고정되는바, 상기 안내로울러(110)는 도 3 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압호스(1)가 정확한 위치로 이송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양방으로 대향되도록 한쌍의 안내로울러(110)가 형성되고, 고압호스(1)의 직경의 대소(大小)에 따라 적정하게 조절가능하기 위해 모터(111)의 조작에 의해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축(112)을 따라 양방의 안내로울러(110)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스크류축(112)의 나사방향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시켜 고압호스(1)의 직경에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조정하여 안내로울러(110)와 고압호스(1)간의 면접촉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전진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내로울러(110) 후방측으로 기대(2)상에 지지틀체(120)가 고정되고, 지지틀체(120) 하방측면에 볼트(148)등에 의해 하부지지부재(140)가 고정되고, 상부로는 하부지지부재(140)와 대향되면서 상하 승강작동되는 상부가압부재(130)가 형성되는바, 상기 상부가압부재(130)의 상하 승강작동을 위해 측방지지틀체(122) 양측내면에 레일(128)을 형성시키고 상기 레일(128)을 따라 상부가압부재(130)의 승강작동을 안내하기 위해 볼트(124)등에 의해 상부지지틀체(121) 양측에 가이드(123)가 고정되고 가이드(123)에 축설된 안내부재(137)가 상부가압부재(130) 배면부측에 고정되어 상부가압부재(130)의 승강작동시 안내부재(137)가 가이드(123)를 따라 승강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가압부재(130)의 승강작동의 구동을 위해 상부지지틀체(121) 중앙부에 스크류축(125)이 볼트(126)등에 의해 고정되어 기대(2) 하방으로 장착된 모터(127)의 구동에 의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압부재(130) 배면부 중앙에 고정된 이송부재(138)가 상기 스크류축(125)을 따라 상하 이송되어 상부가압부재(130)가 승강작동 가능하게 하는바, 상부가압부재(130)의 상하 이송량은 절단하기 위한 고압호스(1)의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상부가압부재(130)와 하부지지부재(140)의 구성은 도 1 에서 보는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는바, 각각의 부재(130)(140) 양단에 고정된 축(131)(132)(141)(142)에 외주면이 기어 형상을 갖는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의 풀리(133)(134)(143)(144)가 각각 축설되고, 내측면에 요철(凹凸)면이 형성되어 상기 풀리(133)(134)(143)(144)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면과 치합되는 벨트(135)(145)가 각각 상하로 장설되어 풀리의 구동에 의해 무한궤도 회동되므로서 상부가압부재(130)와 하부지지부재(140)사이로 진입된 고압호스(1)와 상하부벨트(135)(145)간에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면접촉을 이루면서 전방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는바, 각각의 상하에 축설된 풀리(133)(134)(143)(144)의 직경이 동일하므로 벨트(135)(145)의 이송량도 동일한 상태에서 고압호스(1)를 전방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상하부벨트(135)(145)사이를 통과하는 고압호스(1)에 적정한 면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벨트(135)의 내측하단과 하부벨트(145)의 내측상단으로 다수개의 로울러(136)(146)가 상부가압부재(130) 및 하부지지부재(140)에 고정착설되어 각각의 벨트(135)(145)에게 장력을 제공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고압호스(1)가 벨트(135)(145)사이를 통과할시 다수개의 로울러(136)(146)가 상하부벨트(135)(145)의 회동에 따라 자유회동되어 상하부벨트(135)(145)와 고압호스(1)간에 적정한 면압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면접촉이 상하부벨트(135)(145)를 통과하는 동안 동일하게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상하부벨트(135)(145)의 구동을 위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기대(2) 하방으로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를 축설한 서보모터(150)를 고정시키고, 상술한 하부지지부재(140)의 풀리(143)(144) 중 일단의 풀리(144)를 축설시키는 축(142)에 종동기어(147)를 하부지지부재(140)의 배면측에 축설하여 종동기어(147)와 일단의 풀리(144)가 동일축(142)에 축설되므로써 종동기어(147)와 풀리(144)의 회전비는 동일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147)와 서보모터(150)의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타이밍벨트(152)가 장설되고, 재차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와 후술하는 인출부(300)의 이송지지대(310) 하방에 장설되는 컨베이어벨트(321)를 회동시키기 위한 종동기어(320)간에도 타이밍벨트를 장설하여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의 구동에 의해 하부지지부재(140) 일단의 축(142)에 축설된 종동기어(147)와 상기 인출부(300) 이송지지대(310) 하방의 컨베이어벨트(321)를 회동시키는 종동기어(320)에 각각 장설된 타이밍벨트(152)(153)를 동시에 회동시키게 되는바, 상기 각각의 종동기어(147)(320)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하여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와 하부지지부재(140) 일단의 축(144)에 축설된 종동기어(147)간을 연결하는 타이밍벨트(1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벨트(145)가 무한궤도로 회동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부가압부재(130)의 상부벨트(135)도 동일한 회전비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 도 2 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부지지부재(140) 타단의 축(141)과 동일측단의 상부가압부재(130) 축(131)상에 동일직경의 구동 및 종동헬리컬기어(160)(161)를 각각 축설하고, 각각의 헬리컬기어(160)(161)사이에 개재되는 2개의 동일직경의 제1,2헬리컬기어(162)(163)를 축설 한 후 4개의 헬리컬기어(160 ~ 163)를 제1,2링크(165)(166)와 힌지(166)로 서로 맞물려 치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바, 상기 상부가압부재(130)의 축(131)상의 종동헬리컬기어(161)와 당접하는 제2헬리컬기어(163) 및 하부지지부재(140)의 축(141)상에 축설된 구동헬리컬기어(160)와 당접하는 제1헬리컬기어(162)는 ㄱ자 형상을 갖는 제1링크(164)에 고정되도록 하며, 제1링크(164) 일단은 종동헬리컬기어(161)와 힌지(166)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164)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타단은 구동헬리컬기어(160)와 당접하는 제1헬리컬기어(162)와 힌지(166)에 의해 결합되고 있으며, 제1링크(164) 중앙부로 제2헬리컬기어(163)가 고정축설되어 상기 제1헬리컬기어(162)와 종동헬리컬기어(161)간에 동시에 치합되어 있다. 또한 하부지지부재(140)의 축(141)상에 축설된 구동헬리컬기어(160)와 상기 제1헬리컬기어(162)가 치합되면서 일자형을 갖는 제2링크(165)에 각각 힌지(166)결합되어 상부가압부재(130)의 승강작동시 각각의 링크(164)(165)가 힌지(166)에 의해 회동되어지도록 하여 제1,2헬리컬기어(162)(163)가 적정한 위치로 이동되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각각의 헬리컬기어(160 ~ 163)의 직경이 동일하므로 상술한 타이밍벨트(152)(153)로 전달되는 회전비가 정확하게 종동헬리컬기어(161)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컷팅부(200)의 구성에 관해 상술한다.
컷팅부(200)는 상술한 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되어진 고압호스(1)의 일단부를 후술하는 인출부(300)가 절단하고자 하는 소정의 길이만큼 이송되면 고압호스(1)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도4 및 도 8, 도 9에서 보는바와 같이 기대(2) 상면으로 고정되는 후레임(210)내측에 형성된 레일(211)을 따라 실린더(212)의 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승강플레이트(213)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213) 상단으로 구동모터(214)가 고정장착되고, 승강플레이트(213) 하단부에 컷팅기(220)가 고정장착되며 구동모터(214)와 컷팅기(220)에 축설되는 풀리(215)(221)에 벨트(222)를 장설하여 구동모터(214)의 구동에 의해 컷팅기(220)가 고속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컷팅기(220) 하방으로는 기대(2) 상단면에 컷팅지그(230)가 고정장착되는바, 상기 컷팅지그(23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2) 상단면에 베이스(231)가 고정장착되고 베이스(231) 일측방을 관통하는 관통공(232)이 천공된다. 베이스(231) 상단면으로 돌부(234)가 형성되는 ㄱ형상의 결합부재(233)가 볼트(235)등에 의해 고정되어 베이스(231) 상부로 컷팅안내지그(240)가 착탈가능하게 결착되는바, 상기 컷팅안내지그(240) 길이방향으로 고압호스(1)를 안내하는 안내공(241)이 형성되고 중앙부로 통공(242)이 천설되어 컷팅안내지그(240)의 전방측 안내공(241)을 통과한 고압호스(1)가 후방측 안내공(241)으로 삽입되어지고, 고압호스(1)의 일부가 육안식별 가능하게 통공(242)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한편 컷팅안내지그(240) 측면으로 컷팅날안내홈(243)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245)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상술한 컷팅기(220)의 칼날이 컷팅날안내홈(243)으로 안내되면서 통공(242)상에 노출된 고압호스(1)를 절단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컷팅안내지그(240) 양측면으로는 홈(24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ㄱ자형의 결합부재(233)의 돌부(234)와 결합되어진다. 이와같이 결합되는 컷팅안내지그(240)는 착탈자재가능하여 고압호스(1)의 직경에 따라 적정한 안내공(241)의 직경을 갖는 컷팅안내지그(240)를 선별하여 착설한 상태에서 작업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231)의 관통공(232) 하방측으로 기대(2) 하방에 실린더(250)가 고정착설되고 실린더(250)의 로드(251)상단부로 상술한 통공(242)상에 노출된 고압호스(1)를 상승시키는 푸싱구(252)가 형성되는바, 상기 푸싱구(252)에도 컷팅날안내홈(253)이 형성되어 컷팅안내지그(240)의 측면에 형성된 컷팅날안내홈(243)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되는 컷팅지그(230)는 안내공(241)으로 삽입되어 후술되는 인출부(300)에 의해 소정길이 인출되면 실린더(250)의 작동에 의해 푸싱구(252)가 통공(242)상에 노출된 고압호스(1)부위를 상승시켜 완만한 곡선상으로 형성시키면 컷팅기(220)가 하강하여 컷팅안내지그(240)의 컷팅날안내홈(243)과 푸싱구(252)의 컷팅날안내홈(253)으로 안내되면서 고압호스(1)를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컷팅기(220)가 고압호스(1)를 컷팅하는 작업과정에서 형성되는 분진등을 집진하기 위해 채용하는 통상적인 집진장치(260)를 장착하여 작업환경의 청결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컷팅지그(230)를 채용함에 있어서 상술한 컷팅지그(230)와는 달리 착탈자재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고압호스(1)의 직경에 따라 자유자재로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는 컷팅지그(270)를 채용할 수 있는바, 도 5 에서 보는바와 같이 컷팅기(220) 하방의 기대(2)상에 지지플레이트(271)를 고정시키고, 지지플레이트(271) 상단에 원판형의 후방후레임(281)과 전방후레임(280)으로 구성되는 컷팅안내지그(290)를 회전자재하게 설치하고, 상기 전방후레임(280)과 후방후레임(281)은 연동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시키며, 전,후방후레임(280)(281) 사이에는 상술한 컷팅안내지그(240)와 마찬가지로 통공(291)을 형성하여 고압호스(1)의 일부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 5의 (나)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안내공(282)을 다수개 천공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고압호스(1)의 직경에 따라 안내공(282)을 후레임(280)(281)을 회전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내공(282)을 선택가능하기 위해 지지플레이트(271)에 스프링(272)에 의해 탄지되는 볼(273)을 삽치시키고 상기 볼(273)이 원판형의 후방후레임(281) 표면층을 구름운동하여 삽입되는 삽치구(283)가 후방후레임(281)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는바, 상기 삽치구(283)에 볼(273)이 삽치되어지면 원판형의 전,후방후레임(280)(281) 상단에 안내공(282)이 고압호스(1)와 수평선상에 위치되어지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절단하고자 하는 고압호스(1)의 직경에 알맞는 안내공(282)을 선택하기 위해 원판형의 후레임(280)(281)을 회전시키면서 적정한 직격을 갖는 안내공(282)이 고압호스(1)의 위치와 일치되는 지점에 다다르면 볼(273)이 삽치구(283)에 삽치되어 원판형의 전,후방후레임(280)(281)이 고정되어지도록 하고, 하방으로 푸싱구(252)의 상승작동이 가능하도록 관통공(293)이 형성되고, 컷팅기(230)가 하강시 컷팅기(230)의 칼날을 안내하기 위한 칼날안내홈(292)이 각각 형성된다.
이하 인출부(3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인출부(300)는 상술한 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된 후 컷팅부(200)의 컷팅지그(230)측으로 일부 유출된 고압호스(1) 일단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전진이송하여 원하는 길이로의 고압호스(1)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6 및 도 7 에서 보는바와 같이 기대(2)와 당접되어 체결되면서 종방향으로 수평하게 병설되는 이송지지대(310)가 형성되고, 각각의 이송지지대(310) 상단에 레일(311)이 이송지지대(310)의 길이와 동일한 상태로 고정되고, 이송지지대(310) 하방일측 양단으로 종동기어(320)(320')가 각각 고정축설되어 양단의 종동기어(320)(320')를 연결하는 컨베이어벨트(321)가 장설되어 있다. 이때의 종동기어(320)(320')의 직경과 이송부(100)의 하부지지부재(140) 배면부에 축설된 종동기어(147)의 직경은 동일하도록 하고, 정확한 회전비의 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같이 타이밍벨트(152)(153)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서보모터(150)의 구동에 따라 하부지지부재(140) 종동기어(147)와 인출부(300) 일단의 종동기어(320)간을 각각 연결하고 있는 타이밍벨트(152)(153)를 구동시켜 컨베이어벨트(321)와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가 동시에 동일 이송거리로 회송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상하부벨트(135)(145) 사이에 개재된 고압호스(1)를 반출하는 거리와 인출부(300)상에서 인출되는 고압호스(1)의 길이는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때 서보모터(150)에 축설되는 구동기어(151)(151')를 2개 축설한후 클러치 작동에 의해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인출부(300)의 클램프(340)가 고압호스(1)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전진이송하는 경우에는 서보모터(150)에 축설된 구동기어(151)(151')가 연동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보모터(15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도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여 고압호스(1)의 안내와 동시에 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이송이 완료된 후 컷팅부(200)에 의해 고압호스(1)의 컷팅작업이 완료되면, 클램프(340)는 재차 컷팅부(200)측으로 이송되어야 하므로 이때 서보모터(150)에 축설된 구동기어(151)(151')가 클러치 작동에 의해 상호 분리되도록 하여 서보모터(150)의 역구동시 인출부(300)측 종동기어(320)와 타이밍벨트(153)에 의해 연결된 구동기어(151')만 역구동되어져 클램프(340)의 후진이송시에는 인출부(300)측의 컨베이어벨트(321)만 회송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이송지지대(310) 상단에 고정되는 레일(311)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케리어(331)를 하단에 고정하는 이송대(330)가 형성되는바, 상기 이송대(330)는 상술한 컨베이어벨트(321)와 연동되도록 고정시키므로써 컨베이어벨트(321)가 무한궤도로 회송함에 따라 이송대(330)도 연동되어 일정거리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컨베이어벨트(321)와 연동되는 이송대(330) 상단으로 클램프(340)가 자유이송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병설되는 레일(371)상에 케리어(372)가 하방에 고정되는 자유이송대(370)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대(330) 상단의 레일(371)상에서 제어됨이 없이 자유이송가능하도록 하여 인출되는 고압호스(1)의 길이가 미소하게 오차가 난 상태로 인출된다 하더라도 자유이송대(370)가 이송대(330) 상단의 레일(311)을 따라 클램프(340)에서 고압호스(1)를 클램핑한 상태로 미소하게 자유롭게 이송되어 정확한 길이로 고압호스(1)를 인출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6 에서 보는바와 같이 자유이송대(370) 일측상단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341) 일측으로 가이드홈(342)이 형성되고 중앙이 관통되는 삽입공(343)이 천공되어지고, 지지플레이트(341) 양측단에 실린더(344)가 각각 고정장착되고, 각각의 실린더(344) 로드(345)상에 연설되는 척(346)이 각각 고정되어져 있으며, 상기 로드(345)는 상기 가이드홈(342)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삽입공(343)으로 삽입되는 공기분사구(350)가 지지플레이트(341) 후방측에 고정되고 공기분사구(350)로 급기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360)가 고정착설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박스를 온(on)시킨 상태에서 두루마리 형상의 로울러에 감겨져 있는 상태의 고압호스(1) 일단을 기대(2) 일측에 고정된 로딩로울러(101)에 로딩시키고 전방의 지지로울러(103)에 고압호스(1)가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내로울러(110) 사이에 고압호스(1)를 개재시키게 되는바, 이상태에서 작업자는 고압호스(1)의 직경에 알맞도록 한쌍의 안내로울러(110)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모터(111)을 조작하여 스크류축(112)과 나사체결된 상태로 있는 이송부재(114)를 이송시켜 안내로울러(110)의 간격을 적정하게 조정하여 안내로울러(110) 사이에 개재된 고압호스(1)의 외면과 당접되어 면접촉에 의해 고압호스(1)를 상부가압부재(130)와 하부지지부재(140)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상,하부벨트(135)(145) 사이로 진입시키게 된다.
이때의 상부가압부재(130)는 상승된 상태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호스(1)가 상,하부벨트(135)(145) 사이에 진입되어 개재되면, 기대(2) 하방에 고정된 모터(127)를 구동시켜 상부가압부재(130)가 중앙에 형성된 스크류축(125)을 따라 하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가압부재(130)는 스크류축(125)에 축설되면서 상부가압부재(130) 배면부에 고정되어 있는 내면에 나사형상을 갖는 이송부재(138)가 스크류축(125)을 따라 하강하여 동시에 상부가압부재(130)도 하강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부가압부재(130)의 하강시 안내를 위해 상부가압부재(130) 배면 양측에 고정된 안내부재(137)가 가이드(123)를 따라 안내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강되는 상부가압부재(130)의 행정거리는 미리 개재되는 고압호스(1)의 직경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박스에 셋팅된 거리만큼 하강한 후 멈추게 되는바, 이상태는 도 2의 (나)도와 같으며, 이때 상부가압부재(130)와 하부지지부재(140)에 장설된 상,하부벨트(135)(145)와 고압호스(1)와는 상호 면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이며, 상부가압부재(130)가 고압호스(1)를 짖누르는 상태가 아니고 단지 상부가압부재(130)의 상부벨트(135) 하단면과 고압호스(1)가 압력없이 당접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이 상부가압부재(130)가 하강을 하거나 또는 상승작동하게 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가압부재(130) 배면부 일측으로 각각의 상,하부벨트(135)(145)를 구동시키기 위한 헬리컬기어(160 ~ 163)가 서로 치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부가압부재(130) 하강 또는 상승시 각각의 헬리컬기어(160 ~ 163)와 링크(164)(165)간에 힌지(166)고정되어 있으므로 링크(164)(165)의 적정한 회동과 함께 제1,2헬리컬기어(162)(163)의 위치변동을 가져오게 되면서 무리없이 상부가압부재(130)의 하강 또는 상승작동을 이룰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상부가압부재(130)의 하강과 동시에 또는 미리 기대(2) 하방의 서보모터(150)가 구동되면 서보모터(150)에 축설되어 있는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와 하부지지부재(140) 배면부 일측단에 축설되어 있는 종동기어(147)간을 연결하고 있는 타이밍벨트(152)가 구동되는바, 이때에는 서보모터(150)에 연동되도록 축설되어 있는 2개의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151')가 클러치동작에 의해 분리된 상태이어서 상기 타이밍벨트(152)가 작동되더라도 인출부(300)의 타이밍벨트(153)는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며, 상기 종동기어(147)의 구동으로 인하여 하부지지부재(140) 전면부로 같은 축(142)상에 축설된 원통형의 풀리(144)가 회전되고, 상기 풀리(144)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면과 하부벨트(145) 내면부에 형성된 요철(凹凸)면이 서로 치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타단 원통형의 풀리(143) 회전에 따라 하부벨트(145)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송한다.
따라서 하부지지부재(140) 타측에 고정된 축(141)에 축설되는 풀리(143)도 동시에 회전되고, 도 2 에서 보는바와 같이 동일직경을 갖는 구동헬리컬기어(160) 및 종동헬리컬기어(161)와 상기 구동 및 종동헬리컬기어(160)(161) 사이에 개재치합되어 있는 제1,2헬리키컬기어(162)(163)가 구동되어 상부가압부재(130)의 종동헬리컬기어(161)가 하부지지부재(140)의 풀리(143)가 회전되는 회전비와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되면서 상부가압부재(130)의 상부벨트(135)를 무한궤도를 따라 회송시키게 되어 결국 상,하부벨트(135)(145)의 이송량이 동일한 상태에서 회송되며, 이와같이 무한궤도를 따라 회송하는 각각의 상,하부벨트(135)(145)면에 당접하고 있는 고압호스(1)는 전방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이와같이 전방측 즉, 컷팅부(200)측으로 이송된 고압호스(1) 일단이 컷팅지그(230)의 컷팅안내지그(240)에 형성된 안내공(241)으로 삽입된 상태에 이르면, 컷팅안내지그(240)의 통공(242)상으로 고압호스(1)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가 되고, 안내공(241)으로 유출된 고압호스(1) 일단을 클램프(340)가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에는 서보모터(150)의 구동이 중지되어 고압호스(1)가 더 이상 전방으로 전진이송되지 않는 상태이다.
즉, 도 7 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압호스(1) 일단으로 공기분사구(350)가 밀착되면서 고압호스(1) 내부로 삽입되면, 지지플레이트(341) 양측방으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344)가 작동되어 로드(345) 단부에 연설되어 있는 양측의 척(346)이 고압호스(1)를 클램핑하기 위해 압착한다.
이와같이 고압호스(1)가 척(346)에 의해 클램핑이 완료되어지면, 공기분사구(350)를 통해 에어실린더(360)가 고압의 급기를 불어넣어 주게 되는바, 이때 도시하지 않은 두루마리 형상의 로울러에 감겨져 있는 고압호스(1)의 타단에도 컴프레샤등에 의해 고압호스(1) 타단으로 급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공기분사구(350)를 통해 고압호스(1) 일단으로 에어실린더(360)가 강한 급기를 불어넣어주게 됨과 동시에 고압호스(1) 타단 즉, 두루마리 형상의 로울러에 감겨져 있는 고압호스(1) 타단에도 동시에 컴프레샤등에 의해 급기를 불어넣어 주도록 하여 고압호스(1) 전반에 걸쳐 고압의 급기가 충만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호스(1) 전반에 걸쳐 급기되어 내부가 공기에 의해 고압으로 충전된 상태가 되면, 클램프(340)는 고압호스(1)를 척(346)에 의해 클램핑 된 상태에서 서보모터(150)의 재구동에 의해 이송부(100)와 인출부(300)의 각각의 종동기어(147)(320)에 연결되어 있는 타이밍벨트(152)(153)가 구동되어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를 회송시키면서 고압호스(1)를 전방으로 전진이송시키고, 동시에 인출부(300)의 이송지지대(310) 하방 양측 종동기어(320)(320')에 장설되어 있는 컨베이어벨트(321)도 회송되는바, 이때의 회전비는 동일하므로 결국 동일한 이송거리만큼 이송가능하게 되고, 컨베이어벨트(321)에 고정장착된 클램프(340)가 고압호스(1)의 일단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이송지지대(310) 상단에 병설된 레일(311)을 따라 케리어(331)의 이송에 의해 클램프(340)는 전진이송하게 되며, 전진이송거리는 고압호스(1)를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를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박스에 미리 입력시킨 상태이므로 입력된 거리만큼 컨베이어벨트(321)는 회송되어 클램프(340)가 전진이송하게 된다.
즉, 서보모터(150)에 축설되어 있는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151')와 각각 장설되어 있는 타이밍벨트(152)(153)가 정확한 회전비에 의해 컨베이어벨트(321)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를 구동시키게 되어 상,하부벨트(135)(145) 사이를 통과하는 고압호스(1)의 길이와 클램핑된 상태에서 전진이송된 고압호스(1)의 길이는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사이에 진입된 고압호스(1)가 휘어진 상태로 진입되거나 또는 상,하부벨트(135)(145)의 면압력이 다소 가해진 상태에서 롤링되어져 면마찰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고압호스(1)의 전진이송이 제어를 받게 되어 상,하부벨트(135)(145)사이를 통과하는 고압호스(1)의 실질적 이송량이 컨트롤박스에 입력된 값보다 작게 되는 경우, 정확한 길이로 인출부(300)에서 고압호스(1)가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 클램프(340)와 고정되어져 레일(371)을 따라 자유이송되는 자유이송대(370)가 오차값만큼 전진 또는 후진 자유이송한다.
즉, 인출부(300)의 클램프(340)에서 고압호스(1)를 클램핑할 때에는 자유이송대(370) 일단부가 이송대(330) 일단에 고정된 스토퍼(332)와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척(346)이 고압호스(1)를 클램핑하게 된 상태에서 서보모터(150)의 구동에 의해타이밍벨트(153)가 구동되는바 이때의 타이밍벨트(153)와 상술한 이송부(100)의 종동기어(147)와 서보모터(150)간을 연결하고 있는 타이밍벨트(152)는 동일한 회전비에 의해 정확하게 회송되므로 클램프(340)가 이송지지대(310)상의 레일(311)을 따라 이송된 거리는 미리 입력된 고압호스(1)를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 사이에 삽입개재되어 상,하부벨트(135)(145)간의 마찰력 및 고압호스(1)가 휘어진 상태에서 전진이송되어 상,하부벨트(135)(145)사이를 통과한 실질적 고압호스(1)의 인출길이에 미소한 차이가 발생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벨트(135)(145) 마찰력등에 의해 상,하부벨트(135)(145)사이를 통과한 길이가 입력된 길이보다 작은 경우, 자유이송대(370)에 고정된 클램프(340)는 상기 스토퍼(332)에 걸려진 상태에서 입력된 길이만큼 이송지지대(310)상의 레일(311)을 따라 이송되므로, 상,하부벨트(135)(145)사이를 통과한 고압호스(1)의 길이가 실질입력값보다 작더라도 클램프(340)는 입력된 길이만큼 전진이송되어 강제적으로 고압호스(1)를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로부터 오차값만큼 인출하여 전진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사이에 개재되는 고압호스(1)가 휘어진 상태로 삽입개재되면 상,하부벨트(135)(145) 외부로 인출된 고압호스(1)의 인출길이는 입력된 길이보다 다소 크게 되어 고압호스(1)의 일단을 클램프(340)가 클램핑할시 고압호스(1)의 일단이 스토퍼(332)보다 더 내측방으로 전진이송된 상태이므로 공기분사구(350) 단부가 고압호스(1)의 일단부 내부측으로 삽입될시 자유이송대(370)는 고압호스(1)가 스토퍼(332)보다 내측방으로 더 인출된 길이만큼 이송대(330) 상면의 레일(371)을 따라 전진이송하게 되며, 이때에는 아직 컨베이어벨트(321)는 구동전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321)가 서보모터(150)의 작동에 따라 타이밍벨트(153)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면 이송대(330)가 전진이송되어 지는데 이미 클램프(340)는 자유이송대(370)의 자유이송에 의해 오차값만큼 전진이송된 상태이므로, 스토퍼(332)와 자유이송대(370) 단부간에 이격된 길이가 오차값이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벨트(321)의 구동에 의해 이송대(330)가 레일(311)을 따라 전진이송하더라도 자유이송대(370)는 초기에는 아직 전진이송되지 않는 상태이고, 이송대(330)가 이송지지대(310)상의 레일(311)을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대(330) 상면 단부의 스토퍼(332)와 자유이송대(370)의 단부가 접하게 되는때부터 클램프(340)는 이송대(330)와 연동되어 전진이송하므로 결과적으로 이송지지대(310)로 인출되는 고압호스(1)의 인출길이는 입력된 길이와 동일하게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출부(300)로 고압호스(1)의 길이가 입력된 값과 동일하게 정확한 길이로 인출되면, 도 9 에서 보는바와 같이 컷팅부(200) 하방의 기대(2) 하부에 고정장착된 실린더(250)의 로드(251)가 상승작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로드(251) 단부에 연설되어 있는 푸싱구(252)가 컷팅지그(230)의 베이스(231)에 관통된 관통공(232)을 통해 상승작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승작동된 푸싱구(252)는 컷팅안내지그(240)의 통공(242)으로 상승하게 되어 컷팅안내지그(240)의 안내공(241)을 통과하고 있는 고압호스(1)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있는 통공(242)의 고압호스(1)부위를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압호스(1)는 통공(242)부에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약간 휘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컷팅부(200)의 승강플레이트(213) 상단에 고정되어 구동되는 구동모터(214)의 풀리(215)와 컷팅기(220)의 풀리(221)가 벨트(222)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중인 상태이고, 상기와 같이 구동하는 구동모터(214)와 컷팅기(220)를 고정장착하고 있는 승강플레이트(213)가 후레임(210)의 양내측면에 형성된 레일(211)을 따라 실린더(212)의 작동에 의해 승강플레이트(213)가 하강하면서 컷팅기(220) 하방에 노출된 상태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휘어진 상태로 있는 고압호스(1)를 컷팅기(220)의 칼날이 컷팅안내지그(240)의 양측면에 형성된 컷팅날안내홈(243)으로 안내되어 고압호스(1)를 절단하게 되는바, 이렇게 커팅날안내홈(243)으로 컷팅기(220)의 칼날이 안내되면서 고압호스(1)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되어 고압호스(1) 수직상으로 절단됨은 물론 절단면이 매우 매끄럽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컷팅기(220)가 고압호스(1) 절단시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충만된 상태에서 절단되므로 고압호스(1)가 절단됨과 동시에 내부 고압의 공기가 절단부를 통하여 분출되어 진다. 이렇게 공기가 고압으로 절단부를 통해 분출될 때 고압호스(1)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불순물(a)등이 함께 고압호스(1) 외부로 유출되어지고, 컷팅기(220) 외부로 설치되는 집진장치(260)를 통해 상기 불순물(a)과 고압호스(1) 절단시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등이 집진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고압호스(1)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절단된 고압호스(1)는 이송지지대(310) 하방으로 자유낙하하여 적재되고, 인출부(300)의 클램프(340)는 재차 컷팅부(200)측으로 이송을 하기 위해 이송대(330)가 레일(311)을 따라 후진이송을 하게 되는바, 이때 서보모터(150)축과 연설되어 연동되는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151')가 클러치작동에 의해 2개의 타이밍벨트(152)(153)가 연동되지 않도록 분리하여 서보모터(150)의 구동시 컨베이어벨트(321)와 연결된 인출부(300)의 타이밍벨트(153)만을 역구동에 의해 이송대(330)가 레일(311)을 따라 컷팅부(200)측으로 후진이송되도록 하여 클램프(340)가 후진이송되는 동안 이송부(100)의 하부지지부재(140)의 종동기어(147)측과 연결된 타이밍벨트(152)는 서보모터(150)가 역구동되더라도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는 역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재차 인출부(300)의 클램프(340)가 컷팅부(200)측으로 완전이송되어 클램프(340)의 척(346)이 고압호스(1) 일단을 클램핑한 후 공기분사구(350)가 고압호스(1) 일단 내부로 진입한 후 두루마리형상의 로울러에 위치되는 고압호스(1) 타단이 컴푸레샤에 의해 고압의 공기가 급기됨과 동시에 고압호스(1) 일단에도 상기 공기분사구(350)가 고압의 공기를 급기시켜 재차 고압호스(1) 내부에는 고압의 공기가 충전되어져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고압호스(1)를 소정길이로 절단하게 되는 것이며, 요구되는 고압호스(1)의 길이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미도시한 컨트롤박스에 셋팅시킨 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절단하고자 하는 고압호스(1)의 직경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착탈자재하게 형성되는 컷팅안내지그(240)를 컷팅지그(230)의 베이스(231)로부터 탈리시킨 후 요구되는 고압호스(1)의 직경에 적정한 안내공(241)이 천공되어 있는 컷팅안내지그(240)를 선별하여 재차 베이스(231)의 결합부재(233)에 결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호스를 컷팅부(200)로부터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인출하는 인출부(300)간의 연결상태를 착탈자재하게 하여 채용할 수 있는바, 컷팅부(200) 및 이송부(100)에 걸쳐 형성되는 기대(2)와 인출부(300)에 형성되는 이송지지대(310)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 또는 앵글이나 볼트등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하여 채용되는 현장의 작업조건과 요구되는 고압호스(1)의 절단길이가 짧을 경우 불필요하게 인출부(300)를 구비할 필요없이 인출부(300)자체를 탈리한 후 고압호스(1) 절단작업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경우 비교적 짧은 길이의 고압호스(1)를 절단하고자 하는 조건이므로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에 의한 이송량과 컷팅기(220) 전방측으로 유출되어 절단되는 고압호스(1)의 인출거리는 비교적 오차없이 정확하게 인출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에 의하면,
유압이나 공압등으로 작동되는 각종 기계장치의 작동부위간을 고압호스로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길이로 인출부의 클램프가 정확한 위치로 전진이송된 후 절단되므로 정확한 치수의 길이로 고압호스를 절단하게 되어 필요이상으로 길게 절단되거나 짧게 절단되는 현상없이 완벽하게 필요로 하는 고압호스의 길이에 따라 절단되므로 불필요한 고압호스의 절단을 방지하게 되어 자재낭비의 절감효과를 거둘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종래와 달리 비교적 길이가 상당한 고압호스의 절단을 요구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가 2인이 배치되어 작업을 함에 반해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작업자 1인이 요구되는 고압호스의 길이에 상관없이 완벽하게 작업을 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고압호스의 절단시 컷팅지그의 관통공을 통해 푸싱구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승작동되어 고압호스를 완만하게 들어올린 후 컷팅안내지그의 컷팅날안내홈으로 안내되는 고속회전되는 컷팅기에 의해 절단되므로 절단면이 정확한 수직선상으로 절단되어 매끄럽고 깨끗하게 고압호스가 절단되도록 하므로서 고압호스와 기계작동부위간의 연결부위가 틈새없이 완벽하게 밀착연결되어 기계작동부위로 고압호스를 따라 전달되는 초기 공압,유압등이 정확하게 전달되어 오차없이 기계작동부위가 작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고압호스 절단시 고압호스의 일단과 타단에 고압의 공기를 급기시켜 고압호스내부가 고압의 공기가 충만된 상태에서 절단되도록 하여 고압호스의 제조시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불순물이나 절단과정시 발생되는 분진등이 절단과 동시에 방출되도록 하여 고압호스의 내부청소를 절단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의 수공업적인 작업과정을 탈피는 물론 작업시간의 단축 및 완벽하게 고압호스 내부를 청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원통형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외주면에 기어형상으로 이루어진 풀리(133)(134)(143)(144)가 양단의 축(131)(132)(141)(140)에 각각 축설되고 내면에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진 벨트(135)(145)가 상기 풀리(133)(134)(143)(144)와 치합 연결되는 상부가압부재(130) 및 하부지지부재(140)가 형성되고, 상부가압부재(130)가 측방지지틀체(122)의 레일(128)을 따라 승강작동토록 하고, 상기 상,하부벨트(135)(145)사이로 고압호스(1)의 진입 및 안내를 위한 지지로울러(103)와 안내로울러(110)가 지지브라켓(102)에 고정되어 고압호스(1)를 상기 상부가압부재(130)와 하부지지부재(140)의 상,하부벨트(135)(145)사이로 진입시킨 후 벨트(135)(145)의 구동에 의해 고압호스(1)를 전진이송시키는 이송부(100)와, 상기 기대(2)와 수평하게 병설 형성되는 이송지지대(310) 상면에 각각 레일(311)이 형설되고, 상기 레일(311)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케리어(331)를 구비한 이송대(330) 상면으로 스토퍼(332)와 함께 병설되는 레일(371)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371)을 따라 인출되는 고압호스(1)의 길이 오차에 따라 자유이송되는 자유이송대(370) 상면일측단에 가이드홈(342)과 삽입공(343)이 천설된 지지플레이트(341) 양측면으로 고정된 실린더(344)의 작동에 의해 고압호스(1) 일단을 클램핑하기 위한 척(346)이 고정되고, 상기 삽입공(343)으로 삽입되는 공기분사구(350)가 에어실린더(360)와 연결되어 자유이송대(370)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척(346)이 고압호스(1) 일단을 클램핑 한후 에어실린더(360)가 공기분사구(350)를 통해 고압호스(1)내에 고압의 급기를 불어넣어 줌과 동시에 고압호스(1) 타단에도 컴프레샤에 의해 고압의 급기를 불어넣어 고압의 공기가 충만된 상태에서 이송대(330)가 이송지지대(310) 하단에 형성된 컨베이어벨트(321)의 구동에 의해 레일(311)을 따라 이송되어 고압호스(1)를 소정길이 인출하도록 하는 인출부(300)와, 상기 이송부(100) 전방측 기대(2)상에 고정되는 후레임(210)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211)을 따라 승강작동되는 승강플레이트(213) 상단으로는 구동모터(214)가 하단에는 컷팅기(220)가 고정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214)와 컷팅기(220)가 벨트(222)에 의해 연동되도록 하고, 고압호스(1)가 통과될수 있도록 안내공(241)이 형성되고 통과된 고압호스(1)를 컷팅기(220)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가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242) 및 컷팅기(220)의 칼날을 안내하기 위한 컷팅날안내홈(243)이 형성되는 컷팅안내지그(240)가 관통공(232)이 천공된 컷팅지그(230)에 결합되어 컷팅기(220) 하방 기대(2)상에 고정되고, 기대(2) 하단에 장착된 실린더(250)의 로드(251)와 연설되는 푸싱구(252)가 상기 관통공(232)을 통해 통공(242)상에 노출된 고압호스(1)일부를 위로 완만한 곡선상으로 상승시킨 후 컷팅기(220)의 칼날이 상기 칼날안내홈(243)을 따라 하강하여 고압호스(1)를 절단시키는 컷팅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100)의 하부벨트(145)의 일단 축(142)과 연설되는 종동기어(147)와 인출부(300)의 컨베이어벨트(321)의 종동기어(320)간을 연결하는 타이밍벨트(152)(153)가 각각 기대(2) 하방에 고정되는 서보모터(150)의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와 연결되어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사이를 통과하는 고압호스(1)의 길이와 인출부(300)로 인출되는 고압호스(1)의 길이가 동일한 상태에서 컷팅기(220)에 의해 고압호스(1)가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울러(11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한쌍의 안내로울러(110)의 간격은 각각의 안내로울러(110)와 고정된 이송부재(114)가 스크류축(112)을 따라 모터(111)의 조작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고압호스(1)의 직경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상부벨트(135) 내면 하단측에 다수개의 로울러(136)가 고정되고, 하부벨트(145) 내면 상단측에 다수개의 로울러(146)가 고정되어 상기 상,하부벨트(135)(145)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하부벨트(135)(145)를 통과하는 고압호스(1)에 균일한 면압력이 제공되면서 소정길이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벨트(145)에 전동되는 구동력을 상부벨트(135)에도 균일한 회전비로 전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가압부재(130) 및 하부지지부재(140) 일단의 풀리(133)(143)를 축설하는 축(131)(141)상에 직경이 동일한 구동 및 종동헬리컬기어(160)(161)를 배면부에 축설하고 상기 구동 및 종동헬리컬기어(160)(161)와 치합되는 제1,2헬리컬기어(162)(163)를 링크(164)(165)와 힌지(166)에 의해 결합하여 상부가압부재(130)의 승강작동시 상기 링크(164)(165)가 힌지(166)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지그(230)는 기대(2)상에 고정되는 중앙에 관통공(232)이 천공되는 베이스(231)와, 상기 베이스(231) 상면으로 ㄱ자 형상의 돌부(234)를 갖는 결합부재(233)가 볼트(235)에 의해 고정되고, 중앙으로 고압호스(1)가 삽입되는 안내공(241)이 천공되면서 중앙부에 고압호스(1)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가 노출되는 통공(242)이 형성되면서 측단에 일체로 되는 가이드플레이트(245) 양측에 컷팅날안내홈(243)이 형성되는 컷팅안내지그(240)의 양측면에 홈(24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설되어 상기 결합부재(233)의 돌부(234)에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는 컷팅지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기대(2)상에 직경이 다른 다수개의 안내공(282)이 각각 천공되며 연동되는 원판형의 전,후방후레임(280)(281)이 회전자재하게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271)가 기대(2)상에 고정되고, 전,후방후레임(280)(281) 사이에 통공(291)이 형성되어 고압호스(1) 절단부위가 노출가능하게 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71)에 탄설된 스프링(272)에 탄지되는 볼(273)이 후방후레임(281) 표면을 따라 구름운동 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고압호스(1)의 직경에 적합한 안내공(282)이 상단에 위치되는 위치의 삽치공(283)에 삽치되어 전,후방후레임(280)(281)이 고정되도록 하는 컷팅지그(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부(100) 하부지지부재(140) 일단에 축설되는 종동기어(147)와 인출부(300)의 컨베이어벨트(321)를 구동시키는 종동기어(320)는 동일직경이 되도록 하고, 상기 종동기어(147)(320)간을 연결하는 타이밍벨트(152)(153)가 기대(2) 하방에 고정되는 서보모터(150)의 동일축선상에 축설되는 2개의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151')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비가 동일하도록하고, 상기 서보모터(15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2개의 타이밍벨트구동기어(151)(151')가 클러치작동에 의해 탈리 또는 결합되어 이송부(100)의 상,하부벨트(135)(145)와 인출부(300)의 컨베이어벨트(321)가 동시에 또는 어느 한측만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7. 제 1 항 및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와 컷팅부(200)의 기대(2)와 인출부(300)의 이송지지대(310)는 상호 착탈자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KR1019980051129A 1998-11-24 1998-11-24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KR10030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129A KR100308344B1 (ko) 1998-11-24 1998-11-24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129A KR100308344B1 (ko) 1998-11-24 1998-11-24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19A true KR19990014619A (ko) 1999-02-25
KR100308344B1 KR100308344B1 (ko) 2001-10-20

Family

ID=3753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129A KR100308344B1 (ko) 1998-11-24 1998-11-24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344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363B1 (ko) * 2002-12-11 2005-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절단 장치
KR100762813B1 (ko) * 2006-11-08 2007-10-02 주식회사 세명기업 자동차용 고무호스의 절단 및 탈거장치
KR100886382B1 (ko) * 2007-02-28 2009-03-0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면포추출기
KR100907607B1 (ko) * 2008-01-04 2009-07-14 김동선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CN108000572A (zh) * 2017-12-30 2018-05-08 浙江圣利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注射器生产用输送装置
CN108214314A (zh) * 2017-12-11 2018-06-29 佛山市神创机电有限公司 一种水切割装置和数控加工中心设备
CN108818689A (zh) * 2018-08-07 2018-11-16 苏州惠斯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管件切割装置
CN109454679A (zh) * 2018-11-28 2019-03-12 吉林文德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牵引切管装置
CN109894834A (zh) * 2018-12-24 2019-06-18 昕迪精密机械(东莞)有限公司 一种穿刺针组装机的导管上料装置
CN111805599A (zh) * 2020-07-22 2020-10-23 广东中深塑科技有限公司 一种双壁波纹管的柔性自动化连续生产线
CN112060181A (zh) * 2020-08-28 2020-12-11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新型家具生产用管材切角设备
CN114013055A (zh) * 2021-11-04 2022-02-08 广诚包装新材料南通有限公司 一种高强抗撕裂epe材料压平裁切一体机
CN114131667A (zh) * 2021-11-25 2022-03-04 深圳市智进智能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软管出料机
CN115042248A (zh) * 2022-06-17 2022-09-13 芜湖双翼液压件有限公司 集测量、标识、切割、清洗、计数功能软管下料装置
CN116329792A (zh) * 2023-05-29 2023-06-27 太仓优上展示器具有限公司 一种特种加工高精度激光切割用定位工装
CN116572314A (zh) * 2023-07-13 2023-08-11 山东索美特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密封胶条用剪切装置
CN116689864A (zh) * 2023-08-07 2023-09-05 中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通道消声器面板切割装置
CN117226171A (zh) * 2023-11-10 2023-12-15 泰州市海燕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交通工程电气用导轨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905B1 (ko) 2004-11-04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호스 절개 및 절단장치
KR100831221B1 (ko) 2007-05-31 2008-05-21 (주)티에이치엔 정렬기구
KR100993642B1 (ko) 2008-05-14 2010-11-10 강지호 석재 절단장치
KR101002394B1 (ko) * 2008-07-31 2010-12-21 주식회사 영원신소재 권취된 성형 가공물의 리사이징 커팅장치
KR101595970B1 (ko) 2015-01-15 2016-02-19 양제원 유압호스 절단장치
CN105236175A (zh) * 2015-10-29 2016-01-13 安徽宏锦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压痕模裁切机的走料台
KR102645151B1 (ko) * 2022-03-24 2024-03-07 주식회사 모전기공 핀이 박힌 롤러를 이용한 간극 조정식 필름 천공장치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363B1 (ko) * 2002-12-11 2005-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절단 장치
KR100762813B1 (ko) * 2006-11-08 2007-10-02 주식회사 세명기업 자동차용 고무호스의 절단 및 탈거장치
KR100886382B1 (ko) * 2007-02-28 2009-03-0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면포추출기
KR100907607B1 (ko) * 2008-01-04 2009-07-14 김동선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CN108214314A (zh) * 2017-12-11 2018-06-29 佛山市神创机电有限公司 一种水切割装置和数控加工中心设备
CN108000572A (zh) * 2017-12-30 2018-05-08 浙江圣利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注射器生产用输送装置
CN108818689A (zh) * 2018-08-07 2018-11-16 苏州惠斯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管件切割装置
CN109454679A (zh) * 2018-11-28 2019-03-12 吉林文德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牵引切管装置
CN109894834A (zh) * 2018-12-24 2019-06-18 昕迪精密机械(东莞)有限公司 一种穿刺针组装机的导管上料装置
CN109894834B (zh) * 2018-12-24 2023-11-21 昕迪精密机械(东莞)有限公司 一种穿刺针组装机的导管上料装置
CN111805599A (zh) * 2020-07-22 2020-10-23 广东中深塑科技有限公司 一种双壁波纹管的柔性自动化连续生产线
CN112060181A (zh) * 2020-08-28 2020-12-11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新型家具生产用管材切角设备
CN114013055A (zh) * 2021-11-04 2022-02-08 广诚包装新材料南通有限公司 一种高强抗撕裂epe材料压平裁切一体机
CN114131667A (zh) * 2021-11-25 2022-03-04 深圳市智进智能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软管出料机
CN115042248A (zh) * 2022-06-17 2022-09-13 芜湖双翼液压件有限公司 集测量、标识、切割、清洗、计数功能软管下料装置
CN115042248B (zh) * 2022-06-17 2023-12-05 芜湖双翼液压件有限公司 集测量、标识、切割、清洗、计数功能软管下料装置
CN116329792A (zh) * 2023-05-29 2023-06-27 太仓优上展示器具有限公司 一种特种加工高精度激光切割用定位工装
CN116329792B (zh) * 2023-05-29 2023-08-29 太仓优上展示器具有限公司 一种特种加工高精度激光切割用定位工装
CN116572314A (zh) * 2023-07-13 2023-08-11 山东索美特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密封胶条用剪切装置
CN116572314B (zh) * 2023-07-13 2023-09-05 山东索美特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密封胶条用剪切装置
CN116689864A (zh) * 2023-08-07 2023-09-05 中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通道消声器面板切割装置
CN116689864B (zh) * 2023-08-07 2023-11-03 中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通道消声器面板切割装置
CN117226171A (zh) * 2023-11-10 2023-12-15 泰州市海燕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交通工程电气用导轨切割装置
CN117226171B (zh) * 2023-11-10 2024-02-02 泰州市海燕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交通工程电气用导轨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8344B1 (ko) 200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344B1 (ko)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KR100623049B1 (ko) 알루미늄 튜브 다발 자동 인발장치
CN112846371B (zh) 一种钢管加工上料机
KR20090003571A (ko) 웨빙 벨트 선단을 곡면 처리하는 장치
US4832243A (en) Transfer apparatus for belt-like materials
KR101994859B1 (ko) 소재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절단 면취기
CN114473607A (zh) 一种用于板材加工可自动上料引导的智能数控机床
KR100647106B1 (ko) 알루미늄 튜브 다발 자동 인발용 배출트레이장치
KR100623048B1 (ko)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의 이송트레이장치
CN111230564B (zh) 一种型材自动上料机构
CN114575054A (zh) 工件连接料带装置
CN212023900U (zh) 一种流水线
CN108723610B (zh) 一种织带镭射裁切机
KR101969826B1 (ko) 노칭 가공기
DE19534954A1 (de) Hochspeicher für Werkstück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ochspeichers
JPH0940274A (ja) テープ貼付装置
CN215556996U (zh) 一种双通道汇流接纱装置
CN109623502B (zh) 一种机壳自动加工线
JPH0214251B2 (ko)
CN115771790B (zh) 一种耐磨软带的加工生产线及其加工方法
CN115141686B (zh) 一种全自动刨底打孔穿芯机
CN218799886U (zh) 一种板材用激光切割机
CN214733395U (zh) 一种物料输送装置和包装设备
CN211003349U (zh) 一种新型自动螺杆上料机
CN108994673B (zh) 无心磨床自动进料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