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66A - 2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2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66A
KR19990014066A KR1019980029450A KR19980029450A KR19990014066A KR 19990014066 A KR19990014066 A KR 19990014066A KR 1019980029450 A KR1019980029450 A KR 1019980029450A KR 19980029450 A KR19980029450 A KR 19980029450A KR 19990014066 A KR19990014066 A KR 1999001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article diameter
average particle
lubricant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392B1 (ko
Inventor
이에야스 고바야시
도시후미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오사꾸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오사꾸,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오사꾸
Publication of KR1999001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29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naphthalene ring compounds, e.g.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1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layer being polyes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5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haracterised by roughness or surface features, e.g. by add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9/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층이 2 종 이상의 상이한 윤활제 입자를 함유하고, 하나의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과, 다른 하나의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이 동일한 기재와 동일한 평균 입자 직경을 각각 가지며, 재생 중합체를 필름 제조시에 직접 재편입시킬 수 있는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생 중합체를 필름 제조시에 직접 재편입시킬 수 있으며 (이하, 자기-회수성 이라함),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우수한 전자기 변환 특성과, 베이스 필름으로서 우수한 권취 및 취급 특성을 갖는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서 대표되는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특히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자기 기록 매체의 밀도와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베이스 필름의 평탄성과 초박성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우수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의 활주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을 로울 상태로 권취하는 경우, 상기 필름은 주름이 발생하거나 블록킹되어 필름 로울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수율이 감소하며, 베이스 필름의 적절한 권취 속도, 접촉 압력 및 장력 범위가 좁아져 베이스 필름의 권취가 매우 어렵게 된다. 필름 가공 단계에서 베이스 필름의 활주성이 낮은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과 금속 로울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마모 분진이 발생함으로써, 자기 기록 신호의 결여나 드롭-아웃 (drop-out) 이 일어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활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필름 표면에 불균일성을 부여하는 하기 (1) 및 (2) 의 2 가지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 (1) 제조 공정에서, 잔류 촉매로부터 불활성 입자를 원료 중합체중에 석출하는 방법, 및 (2) 불활성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 통상적으로, 필름내에 함유된 입자의 크기 및 함량이 클수록, 필름의 활주성은 향상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의 표면은 전자기 변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균일한 것이 요망된다. 거친 표면을 갖는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자기 기록 매체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자기 층의 형성후에도, 자기 층의 표면상에 베이스 필름의 표면의 불균일성이 나타남으로써, 전자기 변환 특성이 저하된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내에 함유된 입자의 크기 및 함량이 클수록 베이스 필름의 표면 거칠기는 증가함으로써, 전자기 변환 특성이 저하된다.
서로 상반되는 권취성과 전자기 변환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기 층이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의 하나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여 전자기 변환 특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표면은 거칠게 하여 활주성을 향상시키는, 적층 베이스 필름을 갖는 수단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작은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윤활제의 첨가량을 감소시켜 자기 층이 형성되는 측상의 층을 평탄하게 하고, 한편, 커다란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윤활제의 첨가량을 증가시켜 자기 층이 형성되지 않는 다른측 (주행 표면측) 상의 층을 거칠게 한다.
즉, 코팅 표면측상의 평탄한 층과 주행 표면측상의 거친 층은 사용하는 윤활제의 특성, 예를 들면 윤활제의 종류, 입자 직경 및 양이 서로 크게 상이하다.
단층 필름의 경우, 필름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필름은 회수하여 칩 (chip) 으로 형성시키고, 수득한 칩은 상기 필름 제조시에 직접 재편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적층 필름의 경우에는, 상기 적층 필름으로부터 회수한 칩의 윤활제 조성이 이 적층 필름의 거친 층 및 평탄한 층의 윤활제 조성과 상이하다. 그러므로, 상기 칩을 적층 필름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재생 칩으로부터 제조된 층의 윤활제 조성은 변화되어 필름의 특성을 변화시킨다.
한편, 최근에, 3 층 적층 필름의 중간층 부분 (코어층 부분) 에, 적층 필름으로부터 회수된 칩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 중간층 부분은 3 층 적층 필름으로부터 회수된 칩은 물론, 적층 필름으로부터 회수된 칩도 소모하도록 충분히 두꺼워야 한다. 그러므로, 3 층 적층 필름은 상당히 두꺼워야 한다. 커다란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나 다량의 윤활제를 함유하는 칩을 중간 부분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들은 표면층 부분상에의 융기 형성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칩의 사용에는 제한이 따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밀도 및 고용량을 갖는 자기 기록 매체와,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베이스 필름이 최근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3 층 적층 필름의 두께는 감소하고, 적층 필름으로부터 회수한 칩을 상기 3 층 필름의 중간층에 재편입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적층 필름으로부터 회수한 칩은 폐기하여, 필름의 비용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상기 폐기 필름은 산업 폐기물로서 처리되나, 현재 이 필름을 처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중합체를 필름 제조시에 직접 재편입시킬 수 있는, 즉 자기-회수성을 갖는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우수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갖는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자기-회수성과 우수한 권취 및 취급 특성을 갖는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잇점들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구성되고, 표면 거칠기가 서로 상이한 인접한 2 개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각 층은 2 종 이상의 상이한 윤활제 입자를 함유하고, 하나의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과, 다른 하나의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은 동일한 기재와 동일한 평균 입자 직경을 각각 가지며, 하기 수학식 (1) 내지 (3)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
[수학식 1]
W A (I) / W A (II) = (0.95 ∼ 1.05) × W B (I) / W B (II)
[수학식 2]
W A (I) W B (I)
[수학식 3]
W A (II) W B (II)
상기 식중, WA(I) 은 제 1 층 (층 A) 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중량%) 이고, WA(II) 는 상기 제 1 층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중량%) 이며, WB(I) 은 제 2 층 (층 B) 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중량%) 이고, WB(II) 는 상기 제 2 층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는 주요 산 성분으로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주요 글리콜 성분으로서 지방족 글리콜을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선형이며, 필름-형성 특성, 특히 용융 성형에 의한 필름-형성 특성을 지닌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디페녹시에탄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술폰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케톤 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상기 지방족 글리콜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및 데카메틸렌 글리콜과 같은 C2-10폴리메틸렌 글리콜 ; 및 시클로헥산 디메탄올과 같은 지환족 디올이 있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알킬렌 나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해서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80 몰%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며, 전체 글리콜 성분에 대해서 에틸렌 글리콜을 80 몰%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전체 산 성분의 20 몰% 이하는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외의 상기 언급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 아디프산 및 세바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일 수 있다. 전체 글리콜 성분의 20 몰% 이하는 에틸렌 글리콜 이외의 상기 언급한 글리콜 ; 히드로퀴논, 레소르신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같은 방향족 디올 ; 1,4-디히드록시디메틸 벤젠과 같은 방향족 고리를 갖는 지방족 디올 ;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옥시산 (예 : 히드록시벤조산) 및 지방족 옥시산 (예 : ω-히드록시카프로산) 과 같은 옥시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성분을,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옥시카르복실산 성분의 총량의 20 몰% 이하의 양으로 공중합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트리멜리트산 또는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3 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이것이 실질적으로 선형이 되도록 하는 양, 예를 들면 전체 산 성분의 2 몰% 이하의 양으로 공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35 ℃ 에서 o-클로로페놀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9,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0.65 이다.
본 발명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 1 층 (층 A) 과 제 2 층 (층 B) 을 포함한다. 상기 2 개의 층의 폴리에스테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을 회수하여 상기 필름 제조시에 재편입시킬 수 있도록 자기-회수성을 가지며, 이때, 상기 필름의 두 표면 사이에는 표면 거칠기 차가 존재한다. 회수 필름은 층 A 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두 개의 층 A 및 B 의 중합체는 2 종 이상의 상이한 윤활제 입자를 함유한다. 제 1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과, 제 2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은 동일한 기재와 동일한 평균 입자 직경을 각각 가진다. 물론, 동일한 기재 란 2 종의 상이한 윤활제 입자가 동일한 화학종에서 유도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일한 평균 입자 직경 이란 2 종의 상이한 윤활제 입자가 동일한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개의 층 각각에 함유된 상기 2 종의 윤활제 입자는 또한 하기 수학식 (1) 내지 (3) 으로 표시되는 관계를 가진다 :
[수학식 1]
W A (I) / W A (II) = (0.95 ∼ 1.05) × W B (I) / W B (II)
[수학식 2]
W A (I) W B (I)
[수학식 3]
W A (II) W B (II)
상기 식중, WA(I) 은 제 1 층 (층 A) 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중량%) 이고, WA(II) 는 상기 제 1 층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중량%) 이며, WB(I) 은 제 2 층 (층 B) 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중량%) 이고, WB(II) 는 상기 제 2 층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중량%) 이다.
즉, 층 A 내에 함유된 윤활제의 함량을 층 B 내에 함유된 윤활제의 함량 보다 적게 함으로써 (상기 관계 (2) 및 (3)), 자기 층-피복 표면을 형성하는 층 A (평탄한 층) 의 표면을, 주행 표면을 형성하는 층 B (거친 층) 의 표면 보다 평탄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필름의 전자기 변환 특성과 권취 및 취급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층 A 및 층 B 내에 함유된 윤활제의 함량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1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자기-회수성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관계 (1) 에서, 값 (0.95 ∼ 1.05) 는 윤활제 첨가시나 측정시에 부득이하게 발생하는 5 % 이하의 오차를 의미하는 계수이다.
즉, 상기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조성으로 회수 사이클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윤활제의 조성이 초기 조성과 상이하게 되며, 그 결과 생성되는 윤활제의 조성은 이의 초기 조성으로 조정해야만 하고, 따라서 공정 관리 및 품질 관리를 방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하게는, 제 1 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부분이,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회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인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층 A 및 층 B 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 종 이상의 상이한 윤활제 입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활제는 보다 커다란 입자를 전자기 변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의 소량으로 함유하며, 또한 보다 작은 입자를 활주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보다 커다란 입자 보다 많은 양으로 함유하는 다성분 윤활제이다. 상기 윤활제가 작은 입자만으로 구성되는 단일 성분 윤활제인 경우에는, 충분한 공기 압착성 (air squeezability) 을 수득할 수 없으며, 권취 및 취급 특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단일 성분 윤활제가 중간 크기의 입자와 커다란 입자로 구성되며 다량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자기 변환 특성이 저하되며, 이를 소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필름의 활주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일 성분 윤활제로는 우수한 전자기 변환 특성과 활주성을 동시에 수득할 수 없다.
상기 적층 필름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중합체 입자 및/또는 구형 실리카 입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다 커다란 입자는 내열성 중합체 입자 또는 구형 실리카이고, 보다 작은 입자는 구형 실리카이다. 상기 내열성 중합체 입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가교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가교 실리콘 수지 입자, 가교 아크릴 수지 입자, 가교 스티렌-아실 수지 입자, 가교 폴리에스테르 입자, 폴리이미드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등이 있다. 물론, 가교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와 가교 실리콘 수지 입자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본 발명의 적층 필름내에 함유될 때,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내열성 중합체 입자 및 구형 실리카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와 친화성을 가지며 크기가 비교적 균일한 융기가 형성되고, 이로써 필름의 활주성, 내마모성 및 전자기 변환 특성이 향상된다.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 이다.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WA(I)) 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0.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2 중량% 이다.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WB(I)) 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4 중량% 이다.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6 ㎛,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 이다.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WA(II)) 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3 중량% 이다.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WB(II)) 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중량% 이다.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의 표준 편차값은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의 표준 편차값은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1 층 (층 A) 의 중합체와 제 2 층 (층 B) 의 중합체간의 고유 점도차는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상기 차이가 0.10 이상인 경우에는, 필름 형성시 중합체의 합류부에서의 유동성에 차이가 발생하며, 그 결과, 층 A 와 층 B 의 폭 방향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되며, 폭 방향의 층 A 와 층 B 의 표면 특성이 균일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거친 층과 평탄한 층의 표면 거칠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 특히 고밀도 디지탈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층 A 의 표면 거칠기 (WRa(A)) 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 이다. 상기 WRa(A) 가 5.0 ㎚ 이상인 경우에는, 충분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수득할 수가 없다. 반면, 상기 WRa(A) 가 0.5 ㎚ 이하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필름의 활주성이 저하되어, 충분한 슬릿 수율을 수득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필름이나 테이프 제조 공정에서 평탄한 표면과 패스 로울 시스템간의 활주성이 저하되며, 그 결과, 운송 불량에 기인하여 필름 또는 테이프에 주름이 발생함으로써, 제품의 수율이 크게 감소한다.
상기 거친 층의 WRa(B) 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 이다. 상기 WRa(B) 가 2.0 ㎚ 이하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필름의 활주성이 부족하고, 충분한 슬릿 수율을 수득할 수가 없다. 반면, 상기 WRa(B) 가 7 ㎚ 이상인 경우에는, 평탄한 표면에 대한 융기의 영향이 크게 되고, 평탄한 표면이 거칠게 되며, 충분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수득할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 (Young's modulus) 가 450 내지 2,000 ㎏/㎟ 이며, 종 방향의 영 모듈러스에 대한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의 비가 0.4 내지 3.0 이다. 상기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1,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900 ㎏/㎟ 이다. 상기 종 방향의 영 모듈러스에 대한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의 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6 이다.
상기 필름의 종 방향의 영 모듈러스가 450 ㎏/㎟ 이하인 경우에는, 자기 테이프의 종 방향의 강도가 약해짐으로써, 이를 하드웨어에 고정시킨 후, 종 방향으로 강한 힘을 가해주는 경우, 손쉽게 파단된다. 반면,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가 450 ㎏/㎟ 이하인 경우에는, 자기 테이프의 횡 방향의 강도가 약해지며, 테이프와 자기 헤드간의 접촉이 불충분하게 되고, 따라서 만족할만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수득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가 2,000 ㎏/㎟ 이상인 경우에는, 필름 형성시의 높은 연신비로 인해, 형성되는 필름이 종종 파단됨으로써, 제품의 수율이 크게 감소한다.
종 방향의 영 모듈러스에 대한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의 비가 0.4 이하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가 충분한 횡 방향 강도를 가질 수 없고, 테이프와 자기 헤드간의 접촉이 불충분하게 되며, 만족할만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수득할 수가 없다. 반면, 종 방향의 영 모듈러스에 대한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의 비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자기 테이프가 충분한 횡 방향 강도를 가질 수 없음으로써, 이를 하드웨어에 고정시킨 후, 종 방향으로 강한 힘을 가해주는 경우, 종종 손쉽게 파단된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이다. 특히, 두께가 6 ㎛ 이하이며 높은 영 모듈러스를 갖는 2 축 배향 필름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전체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적층 필름의 전체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 이다. 상기 두께가 10 ㎛ 이상인 경우에는, 카세트내에 고정될 수 있는 자기 테이프의 길이가 짧아져, 충분한 기록 용량을 수득할 수 없다. 반면, 상기 두께가 2 ㎛ 이하인 경우에는, 필름 형성시에 제조되는 필름이 종종 파단되어, 필름 권취 특성이 불량해짐으로써, 수율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평탄한 층이 얇아지고, 평탄한 층에 대한 거친 층의 융기의 영향이 크게되어, 충분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수득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 1 층의 두께는 0.1 내지 5 ㎛ 의 제 2 층의 두께 보다 두꺼워야 한다.
본 발명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 또는 고밀도 디지탈 기록 매체 (예 : 데이터 카트리지 또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래의 공지 방법이나 당업계에 축적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먼저 비배향 적층 필름을 제조한 후, 이 필름을 2 축 배향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비배향 적층 필름은 종래의 공지된 적층 필름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과 반대 표면 (평탄한 표면) 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을,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용융 또는 냉각 고화시킨 상태로 서로 적층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 필름은 공압출, 압출 적층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미연신 적층 필름은 2 축 배향 필름을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서 2 축 배향 필름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를 융점 (Tm : ℃) 내지 (Tm + 70) ℃ 의 온도에서 용융 및 공압출시켜 미연신 적층 필름을 수득한 후, 이 미연신 적층 필름을 (Tg - 10) ℃ 내지 (Tg + 70) ℃ (Tg :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의 온도에서 단축 방향 (종 방향 또는 횡 방향) 으로 2.5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배 이상 연신시키고, 이어서 Tg (℃) 내지 (Tg + 70) ℃ 의 온도에서 상기 연신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2.5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배 이상 연신시킨다. 상기 수득한 2 축 배향 적층 필름은 필요에 따라 종 방향 및/또는 횡 방향으로 추가로 연신시킬 수 있다. 전체 연신비는 면적 연신비로 환산하여, 바람직하게는 9 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5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배이다. 상기 2 축 배향 필름은 (Tg + 70) ℃ 내지 (Tm - 10) ℃, 예를 들면 180 내지 250 ℃ 의 온도에서 추가로 열 고정시킬 수 있다. 열 고정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초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물리적 성질 및 특성을 하기에 정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DP)
필름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를 저온 플라즈마 에칭 처리법 (예 : Yamato Kagaku Co. Ltd. 제, P3-3 형) 으로 제거하여 입자를 노출시켰다. 처리 조건은 폴리에스테르가 탄화되어도 입자가 손상되지 않는 조건을 선택하였다. 상기 노출된 입자를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으로 관찰하였으며, 입자의 영상 (입자에 의해 형성된 빛과 그림자) 을 영상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다수의 관찰 부위에서 5,000 개 이상의 입자로 하기의 수치 처리를 수행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4 에 의해 수득된 수 평균 입자 직경 d 를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
[수학식 4]
d = Σ di/n
상기 식중, di 는 입자의 원상 당경 (circle equivalent diameter) (㎛) 이고, n 은 입자의 수이다.
(2) 입자의 함량
폴리에스테르는 용해시키나 입자는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에 시료를 용해시키고, 그 생성 용액으로부터 입자를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하여, 총량에 대한 입자의 양의 비율 (중량%) 을 입자의 함량으로 하였다.
(3) 층 두께
2 차 이온 질량 분석기 (SIMS) 를 사용하여, 표면층으로부터 3,000 ㎚ 깊이 까지의 필름에 함유된 입자중 최고 농도 입자로부터 유도된 원소 (M+) 와 폴리에스테르의 탄소 원소 (C+) 간의 농도비 (M+/C+) 를 입자 농도로 하여, 표면층으로부터 깊이 3,000 ㎚ 까지의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분석하였다. 경계면인 표면층의 입자 농도는 낮지만,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높아진다. 최고치에 달하면 입자 농도는 다시 감소한다. 이러한 농도 분포 곡선에 기초하여, 표면층의 입자 농도가 최고치의 절반이 되는 깊이 (입자 농도가 최고치가 되는 깊이 보다 깊다) 를 결정하고, 이를 표면층의 두께로 한다.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
1 차 이온 종류 : O2 +
1 차 이온 가속 전압 : 12 KV
1 차 이온 전류 : 200 nA
라스터 (Luster) 영역 : 400 ㎛
분석 영역 : 게이트의 30 %
측정 진공도 : 6.0 × 10-3Torr
E-GUN : 0.5 KV - 3.0 A
표면층으로부터 3,000 ㎚ 깊이의 영역에 최대량으로 함유된 입자가 유기 중합체 입자인 경우에는, 이를 SIMS 로 측정하기가 힘들다. 그러므로, 표면으로부터 필름을 에칭하면서, XPS (X-선 광전자 분석법), IR (적외선 분광법) 등으로 상기와 동일한 깊이 프로필을 측정하여, 표면층의 두께를 수득한다.
(4) 필름의 전체 두께
먼지가 사이에 끼지 않도록 10 개의 필름을 층층이 쌓고, 타점식 전자 마이크로미터로 필름의 전체 두께를 측정하여 각 필름의 두께를 계산하였다.
(5) 영 모듈러스 (Young's modulus)
필름을 폭 10 ㎜, 길이 15 ㎝ 의 시료로 절단하고, 이 시료를 쳐크 (chuck) 간격 100 ㎜, 인장 속도 10 ㎜/분, 챠트 (chart) 속도 500 ㎜/분의 조건하에서, 인스트론 (Instron) 형 만능 인장 시험기로 인장시켰다. 측정된 하중-신장 곡선의 상승부의 접선으로부터 영 모듈러스를 계산하였다.
(6) 전자기 변환 특성
하기의 기기를 사용하여 주파수 7.4 MHz 의 신호를 기록하고, 이의 재생 신호의 6.4 MHz 와 7.4 MHz 값간의 비를 테이프의 C/N 으로 하고, 실시예 1 의 C/N 이 0 dB 일 때의 상대 C/N 값을 수득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3 dB 이상
○ : -1 내지 +3 dB
× : -1 dB 이하
사용 기기
8 ㎜ 비디오 레코더 : 소니사제 EDV-6000
C/N 측정 : Shibasoku Co. Ltd. 제 노이즈 측정기
(7) 중합체의 고유 점도
적층 필름으로부터 거친 층 또는 평탄한 층을 벗겨내고, 수득된 중합체의 각 고유 점도를 o-클로로페놀중에서 35 ℃ 에서 측정하였다.
(8) 슬릿 수율
필름을 폭 700 ㎜, 길이 7,000 m 로 슬릿화하고, 필름의 20 이상의 스트립이 로울에 감겼을 때의 슬릿 수율을 수득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슬릿 수율
◎ : 90 % 이상
○ : 70 내지 90 %
× : 70 % 이하
(9) 표면 거칠기 (WRa, WRz)
WYCO Co. 제의 비접촉 3 차원 거칠기 측정기 (TOPO-3D) 를 사용하여, 측정 배율 40 배, 측정 면적 242 ㎛ × 239 ㎛ (0.058 ㎟) 의 조건하에서, 측정수 (n) 10 회 이상 측정하여, 거칠기 측정기에 내장된 표면 분석 소프트웨어로 중심면 평균 거칠기 (WRa) 및 10 점 평균 거칠기 (WRz) 를 계산하였다.
(A) 중심면 평균 거칠기 (WRa)
이것은 하기 식으로부터 계산한 결과치이다.
상기 식중,
이고, Zjk는 X 축 방향 (242 ㎛) 및 이에 수직인 Y 축 방향 (239 ㎛) 을 각각 M 분할 및 N 분할하는 때의 각 방향의 j 번째 및 k 번째의 위치에서, X 및 Y 평면에서 Z 축 방향의 높이이다.
(B) 10 점 평균 거칠기 (WRz)
피이크의 가장 높은 제 1 내지 제 5 점 (Hp) 과 피이크의 가장 낮은 제 1 내지 제 5 점 (Hv) 의 10 점을 선택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계산하여 평균 거칠기 WRz 를 수득하였다.
WRz = [(Hp1+Hp2+Hp3+Hp4+Hp5) - (Hv1+Hv2+Hv3+Hv4+Hv5)] × 1/5
(10) 층 두께의 균일성
밀 로울 (mill roll) 필름을 전폭에 걸쳐 폭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20 점 샘플링하고, 상기 (2) 의 방법으로 A 층 및 B 층의 두께를 측정한 후, 하기 기준에 따라 불규칙성 R 로부터 층 두께의 균일성을 측정하였다.
◎ : 1.0 % 이하
○ : 1.0 내지 2.0 %
× : 2.0 % 이상
여기서, R = [(최대치 - 최소치) / 평균치] × 100
(11) 자기-회수성
시험 초기에 첨가된 A 층의 입자 I 의 함량 WA(I) 및 입자 II 의 함량 WB(II) 를, 각각 표 1 에 나타낸 회수율로 필름을 회수 및 재순환시킬 때 최종적으로 수득된 A 층의 입자 I 의 함량 WA(II) 및 입자 II 의 함량 WB(II) 과 비교하였다. 이들이 동일하다면 필름의 자기-회수가 가능하며, 이들이 상이할 때에는 자기-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하기의 예로서 본 발명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5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아세트산 망간, 중합 촉매로서 3 산화 안티몬, 안정제로서 아인산, 및 윤활제로서 표 1 에 나타낸 입자의 존재하에서,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합시켜, 고유 점도 (o-클로로페놀, 35 ℃) 0.61 의 거친 층 (B 층) 용 순수 칩을 수득하였다. 또한, 표 2 에 나타낸 회수율로 적층 필름으로부터 회수된 칩 및 보조제로서 윤활제를 함유하지 않는 순수 칩을 사용하여 평탄한 층 (A 층) 용 칩을 형성시켰다.
이들 A 층용 및 B 층용 중합체를 170 ℃ 에서 6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A 층 및 B 층의 고유 점도를 표 2 에 나타낸 값으로 가습하여 조절하였다. 이어서, 조절된 고유 점도를 갖는 건조 칩을 표 1 에 나타낸 각 층의 두께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비율로 2 개의 압출기의 호퍼 (hopper) 에 공급하고, 280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용융시킨 후, 다중-분기관 (multi-manifold) 공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B 층의 한 면에 A 층을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공압출시키고, 표면-임상 약 0.3 S 및 표면 온도 60 ℃ 의 회전 냉각 드럼에 압출시켜, 145 ㎛ 두께의 미연신 적층 필름 (실시예 1, 3 및 4) 및 97 μ 두께의 미연신 적층 필름 (실시예 2 및 5) 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미연신 적층 필름을 120 ℃ 로 예열시키고, 저속 및 고속 로울 사이에서 15 ㎜ 상향으로부터 표면 온도 900 ℃ 의 IR 히터로 가열하면서, 4.75 배로 연신시킨 후, 급냉시키고, 스텐터 (stenter) 에 공급하여 145 ℃ 에서 횡 방향으로 5.1 배 연신시켰다. 수득된 2 축 배향 적층 필름을 210 ℃ 의 열풍으로 4 초 동안 열 고정시켜, 두께 6.0 ㎛ 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실시예 1, 3 및 4) 및 두께 4.0 ㎛ 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실시예 2 및 5) 을 수득하였다. 이 필름의 영 모듈러스는 종 방향이 700 ㎏/㎟, 횡 방향이 730 ㎏/㎟ 이다. 이들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표 2 에 나타낸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 (B 층) 에 0.5 ㎛ 의 두께로 하기의 자기 도료를 도포하고, 이를 2,500 가우스의 직류 자장중에서 배향 처리한 후, 100 ℃ 에서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초압연 (supercalendering) (선압 300 ㎏/㎝, 온도 80 ℃) 시킨 다음, 수득된 필름을 권취하였다. 이 로울을 오븐에 넣고, 55 ℃ 에서 3 일간 가열한 후, 폭 8 ㎜ 로 잘라 자기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자기 도료의 제조 :
하기의 조성물을 볼밀 (ball mill) 에 넣고, 16 시간 동안 혼합 및 분산시킨 후, 5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ayer AG.제 Desmodur) 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고속 전단 분산시켜 자기 도료를 수득하였다.
자기 도료의 조성 :
침상 Fe 입자 100 중량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5 중량부
(Sekisui Chemical Co., Ltd. 제 Slec 7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5 중량부
산화크롬 5 중량부
카본블랙 5 중량부
레시틴 2 중량부
지방산 에스테르 1 중량부
톨루엔 5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50 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 중량부
수득된 자기 테이프의 전자기 변환 특성을 상기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및 2
첨가된 윤활제 입자 및 각 층의 두께를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수득된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자기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반복적인 자기-회수 후에 수득된 윤활제의 최종 조성은 초기의 조성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자기-회수는 이 윤활제의 조성으로는 불가능하다.
실시예 6
첨가된 윤활제 입자 및 각 층의 두께를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130 ㎛ 두께의 미연신 적층 필름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득한 미연신 적층 필름을 종 방향으로 4.0 배, 횡 방향으로 5.4 배 연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6.0 ㎛ 두께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필름의 종 방향 영 모듈러스는 600 ㎏/㎟ 이며, 횡 방향 영 모듈러스는 900 ㎏/㎟ 이다. 그 후에, 상기 수득한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기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자기 테이프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각 층의 두께
층 A 5.00 5.00 5.00 3.50 5.00 5.00 3.50 5.00
층 B 1.00 1.00 1.00 0.50 1.00 1.00 0.50 1.00
전체 두께 6.00 6.00 6.00 4.00 6.00 6.00 4.00 6.00
층 A
입자 I
윤활제의 종류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폴리 스티렌 구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0.50 0.50 0.50 0.50 0.50 0.50 0.60 0.30
함량 WA(I) 중량% 0.0182 0.0150 0.0182 0.0024 0.0182 0.0182 0.0024 0.1867
입자 II
윤활제의 종류 구형 실리카 구형 실리카 구형 실리카 알루미나 구형 실리카 구형 실리카 알루미나 구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함량 WA(II) 중량% 0.126 0.150 0.126 0.0295 0.126 0.126 0.0295 0.2333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층 B
입자 I
윤활제의 종류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폴리스티렌 구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0.50 0.50 0.50 0.50 0.50 0.50 0.60 0.30
함량 WB(I) 중량% 0.039 0.039 0.035 0.025 0.039 0.039 0.025 0.400
입자 II
윤활제의 종류 구형 실리카 구형 실리카 구형 실리카 알루미나 구형 실리카 구형 실리카 알루미나 구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함량 WB(II) 중량% 0.270 0.270 0.270 0.310 0.270 0.270 0.310 0.500
WA(I)/WA(II) - 0.144 0.100 0.144 0.081 0.144 0.144 0.081 0.800
WB(I)/WB(II) - 0.144 0.144 0.130 0.081 0.144 0.144 0.081 0.800
고유 점도
층 A ηA 0.56 0.56 0.56 0.59 0.56 0.56 0.59 0.56
층 B ηB 0.56 0.56 0.56 0.59 0.58 0.63 0.52 0.63
점도차 │ηAB 0.00 0.00 0.00 0.00 0.02 0.07 0.07 0.07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표면 거칠기
층 A WRa 3.5 3.0 3.4 1.5 3.5 3.5 1.5 4.5
WRz 90 80 85 25 90 90 25 45
층 B WRa 5.0 5.0 4.8 4.0 5.0 5.0 4.0 6.5
WRz 130 130 110 90 130 130 90 55
자기 순환 및 회수
회수 방법
회수 층 층 A 층 A 층 A 층 A 층 A 층 A 층 A 층 A
회수율 % 70 70 70 40 70 70 40 70
회수 층의 최종 조성
함량 WA(I) 중량% 0.0182 0.0182 0.0163 0.0024 0.0182 0.0182 0.0024 0.1867
함량 WA(II) 중량% 0.126 0.126 0.126 0.0295 0.126 0.126 0.0295 0.2333
자기 회수성 × ×
층 두께의 균일성
전자기 변환 특성
슬릿 수율
상기 표 1 및 표 2 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기-회수가 가능하고, 우수한 전자기 변환 특성을 갖는 자기 테이프를 제공하며, 우수한 권취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회수가 가능한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득이 가능하며, 우수한 전자기 변환 특성 및 권취 특성을 갖는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 특히 1/2 인치 비디오 테이프, 8 ㎜ 비디오 테이프, 데이터 카트리지 테이프 및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자기 테이프용 베이스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6)

  1.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구성되고, 표면 거칠기가 서로 상이한 인접한 2 개의 층을 포함하는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각 층은 2 종 이상의 상이한 윤활제 입자를 함유하고, 하나의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과, 다른 하나의 층의 2 종의 윤활제 입자 각각은 동일한 기재와 동일한 평균 입자 직경을 각각 가지며, 하기 수학식 (1) 내지 (3)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수학식 1]
    W A (I) / W A (II) = (0.95 ∼ 1.05) × W B (I) / W B (II)
    [수학식 2]
    W A (I) W B (I)
    [수학식 3]
    W A (II) W B (II)
    상기 식중, WA(I) 은 제 1 층 (층 A) 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중량%) 이고, WA(II) 는 상기 제 1 층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중량%) 이며, WB(I) 은 제 2 층 (층 B) 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중량%) 이고, WB(II) 는 상기 제 2 층내에 함유된 윤활제 입자중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중량%)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2 개의 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들의 고유 점도차가 0.1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부분이 제 1 항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회수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2.0 ㎛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WA(I)) 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0.0005 내지 0.6 중량%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 의 함량 (WB(I)) 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0.005 내지 1.0 중량%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평균 입자 직경이 0.01 내지 1.0 ㎛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WA(II)) 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0.005 내지 1.0 중량%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 II 의 함량 (WB(II)) 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0.05 내지 2.0 중량%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가장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의 표준 편차값이 0.5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각각에 함유된 두 번째로 커다란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윤활제 입자의 표준 편차값이 0.5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표면 거칠기 (WRa(A)) 가 0.5 내지 5 ㎚ 범위이고, 제 2 층의 표면 거칠기 (WRa(B)) 가 2 내지 7 ㎚ 범위이며, 제 1 층의 표면 거칠기가 제 2 층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가 2 내지 10 ㎛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가 제 2 층의 두께 보다 두껍고,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0.1 내지 5 ㎛ 범위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 각각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 (Young's modulus) 가 각각 450 내지 2,000 ㎏/㎟ 범위이며, 종 방향의 영 모듈러스에 대한 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의 비가 0.4 내지 3.0 범위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8-0029450A 1997-07-22 1998-07-22 2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KR100420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5,750 1997-07-22
JP19575097A JPH1134262A (ja) 1997-07-22 1997-07-22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66A true KR19990014066A (ko) 1999-02-25
KR100420392B1 KR100420392B1 (ko) 2004-05-31

Family

ID=1634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450A KR100420392B1 (ko) 1997-07-22 1998-07-22 2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21461B1 (ko)
EP (1) EP0893249B1 (ko)
JP (1) JPH1134262A (ko)
KR (1) KR100420392B1 (ko)
AT (1) ATE255498T1 (ko)
DE (1) DE69820166T2 (ko)
TW (1) TW5210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6952A1 (fr) * 1998-05-06 1999-11-11 Teijin Limited Film stratifie de polyester oriente biaxialement
US6465075B2 (en) 1999-03-04 2002-10-15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 polyester film
EP1033244B1 (en) * 1999-03-04 2004-02-11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 polyester film
KR100572506B1 (ko) * 1999-06-14 2006-04-2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US6503599B1 (en) * 1999-07-12 2003-01-07 Teijin Limited Polyester film with specified surface roughness, Young's modulus and heat shrinkage for use as substrate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US6511738B2 (en) * 2000-01-31 2003-01-28 Konica Corporation Support for rolled light-sensitive photographic material
US6773802B2 (en) * 2000-12-05 2004-08-10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US7211309B2 (en) * 2003-03-25 2007-05-01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Antistatic laminated polyester film
JP4624932B2 (ja) * 2006-01-26 2011-02-02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7095176A2 (en) * 2006-02-14 2007-08-23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process
JP5865749B2 (ja) * 2012-03-26 2016-02-1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布型磁気記録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419B2 (ja) * 1986-08-25 1995-05-17 コニカ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EP0261430B1 (en) * 1986-08-27 1999-11-2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2581583B2 (ja) * 1988-02-12 1997-02-1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EP0453276B1 (en) * 1990-04-18 1996-09-18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JP2817070B2 (ja) * 1991-09-06 1998-10-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3086055B2 (ja) 1992-04-27 2000-09-11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5309728A (ja) 1992-05-13 1993-11-22 Teijin Ltd 易回収性二軸配向積層熱可塑性樹脂フイルム
EP0590570B1 (en) * 1992-09-29 2001-06-13 Diafoil Hoechst Co.,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503748B2 (ja) 1992-10-14 2004-03-08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5556691A (en) 1993-01-27 1996-09-17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as base film
JP2954807B2 (ja) 1993-05-13 1999-09-27 帝人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925057B2 (ja) * 1993-08-30 1999-07-26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8217892A (ja) 1995-02-16 1996-08-27 Teijin Ltd 再生フイルム
JP3345247B2 (ja) * 1996-01-26 2002-11-18 帝人株式会社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464333B2 (ja) * 1996-03-07 2003-11-10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072717B2 (ja) 1996-12-27 2000-08-07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0166D1 (de) 2004-01-15
EP0893249B1 (en) 2003-12-03
KR100420392B1 (ko) 2004-05-31
EP0893249A3 (en) 2000-04-19
ATE255498T1 (de) 2003-12-15
TW521032B (en) 2003-02-21
EP0893249A2 (en) 1999-01-27
JPH1134262A (ja) 1999-02-09
US6221461B1 (en) 2001-04-24
DE69820166T2 (de) 200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392B1 (ko) 2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EP0995593B1 (en) Biaxially orientated polyester film laminate
EP1033244B1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 polyester film
JP2001341265A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628672B1 (ko) 이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345247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9277475A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6465075B2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 polyester film
JP4128189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752397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45839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923187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518146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그것을 베이스필름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JP3958442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323409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581593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541206B1 (ko)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306292B2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416938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9990082155A (ko)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2240223A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H10315415A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309820A (ja) 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