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516U - 자동차의 하부 차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하부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516U
KR19990004516U KR2019970017676U KR19970017676U KR19990004516U KR 19990004516 U KR19990004516 U KR 19990004516U KR 2019970017676 U KR2019970017676 U KR 2019970017676U KR 19970017676 U KR19970017676 U KR 19970017676U KR 19990004516 U KR19990004516 U KR 199900045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outer
cross member
outer frame
pan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17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516U/ko
Publication of KR19990004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516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하부 차체에 관한것으로써,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일부분이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에 접착되도록 형상 변경되고, 크로스 멤버는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까지 연장되어 용접등에 의하여 결합되며, 용접에 의한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의 외부면은 사이드 프로텍터가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차체구조의 강성이 강화됨으로써, 측면 충돌시, 차체의 비틀림 및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어, 탑승객의 부상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하부 차체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하부 차체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저면 구조를 이루는 플로어 패널위에 횡강성 확보를 위한 크로스 멤버와 실 사이드 패널과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하부 차체는 측부 구조를 이루는 인너 및 아우터 실 사이드 패널(1,3)과 하부 구조를 이루는 플로어 패널(1)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인너 및 아우터 실 사이드 패널(1,3)과 플로어 패널(1)간의 강도 보강을 위해 횡방향을 따라 넘버 2 크로스 멤버(7)가 설치되고, 플로어 패널(1)의 밑면에는 언더 프레임(도면에 미도시)이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부 외측에는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5)이 설치된다.
여기서, 측면충돌시 차체의 비틀림 및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넘버 2 크로스 멤버(3)는 플로어 패널(1)상에 횡으로 설치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융기된 형상으로서, 그 양측 하단이 플로어 패널(1)상에 점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넘버 2 크로스 멤버(7)의 양측단이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3)의 내벽에 그대로 용접 처리된다.
그러나, 상기한 넘버 2 크로스 멤버와 실 사이드 패널과의 접합 구조는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이 비교적 약한 구조로 형성되고, 넘버 2 크로스 멤버의 양측부가 이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부의 면과 용접등의 결합수단등으로 결합됨으로써, 강성이 취약한 관계로 측면충돌시 차체의 휨 하중 및 뒤틀림 하중을 억제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로스 멤버의 지지강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크로스 멤버가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까지 연장 설치된 후,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부에 용접됨으로써, 측면충돌에 대한 차체의 비틀림 및 변형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하부 차체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하부 차체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2의 Ⅱ-Ⅱ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 사이드 인너 패널 3 :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
5 :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 7 : 넘버 2 크로스 멤버
9 : 플로워 패널 11 : 사이드 프로텍터
상기 목적은 자동차의 저면 구조를 이루는 플로어 패널상에 차체의 횡강성 확보를 위한 크로스 멤버가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의 양하단이 플로어 패널상에 고정된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에 있어서,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일부분이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에 접착되도록 형상 변경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는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까지 연장되어 용접등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용접에 의한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의 외부면은 사이드 프로텍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도 2의 Ⅱ-Ⅱ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플로어 패널(9)위에 횡방향으로 넘버 2 크로스 멤버(7)가 설치되고, 넘버 2 크로스 멤버(7)는 실 사이드 인너 패널(1)를 거쳐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3) 면에 용접된다. 이때,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3)은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5)과 접촉되도록 형상 변경이 이루어져 설치되며,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5)의 외부면에는 사이드 프로텍터(11)가 장착된다.
여기서, 사이드 프로텍터(11)는 넘버 2 크로스 멤버(7)의 양끝단면이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3)과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5) 면에 용접되므로써, 용접부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플로워 패널(9)상부에 횡으로 설치되는 넘버 2 크로스 멤버(7) 길이가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3)과 접합 될수 있도록 연장되고, 넘버 2 크로스 멤버(7)의 양 끝단부가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3)과 용접된다.
이때,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3)는 넘버 2 크로스 멤버(7)가 충분히 연장된 길이로 접합될수 있도록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5)과 접촉될수 있도록 형상 변경된다.
이때, 넘버 2 크로스 멤버(7)의 상,하부면 즉, 플로워 패널(9)과 접촉되는 부위도 용접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로스 멤버가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까지 연장 설치된 후,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부에 용접됨으로써, 차량 차체구조의 강성이 강화됨으로써, 측면 충돌시, 차체의 비틀림 및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어, 탑승객의 부상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저면 구조를 이루는 플로어 패널상에 차체의 횡강성 확보를 위한 크로스 멤버가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의 양하단이 플로어 패널상에 고정된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에 있어서,
    실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일부분이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에 접착되도록 형상 변경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는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까지 연장되어 용접등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용접에 의한 사이드 아우터 프레임의 외부면은 사이드 프로텍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하부 차체.
KR2019970017676U 1997-07-04 1997-07-04 자동차의 하부 차체 KR199900045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76U KR19990004516U (ko) 1997-07-04 1997-07-04 자동차의 하부 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76U KR19990004516U (ko) 1997-07-04 1997-07-04 자동차의 하부 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516U true KR19990004516U (ko) 1999-02-05

Family

ID=6968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676U KR19990004516U (ko) 1997-07-04 1997-07-04 자동차의 하부 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51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4516U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KR100309612B1 (ko) 고강성구조를가지는자동차의실사이드실
KR200155333Y1 (ko) 자동차 차체의 연료 탱크 브라켓
KR200252717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연결구조
KR200197871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KR100198117B1 (ko) 화물자동차의 캐빈프론트패널
KR19980025667U (ko) 자동차의 루프 전방 코너 보강구조
KR100320821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19980045249U (ko) 자동차의 실사이드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62975A (ko) 차체의 실 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0333882B1 (ko) 자동차용 프레임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한 보강구조
KR100278202B1 (ko) 차량용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KR20070015273A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9990009315U (ko) 자동차의 전면 차체 보강구조
KR19980029264U (ko) 자동차 프런트도어의 강성보강구조
KR19980041530U (ko) 자동차의 실 사이드(Sill Side)
KR20030052611A (ko) 버스 지붕 코너부와 윈도우 필러부의 연결 구조
KR19980034050U (ko) 고강성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실 사이드부
KR19980032347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KR19980032787U (ko) 자동차용 크로스멤버
KR19980059601A (ko) 고강성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실 사이드부
KR19980038825U (ko) 자동차의 측면 차체 보강구조
KR19980042093U (ko) 고강성 구조를 가지는 차체의 실 사이드부
KR19980056663A (ko) 자동차의 크로스 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