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155A -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155A
KR19990082155A KR1019980705878A KR19980705878A KR19990082155A KR 19990082155 A KR19990082155 A KR 19990082155A KR 1019980705878 A KR1019980705878 A KR 1019980705878A KR 19980705878 A KR19980705878 A KR 19980705878A KR 19990082155 A KR19990082155 A KR 19990082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magnetic recording
oriented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061B1 (ko
Inventor
다쓰야 오가와
히데아끼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Publication of KR1999008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29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naphthalene ring compounds, e.g.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1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layer being polyes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5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haracterised by roughness or surface features, e.g. by add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9/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층 B 의 하나이상의 표면에, 평균입경 (da) 이 0.9 ∼ 1.6 ㎛ 인 가교 고분자입자 (a) 0.001 ∼ 0.03 중량 %, 평균입경 (db) 이 0.4 ∼ 0.8 ㎛ 인 불활성입자 (b) 0.1 ∼ 0.8 중량 % 및 평균입경 (dc) 이 0.01 ∼ 0.3 ㎛ 이고 또한 모스경도가 7 이상인 불활성 무기입자 (c) 0.05 ∼ 1.0 중량 % 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층 A 를 적층하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A 층의 두께 (TA)(㎛) 와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평균입경 (da)(㎛) 과의 비 (TA/da) 가 0.4 ∼ 2.0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상기 필름은 권취성, 내절삭성, 주행내구성, 전자변환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특히 고속 복사용 자기 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대표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자기기록매체 예를 들어 자기테이프 등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넓게 이용되고 있다.
자기테이프의 용도 중, 최근들어 영화 등의 정보를 미리 기록한 테이프 생산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마스터의 VTR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로부터 수천대의 VTR 로 고속으로 복사하는 방식이 취해져 왔는데, 최근에는 상기 정보를 기록한 미러마스터테이프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않은 자기테이프를 중첩하고 자장, 온도를 인가시켜 기록정보를 전사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이 경우의 복사 속도가 매우 빨라 자기테이프의 요구특성도 변화하고 있으며, 또한 이 고속 복사용 테이프의 베이스 필름의 요구특성도 새로운 것이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고속으로 감겨질 때의 자기테이프의 권취성, 마스터 테이프와의 밀착을 좋게 하고, 전자변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름표면의 평탄화, 나아가서는 복사 시에 접촉되는 가이드 로올에서의 절삭성의 향상 등이다.
종래,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에서는 권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입경의 불활성입자를 첨가하여 에어스퀴즈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입경의 불활성입자를 베이스 필름 중에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자성층 표면이 돌기에 의해 밀어올려지거나, 중첩하여 감긴 때에 대입경의 불활성입자에 의한 돌기가 자성층면에 전사되어 자기테이프의 자성층의 표면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킨다. 또한, 대입경의 불활성입자가 가이드 로올과의 접촉에 의하여 절삭되고 백분 (白粉) 을 발생시켜 드롭아웃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기기록재생장치 예를 들어 VTR 의 비용 절감을 위하여 표면마무리가 거친 카세트 하프나 가이드핀, 또는 플라스틱 가이드핀이 사용되는 등, 자기테이프의 절삭성, 주행내구성에 대한 환경이 나빠지고 있어, 이런 점들에 대한 개량도 이전보다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성, 내절삭성, 주행내구성이 우수하고 전자변환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특히 고속 복사용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유용한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주행마찰계수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 중, (1) 은 권출 (卷出) 리일, (2) 는 텐션 컨트롤러, (3,5,6,8,9 및 11) 은 프리롤러, (4) 는 텐션검출기 (입구), (7) 은 고정봉, (10) 은 텐션 검출기 (출구), (12) 는 가이드 롤러, 그리고 (13) 은 권취 리일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고속 복사용 자기테이프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새로운 특성, 즉 고속시의 권취성, 필름표면의 평탄성, 내절삭성 등의 향상과, 또한 조악한 카세트 하프, 가이드핀 등에도 대응할 수 있는 내절삭성, 주행내구성 등의 향상이라는 과제 달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하고,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최외층에 3 종류의 특정한 입자를 함유시키고, 또한 상기 최외층의 두께와 함유입자 중 가장 큰 평균입경을 갖는 입자의 입경과의 비를 특정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전체 성능이 매우 우수한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성, 내절삭성, 주행내구성이 우수하고 전자변환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특히 고속 복사용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유용한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 B 층의 적어도 편면에 미세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A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A 층 중의 미세입자가 평균입경 (da) 이 0.9 ∼ 1.6 ㎛ 인 가교 고분자입자 (a) 0.001 ∼ 0.03 중량 %, 평균입경 (db) 이 0.4 ∼ 0.8 ㎛ 의 불활성입자 (b) 0.1 ∼ 0.8 중량 %, 및 평균입경 (dc) 이 0.01 ∼ 0.3 ㎛ 이고 또한 모스경도가 7 이상인 불활성 무기입자 (c) 0.05 ∼ 1.0 중량 % 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A 층의 두께 (TA)(㎛) 와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평균입경 (da)(㎛) 과의 비 (TA/da) 가 0.4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특징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주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하고, 지방족 글리콜을 주요 글리콜 성분으로 하는 포화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이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실질적으로 선 형상으로서, 필름형성법, 특히 용융성형에 의한 필름 형성성을 갖는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디페닐케톤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글리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탄소수 2 ∼ 10 의 폴리메틸렌글리콜, 또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방족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로서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알킬렌-2,6-나트탈레이트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비롯하여, 예를 들어 모든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80 몰 % 이상이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고, 모든 글리콜 성분의 80 몰 %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 때, 전체 산성분의 20 몰 % 이하는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외의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아디핀산, 세바틴산 등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일 수 있다. 또한, 전체 글리콜 성분의 20 몰 % 이하는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상기 글리콜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레졸신,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과 같은 방향족디올 : 1,4-디히드록시디메틸렌벤젠과 같은 방향족환을 갖는 지방족 디올 :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에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 벤조산과 같은 방향족옥시산, ω-히드록시카프론산과 같은 지방족옥시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디카르복실산성분 및 옥시카르복실산 성분의 총량에 대하여 20 몰 % 이하에서 공중합 또는 결합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에는 실질적으로 선형상인 범위의 양, 예를 들어 전체 산성분에 대하여 2 몰 % 이하의 양으로, 3 관능이상의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폴리히드록시화합물, 예를들면 트리메릿산, 펜타에리스리톨 등을 중합한 것도 포함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그 자체 공지되어 있고, 또한 그 자체를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B 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에스테르 A 층을 적층한다는 구성을 취한다. 적층형태로서는 A층/B 층의 2 층구조, A 층/B 층/A 층의 3 층구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3 층구조의 것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필름을 회수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B 층에 사용 또는 배합하여 재이용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A 층 및 B 층의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A 층과 B 층의 폴리에스테르는 동일 중합체이어도 다른 중합체이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폴리에스테르 A 층은 평균입경이 다른 불활성입자 (a,b,c) 의 3 종류의 입자를 동시에 함유한다.
불활성입자 (a) 는 평균입경 (da) 이 0.9 ∼ 1.6 ㎛ 의 범위내에 있는 가교 고분자입자로, 이 함유량은 0.001 ∼ 0.03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다. 입자 (a) 의 평균입경 (da) 및 함유량이 각각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필름의 권취성에 대한 개선효과가 불충분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평균입경 (da) 및 함유량이 각각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 자기테이프로 했을 때의 전자변환 특성이 악화되고 내절삭성도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입자 (a) 의 평균입경 (da) 은 1.0 ∼ 1.5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1 ∼ 1.4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 (a) 의 함유량은 0.003 ∼ 0.025 중량 % 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 ∼ 0.02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교 고분자입자 (a) 는 가교 실리콘수지입자 및 가교 폴리스티렌입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폴리에스테르와의 친화성이 높고, 또한 입자가 연질이기 때문에 돌기에 걸리는 충격이 흡수되기 쉽고, 고속에서의 충돌시에 좀처럼 돌기가 탈락하기 않기 때문이다.
또한, 가교 고분자입자 (a) 는 입자의 외관의 영율이 10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 이다. 외관의 영율이 10 ㎏/㎟ 미만일 때 필름 중에 입자를 첨가할 경우, 연신시의 응력에 견디지못해 입자가 변형되어 버려 권취성 부여에 필요한 높은 돌기가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외관의 영율이 100 ㎏/㎟ 을 초과할 경우, 입자가 너무 단단해져 내충격성이 나빠져 입자가 탈락하기 쉬워진다.
불활성입자 (b) 는 평균입경 (db) 이 0.4 ∼ 0.8 ㎛ 범위내에 있는 입자로, 이 함유량은 0.1 ∼ 0.8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다. 불활성입자 (b) 의 평균입경 (db) 및 함유량이 각각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필름의 미끄럼성이 나빠 권취가 곤란해지고 VTR 중에서의 테이프의 주행이 불안정해진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 크면 내절삭성이 악화된다. 불활성입자 (b) 의 평균입경 (db) 은 0.4 ∼ 0.7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4 ∼ 0.6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활성입자 (b) 의 함유량은 0.15 ∼ 0.7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2 ∼ 0.6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활성입자 (b) 의 종류로는 무기입자, 예를 들어 (1) 이산화규소 (수화물, 규사, 석영 등을 포함) ; (2) 각종 결정형태의 알루미나 ; (3) SiO2분을 30 중량 % 이상 함유하는 규산염 (예를 들어 비정질 또는 결정질의 점토광물,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소성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함), 온석면, 지르콘, 플라이 애쉬 (fly ash) 등) ; (4) Mg, Zn, Zr 및 Ti 의 산화물 ; (5) Ca 및 Ba 의 황산염 ; (6) Li, Ba 및 Ca 의 인산염 (1 수소염 또는 2 수소염을 함유함) : (7) Li, Na 및 K 의 벤조산염 ; (8) Ca, Ba, Zn 및 Mn 의 테레프탈산염 ; (9) Mg, Ca, Ba, Zn, Cd, Pb, Sr, Mn, Fe, Co 및 Ni 의 티타늄산염 ; (10) Ba 및 Pb 의 크롬산염 ; (11) 탄소 (예를 들어 카본 블랙, 흑연 등) ; (12) 유리 (예를 들어 유리 가루, 유리 구슬 등) ; (13) Ca 및 Mg 의 탄산염 ; (14) 형석 ; (15) Zn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산칼슘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불활성 입자 (c) 는 모스경도가 7 이상인 불활성 무기입자로서, 이 평균입경 (dc) 은 0.01 ∼ 0.3 ㎛ 의 범위내에 있고, 또한 이 함유량은 0.05 ∼ 1.0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다. 불활성 무기입자 (c) 의 모스경도가 7 미만일 때는 내스크래치성이 불충분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모스경도가 7 이상인 불활성 무기입자로는 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스피넬형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응집입자로서, 그 평균 응집도가 2 ∼ 20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평균 응집도가 상기 범위보다 지나치게 크거나 작아도 필름의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 평균 응집도는 내스크래치성 개선효과라는 점에서 2 ∼ 15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 ∼ 10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 이상 5 미만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불활성 무기입자 (c) 가 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으로 이루어지는 응집입자인 경우, 결정구조가 θ형이면 내스크래치성의 개선효과가 더욱 크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불활성 무기입자 (c) 가 스피넬형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응집입자인 경우, MgAl2O4이면 내스크래치성의 개선효과가 더욱 크므로 바람직하다.
불활성 무기입자 (c) 의 평균입경 (dc) 및 함유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내스크래치성의 개선효과가 불충분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 크면 내스크래치성의 개선효과가 불충분하거나 내절삭성이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불활성 무기입자 (c) 의 평균입경 (dc) 은 0.03 ∼ 0.25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0.2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함유량은 0.1 ∼ 0.7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 ∼ 0.4 중량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2 중량 % 이상 0.25 중량 % 미만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A 층의 두께 (TA)(㎛) 와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평균입경 (da)(㎛) 과의 비 (TA/da) 가 0.4 ∼ 2.0 의 범위내에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비 (TA/da) 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내절삭성이 악화된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 크면 입경의 2 배 보다 심층에 존재하는 입자 (a) 의 영향으로 필름표면의 조면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자변환 특성이 악화된다. 이 비 (TA/da) 의 수치는 0.6 ∼ 1.9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8 ∼ 1.8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B 층은 불활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B 층 중에 평균입경 0.4 ㎛ 이상의 불활성 입자, 예를 들어 상기 가교 고분자입자 (a), 불활성 입자 (b) 등을 이 함유량 (CB) 이 하기식을 만족하는 비율로 함유시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필름을 회수하여 B 층내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CB = CA × dA/dB × R/1-R
여기에서, CA 는 폴리에스테르 A 층 중의 평균입경이 0.4 ㎛ 이상인 불활성 입자의 함유량 (중량 %), CB 는 폴리에스테르 B 층 중의 평균입경이 0.4 ㎛ 이상인 불활성 입자의 함유량 (중량 %), dA 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 층의 총두께 (㎛), dB 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B 층의 두께 (㎛), R 은 0.3 ∼ 0.07 의 수치이다.
상기식에 있어서, R (값) 이 0.7 을 초과하거나 0.3 미만이면 회수필름을 사용하였을 때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B) 층 중의 평균입경이 0.4 ㎛ 이상인 불활성 입자의 함유량의 변동이 커지며, 그 결과 폴리에스테르 A 층의 표면 조도도 변동이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R (값) 은 0.4 ∼ 0.6 이다. 또한 평균입경이 0.4 ㎛ 미만인 소립경 불활성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B 층에 함유되어 있어도 폴리에스테르 A 층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A 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A) 가 8 ∼ 18 ㎚, 바람직하게는 9 ∼ 17 ㎚, 특히 10 ∼ 16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심선 평균 조도 (RaA) 가 8 ㎚ 미만일 때는 표면이 지나치게 평탄하기 때문에 권취성, 주행내구성에 대한 개선효과가 작고, 한편으로 18 ㎚ 보다 클 때는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로 하였을 때 전자변환 특성이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권취 속도 200 m/분에서의 권취성 지수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성 지수가 100 이하이면 고속 복사용 테이프의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할 때, 권취성에 대한 개선효과가 현저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권취성 지수가 100 보다 크면 고속으로 감았을 때 필름 로올의 단면이 정렬되지 않는 등 감은 형상이 악화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감는 도중에 비뚤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권취 속도 200 m/분에서의 권취성 지수는 8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총두께가 5 ∼ 2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20 ㎛ 인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의 세로 방향의 영율은 400 ㎏/㎟ 이상, 나아가 4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로 방향 영율이 600 ㎏/㎟ 이하인 것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 방향 영율이 500 ㎏/㎟ 이상, 나아가 6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로 방향의 영율이 800 ㎏/㎟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세로, 가로 방향 영율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장시간 데이프용으로서의 박막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본적으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거나, 혹은 당업계에 축적되어 있는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적층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 필름을 이축배향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적층 미연신 필름은 종래부터 축적된 적층필름의 제조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층 (폴리에스테르 A 층) 과, 심층을 형성하는 필름층 (폴리에스테르 B 층) 을 용융상태 또는 냉각고화된 상태에서 적층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공압출, 익스토션 (extortion) 적층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 미연신 필름은 더욱 종래부터 축적된 이축배향 필름의 제조법에 준하여 이축배향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 미연신 필름을 일축방향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으로 (Tg-10) ∼ (Tg+70) ℃ 의 온도 (단, Tg :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 에서 3.0 ∼ 4.0 배의 배율로 연신하고, 이어서 상기 연신방향과 직각방향 (1 단째 연신이 세로 방향인 경우에는, 2 단째 연신은 가로 방향으로 됨) 으로 Tg (℃) ∼ (Tg+70) ℃ 의 온도에서 3.6 ∼ 4.5 배의 배율로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방향의 연신배율은 상기한 영율을 만족시키는 배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면적 연신배율로는 13 ∼ 18 배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수단은 동시 이축연신, 순차 이축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축배향 필름은 (Tg+70) ℃ ∼ Tm (℃) 의 온도에서 열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해서는 190 ∼ 230 ℃ 에서 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시간은 예를 들어 1 ∼ 60 초이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최외층에 3 종류의 특정 입자를 함유시키며, 또한 이 최외층의 두께와 함유입자 중 최대입경을 가지는 입자의 입경의 비를 특정 범위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고속 복사용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고속시 권취성, 베이스면의 평탄성, 내절삭성의 향상이라는 점에서, 또한 조악한 카세트 하프, 가이드 핀 등에 대한 내절삭성, 주행내구성의 향상이라는 점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고 또한 전자변환 특성도 뛰어나며,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토탈 퍼포먼스가 뛰어난 것으로 자기 기록 매체용으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물성치 및 특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 것이며, 또한 정의된다.
(1) 입자의 평균입경 (DP)
시마즈세이사쿠쇼 (주) 제조 CP-50 형 Centrifugal Particle Size Analyzer 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얻어진 원심침강 곡선을 근거로 산출한 각 입경의 입자와 그 존재량의 적산 (積算) 곡선으로부터 50 매스퍼센트에 상당하는 입경을 구하고, 이 수치를 상기 평균입경으로 한다 (Book「입도측정기술」일간공업신문사 발행, 1975년, 페이지 242 ∼ 247 참조).
(2) 입자의 외관 영율
시마즈세이사쿠쇼(주) 제조 초미소압축시험기 MCTM-201 을 사용하여 다이아몬드 압자 (penetrator) 를 일정한 부하속도 (29 ㎎f/초) 로 강하시켜 입자 1 개에 외력을 가한다. 그리고, 입자가 파괴되었을 때의 하중 (P)(㎏f), 입자가 피괴되었을 때의 압자의 변위 (Z)(㎜), 입자의 입경 (d)(㎜) 으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외관 영율 (Y) 을 구하고, 동일한 조작을 10 회 실시하여 10 회의 평균치로써 입자의 외관 영율로 한다.
Y = 2.8P/πdZ
(3) 입자의 평균 응집도
입자를 함유한 필름을 단면 방향으로 두께 100 ㎚ 의 미박 절편으로 하고, 투과전자현미경 (예를 들어, 닛폰덴시 제조 JEM-1200EX) 을 사용하여 10만배 정도의 배율로 입자를 관찰하면, 더 이상 입자를 분할할 수 없는 최소의 입자 (일차입자) 를 관찰할 수 있다. 이 관찰사진에서 100 개의 입자, 특히 응집입자 (이차입자) 에 대해서는 몇 개의 일차입자로 이루어져 있는지 조사하여 일차입자의 총합을 측정한 입자의 수로 나눈 수치를 평균 응집도로 한다.
(4) 필름의 표면조도 (Ra)
중심선 평균 조도 (Ra) 로서 JIS B0601 로 정의되는 수치이며, 본 발명에서는 (주)고사카겐큐쇼의 촉침식 표면조도계 (SURFCORDER SE-30C) 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조건 등은 다음과 같다.
(a) 촉침 선단 반경 : 2 ㎛
(b) 측정압력 : 30 ㎎
(c) 오토오프 : 0.25 ㎜
(d) 측정길이 : 2.5 ㎜
(e) 데이터 정리방법 : 동일시료에 대하여 6 회 반복측정하여 가장 큰 수치를 1 개 제외하고, 나머지 5 개 데이터의 평균치로 표시한다.
(5) 카렌더 절삭성
베이스 필름의 주행면의 절삭성을 3 단의 미니슈퍼카렌더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카렌더는 나일론 로올과 스틸 로올의 3 단 카렌더로서, 처리온도는 80 ℃, 필름에 가해지는 선압은 200 ㎏/㎝, 필름 스피드는 100 m/분으로 주행시킨다. 주행필름은 전체길이 4000 m 주행시킨 시점에서 카렌더의 톱 롤러에 부착되는 오염에 의하여 베이스 필름의 절삭성을 평가한다.
<5 단계 판정>
1 급 : 나일론 로올의 오염이 전혀 없음.
2 급 : 나일론 로올의 오염이 거의 없음.
3 급 : 나일론 로올의 오염이 조금 있으나 마른걸레로 쉽게 제거 가능.
4 급 : 나일론 로올의 오염이 마른걸레로 쉽게 제거되지 않고 아세톤 등의 용매로 제거 가능.
5 급 : 나일론 로올이 매우 오염되어 용매로도 좀처럼 제거되지 않음.
(6) 블레이드 절삭성
온도 20 ℃, 습도 60 % 의 환경에서 폭 1/2 인치로 재단한 필름에 블레이드 (미국 GKI 제조 공업용 면도칼 시험기용 블레이드) 의 칼끝을 수직으로 대고 다시 2 ㎜ 밀어넣고 접촉시켜서 매분 100 m 의 속도, 입구 텐션 T1=50 g 으로 주행 (마찰) 시킨다. 필름이 100 m 주행한 후 블레이드에 부착된 절삭 가루량을 평가한다.
〈판정〉
◎ : 블레이드 칼 끝에 부착된 절삭 가루 부착폭이 0.5 ㎜ 미만
○ : 블레이드 칼 끝에 부착된 절삭 가루 부착폭이 0.5 ㎜ 이상 1.0 ㎜ 미만
△ : 블레이드 칼 끝에 부착된 절삭 가루 부착폭이 1.0 ㎜ 이상 2.0 ㎜ 미만
× : 블레이드 칼 끝에 부착된 절삭 가루 부착폭이 2.0 ㎜ 이상
(7) 고속주행 스크래치성, 절삭성
도 1 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도 1 중 1 은 권출 리일, 2 는 텐션컨트롤러, 3,5,6,8,9 및 11 은 프리 롤러, 4 는 텐션 검출기 (입구), 7 은 고정봉, 10 은 텐션 검출기 (출구), 12 는 가이드 롤러, 13 은 권취 리일을 각각 나타낸다.
온도 20 ℃, 습도 60 % 의 환경에서 폭 1/2 인치로 재단한 필름을 7 의 고정봉에 각도 (θ)=60°로 접촉시켜서 매분 300 m 의 속도로 입구 장력이 50 g 이 되도록 하여 200 m 주행시킨다. 주행후에 고정봉 위 (7) 에 부착된 절삭 가루 및 주행후 필름의 스크래치를 평가한다.
이 때, 고정봉으로서
SUS304 제로서, 표면을 충분히 마무리한 6ψ 의 테이프 가이드 (표면 조도 (Ra)=0.015 ㎛) 를 사용한 경우를 A 법,
SUS 소결판을 원주형으로 구부린 표면 마무리가 불충분한 6ψ 의 테이프 가이드 (표면 조도 (Ra)=0.15 ㎛) 를 사용한 경우를 B 법,
카본 블랙 함유 폴리아세탈의 6ψ 의 테이프 가이드를 사용한 경우를 C 법
으로 한다.
〈절삭 가루 판정〉
◎ : 절삭 가루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 : 절삭 가루가 희미하게 보인다.
△ : 절삭 가루의 존재를 언뜻보아 알 수 있다.
× : 절삭 가루가 심하게 부착되어 있다.
〈스크래치 판정〉
◎ : 스크래치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 : 1 ∼ 5 개의 스크래치가 보인다.
△ : 6 ∼ 15 개의 스크래치가 보인다.
× : 16 개 이상의 스크래치가 보인다.
(8) 저속 반복주행 마찰계수 (μk), 스크래치성
도 1 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측정한다.
온도 20 ℃, 습도 60 % 의 환경에서 자기 테이프의 비자성면을 7 의 고정봉에 각도 (θ) =(152/180) π 라디안 (152°) 로 접촉시켜서 매분 200 ㎝ 의 속도로 이동 (마찰) 시킨다. 입구 텐션 (T1) 이 50 g 이 되도록 텐션컨트롤러 (2) 를 조정했을 때의 출구 텐션 (T2 : g) 을 필름이 50 왕복주행한 후에 출구 텐션 검출기로 검출하여 하기 식으로 주행마찰계수 (μk) 를 산출한다.
μk=(2.303/θ) log (T2/T1)
=0.868 log (T2/35)
주행마찰계수 (μk) 가 0.25 이상인 경우, VTR 중에서 반복주행시켰을 때 주행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이 값 이상의 수치를 주행내구성 불량으로 판정한다.
이 때, 고정봉으로서
SUS304 제로서, 표면을 충분히 마무리한 6ψ 의 테이프 가이드 (표면 조도 (Ra)=0.015 ㎛) 를 사용한 경우를 A 법,
SUS 소결판을 원주형으로 구부린 표면 마무리가 불충분한 6ψ 의 테이프 가이드 (표면 조도 (Ra)=0.15 ㎛) 를 사용한 경우를 B 법,
카본 블랙 함유 폴리아세탈의 6ψ 의 테이프 가이드를 사용한 경우를 C 법
으로 한다.
또한, 스크래치성은 주행후 테이프의 비자성면 스크래치에 대해 하기 기준으로 판정한다.
〈스크래치 판정〉
◎ : 스크래치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 : 1 ∼ 5 개의 스크래치가 보인다.
△ : 6 ∼ 15 개의 스크래치가 보인다.
× : 16 개 이상의 스크래치가 보인다.
또한, 자기테이프의 제조법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γ-Fe2O3100 중량부 (이하, 간단히「부」로 기재함) 와 하기의 조성물을 볼 밀로 12 시간 혼합반죽 분산시킨다.
폴리에스테르우레탄 12 부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10 부
α-알루미나 5 부
카본 블랙 1 부
부틸아세테이트 70 부
메틸에틸케톤 35 부
시클로헥사논 100 부
분산후에, 다시
지방산 ; 올레인산 1 부
지방산 ; 팔미틴산 1 부
지방산 에스테르 (아밀스테아레이트) 1 부
를 첨가하고, 또한 다시 10 ~ 30 분 동안 혼합반죽하였다. 나아가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25 % 에틸아세테이트 용액 7 부를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고속으로 절단분산하여 자성 도포액을 조정한다.
수득된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건조막 두께가 3.5 ㎛ 이 되도록 도포한다.
이어서, 직류자장중에서 배향처리한 후 100 ℃ 로 건조한다. 건조후, 카렌더 가공처리를 실시하여 1/2 인치 폭으로 슬릿시켜 자기테이프를 수득한다.
(9) 권취성 지수
도 1 에서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고정봉 (7) 을 경유하지 않도록 폭 1/2 인치의 필름을 통과시키고, 온도 20 ℃, 습도 60 % 의 환경에서 200 m/분의 속도로 200 m 를 주행시켜, 권취 리일 (13) 로 감겨지기 직전의 위치에서 CCD 카메라에 의하여 단면 위치를 검출한다.
이 단면 위치의 변동률을 시간축에 대한 파형으로 표시하고, 그 파형을 하기식에 의하여 권취성 지수로서 산출한다.
권취성 지수 =
여기에서, l 은 측정시간 (초), x 는 단면 변동율 (㎛) 이다.
(10) 권취성
도 1 에서와 같은 장치에서, 고정봉(7)을 경유하지 않도록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자기테이프를 통과시키고 400 m/분의 속도로 500 m 를 주행시켜, 권취 리일측에서의 감기에 대한 가부(可否) 및 감겨진 자기테이프의 로올 형상으로 평가한다.
<판정>
○ ; 감겨진 로올에서의 단면 편차이 1 ㎜ 이내.
△ ; 감겨진 로올에서의 단면 편차이 1 ㎜ 초과.
× : 감기 불가능
(11) 전자변환 특성
VHS 방식 VTR (니혼 비크타 (주) 제조, BR 6400) 을 개조하여 4 ㎒ 의 정현파를 앰프를 통해 기록재생 헤드에 입력하고 자기테이프에 기록한 후, 재생시켜서 그 재생신호를 스펙트럼 에너라이저에 입력한다. 캐리어 신호 4 ㎒ 에서 0.1 ㎒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측정하고, 캐리어와 노이즈의 비 (C/N) 를 ㏈ 단위로 표시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자기테이프를 측정하고, 비교예 17 에서 수득된 것을 기준 (±0 ㏈) 으로 하여 이 자기테이프와의 차이를 자기변환 특성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를 예시하면서 본 발명을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 ~ 16)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에스테르 교환촉매로서 망간아세테이트를, 중합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을, 안정제로서 아인산을, 또한, 윤활제로서 표 1, 표 3 의 폴리에스테르 A 층을 나타낸 첨가입자를 첨가하여 통상의 제법으로 중합하고, 고유점도가 (오르토 클로로페놀, 35 ℃) 0.56 인 폴리에스테르 A 층용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를 수득하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B 층용으로는 입자를 첨가시키지 않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얻었다.
이들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의 펠릿을 170 ℃ 에서 3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2 대의 압출기 호퍼에 공급하고, 용융온도 280 ~ 300 ℃ 에서 용융시켜 멀티매니폴드형 공압출다이를 사용하여 B 층의 양면에 A 층을 적층시켜, 표면 마무리 0.3 s 정도, 표면 온도 20 ℃ 의 회전냉각 드럼상으로 압출하여 두께 200 ㎛ 의 미연신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미연신 적층필름을 75 ℃ 로 예열하고, 다시 저속, 고속의 로올간에서 15 ㎜ 상방에서 800 ℃ 의 표면 온도의 IR 히터 3 개를 가열하여 3.2 배로 연신하여 급냉시키고, 계속해서 스탠더로 공급하여 120 ℃ 에서 가로 방향으로 4.3 배 연신하였다. 수득된 이축배향 필름을 205 ℃ 의 온도에서 5 초 동안 열고정시켜 두께 14 ㎛ 의 열고정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이 필름의 세로 방향의 영율은 460 ㎏/㎟, 가로 방향의 영율은 700 ㎏/㎟ 이었다.
각층의 두께는 2 대의 압출기의 배출량을 변경시키고, 및 유로의 폭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정하였다. 또한, 각층의 두께는 형광 X 선법, 및 필름을 박편(薄片)으로 잘라내고,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경계면을 찾는 방법을 병용하여 구하였다.
(비교예 17)
표 3 중의 입자를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통상의 단층의 다이로 압출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층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필름의 특성을 표 2, 표 4 에 나타낸다. 표 2, 표 4 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것은 우수한 전자변환 특성을 나타내면서 권취성 및 절삭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각종 테이프 가이드에 대한 스크래치성, 절삭성, 주행내구성도 우수하여, 종합적으로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A 층중의 불활성 입자
가교 고분자 입자 A 불활성 입자 B 불활성 입자 C
입자의종류, 평균입경(da)(㎛) 입자의 함유량(%) 외관의 입자영율(㎏/㎟) 입자의종류,평균입경(db)(㎛) 입자의 함유량(%) 입자의종류,평균입경(dc)(㎛) 입자의 함유량(%) 입자의 평균응집율 (개)
실시예1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2 실리콘수지 1.2 0.02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3 실리콘수지 1.2 0.005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4 실리콘수지 1.5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5 실리콘수지 1.2 0.01 25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6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스피넬산화물(MgAl2O4)0.1 0.2 4.2
실시예7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15 4.5
스피넬산화물(MgAl2O4)0.1 0.15 4.2
실시예8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12.4
실시예9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10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11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0.1 0.2 4.5
실시예12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스피넬산화물(MgAl2O4)0.1 0.2 4.2
실시예13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스피넬산화물(MgAl2O4)0.1 0.2 4.2
A층두께(TA)(㎛) B층두께(㎛) TA/Da RaA(㎚) 카렌더절삭성(급) 블레이드절삭성 고속주행 저속반복주행 권취성지수 권취성 전자변환성(C/N)
스크래치성 절삭성 스크래치성 주행(μk)
A법 B법 C법 A법 B법 C법 A법 B법 C법 A법 B법 C법
실시예1 2.0 10.0 1.7 14 1 0.21 0.21 0.20 60 +1.8
실시예2 2.0 10.0 1.7 15 2 0.20 0.20 0.19 50 +1.5
실시예3 2.0 10.0 1.7 14 1 0.22 0.22 0.22 70 +1.9
실시예4 2.0 10.0 1.7 15 2 0.21 0.21 0.19 50 +1.6
실시예5 2.0 10.0 1.3 14 1 0.21 0.21 0.21 60 +1.8
실시예6 2.0 10.0 1.7 14 1 0.21 0.21 0.20 60 +1.8
실시예7 2.0 10.0 1.7 14 1 0.21 0.21 0.20 60 +1.8
실시예8 2.0 10.0 1.7 14 1 0.20 0.20 0.20 60 +1.7
실시예9 1.5 11.0 1.3 13 1 0.21 0.21 0.20 60 +2.5
실시예10 1.0 12.0 0.8 11 1 0.22 0.22 0.21 70 +3.1
실시예11 0.6 12.8 0.5 9 1 0.24 0.23 0.23 90 +3.4
실시예12 1.5 11.0 1.3 13 1 0.21 0.21 0.20 60 +2.4
실시예13 1.0 12.0 0.8 11 1 0.22 0.22 0.21 70 +3.0
A 층중의 불활성 입자
가교 고분자 입자 A 불활성 입자 B 불활성 입자 C
입자의종류,평균입경(da)(㎛) 입자의 함유량(%) 외관의 입자 영율 (㎏/㎟) 입자의종류, 평균입경(db)(㎛) 입자의 함유량(%) 입자의종류,평균입경(dc)(㎛) 입자의 함유량(%) 입자의 평균응집율 (개)
비교예1 -- -- --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2 -- -- -- 탄산칼슘 0.4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3 실리콘수지 1.2 0.01 50 -- --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4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 -- --
비교예5 실리콘수지 0.7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6 실리콘수지 2.0 0.03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7 실리콘수지 1.2 0.0005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8 실리콘수지 1.2 0.05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9 진주형상 실리카 1.2 0.01 20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10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진주 형상의 실리카 0.1 0.2 1.5
비교예11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1.7
비교예12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25.3
비교예13 실리콘수지 1.0 0.01 50 탄산칼슘 0.8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14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1.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15 실리콘수지 1.2 0.01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16 실리콘수지 1.2 0.02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비교예17 실리콘수지 1.2 0.02 50 탄산칼슘 0.6 0.2 θ형 산화알루미늄 0.1 0.2 4.5
A층두께(TA)(㎛) B층두께(㎛) Ta/Da RaA(㎚) 카렌더절삭성(급) 블레이드절삭성 고속주행 저속반복주행 권취성지수 권취성 전자변환성(C/N)
스크래치성 절삭성 스크래치성 주행(μk)
A법 B법 C법 A법 B법 C법 A법 B법 C법 A법 B법 C법
비교예1 2.0 10.0 - 14 1 0.21 0.21 0.21 150 +1.9
비교예2 2.0 10.0 - 11 1 0.23 0.23 0.24 200 × +2.5
비교예3 2.0 10.0 1.7 6 1 0.32 0.31 0.31 140 +3.6
비교예4 2.0 10.0 1.7 14 1 × × × × 0.23 0.23 0.22 60 +1.8
비교예5 2.0 10.0 2.9 14 1 0.21 0.21 0.20 120 +1.8
비교예6 2.0 10.0 1.0 18 4 0.23 0.23 0.22 50 -0.7
비교예7 2.0 10.0 1.7 14 1 0.21 0.21 0.20 110 +1.8
비교예8 2.0 10.0 1.7 17 4 × 0.19 0.19 0.18 40 -0.1
비교예9 2.0 10.0 1.7 14 4 × × × 0.22 0.22 0.28 60 +1.8
비교예10 2.0 10.0 1.7 14 1 0.22 0.22 0.24 60 +1.8
비교예11 2.0 10.0 1.7 14 1 0.24 0.26 0.23 60 +1.8
비교예12 2.0 10.0 1.7 15 2 × × × × × 0.27 0.27 0.28 60 +1.5
비교예13 2.0 10.0 2.0 16 1 0.21 0.21 0.22 110 +1.3
비교예14 2.0 10.0 1.7 26 5 × 0.20 0.20 0.21 80 -2.0
비교예15 0.3 13.4 0.3 7 4 0.30 0.30 0.32 190 × +3.7
비교예16 4.0 6.0 3.3 17 3 0.20 0.20 0.19 50 0
비교예17 14.0 -- 11.7 17 3 0.20 0.20 0.19 50 0

Claims (17)

  1. 폴리에스테르 B 층의 적어도 편면에, 미세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A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A 층 중의 미세입자가 평균입경 (da) 이 0.9 ∼ 1.6 ㎛ 인 가교 고분자입자 (a) 0.001 ∼ 0.03 중량 %, 평균입경 (db) 이 0.4 ∼ 0.8 ㎛ 인 불활성입자 (b) 0.1 ∼ 0.8 중량 %, 및 평균입경 (dc) 이 0.01 ∼ 0.3 ㎛ 이고 또한 모스경도가 7 이상인 불활성 무기입자 (c) 0.05 ∼ 1.0 중량 % 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A) 층의 두께 (TA)(㎛) 와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평균입경 (da)(㎛) 과의 비 (TA/da) 가 0.4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외관 영율이 10 ∼ 100 ㎏f/㎟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평균입경 (da) 이 1.0 ∼ 1.5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함유량이 0.003 ∼ 0.025 중량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교 고분자입자 (a) 가 가교 실리콘수지입자 및 가교 폴리스티렌입자에서 선택되는 1 종이상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불활성입자 (b) 의 평균입경 (db) 이 0.4 ∼ 0.7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불활성입자 (b) 의 함유량이 0.15 ∼ 0.7 중량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 6 항 또는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활성입자 (b) 가 탄산칼슘 입자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불활성 무기입자 (c) 의 평균입경 (dc) 이 0.03 ∼ 0.25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불활성 무기입자 (c) 의 함유량이 0.1 ∼ 0.7 중량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 9 항 또는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활성 무기입자 (c) 가 산화알루미늄 입자 및 스피넬형 산화물 입자에서 선택되는 1 종이상의 응집입자로서, 그 평균 응집도가 2 ∼ 20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A 층의 두께 (TA)(㎛) 와 가교 고분자입자 (a) 의 평균입경 (da)(㎛) 과의 비 (TA/da) 가 0.6 ∼ 1.9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A 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A) 가 8 ∼ 18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 속도 200 m/분에서의 권취성 지수가 100 이하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필름의 세로 방향의 영율이 400 ㎏/㎟ 이상, 가로 방향의 영율이 500 ㎏/㎟ 이상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필름의 총두께가 5 ∼ 25 ㎛ 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인 자기 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8-0705878A 1996-12-09 1997-12-02 자기기록매체용이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KR100449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856996A JP3355284B2 (ja) 1996-12-09 1996-12-09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96-328569 199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155A true KR19990082155A (ko) 1999-11-15
KR100449061B1 KR100449061B1 (ko) 2005-05-16

Family

ID=1821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878A KR100449061B1 (ko) 1996-12-09 1997-12-02 자기기록매체용이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03883B1 (ko)
EP (1) EP0888884B1 (ko)
JP (1) JP3355284B2 (ko)
KR (1) KR100449061B1 (ko)
DE (1) DE69728870T2 (ko)
TW (1) TW345530B (ko)
WO (1) WO1998025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638A (ja) * 1997-10-29 1999-05-21 Teijin Ltd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6773802B2 (en) * 2000-12-05 2004-08-10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321B2 (ja) * 1991-09-25 1997-01-29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フイルム
US5336079A (en) 1991-03-06 1994-08-09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film comprising particles in a specific ratio of particle density
JP3117785B2 (ja) * 1992-05-27 2000-12-18 帝人株式会社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EP0572224B2 (en) 1992-05-27 2004-03-10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CA2103840A1 (en) 1992-08-12 1994-02-13 Iwao Okazaki Biaxially oriented film
JP2998456B2 (ja) * 1992-10-19 2000-01-11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フィルム
JP3672581B2 (ja) 1993-04-30 2005-07-20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134638A (ja) * 1997-10-29 1999-05-21 Teijin Ltd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8884A4 (en) 2000-12-27
JP3355284B2 (ja) 2002-12-09
DE69728870T2 (de) 2005-04-21
DE69728870D1 (de) 2004-06-03
EP0888884B1 (en) 2004-04-28
US6203883B1 (en) 2001-03-20
TW345530B (en) 1998-11-21
JPH10166533A (ja) 1998-06-23
WO1998025766A1 (fr) 1998-06-18
KR100449061B1 (ko) 2005-05-16
EP0888884A1 (en) 199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8866B1 (ko) 2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US5556691A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as base film
KR100420392B1 (ko) 2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JP3724898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6162527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EP0950681B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a containing the film as the base
EP0931808B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KR100449061B1 (ko) 자기기록매체용이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EP0811653B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3655703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942211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545508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048828B2 (ja)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066936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948078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9249754A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1291427A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2363310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291429A (ja) 複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301283A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053656A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228011A (ja) 磁気記録媒体用複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228010A (ja) 磁気記録媒体用複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330311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