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929A -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이것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이것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929A
KR19980702929A KR1019970706337A KR19970706337A KR19980702929A KR 19980702929 A KR19980702929 A KR 19980702929A KR 1019970706337 A KR1019970706337 A KR 1019970706337A KR 19970706337 A KR19970706337 A KR 19970706337A KR 19980702929 A KR19980702929 A KR 1998070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cording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topically applicable
li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027B1 (ko
Inventor
폴커 아이젠라이히
게르하르트 한티히
에른스트 헤쎄
토르스텐 묄러
Original Assignee
폴커아이젠라이히
게브로브로쉐크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커아이젠라이히, 게브로브로쉐크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폴커아이젠라이히
Publication of KR1998070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액체 지질, 액체 지질 중에 가용성이고 피부에 재흡수되는 1종 이상의 활성 약제 성분, 및 조성물의 주성분을 나타내는 물 함유 겔을 함유하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종 이상의 지질 및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은 겔 중에 혼입되고,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물 함유 겔의 생성을 위해 필요한 겔화제를 제회한 에멀션화제 및 고체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모든 활성 성분은 활성 성분 중 1종 이상이 액체 지질 중에 용해되어 있는 용해된 형태로 사용되고,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지질은 외부상을 형성하는 물 함유 겔 중에 그 자체로 내부상으로서 혼입된다. 조성물은 또한, 본질적으로 표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기술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피부에 재흡수되는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지질 중에 용해시켜서 바람직하게는 진한 용액을 수득하고, 이 용액을 내부상으로서 외부상을 형성하는 하이드로겔(하이드로겔은 조성물의 주성분임) 중에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수득되는 조성물은 매우 안정하고, 생약 특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의 사용방법
상기 유형의 약제 조성물은 공지되어 있다 (DE-A 3,336,047).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의 통상적인 반고체 제조물 형태는 본질적으로, 하이드로겔 또는 리포겔, 에멀션, 연고 및 리포솜 제조물로 구성된다. 이들 일반적 종류의 제조물은 하기와 같은 매우 다양한 단점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
하이드로겔은 종종 이들이 함유하는 일반적으로 높은 함량의 고휘발성 유기 용매, 특히 여러 유형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에 대한 건조 작용이 있다.
에멀션은 이들 내에 함유된 유화제로 인한 알레르기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연고 및 리포겔은, 피부가 단지 느리게 흡수하고 종종 적용 위치를 둘러싸는 부분(의류 등에 대한)을 기름기 있게 만드는 지방 염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포솜 제조물은 리포솜의 비교적 낮은 농도에 의해 제한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유형의 활성 성분을 국소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활성 성분의 예로는, 항류머티즘약, 국소 마취제, 항알레르기약, 혈액 순환을 자극하기 위한 성분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이유로, 활성 성분을 바람직한 약제학적 성질 및 바람직한 미용적 성질 둘 모두를 갖는 담체로 가공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약제 조성물로부터의 활성 성분의 방출은 활성 성분 및 그 자체의 투여 형태가 안정하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또한, 이러한 방출이 가능한 한 빠르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요건은 제조물이 적용하기가 쾌적하고, 피부 내로 빠르게 흡수되고,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전술한 어려움은 예를 들어 비-스테로이드성 항류머티스약인 이부프로펜 중에서 고도로 부닥치게 되며, 그 이유는 이 활성 성분이 유기 매질 내에서도 결정화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활성 성분을 적합한 매트릭스로 가공하는 것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벤질 알코올(GB-A 2 236 250) 또는 메탄올(WO 91/04733)이 사용될 수 있음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해 얻어지는 투여 형태는 여전히 상기 인용된 이유로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이러한 경우는, 활성 성분으로서 이부프로펜을 또한 이용하는 서두(DE-A 3,336,047)에 언급한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에 대한 경우와 유사하며, 이 경우에 활성 성분은 수용성이고 휘발성인 저분자량 알칸올, 물, 적합하다면 자체 에멀션화 지질, 및 겔 형성제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액체 지질; 1종 이상의 액체 지질 중에 가용성이고 피부에 의해 재흡수되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조성물의 주성분인 수화 겔을 포함하여, 1종 이상의 지질 및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겔로 가공되고, 조성물이 본질적으로 수화 겔을 형성시키는 데에 필요한 젤라틴화제를 제외한 에멀션화제 및 고체 성분을 함유하지 않게 되는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수화 겔은 1종 이상의 젤라틴화제(종종 농후제로서 언급됨)를 물로 처리하여 수득되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반고체 하이드로겔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서두에 언급한 단점을 피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필요한 경우,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면서 높은 혈중 농도를 피할 수 있는 서두에언급한 종류의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을 생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약제학적 활성 성분이 이것의 적용시에 투여 형태로부터 쉽게 방출되어, 피부에 의해 빠르게 흡수(재흡수)되고, 동시에 투여 형태 내에서 안정하고 재결정화가 없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른 요건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조성물이 피부를 건조시키지 않고, 피부를 자극시키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용해된 형태로 액체 지질 중에 존재하는, 용해된 형태로 함유된 모든 활성 성분을 가짐으로써, 그리고 외부상으로서의 수화 겔 중에 혼합되어 있는 그 자체로 내부상으로서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지질을 가짐으로써, 그리고 본질적으로 활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종류의 조성물은 분산 겔로서 언급된다. 수중 겔 상 중에 분산된 지질상을 갖는 2상 계가 있다. 상기 지질상 중에는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용해되어 있어서, 활성 성분에 대한 바람직한 침투 성질을 유발시킨다. 이에 의해, 장점은 통상적인 현재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보다 활성 성분의 훨씬 더 큰 농도가 작용 자리에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에멀션 또는 연고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이 비율적으로 훨씬 더 적은 지방을 갖게되기 때문이다. 활성 성분의 동일한 농도(전제 조성물에 대해)를 가정하여, 본 발명 내에서 조성물을 사용하면, 제조물이 피부에 적용되고, 외부 수중 상이 증발한 후에, 활성 성분이 통상적인 2-상 계를 사용하는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 픽(Fick)의 제 1 확산 원리에 따라 재흡수를 위해 더 큰 정도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지질 가용성 활성 물질의 예로는 프레드니졸론, 플루코톨론, 트리암시놀론, 히드로코르티손, 푸시드산, 클로트리마졸, 시클로피록솔아민, 톨나프테이트, 암포테리신 B, 디트라놀, 비타민 A, 비타민 E, 벤조일 퍼옥사이드, 헥세티딘, 에스트라디올, 부펙사마크,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폴리도카놀,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또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살리실레이트, 및 특히 소량의 R(-)이부프로펜과 함께, 표준 시판용 약제 단위에 사용될 수 있는 비-스테로이드성 항류머티스약인 이부프로펜, 특히 S(+)-이부프로펜이 있다. 이부프로펜, 및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약제 조성물 중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활성 성분은 다량의 유기 매질 내에서도 쉽게 용해되고 결정화되는 경향을 갖는 단점이 있다. 라세피 이부프로펜의 마취 및 소염 효과가 2배인 상기 유형의 민감성 활성 성분, 즉 S(+)이부프로펜이 지질과 배합될 경우, 이들은 통상적인 에멀션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훨씬 더 큰 방울 크기의 내부 상(즉,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상)이 결정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허용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상에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안정성의 용액을 형성함이 발견되었다.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액체 지질의 분산된 방울의 크기는 60㎛이어서, 현재의 제조물 중의 에멀션 방울의 크기는 나노미터의 범위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고농축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포화된 용액의 형태로 활성 성분(들)을 지질상 중에 쉽게 도입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약제 조성물이 본질적으로 에멀션화제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인해, 이들의 불리한 효과(알레르기 가능성)는 피해야 한다. 모든 활성 성분이 가용성 형태로 존재하고 지질(들)이 액체이기 때문에, 표면 활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고체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약제 조성물에 관해 유사한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상을 구성하는 수화 겔은 단지 반고체이고, 고체 농후제를 제화한 고체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지질이 물을 첨가하여 에멀션을 제형화시킴으로써 그 자체로, 즉 지질 성질의 변동 없이 수화 겔로 가공된다는 점으로 인해(WO93/18752), 지질의 변동과 관련한 가공 단계는 이것의 비용으로 인해 생략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수단을 유지시키는 데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또한, 본질적으로 휘발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고/않거나 휘발성 저분자량 알칸올을 함유하지 않고/않거나 물과 혼합될 수 있는 보조 용매,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저분자량 액체 폴리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본질적으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약제 조성물의 상기 언급된 주된 본질적 장점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한은 제한된 양의 상기 언급된 첨가제, 예를 들어 알코올이 허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첨가제 성분의 부재로 인해, 저알레르기성 제조물이 제조될 수 있고, 서두에 언급된 바람직한 성질이 최적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휘발성 유기 용매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피부에 대해 불쾌한 감각은 생기지 않고 피부가 과도하게 지방질이 되지 않는다. 이것은 지질 중에 상기 언급된 활성 성분 부분을 함유하는 겔의 성질로 인해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90 중량% 이하(전제량을 기준으로 하여)일 수 있는, 제조물 중의 높은 수함량이다. 이러한 높은 수함량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조성물은 습윤 성질이 있다. 즉, 겔은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고, 환자에 대해 불쾌한 감각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조성물의 pH 값은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약리학적 범위, 즉 5 내지 6으로 유지될 수 있다.
놀랍게도, 완전하게 에멀션화를 함유하지 않고 표면 활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지만, 활성 성분 및 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지질의 분산된 계는 모든 면에서 안정하다.
액체 지질상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사용하기 위해, 많은 천연 및 합성 지방 또는 오일, 특히 피마자유 및/또는 아몬드유 및/또는 참기름 및/또는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라이드 및/또는 이들 성분의 혼합물이 적합하다.
알코올 비함유 겔을 제조하기 위해, 상표명 카르보폴(Carbopol)(등록 상표)로 공지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또는 아크릴산의 중합체몇가지 공지된 젤라틴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조성물이 약 90 중량% 이하의 높은 수함량을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비용매 물의 나머지 부분에도 불구하고, 겔 중의 활성 성분은 결정화되지 않는다.
지질 중에 용해된 활성 성분 또는 그 안에 용해된 활성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조성물에 대해, 또한, 예를 들어 수화 겔 상 중에 용해되는 것보다는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용성 약제 제조물과는 별도로, 이것은 외부 겔상 중에 수용성 활성 성분의 추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의 활성 성분에 대해, 피브를 자극하지 않고, 습윤성이며, 빠르게 흡수되고 미용적으로 쾌적한 분산겔의 성질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수용성 활성 성분의 예로는,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바시트라신, 클린다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어클로비어, 비다라빈, 판토테닐 알코올, 알란토인 또는 히루딘이 있다. 물론, 오일상 중의 가용성 성질을 변동시킨 몇가지 약제 성분이 도입될 수 있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또한 수상 중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유형의 본 발명에 따라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피부에 재흡수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바람직하게는 농축 형태로 지질 중에 용해되고, 용액이 내부상으로서 외부상으로서의 수화 겔과 혼합되어, 수화 겔이 조성물 중의 주성분이 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원리상, 이러한 가공 공정은 어려움이 없고, 표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편리함을 위해, 용해 공정은 가열에 의해 수행되어, 용액은 수화 겔로의 가공 전에 냉각되어야 한다. 단지 중간 정도의 가열이 지질 또는 지질의 배합물 중의 활성 성분(들)의 용액을 조장하기 위해 필요하며; 특히, 활성 성분에 대한 열적 피해가 방지될 수 있도록 너무 가열되지 않아야 한다.
용액은 바람직한 정도의 분산이 달성될 때까지 혼합시킴으로써 겔로 가공되고; 편리함을 위해, 이것은 통상적인 연고병 또는 연고 장치(예를 들어, 프리마, 브로글리, 슈터(Fryma, Brogli, Suter)사의 제품)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지방 또는 오일 입자의 분산도 또는 크기는 대부분 분산 기구의 선택에 의해 측정된다. 고속 기구(균일화기)는 15㎛ 이하의 입자 크기를 수득하는 반면, 간단한 혼합기(예를 들어 블레이드 혼합기)는 60㎛ 이하늬 방울 크기를 수득한다.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겔 중에 분산된 지질 입자는 일반적으로 구형이고, 따라서, 하기에서는 리포스페어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은 피부약 또는 소염 작용을 하는 제제, 특히 항류머티스약을 제조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고; 또한, 신경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 성분으로서 이부프로펜, 바람직하게는 S(+)이부프로펜을 갖는, 유합제, 저알레르기 화장품, 저알레르기 피부약, 경피 비타민 제조물, 좌창 치료제, 항진균약, 항생제, 안티소릭제(antipsori agent), 코르티코이드 제조물 및 지양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합하다.
본 발명은 예시를 위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
실시예 1 :
S(+)이부프로펜 150.0g을 가열하지만 결정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피마자유 300.0g 중에 용해시켰다. 완전히 냉각시킨 후, 고농축 용액을 균일화기의 사용없이 실험실 연고 혼합기(하아게 앤드 리나우 컴패니(Haagen Rinau Company)의 제품)에서 1% 폴리아크릴레이트 겔(상표명 Carbopol 940 NF로 공지됨) 2650g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5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20 내지 30㎛이었다.
실시예 2:
S(+)이부프로펜 7.5㎏을 가열하지만 결정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라이드(상표명 Miglyol 812로 공지됨) 15㎏ 중에 용해시켰다. 완전히 냉각시킨 후, 고농축 용액을 균일화기를 사용하여 연고 장치(브로글리 컴패니(Brogli Company)의 제품)에서 1% 폴리아크릴레이트 겔(상표명 Carbopol 980 NF로 공지됨) 277.5㎏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5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 내지 10㎛이었다.
실시예 3 :
페닐 살리실레이트 20.0g을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라이드(상표명 Tegosoft CT로 공지됨) 100.0g 중에 용해시키고, 이에 의해 수득된 용액을 균일화기를 사용하여 1% 폴리아크릴레이트 겔(상표명 Carbopol 980으로 공지됨) 880.0g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9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 내지 10㎛이었다.
실시예 4 :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0.0g을 중성 오일(상표명 Miglyol 812로 공지됨) 100.0g 중에 용해시키고, 이에 의해 수득된 용액을 균일화기를 사용하여 1% 폴리아크릴레이트 겔(상표명 Carbopol 980으로 공지됨) 890.0g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8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 내지 15㎛이었다.
실시예 5 :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23.0g을 아몬드유 117.0g 중에 용해시키고, 이에 의해 수득된 용액을 균일화기를 사용하여 1% 폴리아크릴레이트 겔(상표명 Carbopol 980으로 공지됨) 860.0g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85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 내지 15㎛이었다.
실시예 6 :
비타민 E 아세테이트 20.0g을 아보카도 오일 100.0g 중에 용해시키고, 이에 의해 수득된 용액을 균일화기를 사용하여 1% 폴리아크릴레이트 겔(상표명 Carbopol 980으로 공지됨) 860.0g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9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 내지 15㎛이었다.
실시예 7 :
헥세티딘 5.0g을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라이드(상표명 Tegosoft CT로 공지됨) 115.0g 중에 용해시켰다. 알란토인 15.0g을 메틸셀루로오스(상표명 Methocel E 10 MC Premium) 35.0g 및 물 830.0g 에 첨가하고 수화 겔로 가공시켜서, 알란토인을 용해시켰다. 두 개의 상을 모두 균일화기를 사용하여 결합시켰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6.78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5 내지 20㎛이었다.
실시예 8 :
S(+)이부프로펜 5.0g을 가열하지만 결정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피마자유 10.0g 중에 용해시켰다. 완전히 냉각시킨 후, 용액을 수동으로 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겔(상표명 Tylose H 4000으로 공지됨) 85.0g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4.22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5㎛ 이었다.
실시예 9:
히드록시에틸 루틴 20.0g을 폴리아크릴레이트(상표명 Carbopol 940으로 공지됨) 10.0g 및 적절한 양의 수산화나트륨으로 가공하여, pH 값이 6.0인 수화 겔 850.0g을 생성시켜서, 히드록시에틸 루틴을 운반하여 겔 중에 용해시켰다. S(+)이부프로펜 50g을 피마자유 100.0g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균일화기에 의해 겔상으로 만들었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6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5 내지 25㎛이었다.
실시예 10:
디클로페낙 나트륨 1.0g을 공정 중에 약간 가열하면서 피마자유 10.0g 중에 용해시켰다. 완전히 냉각시킨 후, 용액을 1% 폴리아크릴레이트 겔(상표명 Carbopol 980으로 공지됨) 89.0g으로 가공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겔의 pH 값은 5.6이었다. 리포스페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 내지 15㎛이었다.

Claims (29)

1종 이상의 액체 지질;
1종 이상의 액체 지질 중에 가용성이고 피부에 재흡수되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조성물의 주성분인 수화 겔을 포함하여,
1종 이상의 지질 및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겔로 가공되고, 조성물이 수화 겔을 형성시키는 데에 필요한 젤라틴화제를 제외한 에멀션화제 및 고체 성분을 함유하지 않게 되는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로서,
모든 활성 성분이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용해된 형태로 액체 지질 중에 존재하며,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지질이 그 자체로 내부상이고, 외부상으로서의 수화 겔로 가공되고, 조성물이 표면 활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휘발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휘발성 저분자량 알칸올을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과 혼합될 수 있는 보조 용매,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저분자량 액체 폴리알코올,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마자유 및/또는 아몬드유 및/또는 참기름 및/또는 중간 사슬 트리글리세라이드 및/또는 이들 성분의 혼합물이 액체 지질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겔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함량이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고농축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과포화된 용액으로 지질 중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지질 중에 용해되는 것과는 상이한 형태로, 특히 수성 겔상 중에 용해된 형태로 겔 중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부프로펜, 특히 S(+)이부프로펜이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비-스테로이드성 항류머티스약, 예를 들어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인도메타신, 플루페남산, 펠비낙, 히드록시에틸 살리실레이트, 에토페나마트 또는 나프록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프레드니졸론, 플루코르톨론, 트리아미시놀론, 히드로코르티손, 푸시드산, 클로트리마졸, 시클로피록솔아민, 톨나프테이트, 암포테리신 B, 디트라놀, 비타민 A, 비타민 E, 벤조일 퍼옥사이드, 헥세티딘, 에스트라디올, 부펙사마크, 폴리도카놀,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또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살리실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바시트라신, 클린다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어시클로비어, 비다라빈, 판토테닐 알코올, 알란토인 또는 히루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피부에 재흡수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농축된 형태로 지질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외부상으로의 수화 겔 중에 내부상으로서 혼합시켜서, 수화 겔이 조성물 중의 주성분이 되게 하는,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제 14항에 있어서, 용해 공정이 가열에 의해 수행되어, 용액이 수화 겔로 가공되기 전에 냉각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지질 중에 활성 성분을 용해시키는 공정이 과포화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계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액이 바람직한 분산도가 달성될 때까지 혼합에 의해 겔로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피부약, 특히 저알레르기성 피부약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항생 작용을 하는 피부약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소염 작용을 하는 제제, 특히 항류머티스약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유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단순 포진(열성 수포)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항치핵제의 제조를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좌창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안티소릭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항진균제의 제조를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피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제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피부 비타민 제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신경피부염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의 사용 방법.
KR1019970706337A 1995-03-17 1996-03-14 국소적으로 도포 가능한 약제 조성물,이것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의 용도 KR100253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47595A AT408067B (de) 1995-03-17 1995-03-17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applizier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TA475/95 1995-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929A true KR19980702929A (ko) 1998-09-05
KR100253027B1 KR100253027B1 (ko) 2000-05-01

Family

ID=349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337A KR100253027B1 (ko) 1995-03-17 1996-03-14 국소적으로 도포 가능한 약제 조성물,이것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의 용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5894019A (ko)
EP (1) EP0814776B1 (ko)
JP (1) JPH11502809A (ko)
KR (1) KR100253027B1 (ko)
AT (2) AT408067B (ko)
AU (1) AU697767B2 (ko)
BR (1) BR9607668A (ko)
CA (1) CA2211006C (ko)
CZ (1) CZ291211B6 (ko)
DE (2) DE29680194U1 (ko)
DK (1) DK0814776T3 (ko)
ES (1) ES2160803T3 (ko)
GR (1) GR3036772T3 (ko)
HU (1) HU222047B1 (ko)
NO (1) NO315685B1 (ko)
NZ (1) NZ303085A (ko)
PL (1) PL186445B1 (ko)
PT (1) PT814776E (ko)
SK (1) SK282261B6 (ko)
WO (1) WO1996029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8067B (de) * 1995-03-17 2001-08-27 Gebro Pharma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applizier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643831A1 (de) 1996-10-30 1998-05-07 Hoechst Ag Verwendung von 1-Hydroxy-2-pyridonen zur Behandlung von schwer therapierbaren Schleimhauterkrankungen
DE19639817A1 (de) 1996-09-27 1998-04-02 Hoechst Ag Verwendung von 1-Hydroxy-2-pyridonen zur Behandlung von Hautinfektionen
DE19639816A1 (de) 1996-09-27 1998-04-02 Hoechst Ag Antimykotische Mittel mit hoher Wirkstofffreisetzung
US20040039030A1 (en) 1996-09-27 2004-02-26 Hoechst Akeengesellschaft Use of 1-hydroxy-2-pyridones for the treatment of seborrheic dermatitis
DE19725615A1 (de) * 1997-06-17 1998-12-24 Permamed Ag Zur topischen Applikation bestimmte Diclofenac-Lösung
KR100483227B1 (ko) * 1997-07-30 2005-10-19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푸시딘산외용분사제조성물
DE19823319A1 (de) * 1998-05-26 1999-12-02 Karl Engelhard, Fabrik Pharm.- Praeparate Gmbh & Co. Kg Topisch anwendbares Arzneimittel zur Behandlung von Virusinfektionen
FR2779962B1 (fr) * 1998-06-17 2002-12-06 Karim Ioualalen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sous forme de perles et procedes pour la preparation
DE19951474A1 (de) * 1999-10-26 2001-05-23 Homoeopathie Union Dhu Arzneim Celluloseether stabilisierte Öl-in-Wasser Emulsionen als Träger für homöopatische und pflanzliche Wirkstoffe
US6387383B1 (en) 2000-08-03 2002-05-14 Dow Pharmaceutical Sciences Topical low-viscosity gel composition
US7198801B2 (en) 2000-08-03 2007-04-03 Antares Pharma Ipl Ag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or transmucosal application
US8980290B2 (en) 2000-08-03 2015-03-17 Antares Pharma Ipl Ag Transdermal compositions for anticholinergic agents
US6503894B1 (en) * 2000-08-30 2003-01-07 Unimed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hypogonadism
US20040092494A9 (en) * 2000-08-30 2004-05-13 Dudley Robert E. Method of increasing testosterone and related steroid concentrations in women
US20020165286A1 (en) * 2000-12-08 2002-11-07 Hanne Hedeman Derm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R2822070B1 (fr) * 2001-03-15 2006-01-06 Andre Salkin Utilisation d'un derive de biguanide et d'une pyrimidine pour la fabrication d'une composition de soin cosmetique
CN1582142A (zh) * 2001-10-04 2005-02-16 麦克罗开姆公司 布洛芬盐乳化剂和包含其的霜剂制剂
US20110142922A1 (en) * 2002-04-30 2011-06-16 Ferndale Ip, Inc. Stabilized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US8492443B2 (en) * 2002-07-08 2013-07-23 Joe S. Wilkins, Jr. Treatment for herpes simplex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US7132452B2 (en) * 2003-03-10 2006-11-07 Fang-Yu Lee Topical formulation having effects on alleviating pain/inflammation caused by herpes virus infection
US20050037040A1 (en) * 2003-08-13 2005-02-17 Moshe Arkin Topical compositions of urea and ammonium lactate
US20050042182A1 (en) * 2003-08-13 2005-02-24 Moshe Arkin Topical compositions of urea
US20050036953A1 (en) * 2003-08-13 2005-02-17 Moshe Arkin Topical compositions of ammonium lactate
DE10330243A1 (de) * 2003-07-03 2005-01-20 bitop Aktiengesellschaft für biotechnische Optimierung Verwendung von aus extremophilen Bakterien gewonnenen Osmolyten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zur äusserlichen Behandlung der Neurodermitis
US20050025833A1 (en) * 2003-07-16 2005-02-03 Chaim Aschkenas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US20050042268A1 (en) * 2003-07-16 2005-02-24 Chaim Aschkenas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ES2237298B1 (es) 2003-07-16 2006-11-01 Italfarmaco, S.A. Formulaciones mucoadhesivas semisolidas.
US20050020552A1 (en) * 2003-07-16 2005-01-27 Chaim Aschkenas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ITMI20031640A1 (it) * 2003-08-08 2005-02-09 Mipharm S P A Base per gel bioadesivi.
AU2004283431B2 (en) 2003-10-10 2009-09-10 Antares Pharma Ipl Ag Transderm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minimizing skin residues
US20050136116A1 (en) * 2003-12-18 2005-06-23 Keith Whitehead Stabilized prednisolone sodium phosphate solutions
US20060194759A1 (en) * 2005-02-25 2006-08-31 Eidelson Stewart G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ain and inflammation
MX2007011048A (es) 2005-03-10 2007-11-07 Jr Chem Llc Composiciones estables de peroxido organico.
CA2600547A1 (en) * 2005-03-10 2006-09-21 Jr Chem, Llc Benzoyl perox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70088012A1 (en) * 2005-04-08 2007-04-19 Woun Seo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type-2 diabetes
WO2006125642A1 (en) 2005-05-27 2006-11-30 Antares Pharma Ipl Ag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dermal or transmucosal application of testosterone
US20090306023A1 (en) * 2005-06-29 2009-12-10 Ramirez Jose E Stable organic peroxide compositions
AR054805A1 (es) * 2005-06-29 2007-07-18 Stiefel Laboratories Composiciones topicas para el tratamiento de la piel
US20070001145A1 (en) * 2005-06-29 2007-01-04 Faryniarz Joseph R Stable organic peroxide compositions
WO2007002880A2 (en) * 2005-06-29 2007-01-04 Jr Chem, Llc Method of enhanced drug application
US7556820B2 (en) 2005-06-29 2009-07-07 Jr Chem, Llc Stable organic peroxide compositions
WO2007008119A1 (en) * 2005-07-12 2007-01-18 El Fatih Osman Hassan The use of ketoprofen in treating hemorrhoids
EP1945307B1 (en) * 2005-10-11 2013-03-27 DPT Laboratories, LTD. Surfactant-free dispersions, compositions, and use in topical formulations
DK1937276T3 (da) 2005-10-12 2013-02-11 Besins Healthcare Luxembourg Forbedret testosterongel og fremgangsmåde til anvendelse deraf
FR2892936A1 (fr) * 2005-11-10 2007-05-11 Galderma Res & Dev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et procede de solubilisation mixte pour preparer la composition.
WO2007092312A2 (en) * 2006-02-03 2007-08-16 Stiefel Laboratories, Inc. Topical skin treating compositions
KR101368107B1 (ko) 2006-03-31 2014-03-14 스티펠 리서치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발포성 현탁겔
NZ571460A (en) 2006-04-21 2010-10-29 Antares Pharma Ipl Ag Methods of treating hot flashes with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or transmucosal application
ES2310968B1 (es) 2007-06-25 2010-02-08 Italfarmaco, S.A. Uso de estriol en bajas dosis.
ES2344673B1 (es) 2008-08-07 2011-05-03 Italfarmaco, S.A. Uso de estriol en la preparacion de una formulacion farmaceutica parael tratamiento de atrofia vaginal en mujeres con riesgo de potologiatumoral.
ES2344675B1 (es) 2008-12-19 2011-04-28 Italfarmaco, S.A. Uso de estriol en la preparacion de una formulacion farrmaceutica para el tratamiento de atrofia vaginal en mujeres con riesgo de patologiacardiovascular.
KR20120026050A (ko) 2009-04-08 2012-03-16 카딜라 핼쓰캐어 리미티드 디클로페낙의 안정한 약학적 조성물
EP2512446B1 (en) * 2009-12-16 2015-04-08 Shasun Pharmaceuticals Limited Composition of dexibuprofen transdermal hydrogel
WO2012053013A2 (en) 2010-10-21 2012-04-26 Cadila Healthcare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nti-acne agents
WO2012053012A2 (en) 2010-10-21 2012-04-26 Cadila Healthcare Limited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fflocolchicoside
WO2012053008A1 (en) 2010-10-21 2012-04-26 Cadila Healthcare Limited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etodolac
US9789123B2 (en) 2010-10-21 2017-10-17 Cadila Healthcare Limited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anodroplets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US8992994B2 (en) 2010-10-21 2015-03-31 Cadila Healthcare Limited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anodroplets for the treatment psoriasis
WO2012053010A2 (en) 2010-10-21 2012-04-26 Cadila Healthcare Limited Method for treatment of acne us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clindamycin
US9636353B2 (en) 2010-10-21 2017-05-02 Cadila Healthcare Limited Method for treatment of acne us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clindamycin and adapalene
WO2012127496A1 (en) 2011-03-01 2012-09-27 Cadila Healthcare Limited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lornoxicam or salts thereof
WO2013014680A1 (en) 2011-07-28 2013-01-31 Cadila Healthcare Limited Method for treatment of pain and inflammation
IT202100023921A1 (it) * 2021-09-21 2023-03-21 Casadei Elena Francesca Composizione per il trattamento analgesico e riepitelizzante del tessuto vulvo-vaginale e perineale.
DE102021125624A1 (de) 2021-10-04 2023-04-06 Dr. Theiss Naturwaren Gmbh Äußerlich anwendbare Zusammensetzu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76852A (fr) * 1906-06-22 1907-08-23 Francois Alcide Groc Pere Carton planchette à dessin pouvant loger tous les accessoires : crayons, pochette, équerres, gommes, etc.
ATE6466T1 (de) * 1979-10-26 1984-03-15 Smith And Nephew Associated Companies P.L.C. Autoklavierbare emulsionen.
DE3205504C2 (de) * 1982-02-16 1983-12-01 Dolorgiet Gmbh & Co Kg, 5300 Bonn Äußerlich anwendbares, Ibuprofen enthaltendes Arzneimittel
CH655656B (ko) * 1982-10-07 1986-05-15
NZ208338A (en) * 1983-06-09 1987-11-27 Bristol Myers Co Stabilisation of anthralin compositions by uncorporation of acid-stable anionic surfactant
US4708861A (en) * 1984-02-15 1987-11-24 The Liposome Company, Inc. Liposome-gel compositions
US4897269A (en) * 1984-09-24 1990-01-30 Mezei Associates Limited Administration of drugs with multiphase liposomal delivery system
JPH0735332B2 (ja) * 1986-02-25 1995-04-19 久光製薬株式会社 外用クリ−ム製剤
JPH0735330B2 (ja) * 1986-03-12 1995-04-19 久光製薬株式会社 外用クリ−ム組成物
LU87416A1 (fr) * 1988-12-29 1990-07-10 Cird Microgranules charges en une substance active,constitues essentiellement d'un triglyceride d'acides gras satures et leur utilisation par voie topique dans le domaine therapeutique
US5064655A (en) * 1989-02-24 1991-11-12 Liposome Technology, Inc. Liposome gel composition and method
GB8921710D0 (en) * 1989-09-26 1989-11-08 Mentholatum Co Ltd Ibuprofen triturates and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GB2236250A (en) * 1989-09-26 1991-04-03 Mentholatum Co Ltd Ibuprofen solutions and topical compositions
FR2663538A1 (fr) * 1990-06-26 1991-12-27 Cird Galderma Procede de preparation de microspheres de corps gras chargees ou non chargees en une substance active.
DE4028906A1 (de) * 1990-09-12 1992-03-19 Paz Arzneimittelentwicklung Arzneimittel sowie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bei der bekaempfung von schmerzen und/oder entzuendungen und/oder fieber an tieren und menschen
FR2675998B1 (fr) * 1991-05-03 1995-03-10 Oreal Procede pour ameliorer l'efficacite therapeutique d'agents antifongiques liposolubles de la famille des imidazoles et composition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US5501850A (en) * 1992-02-13 1996-03-26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Use of benzimidazole derivatives as light protection filters
IL101387A (en) * 1992-03-26 1999-11-30 Pharmos Ltd Emulsion with enhanced topical and/or transdermal systemic effect utilizing submicron oil droplets
WO1994000104A1 (en) * 1992-06-25 1994-01-06 Stewart Ernest G Water resistant sunscreen protection and insect repellent compound
CA2137143A1 (en) * 1992-09-30 1994-04-14 Barry A. Salka Methods for improving uv absorbance of sunscreen compounds
DE4303983C2 (de) * 1993-02-11 1998-01-2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anorganischen Mikropigmenten
US5549901A (en) * 1994-05-20 1996-08-27 Novavax, Inc. Antimicrobial oil-in-water emulsions
AT408067B (de) * 1995-03-17 2001-08-27 Gebro Pharma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applizier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680194U1 (de) 1998-03-19
WO1996029056A1 (de) 1996-09-26
DE59607224D1 (de) 2001-08-09
JPH11502809A (ja) 1999-03-09
ATA47595A (de) 2001-01-15
AT408067B (de) 2001-08-27
NZ303085A (en) 1998-11-25
PT814776E (pt) 2001-12-28
NO315685B1 (no) 2003-10-13
AU697767B2 (en) 1998-10-15
CA2211006A1 (en) 1996-09-26
NO974023D0 (no) 1997-09-02
SK99797A3 (en) 1998-01-14
CZ284097A3 (en) 1997-11-12
EP0814776A1 (de) 1998-01-07
NO974023L (no) 1997-09-02
GR3036772T3 (en) 2002-01-31
CZ291211B6 (cs) 2003-01-15
PL322267A1 (en) 1998-01-19
BR9607668A (pt) 1998-06-16
HU222047B1 (hu) 2003-04-28
ATE202698T1 (de) 2001-07-15
HUP9801175A2 (hu) 1998-08-28
PL186445B1 (pl) 2004-01-30
KR100253027B1 (ko) 2000-05-01
SK282261B6 (sk) 2001-12-03
US5894019A (en) 1999-04-13
AU4930796A (en) 1996-10-08
EP0814776B1 (de) 2001-07-04
HUP9801175A3 (en) 2000-06-28
DK0814776T3 (da) 2001-10-22
CA2211006C (en) 2001-08-07
ES2160803T3 (es)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027B1 (ko) 국소적으로 도포 가능한 약제 조성물,이것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의 용도
US10821075B1 (en)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of a medicaments onto a mammalian body surface
US5314685A (en) Anhydrous formulations for administering lipophilic agents
KR0135313B1 (ko) 국소투여용 메트로니다졸 제형
EP1083880B1 (en) Stable gel mixture in the form of a mixture of oleogel and aqueous gel
WO1991008733A1 (en) Stable cream and lotion bases for lipophilic drug compositions
JP2004508405A (ja) 全身作用を有する新規な局所用エストロゲン−プロゲストゲン組成物
JP2006008700A (ja) 超微小油球体を用いての局部用及び経皮用投与システム
JP2003533491A (ja) 薬学的及び/又は美容的組成物
JPH0643317B2 (ja) 抗炎症クリーム組成物
JPH0250882B2 (ko)
EP1588697A1 (en) Emulsion gel for topical application of pharmaceuticals
JPH0676328B2 (ja) ステロイドクリ−ム製剤
JP2001163766A (ja) 五環性トリテルペン酸を含む組成物、特に化粧品組成物
WO199302412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vulgaris
JPH05331050A (ja) 消炎鎮痛外用剤
JPH05503695A (ja) 医薬製剤
WO1999007355A1 (fr) Preparation contenant de l'idebenone pour administration par voie percutanee
HU224686B1 (hu) Külsőleg alkalmazható, nimeszulido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 és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Shah et al. Emulgel-Novel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JPS62215528A (ja) 経皮投与製剤
JPH05331049A (ja) 消炎鎮痛外用剤
JP2001233772A (ja) 外用剤組成物
JPH06312929A (ja) 酪酸クロベタゾン含有水性貼付剤
JPH05331048A (ja) 消炎鎮痛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