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880A -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880A
KR19990010880A KR1019970033756A KR19970033756A KR19990010880A KR 19990010880 A KR19990010880 A KR 19990010880A KR 1019970033756 A KR1019970033756 A KR 1019970033756A KR 19970033756 A KR19970033756 A KR 19970033756A KR 19990010880 A KR19990010880 A KR 1999001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panel
vehicle
bumper
even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3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880A/ko
Publication of KR1999001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880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차체와 조화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범퍼 페이시어와, 상기 범퍼 페이시어의 내면에 충진시켜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는 폼재와, 상기 폼재의 후측에 설치되어 강성을 유지시키고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차체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시키는 보강 패널(103)로 주로 구성한 범퍼(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보강 패널(103)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1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부(123)를 형성시킨 탄성 플레이트(120)로 구성한다.
따라서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범퍼의 보강 패널을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과 있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 발생사고 발생시 보강 패널의 반발력에 의하여 높은 강성을 유지시켜 범퍼의 충격 흡수력을 극대화시키고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차체의 엔진룸 침입량과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 하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안전도를 증대시켜 사고 발생시 차체의 파손과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키도록 하고 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범퍼의 보강 패널을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완충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 발생사고 발생시 보강 패널의 반발력에 의하여 높은 강성을 유지시켜 범퍼의 충격 흡수력을 극대화시키고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차체의 엔진룸 침입량과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하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안전도를 증대시켜 사고 발생시 차체의 파손과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키도록 하고 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키며 약한 충돌 사고 발생시 보강 패널의 반발력에 의한 복원력을 증대시켜 제품의 훼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강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보강 패널을 결합시킨 범퍼 단면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범퍼 구조는 범퍼(100)의 표면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차체와 조화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범퍼 페이시어(101)와, 상기 범퍼 페이시어(101)의 내면에 충진시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는 폼재(102)와, 상기 폼재(102)의 후측에 설치되어 범퍼(100)의 강성을 유지시키고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차체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시키는 보강 패널(103)로 주로 구성하였다.
상기 보강 패널(103)은 전면을 전방으로 약간 볼록하게 형성한 충돌면(113)과, 상기 충돌면(113)의 상,하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충돌 사고 발생시 최대의 강성을 발휘하여 차체 침입량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지지면(114)과, 상기 지지면(114)의 후단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체결공(112)을 형성한 결합편(111)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범퍼 구조는 보강 패널(103)의 후단을 차체의 프레임에 결합시키고 보강 패널(103)의 전면에 범퍼 페이시어(101)를 결합시키되, 상기 보강 패널(103)의 전면과 범퍼 페이시어(101)의 후면 사이에 폼재(102)를 발포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보강 패널(103)은 전면을 전방으로 약간 볼록하게 형성한 충돌면(113)을 형성시키되, 사익 충돌면(113)의 상, 하측에 수평으로 양측의 후단과 중앙의 전단을 덮도록 지지면(114)을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면(114)의 후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결합편(111)의 체결공(112)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차체에 결합시켰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일차적으로 범퍼 페이시어(101)가 부딪힘과 동시에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폼재(102)에서 흡수한 다음 다시 보강 패널(103)에 충격에너지를 차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범퍼 구조는 충돌 사고 발생시 보강 패널 (103)이 단순히 범퍼(100)의 강성만을 보강시켜 충격에너지를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너지의 차단으로 약한 충돌로 인한 적은량의 충격에너지에서도 전면이 찌그러져 다시 복원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범퍼(100)를 정비소에서 정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차량의 범퍼에 설치된 보강 패널에 탄력성을 갖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충격에너지의 차단과 흡수를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므로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하고 따라거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차단/감쇄시켜 차체의 엔진룸 침입량과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하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안전도를 증대시켜 사고 발생시 차체의 파손과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한 충돌 사고 발생시 보강 패널의 반발력에 의한 복원력을 증대시켜 제품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강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강 패널을 결합시킨 범퍼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 발생전 보강 패널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 발생시 보강 패널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충격 발생후 보강 패널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범퍼 101 : 범퍼 페이시어
102 : 폼재 103 : 보강 패널
110 : 지지 플레이트 111 : 결합편
112 : 체결공 113 : 충돌면
114 : 지지면 115 : 플랜지
116 : 체결공 120 : 탄성 플레이트
121 : 플랜지 122 : 체결공
123 : 만곡부 124 : 공간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차체와 조화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범퍼 페이시어와, 상기 범퍼 페이시어의 내면에 충진시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는 폼재와, 상기 폼재의 후측에 설치되어 범퍼의 강성을 유지시키고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차체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시키는 보강 패널로 주로 구성된 범퍼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은 양단에 체결공을 형성시킨 플랜지를 형성한 평판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고 양단에 체결공을 형성시킨 플랜지를 형성하며 전면으로 만곡부를 형성시킨 탄성 플레이트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보강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충격 발생전 보강 패널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충격 발생시 보강 패널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충격 발생후 보강 패널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 본 발명은 표면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차체와 조화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범퍼 페이시어와, 상기 범퍼 페이시어의 내면에 충진시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는 폼재와, 상기 폼재의 후측에 설치되어 강성을 유지시키고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차체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시키는 보강 패널(103)로 주로 구성한 범퍼(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보강 패널(103)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1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1 )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부(123)를 형성시킨 탄성 플레이트(12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는 양단에 플랜지(115)를 형성시키되, 플랜지(115)에 체결공(116)을 형성시킨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는 상단 좌우에는 상향으로 결합편(111)을 형성시키되, 결하편(111)에 체결공(112)을 형성시킨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20)는 지지 플레이트(110)의 정면에 설치하되, 양단에 플랜지(115)를 형성하고 플랜지(115)에 결합편(111)의 체결공(112)가 대응되는 체결공(116)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20)는 전면에 만곡부(123)를 형성시킨 지지 플레이트(110)와 탄성 플레이트(120)사이에 공간부(124)가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 플레이트(110)의 플랜지(115)에 형성된 체결공(116)과 탄성 플레이트(120)의 플랜지(121)의 체결공(122)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 수단으로 체결시킨다.
지지 플레이트(110)와 탄성 플레이트(120)를 체결되면 보강 패널(103)을 차체의 프레임에 결합시킨다.
보강 패널(103)의 결합이 완료되면, 보강 패널(103)에 범퍼 페이시어를 결합시키고 폼재를 충진한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중 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범퍼 페이시어와 폼재를 거쳐 충격에너지가 보강 패널(103)로 전달되는 데, 이때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플레이트(120)가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후방의 공간부(124)로 들어가면서 탄성에 의한 탄성 플레이트(12)의 반발력으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차단하여 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강 패널(103)의 강성을 향상시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차단시킴으로써, 차체의 엔진룸 침입량과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 하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안전도를 증대시켜 사고 발생시 차체의 파손과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또한, 비교적 충격에너지가 적은 접촉 사고 등의 발생시 탄성 플레이트(120)가 자체 탄성에 의하여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부(124)로 들어가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차단한 다음 전방으로 다시 돌출되어 복원되므로 가벼운 접촉사고인 경우 범퍼의 훼손을 최소화 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범퍼의 보강 패널을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과 있도록 하여 차량의 충돌 발생사고 발생시 보강 패널의 반발력에 의하여 높은 강성을 유지시켜 범퍼의 충격 흡수력을 극대화시키고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차체의 엔진룸 침입량과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 하며 이로 인하여 차량의 안전도를 증대시켜 사고 발생시 차체의 파손과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키도록 하고 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한 충돌 사고 발생시 보강 반발력에 의한 복원력을 증대시켜 제품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Claims (2)

  1. 표면에 결합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차체와 조화시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범퍼 페이서어와, 상기 범퍼 페이시어의 내면에 충진시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는 폼재와, 상기 폼재의 후측에 설치되어 범퍼의 강성을 유지시키고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차체의 실내 침입량을 최소화시키는 보강 패널과, 상기 보강 패널의 양단에 체결공을 형성시킨 플랜지를 형성한 평판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고 양단에 체결공을 형성시킨 플랜지를 형성하며 전면으로 만곡부를 형성시킨 탄성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전면에 만곡부를 형성시킨 지지 플레이트와 탄성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KR1019970033756A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KR19990010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756A KR19990010880A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756A KR19990010880A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880A true KR19990010880A (ko) 1999-02-18

Family

ID=6604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756A KR19990010880A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8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21B1 (ko) * 2012-09-19 2014-06-0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유닛
CN109131172A (zh) * 2018-10-26 2019-01-04 山东舜晟冲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防撞保险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21B1 (ko) * 2012-09-19 2014-06-0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유닛
CN109131172A (zh) * 2018-10-26 2019-01-04 山东舜晟冲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防撞保险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0880A (ko) 차량의 범퍼 보강패널 완충 구조
KR0178912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보강구조
KR100424745B1 (ko) 사이드도어의 충격흡수구조
KR100269484B1 (ko) 차량의 루프패널 충격흡수구조
KR200222913Y1 (ko) 에어튜브가 내장된 자동차용 범퍼
KR200156220Y1 (ko) 자동차의 범퍼충격 흡수구조
KR10044517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200148850Y1 (ko) 자동차 사이드 실의 보강 구조
KR200267613Y1 (ko)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 범퍼의 레인포스먼트 범퍼 레일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100513684B1 (ko)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범퍼 구조
KR200157407Y1 (ko) 차량용 범퍼
KR0133779B1 (ko) 자동차 플로어의 터널 보강구조
KR200144097Y1 (ko) 자동차 전면프로텍터의 취부구조
KR100267903B1 (ko)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레일구조
KR200141615Y1 (ko) 충격흡수를 위한 차량의 시트 마운팅구조
KR0160029B1 (ko)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0115981Y1 (ko) 차량의 범퍼스테이
KR200197181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200197880Y1 (ko) 자동차용 루프의 보강구조
KR200224109Y1 (ko) 차량용 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200148109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200151685Y1 (ko) 자동차의 도어 완충부재
KR100269537B1 (ko)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레일구조
KR19990023740U (ko) 차량의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