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607B1 -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607B1
KR100907607B1 KR1020080001177A KR20080001177A KR100907607B1 KR 100907607 B1 KR100907607 B1 KR 100907607B1 KR 1020080001177 A KR1020080001177 A KR 1020080001177A KR 20080001177 A KR20080001177 A KR 20080001177A KR 100907607 B1 KR100907607 B1 KR 10090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hose
cutting
unit
guid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350A (ko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102008000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6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고무호스를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지지가 되어 구동모터의 직접적인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풀리 및 상기 주동풀리와는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로 구성되되 상기 주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사이에는 상기 벨트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벨트의 장력을 타이트하게 유지하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측에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의 가이드축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지를 받게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와는 구동모터를 제외한 동일구성을 가지는 피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피동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와, 상기 피동부의 전방측에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가 되어 구동부와 피동부의 간격사이로 고무호스가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된 구동장치부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타측편인 구동장치부의 후방부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와 피동부 사이를 지나온 고무호스를 자르는 커팅부와;
일종의 동력장치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고무호스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잘려진 고무호스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동일간격을 가지게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이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커팅부에서 잘려진 고무호스를 규격대로 분리하여 수집박스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부와;
상기 구동장치부 및 커팅부 그리고 이송장치부로 전개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커팅부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커팅박스와, 상기 커팅박스의 양측면부에 구동장치부에 의해 인입된 고무호스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MC가이드와, 상기 MC가이드를 관통하는 고무호스를 기어박스내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무호스를 절단하는 커팅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Auto cutting machine for rubber hose}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고무호스를 절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고무호스가 일정한 속도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동장치부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인입된 고무호스를 커팅부에서 정해진 규격의 길이대로 자른 후 규격에 맞는 고무호스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수집 가능하게 한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호스의 가공작업은 생고무의 숙성 이후 압출기계 통과, 거친면제거 및 몇 단계의 인취기에 의한 인발과 세정을 반복한 후에 커팅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치수의 호스를 절단하여 필요한 수량만큼 적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현재의 가공작업에 있어서 압출 기계 이후 세정까지는 설비가 구성되어 연속적이 흐름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커팅 부분에 있어서는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절단길이 조정 및 절단 후 길이를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끝마무리를 위해 호스 내부에 공기를 부는 것과 같이 전반적으로 수가공 형태가 이루어져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신기술이 요청되고 있다.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에 의한 호스 외관 및 길이는 일부분 편차를 가지고 있는 등 전반적인 품질에 있어 많은 미흡함이 있고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에 고무호스의 커팅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무호스가 인입되는 성형틀에 인입된 고무호스를 실린더작동에 의해 칼날이 작동되도록 하여 고무호스를 자르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런 방법은 커팅작업의 자동화에 의의를 둘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구조상 속도의 최고치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다 대량으로 생산하면서 불량률 또한 낮출 수 있는 신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공작업에 의해 생산된 고무호스를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벨트연결된 풀리를 구동시킴으로써 고무호스를 인입하고, 인입된 고무호스를 규격에 맞도록 자른 후 규격에 따라 고무호스를 분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동으로 고무호스를 절단하는 장치는 작업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지지가 되어 구동모터의 직접적인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풀리 및 상기 주동풀리와는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로 구성되되 상기 주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사이에는 상기 벨트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벨트의 장력을 타이트하게 유지하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측에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의 가이드축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지를 받게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와는 구동모터를 제외한 동일구성을 가지는 피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피동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와, 상기 피동부의 전방측에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가 되어 구동부와 피동부의 간격사이로 고무호스가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된 구동장치부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타측편인 구동장치부의 후방부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와 피동부 사이를 지나온 고무호스를 자르는 커팅부와;
일종의 동력장치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고무호스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잘려진 고무호스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동일간격을 가지게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이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커팅부에서 잘려진 고무호스를 규격대로 분리하여 수집박스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부와;
상기 구동장치부 및 커팅부 그리고 이송장치부로 전개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커팅부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커팅박스와, 상기 커팅박스의 양측면부에 구동장치부에 의해 인입된 고무호스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MC가이드와, 상기 MC가이드를 관통하는 고무호스를 기어박스내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무호스를 절단하는 커팅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는 고무호스의 인입 및 절단, 절단된 고무호스의 규격에 따라 일률적으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과정을 자동화공정에 의해 시행되기 때문에 인건비가 대폭 줄어들며, 제어부의 정확한 제어신호에 따라 작업이 시행되기 때문에 불량률도 대폭 낮출 수 있으며, 고속회전이 가능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고무호스를 인입하여 자르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에서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하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절단장치는 작업대(5)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축(1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115)에 지지가 되어 구동모터(116)의 직접적인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풀리(111) 및 상기 주동풀리(111)와는 벨트(114)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112)로 구성되되 상기 주동풀리(111)와 종동풀리(112)의 사이에는 상기 벨트(114)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벨트(114)의 장력을 타이트하게 유지하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113)로 구성된 구동부(11)와, 상기 구동부(11)의 하부측에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의 가이드축(131)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25)에 의해 지지를 받게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11)와는 구동모터(116)를 제외한 동일구성을 가지는 피동부(12)와, 상기 구동부(11)를 가이드축(131)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피동부(1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3)와, 상기 피동부(12)의 전방측에 지지부재(15)에 의해 지지가 되어 구동부(11)와 피동부(12)의 간격사이로 고무호스(7)가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롤러(14)로 구성된 구동장치부(1)와;
상기 가이드롤러(14)의 타측편인 구동장치부(1)의 후방부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11)와 피동부(12) 사이를 지나온 고무호스(7)를 자르는 커팅부(2)와;
일종의 동력장치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고무호스(7)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1)와, 상기 컨베이어(31)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잘려진 고무호스가(7)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와, 상기 컨베이어(31)를 따라 동일간격을 가지게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32)의 신호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33)이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커팅부(2)에서 잘려 진 고무호스(7)를 규격대로 분리하여 수집박스(6)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부(3)와;
상기 구동장치부(1) 및 커팅부(2) 그리고 이송장치부(3)로 전개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로 구성되되;
상기 커팅부(2)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커팅박스(21)와, 상기 커팅박스(21)의 양측면부에 구동장치부(1)에 의해 인입된 고무호스(7)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는 MC가이드(25)와, 상기 MC가이드(25)를 관통하는 고무호스(7)를 기어박스(24)내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무호스(7)를 절단하는 커팅칼(22)로 구성된 것으로 특징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구동장치부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를 보다 확대한 일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구동장치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모터(116)의 구동에 의해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축(13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동부(11)와 상기 구동부(1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구동부(11)의 하부측에서 가이드축(131)에 고정되어 있는 피동부(12)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1)의 수직이동을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3)로 나누어지게 된다.
먼저, 구동부(11)의 구성을 살펴보면 작업대(5)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축(131)을 따라 이동가능한 LM블럭(132)과 일체로 구성된 이동프레임(115)이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15)에 구동모터(116) 및 상기 구동모터(116)에 의해 구동되는 주동풀리(111)와 종동풀리(112)가 지지가 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주동풀리(111)에 구동모터(116)가 직접적으로 구성되어 회전하며 종동풀리(112)는 주동풀리(111)와 벨트(114)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일반적인 원리이다.
그리고 주동풀리(111)와 종동풀리(112) 사이에도 후술할 아이들풀리(113)가 구성되어 이동프레임(115)에 지지가 되어 있다.
이런 상기 주동풀리(111)와 종동풀리(112)는 항상 타이트하게 유지되어 있어야 하는 데 이를 위해 주동풀리(111)와 종동풀리(112) 사이에는 벨트(114)의 장력이 타이트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보조역할을 하는 아이들풀리(113)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게 되고, 상기 아이들풀리(113)는 후술한 피동부(12)의 아이들풀리(123)와 상하로 대면 되게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고무호스(7)가 구동부(11)와 피동부(12)의 사이를 지날 때 고무호스(7)를 상하로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하여 고무호스(7)가 혹시 옆으로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구동부(11)의 구성과 피동부(12)의 구성은 모터(116)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나 다만 위치관계상 구동부(11)의 아이들풀리(113)는 하부방향으로 피동부(12)의 아이들풀리(123)는 상부방향으로 벨트(124)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11)의 벨트(114)와 피동부(12)의 벨트(124)사이에 고무호스(7)를 최초 인입시킨 후 모터(116)를 구동시키면 구동부(11) 및 피동부(12) 그리고 고무호스(7)가 연계되어 마찰력에 인해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피동부(12)에는 또 다른 모터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
도 2 및 도 7에서 도면부호 121은 피동부(12)에 구성된 한 쌍의 풀리를 도면부호 124는 상기 피동부에 구성된 한 쌍의 풀리에 연결된 벨트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11)의 하부에는 구동부(11)와는 동일한 구성을 가 지나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 가이드축(131)에 고정된 채 고정프레임(125)에 지지가 된 피동부(12)의 일련의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동프레임(115) 및 고정프레임(125)의 형상은 대체로 수직 및 수평으로 직각을 지닌 직육면체의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피동부(12)와 구동부(11)의 상하 간격은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인 구동부(11)의 이동에 의해 조절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구동부(11)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3)에 의해 조절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축볼트와 결속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작업대(5)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축(131)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된 너트(137)가 구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3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136)에 구성된 너트(137)를 관통하는 축볼트(133)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 축볼트(133)는 몸체(133b)가 상기 너트(137)를 관통하여 너트(137)와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나사선이 형성된 몸체(133b)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핸들(133a)이 구성되는 한편, 하단부는 나사선이 형성된 몸체(133b)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결속돌기(133c)가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돌기(133c)가 충분히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결속부재(134)가 결속돌기(133c)를 감싼 형태를 취하면서 결속돌기(133c)가 결속부재(134)의 공간에서 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볼트(133)의 상부에 구성된 핸들(133a)을 회전시키면 축볼트(133)의 몸체(133b)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너트(137)를 관통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 게 된다.
도 3에서 결속돌기(133c) 주변의 검게 해칭된 부분이 공간부(134a)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134)는 결합부재(135)에 의해 이동프레임(115)의 일측면과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축볼트(133)의 상하이동은 이동프레임(115)의 상하이동을 이끌게 된다.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115)은 이동프레임(115)에 일측면이 결합된 채 가이드축(13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LM블럭(132)에 의해 안내를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프레임(115)의 상하이동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커팅부만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2)는 저부에 물(8)이 수용된 커팅박스(21)의 내부공간에는 커팅박스(21)의 측면에 구성된 기어박스(24)내에서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커팅칼(22)을 구성하고 상기 커팅칼(22)의 회전반경 내에 커팅박스(21)의 양측면으로 구동장치에 의해 인입된 고무호스(7)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는 MC가이드(25)를 구성한다.
상기 MC가이드(25)는 커팅박스(21)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이런 간격 사이를 관통하는 고무호스(7)가 커팅박스(21)의 공간 내부에서 노출되게 되고 상기 커팅칼(22)의 회전에 의해 MC가이드(25)의 사이에 생긴 간격지점에서 고무호스(7)는 절단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팅칼(22)은 고속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속회전에 의해 작업이 반복되면 고무호스(7)의 절단시 고무호스(7)와의 마찰에 의에 커팅칼(22)에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호스(7)를 자른 커팅칼(22)이 커팅박스(21)의 내부공간 저부에 수용된 물(8)을 통과하면서 마찰열을 식힐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커팅박스(21)에 수용된 물(8)은 고무호스(7)를 절단시 고무호스(7)에 의해 커팅칼(22)에 이물질이 묻어나는 것도 방질 할 수 있다.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에 의해 연결된 기어장치는 모두 기어박스(24) 내부에 수용하였으며 이는 일반적인 기술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따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MC가이드(25)는 관통하는 고무호스(7)의 다양한 직경에 대비하여 알맞은 비율의 관통공(26)을 가지는 다른 MC가이드(25)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커팅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팅칼(22)은 회전운동으로 인해 고무호스(7)를 자르는 데 유리하도록 칼날부분을 볼록한 형태의 유선형으로 하였으며, 칼날의 뒷부분은 고무호스(7)와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칼날부분의 형태를 따라 오목한 형태의 유선형으로 하였다.
커팅칼(22)의 몸통부분에는 회전축(23)이 관통하는 홀(221)이 형성되어 회전축(2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고무호스(7)를 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재질은 하이스강(SKH 55)을 택하여 HRC 63 ∼ 65 사이의 열처리 경도를 지니도록 진공열처리하여 제작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작업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작업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부(1)에서 구동모터(116)의 구동에 의해 고무호스(7)가 가이드롤러(14)의 안내를 받으면서 구동장치부(1)의 구동부(11)와 피동부(12) 사이의 벨트(114)사이로 인입되어 구동장치부(1)의 후면부에 위치한 커팅부(2)에 의해 정해진 규격대로 고무호스(7)는 절단되게 된다.
그리고 정해진 규격대로 절단된 고무호스(7)는 이송장치부(3)에 의해 규격대로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수집박스(6)로 이송되게 된다.
이송장치부(3)는 컨베이어(31)의 일측부에는 컨베이어(31)의 상면부를 향하도록 동일간격으로 이격되게 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33)이 다수개가 장착되는 한편, 고무호스(7)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가 구성되어 있다.
감지센서(32)는 컨베이어(31)의 상단을 지나가는 고무호스(7)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4)의 신호에 따라 컨베이어(31)의 상단을 지나는 고무호스(7)에 공기분사노즐(33)을 통해 화살표처럼 공기를 분사하게 되는 데, 이때 고무호스(7)의 길이에 따라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맞추어 원하는 개수만큼의 공기분사노즐(33)을 작동시켜 고무호스(7)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컨베이어(31)의 측면부에 형성된 경사판(34)에 의해 수집박스(6)로 고무호스(7)는 미끄러 지면서 동일한 규격을 가지는 고무호스(7)는 한 곳에 수집되게 되는 것이다.
만약 고무호스(7)의 길이가 짧으면 공기분사노즐(33)을 작동시키지 않게 되고 컨베이어(31)의 끝단부에 위치한 수집박스(6)로 고무호스(7)는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일련의 모든 작업과정은 모두 제어부(4)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구동장치부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축볼트와 결속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절단장치부만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커팅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의 작업 예시도.
도 7은 도 2의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구동장치부 2. 커팅부 3. 이송장치부
4. 제어부 5. 작업대 6. 수집박스
7. 고무호스 8. 물
11. 구동부 12. 피동부 13. 높이조절장치
14. 가이드롤러 15. 지지부재
21. 커팅박스 22. 커팅칼 23. 회전축
24. 기어박스 25. MC가이드 26. 관통공
31. 컨베이어 32. 감지센서 33. 공기분사노즐
34. 경사판
111. 주동풀리 112. 종동풀리 113. 아이들풀리
114. 벨트 115. 이동프레임 116. 구동모터
123. 아이들풀리 125. 고정프레임
131. 가이드축 132. LM블럭 133. 축볼트
134. 결속부재 135. 결합부재 136. 고정부재
137. 너트
133a. 핸들 133b. 몸체 133c. 결속돌기
221. 홀

Claims (7)

  1. 고무호스를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업대(5)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축(1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115)에 지지가 되어 구동모터(116)의 직접적인 동력을 전달받는 주동풀리(111) 및 상기 주동풀리(111)와는 벨트(114)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112)로 구성되되 상기 주동풀리(111)와 종동풀리(112)의 사이에는 상기 벨트(114)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벨트(114)의 장력을 타이트하게 유지하는 한 쌍의 아이들풀리(113)로 구성된 구동부(11)와, 상기 구동부(11)의 하부측에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의 가이드축(131)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25)에 의해 지지를 받게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11)와는 구동모터(116)를 제외한 동일구성을 가지는 피동부(12)와, 상기 구동부(11)를 가이드축(131)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피동부(1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3)와, 상기 피동부(12)의 전방측에 지지부재(15)에 의해 지지가 되어 구동부(11)와 피동부(12)의 간격사이로 고무호스(7)가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롤러(14)로 구성된 구동장치부(1)와;
    상기 가이드롤러(14)의 타측편인 구동장치부(1)의 후방부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11)와 피동부(12) 사이를 지나온 고무호스(7)를 자르는 커팅부(2)와;
    일종의 동력장치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고무호스(7)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1)와, 상기 컨베이어(31)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잘려진 고무호스가(7)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와, 상기 컨베이어(31)를 따라 동일간격을 가지게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32)의 신호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33)이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커팅부(2)에서 잘려 진 고무호스(7)를 규격대로 분리하여 수집박스(6)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부(3)와;
    상기 구동장치부(1) 및 커팅부(2) 그리고 이송장치부(3)로 전개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로 구성되되;
    상기 커팅부(2)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커팅박스(21)와, 상기 커팅박스(21)의 양측면부에 구동장치부(1)에 의해 인입된 고무호스(7)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는 MC가이드(25)와, 상기 MC가이드(25)를 관통하는 고무호스(7)를 기어박스(24)내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무호스(7)를 절단하는 커팅칼(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13)는 상기 가이드축(131)의 상부에 너트(137)가 구성되어 있는 다면체 형태의 고정부재(136)와, 상기 너트(137)를 관통하며 상단부는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핸들(133a)이 하단부는 나사선이 형성된 몸체(133b)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경의 결속돌기(133c)로 구성된 축볼트(133)와, 상기 축볼트(133)의 하단부에 구성된 결속돌기(133c)를 결속하는 결속부재(134)와, 상기 결속부재(134)를 이동프레임(115)에 결합하는 결합부재(135)와, 상기 이동프레임(115)에 일측면이 고정된 채 상기 이동프레임(115)이 상기 가이드축(1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LM블럭(132)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핸들(133a))의 회전력으로 축볼트(133)를 회전시킴으로써 축볼트(133)의 하단부에 결합 된 이동프레임(115)을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34)는 내부가 상기 가이드축(131)의 하단부에 구성된 결속돌기(133c)가 삽입되어 안착 될 수 있는 공간부(134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133c)는 상기 공간부(134a)내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공회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가이드(25)는 고무호스(7)의 직경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관통공(26)을 가지는 MC가이드(25)로 교체가능한 것이 특징인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7. 삭제
KR1020080001177A 2008-01-04 2008-01-04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KR10090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77A KR100907607B1 (ko) 2008-01-04 2008-01-04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77A KR100907607B1 (ko) 2008-01-04 2008-01-04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50A KR20090075350A (ko) 2009-07-08
KR100907607B1 true KR100907607B1 (ko) 2009-07-14

Family

ID=4133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177A KR100907607B1 (ko) 2008-01-04 2008-01-04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674B1 (ko) * 2015-11-04 2017-04-11 김지현 고무 호스를 절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71673B1 (ko) * 2016-12-13 2017-08-28 (주)세프라텍 중공사막 방사장치의 연속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1191A (zh) * 2011-12-22 2012-05-02 中国人民解放军军事交通学院 伸缩软管自动切割装置
CN107159960A (zh) * 2017-06-30 2017-09-15 宝鸡银康机械设备有限公司 切割尺寸可调式皮带牵引切管机
KR101855046B1 (ko) 2017-09-11 2018-06-14 박정규 선형 소재의 자동 적재 장치
KR102040894B1 (ko) * 2017-12-29 2019-11-11 주식회사 에이앤텍 호스 절단장치
CN108466300B (zh) * 2018-01-31 2021-07-20 铜陵汇泽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魔芋切片设备
CN108501073B (zh) * 2018-01-31 2021-06-15 绍兴和为贵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魔芋切丝设备用送料装置
CN108943064A (zh) * 2018-06-29 2018-12-07 张维秀 一种管状橡胶件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015790B (zh) * 2018-08-03 2020-06-05 苍硕(上海)贸易有限公司 一种橡胶生产用生胶切胶机
CN112140188A (zh) * 2020-09-22 2020-12-29 安徽国康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活塞式乒乓球拍胶皮割边装置
CN114986595A (zh) * 2022-06-20 2022-09-02 四川烨达管业有限公司 一种高分子塑料管材加工用的切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19A (ko) * 1998-11-24 1999-02-25 윤순선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19A (ko) * 1998-11-24 1999-02-25 윤순선 고압호스 자동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674B1 (ko) * 2015-11-04 2017-04-11 김지현 고무 호스를 절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71673B1 (ko) * 2016-12-13 2017-08-28 (주)세프라텍 중공사막 방사장치의 연속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50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07B1 (ko) 고무호스용 자동절단장치
CN202428472U (zh) 一种管状或棒状柔性材料自动切割机
CN109160336B (zh) 一种智能调节薄膜收卷装置及薄膜生产线
CN108568853B (zh) 一种分切机快拆式上下刀一体结构
CN113199640A (zh) 一种水泥发泡保温板生产切割成型加工系统及方法
US20070089573A1 (en) Spin trimmer and method of trimming
KR20090130479A (ko) 고속 슬라이서에 있어서 절편 스테킹장치
CN210916745U (zh) 一种服装裁切系统
CN217749598U (zh) 一种用于管材批量加工的自动定长切割设备
CN213415394U (zh) 一种瓦楞纸生产线的切边料排出装置
CN212826237U (zh) 一种塑料拉丝造粒设备
CN212242282U (zh) 一种多功能高效辊片机
CN115257020A (zh) 一种gpps板材的挤出、成型、输送、裁切自动生产线
CN108584519A (zh) 一种片材产品分切机
CN211451491U (zh) 火焰复合机面料暂存装置的降温系统
CN221110093U (zh) 极片废料处理装置及极片切割机
CN207827519U (zh) 一种片材产品分切机
CN220348472U (zh) 一种塑料产品切割机
CN220838467U (zh) 一种激光切织带机
CN210116075U (zh) 一种用于尼龙砂的切粒机
CN210504948U (zh) 一种筒式布料切片切条机
CN213417407U (zh) 一次性清洁抹布卷的分段切割设备
CN219445331U (zh) 一种橡胶材料分切装置
CN220636647U (zh) 一种激光割管机
CN210551545U (zh) 一种挤压机后端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