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901A -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 Google Patents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901A
KR19980702901A KR1019970706309A KR19970706309A KR19980702901A KR 19980702901 A KR19980702901 A KR 19980702901A KR 1019970706309 A KR1019970706309 A KR 1019970706309A KR 19970706309 A KR19970706309 A KR 19970706309A KR 19980702901 A KR19980702901 A KR 1998070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upport sleeve
capped
metal
de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557B1 (ko
Inventor
페터 헬비히
헤르만 슈타이너
Original Assignee
타실로다우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퓌어엘렉트리쉐글뤼람펜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실로다우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퓌어엘렉트리쉐글뤼람펜엠베하 filed Critical 타실로다우너
Publication of KR1998070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8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 H01J5/60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for fastening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01K1/46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cap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개구부(17a)가 구비되고 반사기 벽(17) 내부에 만들어지는 반사기를 설치하기 위한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에 관한 것이다. 램프는, 램프의 전구가 고정되는 금속 홀더부(12)를 갖는 금속/플라스틱 캡, 금속 홀더부(12)에 연결되는 금속지지슬리브(13), 및 램프의 전기 연결부(15)가 구비되고 지지슬리브(1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14)를 가지고 있다. 램프캡은 반사기 내부에 있는 램프의 고정 및 정확한 설치를 위해 사용되고 평면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시러그들(14a)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플라스틱 지시러그들(14a)은 금속 커버 클립들(13b)에 의해 덮임으로써, 지시러그들(14a)은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 방사선을 차단하게 되고 또는 지시러그들(43b)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4,412,273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기술되는 램프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사용되는 단일캡을 갖는 할로겐 백열램프이다. 이 램프는 금속 및 플라스틱 부품으로 만들어진 램프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램프캡은, 컵모양의 금속 고정링, 금속지지슬리브 및 램프에 전기적 연결부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캡 베이스을 가지고 있다. 지지슬리브는 그것이 고정되는 캡 베이스로부터 망원경식으로 튀어나와 있고, 통합되게 형성된 다수의 용접 태브를 사용하여 고정링에 용접되어 있다. 고정링은 램프 전구의 단부가 고정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 캡 베이스는 고리형상의 플랜지 및 정렬판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 및 정렬판 사이에는,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그루브가 존재하고 있고, 이 그루브는 램프 소켓처럼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개스킷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렬판은 대략 반사기의 내측부에서 끝나게 된다.
플라스틱은 가열될 때, 증기를 방출하여 반사기를 희미하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캡 베이스의 정렬판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우에,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에 직접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플라스틱은 상대적으로 높은 열팽창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램프에 생성된 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정렬판을 가열함에 따라 광원이 제대로 정렬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지지슬리브를 망원경식으로 설계함에 따라, 램프는 상대적으로 긴 전장길이를 가지게 되고, 이에 상응하여 깊은 반사기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4항의 전제부에 따른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및 청구항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따른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과 반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부분단면도로 도시된 전기램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부분단면도로 도시된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 부분단면도로 도시된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로서, 부분단면도로 도시된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램프의 압력 스프링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램프의 압력 스프링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로서, 부분단면도로 도시된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의 측면도,
도 10은 제 5실시예에 따라, 지지슬리브가 주입되는 플라스틱 캡부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압력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고, 반사기 내부에 설치되며, 개선된 램프캡을 갖는 전기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 1항, 제 4항, 제 16항 또는 제 17항의 특징부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이로운 실시예가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는 반사기 예를 들어,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기 내부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램프는 금속 및 플라스틱 부품으로 만들어진 캡을 가지고 있다. 램프캡은 램프전구가 고정되는 금속 홀더부, 홀더부를 지지하는 금속지지슬리브, 및 램프의 전기적 연결부를 제공하고 지지슬리브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를 가지고 있다.
플라스틱 캡부는 다수의 지시러그들을 가지고 있고, 이들 지시러그들은 공통 평면 내부에 위치하여, 한편으로는 반사기 내부의 램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고, 또 한편으로는 반사기 내부의 광원의 위치를 결정하며, 램프캡이 고정될 때 광원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평면을 한정하게 된다. 이들 플라스틱 지시러그들은, 램프 소켓같이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 내부를 차지하게 되고, 본 발명에 따라 각 러그는 금속지지슬리브 상에서 통합되게 형성된 커버 클립에 의해 덮혀져 있다. 그래서, 지시러그들은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 방사선 특히, 적외선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커버 클립들은 램프 전구와 대면하는 지시러그들의 상부를 덮게 된다. 커버 클립들은 일면으로는 플라스틱 지시러그들이 증기를 방출하여 반사기를 희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다른 면으로는 광원이 지시러그들의 열팽창에 의해 원래대로 정확하게 조정된 위치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금속 커버 클립들은 플라스틱 지시러그들보다 더 높은 강도 뿐만아니라 휠씬 낮은 열팽창을 갖는다. 그래서, 이들은 지시러그들의 열적 유도 변형 및 이에 동반되는 반사기 내부의 광원의 미정렬을 방지하게 된다. 지시러그들은, 특히 가열될 때, 램프 캡에 더 큰 기구적 안정도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소켓으로서 설계되는 반사기 개구부 내부를 채우는 지시러그들이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금고지지슬리브와 함께 통합되게 형성되는 것에서 얻어진다. 이들 장치에 의해, 램프 캡은 더 큰 기구적 안전도를 얻게되고, 반사기 내부의 광원의 미정렬은 램프 캡의 열팽창 때문에, 더욱 방지된다.
지지슬리브는 강철 혹은 독일제 은으로 만들어지면 이득이 많다 .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캡부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지지슬리브는 고리형상으로 설계되어,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의 맞물림 직경에 매칭되고, 또한 램프가 램프소켓에서 반사기 내부에 설치된 후에, 반사기 측벽 상에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스프링에 의해, 램프는 반사기의 램프소켓 내부에서 단단하게 고정되고, 램프캡 및 램프 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를 제조하는 동안 발생하는 약간의 공차를 보상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스프링은 절곡판스프링으로 설계되면 이득이 많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판스프링의 일단은 금속지지슬리브에 용접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램프캡 상에서 지지되어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래서, 판 스프링은, 램프가 설치된 후에 램프소켓으로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의 단부들은 금속지지슬리브와 플라스틱 캡부 사이의 오목부 내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판 스프링은, 램프가 설치된 후에 램프 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압력스프링은 스프링 강철로 만들어지면 이득이 많다.
플라스틱 캡부는 일반적으로 주입-몰딩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금속지지슬리브는 플라스틱 캡부로 주입되거나 캐치 또는 스냅 고정장치에 의해 플라스틱 캡부 내부에 고정되면 이득이 많다.
홀더부는, 통합되게 형성되고 각도가 기울어진 용접클립이 구비되어 있는 중간링을 통해, 지지슬리브에 연결되면 이득이 많다. 중간링의 용접클립들은, 지지슬리브 상에 통합되게 형성된 커버 클립들 또는 금속지시러그들에 용접되면 이득이 많다. 중간링은 광원의 정렬을 위해 두 개의 추가 자유 각도를 제공함으로써, 광원의 5축 정렬이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라스틱 캡부는, 개스킷을 수용하기 위하여, 고리모양으로 연장된, 바람직하게는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를 가지고 있다. 개스킷의 내경은 고리모양으로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에 매칭되고, 개스킷의 높이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변하게 되면, 이득이 많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개스킷은 플라스틱 캡부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자리잡게 되고, 캡으로부터 떨어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램프의 램프 캡은 금속캡의 잇점 즉, 낮은 제조공차 및 정확한 광원의 정렬가능성, 및 플라스틱 캡의 잇점, 즉 저렴한 제조원가 및 캡의 간단한 고정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램프의 제 1실시예(도 1 및 도 2)는 자동차 전조등에서 사용되는 단일 필라멘트 할로겐 백열램프이다. 이 램프는, 일반적으로 핀치 단부(10a)라고 불리어지는 핀치봉합 램프 전구 단부(10a)를 갖는 원통형 유리 램프전구(10)를 가지고 있다. 램프전구(10)의 돔(10b)은 검은색의 흡광 코팅부로 구비되어 있다. 사용되는 광원은 램프전구의 축선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핀치 단부(10a)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전기 공급 도선(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백열필라멘트(10c)이다. 램프전구(10)는 고정링으로 설계된 금속 홀더부(12) 내부에 있는 핀치 단부(10a)를 통해 고정된다. 고정링(12)은 고리모양의 금속 지지슬리브(13)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슬리브(13)는 고정링(12)에 스폿용접 또는 레이저용접되어 통합되게 형성된 4개의 용접태브(13a)를 가지고 있다. 금속고정링(12) 및 금속지지슬리브(13)에 부가되어, 램프캡도 또한 램프의 전기 연결부(15)가 구비되고 지지슬리브(1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14)를 가지고 있다. 램프의 전기 연결부(15)는 전기 공급도선들(11) 중 하나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플라스틱 캡부(14)는 금속지지슬리브(13)가 주입되는 주입-몰딩부이다. 플라스틱 캡부(14)는 통합되게 형성된 3개의 지시러그들(14a)들을 가지고 있다. 지시러그들(14a)은 원주를 따라 등거리에 배치되고, 백열 필라멘트(10c)를 정렬하고 전조등의 반사기(17) 내부에 있는 램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램프소켓처럼 설계된 반사기(17) 내부의 개구부(17a)에 수용되는 지시러그들(14a)은, 지지슬리브(13) 상에서 기울어지게 통합되게 형성된 커버 클립(13b)에 의해 덮혀져 있고, 백열 필라멘트(10c)에 의해 생성되는 적외선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커버 클립들(13b)은 램프 전구와 대면하는 지시러그들(14a)의 상부를 덮게 된다. 플라스틱 캡부(14)는 더욱이 고리모양으로 연장되어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14b)를 가지고 있고, 그루브(14b) 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개스킷(16)이 배열된다. 개스킷(16)은 반사기 벽(17)의 외부 상에서 지지되어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루부(17a)를 밀폐시키게 된다. 개스킷(16)의 내경은 고리모양으로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14b)에 매칭되고, 개스킷의 높이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플라스틱 캡부(14)는, 전기 공급도선(11)에서 램프캡을 밀폐시키는 주조 화합물로 막혀져 있다. 3개의 지시러그들(14a), 금속지지슬리브(13) 상에 있는 지시러그(14a) 하부에 형성된 개스킷(16) 및 압력스프링(13c)은, 램프를 반사기의 램프소켓(17a) 내부의 수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램프캡 및 램프소켓(17a)은 베이어네트 연결을 형성한다. 램프를 반사기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램프는 램프전구(10)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17a) 안으로 삽입되고, 3개의 지시러그들(14a)은 개구부(17a)의 가장자리 부분에 있는 매칭된 오목부를 통해 각각 자리잡게 된다. 램프는 멈춤부(미도시)에 도달하기 까지는 램프소켓 내부에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반사기 벽(17)은 지시러그들(14a)과 개스킷(16) 사이에서 고정된다. 압력스프링(13c)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17a)의 가장자리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반사기 내부에 있는 램프의 잘못된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3개의 지시러그들(14a) 중 하나는 나머지 두 개의 지시러그들(14a)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물론, 나머지 지시러그들과 같은 형상을 갖는 지시러그도, 지시러그들(14a)에 매칭되고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개구부(14a) 안의 오목부에 대해서는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된다. 압력스프링(13c)의 상세한 사항은 도 7 및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제시되어 있다. 제 2실시예는, 추가의 캡 구성요소로서 삽입되고 고정링을 지지슬리브로 연결하는 중간링(28)에 의해, 제 2실시예와는 본질적으로 다른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램프의 제 2실시예도 마찬가직로 자동차 전조등에서 사용되는 단일 필라멘트 할로겐 백열램프이다. 이 램프는, 일반적으로 핀치 단부(20a)라고 불리어지는 핀치봉합 램프 전구 단부(20a)를 갖는 원통형 유리 램프 전구(20)를 가지고 있다. 램프전구(20)의 돔(20b)은 검은색의 흡광 코팅부로 구비되어 있다. 사용되는 광원은 램프전구의 축선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핀치 단부(10a)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전기 공급 도선(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백열필라멘트(20c)이다. 램프전구(20)는 고정링으로 설계된 금속 홀더부(22) 내부에 있는 핀치 단부(20a)를 통해 고정된다. 고정링(22)은 통합되게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3개의 용접클립들(28a)가 구비된 금속 중간링(28)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링(28)의 3개의 용접클립들(28a)은 고리모양의 금속지지슬리브(23)의 커버클립(23a)에 각각 레이저용접된다. 금속고정링(22), 중간링(28) 및 금속지지슬리브(23)에 부가되어, 램프캡도 또한 램프의 전기 연결부(25)가 구비되고 지지슬리브(2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24)를 가지고 있다. 램프의 전기 연결부(25)는 전기 공급도선들(21) 중 하나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플라스틱 캡부(24)는 금속지지슬리브(23)가 주입되는 주입-몰딩부이다. 플라스틱 캡부(24)는 통합되게 형성된 3개의 지시러그들(24a)들을 가지고 있다. 지시러그들(24a)은 원주를 따라 등거리에 배치되고, 백열 필라멘트(20c)를 정렬하고 전조등의 반사기(27) 내부에 있는 램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램프소켓처럼 설계된 반사기(27) 내부의 개구부(27a)에 수용되는 지시러그들(24a)은, 지지슬리브(23) 상에서 기울어지게 통합되게 형성된 커버 클립(23b)에 의해 덮혀져 있고, 백열 필라멘트(20c)에 의해 생성되는 적외선을 차단하게 된다. 중간링(28)의 용접클립들(28a)은 이들 커버 클립들(23a)(도 4)에 레이저용접된다. 중간링(28)은 지시러그들(24a)에 의해 한정되는 지시 평면 내부의 추가 정렬 가능성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캡부(24)는 더욱이 고리모양으로 연장되어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24b)를 가지고 있고, 그루브(24b) 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개스킷(26)이 배열된다. 개스킷(26)은 반사기 벽(27)의 외부 상에서 지지되어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27a)를 밀폐시키게 된다. 개스킷(26)의 내경은 고리모양으로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24b)에 매칭되고, 개스킷의 높이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플라스틱 캡부(24)는, 전기 공급도선(21)에서 램프캡을 밀폐시키는 주조 화합물로 막혀져 있다. 3개의 지시러그들(24a), 개스킷(26) 및 3개의 압력스프링(23c)은, 금속지지슬리브(23) 상의 지시러그들(24a) 하부에서 통합되게 형성되어, 램프를 반사기의 램프소켓(27a)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램프캡 및 램프소켓(27a)은 베이어네트 연결을 형성한다. 램프를 반사기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램프는 램프전구(20)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27a) 안으로 삽입되고, 3개의 지시러그들(24a)은 반사기 개구부(27a)의 가장자리 부분에 있는 매칭된 오목부를 통해 각각 자리잡게 된다. 램프는 멈춤부에 도달하기 까지는 램프소켓 내부에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반사기 벽(27)은 지시러그들(24a)과 개스킷(26) 사이에서 고정된다. 압력스프링(23c)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27a)의 가장자리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반사기 내부에 있는 램프의 잘못된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3개의 지시러그들(24a) 중 하나는 나머지 두 개의 지시러그들(24a)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물론, 나머지 지시러그들과 같은 형상을 갖는 지시러그도, 지시러그들(24a)에 매칭되고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개구부(24a) 안의 오목부에 대해서는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된다. 압력스프링(13c)의 상세한 사항은 도 7 및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램프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 1실시예의 램프와 같이, 이 램프는 금속/플라스틱 캡을 가지고 장착되는 단일 필라멘트 할로겐 백열램프이고,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기 내부에서 사용된다. 이 램프는, 일반적으로 핀치 단부(30a)라고 불리어지는 핀치봉합 램프 전구 단부(30a)를 갖는 원통형 유리 램프전구(30)를 가지고 있다. 램프전구(30)의 돔(30b)은 검은색의 흡광 코팅부로 구비되어 있다. 사용되는 광원은 램프전구의 축선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핀치 단부(30a)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전기 공급 도선(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백열필라멘트(30c)이다. 램프전구(30)는 고정링으로 설계된 금속 홀더부(32) 내부에 있는 핀치 단부(30a)를 통해 고정된다. 고정링(32)은 고리모양의 금속 지지슬리브(33)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슬리브(33)는 고정링(32)에 스폿용접 또는 레이저용접되어 통합되게 형성된 4개의 용접태브(33a)를 가지고 있다. 금속고정링(13) 및 금속지지슬리브(33)에 부가되어, 램프캡도 또한 램프의 전기 연결부(35)가 구비되고 지지슬리브(3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34)를 가지고 있다. 램프의 전기 연결부(35)는 전기 공급도선들(31) 중 하나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플라스틱 캡부(34)는 금속지지슬리브(33)가 설치되는 주입-몰딩부이다. 금속지지슬리브(33)는, 설치시에 플라스틱 캡부(34) 내부로 파고들어 플라스틱 캡부(34)와 지지슬리브(33) 사이를 영구결합시키는 다수의 클로(claw)(33d)를 가지고 있다. 금속지지슬리브(33)는, 플라스틱 캡부(34)보다 더 높은 열부하에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몰딩부(39)로 주입된다. 제 1 및 제 2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플라스틱 캡부(34)는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37)의 개구부 내부에는 수용되지 않으나, 반사기 벽(37)의 외부 상에서 끝나게 된다. 플라스틱 몰딩부(39)는 통합되게 형성된 3개의 지시러그들(14a)들을 가지고 있다. 지시러그들(14a)은 원주를 따라 등거리에 배치되고, 백열 필라멘트(10c)를 정렬하고 전조등의 반사기 내부에 있는 램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램프소켓처럼 설계된 반사기(37) 내부의 개구부(37a)에 수용되는 지시러그들(39a)은, 지지슬리브(33) 상에서 기울어지게 통합되게 형성된 커버 클립(33b)에 의해 덮혀져 있고, 백열 필라멘트(30c)에 의해 생성되는 적외선을 차단하게 된다. 플라스틱 캡부(34)는 더욱이 고리모양으로 연장되어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34b)를 가지고 있고, 그루브(34b) 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개스킷(26)이 배열된다. 개스킷(36)은 반사기 벽(37)의 외부 상에서 지지되어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37a)를 밀폐시키게 된다. 개스킷(26)의 내경은 고리모양으로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34b)에 매칭되고, 개스킷의 높이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플라스틱 캡부(34)는, 전기 공급도선(31)에서 램프캡을 밀폐시키는 주조 화합물로 막혀져 있다. 3개의 지시러그들(39a), 개스킷(36) 및 3개의 압력스프링(33c)은, 금속지지슬리브(33) 상의 지시러그들(39a) 하부에서 통합되게 형성되어, 램프를 반사기의 램프소켓(37a)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램프캡 및 램프소켓(37a)은 베이어네트 연결을 형성한다. 램프를 반사기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램프는 램프전구(30)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37a) 안으로 삽입되고, 3개의 지시러그들(39a)은 반사기 개구부(37a)의 가장자리 부분에 있는 매칭된 오목부를 통해 각각 자리잡게 된다. 램프는 멈춤부에 도달하기 까지는 램프소켓 내부에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반사기 벽(37)은 지시러그들(39a)과 개스킷(36) 사이에서 고정된다. 압력스프링(33c)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37a)의 가장자리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반사기 내부에 있는 램프의 잘못된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3개의 지시러그들(39a) 중 하나는 나머지 두 개의 지시러그들(39a)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물론, 나머지 지시러그들과 같은 형상을 갖는 지시러그도, 지시러그들(39a)에 매칭되고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개구부(37a) 안의 오목부에 대해서는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된다. 압력스프링(33c)의 상세한 사항은 도 7 및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의 반사기 내부에 설치되는 단일 필라멘트 할로겐 백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 램프는, 일반적으로 핀치 단부(40a)라고 불리어지는 핀치봉합 램프 전구 단부(40a)를 갖는 원통형 유리 램프전구(40)를 가지고 있다. 램프전구(40)의 돔(40b)은 검은색의 흡광 코팅부로 구비되어 있다. 사용되는 광원은 램프전구의 축선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핀치 단부(40a)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전기 공급 도선(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백열필라멘트(40c)이다. 램프전구(40)는 고정링으로 설계된 금속 홀더부(42) 내부에 있는 핀치 단부(40a)를 통해 고정된다. 고정링(42)은 고리모양의 금속 지지슬리브(43)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슬리브(43)는 고정링(42)에 스폿용접 또는 레이저용접되어 통합되게 형성된 4개의 용접태브(43a)를 가지고 있다. 금속고정링(42) 및 금속지지슬리브(43)에 부가되어, 램프캡도 또한 램프의 전기 연결부(35)가 구비되고 지지슬리브(4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44)를 가지고 있다. 램프의 전기 연결부(45)는 전기 공급도선들(41) 중 하나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플라스틱 캡부(44)는 금속지지슬리브(43)가 설치되는 주입-몰딩부이다. 지지슬리브(43)는 오목부(44a) 내부에서 제거불가능하게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통합되게 형성된 다수의 바브들(43d)이 구비되어 있고, 플라스틱 캡부(44) 내부에 설치될 시, 플라스틱 캡부(44) 내부에 있는 바브(barb)들(43d)에 매칭된다. 금속지지슬리브(43)는 더욱이 지지슬리브(43)로부터 기울어져 통합되게 형성된 3개의 지시러그들(43b)을 가지고 있다. 지시러그들(43b)은 원주를 따라 등거리에 배치되고, 백열 필라멘트(40c)를 정렬하고 반사기(47) 내부에 있는 램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플라스틱 캡부(44)는 고리모양으로 연장되어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44b)를 가지고 있고, 그루브(44b) 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개스킷(46)이 배열된다. 개스킷(46)은 반사기 벽(47)의 외부 상에서 지지되어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47a)를 밀폐시키게 된다. 개스킷(46)의 내경은 고리모양으로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44b)에 매칭되고, 개스킷의 높이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플라스틱 캡부(44)는, 전기 공급도선(31)에서 램프캡을 밀폐시키는 주조 화합물로 막혀져 있다. 3개의 지시러그들(43b), 개스킷(46) 및 3개의 압력스프링(43c)은, 금속지지슬리브(43) 상의 지시러그들(43b) 하부에서 통합되게 형성되어, 램프를 반사기의 램프소켓(47a)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램프캡 및 램프소켓(47a)은 베이어네트 연결을 형성한다. 램프를 반사기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램프는 램프전구(40)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47a) 안으로 삽입되고, 3개의 지시러그들(43b)은 반사기 개구부(47a)의 가장자리 부분에 있는 매칭된 오목부를 통해 각각 자리잡게 된다. 램프는 멈춤부에 도달하기 까지는 램프소켓 내부에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반사기 벽(47)은 지시러그들(34b)과 개스킷(46) 사이에서 고정된다. 압력스프링(43c)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47a)의 가장자리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반사기 내부에 있는 램프의 잘못된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3개의 지시러그들(43b) 중 하나는 나머지 두 개의 지시러그들(43b)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물론, 나머지 지시러그들과 같은 형상을 갖는 지시러그도, 지시러그들(43b)에 매칭되고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개구부(47a) 안의 오목부에 대해서는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된다. 압력스프링(43c)의 상세한 사항은 도 7 및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처음의 두 개의 실시예에서와는 대조적으로, 램프의 전기 연결부(45)가 구비된 플라스틱 캡부(44)는, 여기서 다시, 제 3실시예에서와 같이,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47)의 개구부(47a) 내부에 수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 3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제 4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부는, 반사기 벽(47)이 플라스틱 램프부에 의해 방출되는 증기에 의해 희미하게 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구부(47a)의 외부에 통합되게 남게 된다. 이러한 제 4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실시예의 플라스틱 지시러그들은 금속 지시러그들(43b)로 대체된다.
도 7 및 도 8은 금속지지슬리브 상에 설치되는 압력스프링(13c, 23c, 33c, 43c)을 갖는 두 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압력스프링의 실시예는 위에서 언급한 4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반면, 도 8에 제시된 압력스프링은 제 1 내지 제 3실시예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램프 축선의 직교방향으로 압력스프링을 통해 연장되는 램프캡을 통해서 잘려진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압력스프링(70)은 절곡판스프링으로 설계되어 있고, 평면 단부(70b)가 구비되며, 고리모양의 금속지지슬리브(71)의 외측벽을 따라 등거리 만큼 배치되어 있다. 한편, 압력스프링(70)은 평면 단부(70b)를 통해 지지슬리브(71)의 외측 벽상에 용접되는 반면, 압력스프링(70)의 타단부(70a)는 지지슬리브(71)의 외측벽 상에서 느슨하게 지지됨으로써, 그 단부(70a)는, 압력이 압력스프링(70)의 외향 절곡된 영역(70c) 상에 가해질 때, 지지슬리브(71)의 외측벽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압력스프링(70)에서는, 각 경우에 고리모양으로 설계된 지지슬리브(71)가 압력스프링(70)의 단부들(70a, 70b)이 지지되는 평면 영역(70c), 즉 절곡되지 않은 영역을 갖는다. 지지슬리브(71)(누락)은 플라스틱 캡부(72) 내에 고정된다. 압력스프링(70)의 외향 절곡 영역(70c)은, 램프가 반사기 내부에 설치된 후에,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상에서 지지된다.
도 8은 램프 축선의 직교방향으로 압력스프링을 통해 연장되는 램프캡을 통해서 잘려진 단면도로서, 압력스프링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도 다시, 압력스프링(80)은 외향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설계되어 있다. 판스프링(80)의 두 개의 단부들(80a)들은 금속지지슬리브(81)와 플라스틱 캡부(82) 사이의 오목부(82a, 82b) 내에 각각 삽입된다. 판스프링(80)의 외향 절곡영역(80c)은 고리모양의 지지슬리브(81)의 외측벽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압력이 판스프링(80)의 절곡영역 상에 가해질 때, 판스프링 단부(80a, 80b)는 오목부(82a, 82b) 내부로 더 깊게 미끄러지게 된다. 압력스프링(80)의 외향 절곡영역(80a)은, 램프가 반사기 내부에 설치된 후에,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상에서 지지된다. 모든 실시예에서는, 압력스프링은 스프링 강철로 이루어져 있다.
도 9 내지 도 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램프에 대한 이 실시예도 또한 자동차 전조등에서 사용되는 단일 필라멘트 할로겐 백열램프이다. 이 램프는, 핀치 단부(50a)라고 불리어지는 핀치봉합 램프 전구 단부(50a)를 갖는 원통형 유리 램프전구(50)를 가지고 있다. 램프전구(50)의 돔(50b)은 검은색의 흡광 코팅부로 구비되어 있다. 사용되는 광원은 램프전구의 축선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핀치 단부(50a)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전기 공급 도선(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백열필라멘트(50c)이다. 램프전구(50)는 고정링으로 설계된 금속 홀더부(52) 내부에 있는 핀치 단부(50a)를 통해 고정된다. 고정링(52)은 통합되게 형성되어 기울어진 3개의 용접클립(58a)이 구비된 금속 중간링(58)에 의해 지지된다. 금속 중간링(58)는 금속지지슬리브(53)에 번갈아 레이저용접된다. 금속고정링(52), 중간링(58) 및 금속지지슬리브(53)에 부가되어, 램프캡도 또한 램프의 전기 연결부(55)가 구비되고 지지슬리브(5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54)를 가지고 있다. 램프의 전기 연결부(55)는 전기 공급도선들(51) 중 하나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플라스틱 캡부(54)는 금속지지슬리브(53)가 주입되는 주입-몰딩부이다.
지지슬리브(53)는 통합되게 형성된 3개의 지시러그들(53a)들을 가지고 있다. 지시러그들(53a)은 원주를 따라 등거리에 배치되고, 백열 필라멘트(50c)를 정렬하고 전조등의 반사기(도 9에는 미도시) 내부에 있는 램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지시러그들(53a)은 지지슬리브(53)로부터 기울어져 있고 공통평면 내에 있다. 중간링(58)의 용접클립들(58a)은 지시러그들(53a)에 레이저용접되어 있다. 중간링(58)은 지시러그들(53a)에 의해 한정되는 지시 평면 내부의 추가 정렬 가능성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캡부(54)는 더욱이 고리모양으로 연장되어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54b)를 가지고 있고, 그루브(54b) 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개스킷(56)(도 9에는 미도시)이 배열된다. 개스킷(56)은 반사기 벽의 외부 상에서 지지되어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개스킷의 내경은 고리모양으로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24b)에 매칭되고, 개스킷의 높이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전조등 내부에 있는 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곡 판스프링(90)(도 11)은, 고리모양의 지지슬리브(53)의 벽 내부에서 3개의 지시러그들(53a) 중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로를 통해 돌출된다. 판스프링(90)의 단부들(90a, 90b)은 지지슬리브(53)의 내측벽 및 멈춤부(59a, 59b) 상에서 지지되고, 각 단부들은 플라스틱 캡부(54) 상에서 통합되게 형성됨으로써, 판스프링(90)은 홀더로서 형성된 이들 두 개의 멈춤부들(59a, 59b) 사이에서 고정된다. 3개의 지시러그들(53a), 그루브(54b) 내부에 배치되는 개스킷(26) 및 압력스프링(23c)은, 램프를 반사기의 램프소켓(27a)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램프캡 및 램프소켓은 베이어네트 연결을 형성한다. 램프를 반사기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램프는 램프전구(50)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 안으로 삽입되고, 3개의 지시러그들(53a)은 반사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있는 매칭된 오목부를 통해 각각 자리잡게 된다. 램프는 멈춤부에 도달하기 까지는 램프소켓 내부에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반사기 벽은 제 4실시예에서 설명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러그들과 개스킷 사이에서 고정된다. 압력스프링(90)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반사기 내부에 있는 램프의 잘못된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3개의 지시러그들(53a) 은 모두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같은 점은 물론, 지시러그들(24a)에 매칭되고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개구부(24a) 안의 오목부에 대해서는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된다는 것이다. 압력스프링(90)의 상세한 사항은 도 11에 제시되어 있다.
제 5실시예에 따른 압력스프링은 절곡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압력스프링은, 조립된 후에, 고리모양의 지지슬리브의 내측벽 상에서 지지되는 두 개의 미소 굴곡 단부들(90a, 90b)을 가지고 있다. 판스프링(90)은 단부들(90a, 90b)이 접촉하는 플라스틱 캡부(54) 상에서 통합되게 형성되는 두 개의 멈춤부(59a, 59b)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결과적으로, 판스프링(90)은 멈춤부들(59a, 59b)(도 10) 사이에서 고정된다. 판스프링은 둥근 모양으로 외부로 부풀어오르는 영역(90c)을 가지고 있다. 이 영역은 판스프링(90) 설치후에 지지슬리브(53) 내부에 있는 통로(53b)를 통해 돌출되고, 램프를 전조등 내부에 설치한 후에 램프소켓으로 설계되는 반사기 개구부 상에서 지지된다. 도 10의 평면도에서는, 통로(53b)는 지시러그들(53a)에 의해 덮혀져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판스프링의 외향 절곡된 영역(90c)은, 두 개의 내향 절곡 영역(90d, 90e)에 의해, 각 판스프링 단부(90a, 90b)로 연결된다. 도 10의 지시번호 60은 플라스틱 캡부(54) 내부에 있는 램프의 전기 공급도선들(51)을 위한 통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보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자동차 전조등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할로겐 백열램프 및 고압 방전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램프의 전구(10; 20; 30)가 고정되는 금속 홀더부(12; 22; 32)가 구비된 램프캡을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상기 금속 홀더부(12; 22; 32)에 연결된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71; 81) 및 램프의 전기 연결부(15; 25; 35)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71; 81)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14; 24; 34)를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평면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시러그들(14a; 24a; 34a)을 가지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는 상기 램프캡이 가지는 지시러그들(14a; 24a; 34a)과 같은 개수의 금속 커버 클립들(13b; 23b; 33b)을 가지고, 상기 커버 클립들(13b; 23b; 33b)은 상기 지시러그들(14a; 24a; 34a)을 덮음으로써 상기 플라스틱 러그들 (14a; 24a; 34a)은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커버 클립들(13b; 23b; 33b)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커버 클립들(13b; 23b; 33b)은 상기 램프 전구와 대면하는 상기 지시러그들(14a; 24a; 34a)의 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중간링(28)의 상기 용접 클립들(28a)을 상기 금속지지슬리브(23)의 상기 커버 클립(23a)들에 용접함으로써, 상기 홀더부(22)는 통합되게 형성되고 각도가 기울어진 용접클립(28a)이 구비되어 있는 중간링(28)을 통해 상기 금속지지슬리브(2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4. 램프의 전구(40; 50)가 고정되는 금속 홀더부(42; 52)가 구비된 램프캡을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상기 금속 홀더부(42; 52)에 연결된 금속지지슬리브(43; 53) 및 램프의 전기 연결부(45; 55)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43; 5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44; 54)를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평면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시러그들(43b; 53a)을 가지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시러그들(43b; 53a)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43; 53)와 통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43; 71; 81;53)는 고리모양으로 설계되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43; 71; 81; 53)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스프링(13c; 23c; 33c; 43c; 70; 80; 9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압력스프링(13c; 23c; 33c; 43c; 70; 80; 90)은 절곡판스프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7.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압력스프링(13c; 23c; 33c; 43c; 70; 80)은 절곡판스프링으로 설계되어 있고, 상기 압력스프링의 일단(70b)은 상기 금속지지슬리브(71)에 용접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지지슬리브(71) 상에서 지지되어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판 스프링(70)은, 램프가 설치된 후에 램프소켓으로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17a; 27a; 37; 47a)의 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8.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압력스프링(13c; 23c; 33c; 43c; 70; 80)은 절곡판스프링으로 설계되어 있고, 상기 판 스프링(80)의 단부들은 상기 금속지지슬리브(81)와 상기 플라스틱 캡부(82) 사이의 오목부 내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판 스프링(80)은, 램프가 설치된 후에 램프 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17a; 27a; 37; 47a)의 가장자리 상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9.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캡부(54)는 홀더들(59a; 59b)을 가지고 상기 홀더들(59a; 59b)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스프링(90)의 단부들(90a; 90b)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슬리브(53)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스프링(90)이 맞물리는 통로(53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0. 제 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스프링(90)의 단부들(90a; 90b)은 상기지지슬리브(53)의 내벽 상에서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스프링(90)은 상기 통로(53b) 내부에 수용되는 외향절곡된 영역(90c)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스프링(90)은 상기 외향절곡된 영역(90c)을 상기 판스프링 단부들(90a, 90b) 중 하나에 각각 연결시키는 내향절곡된 영역들(90d, 90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1.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압력스프링(13c; 23c; 33c; 43c; 70; 80; 90)은 스프링 강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2.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슬리브(13; 23; 33; 43; 71; 81; 53)는 강철 또는 독일제 은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링(58)의 상기 용접 클립들(58a)을 상기 금속지지슬리브(53)의 상기 커버 클립들(53a)에 용접함으로써, 상기 홀더부(52)는 통합되게 형성되고 각도가 기울어진 용접클립(58a)이 구비되어 있는 중간링(58)을 통해 상기 금속지지슬리브(5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4.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캡부(14; 24; 34; 44; 54)는, 개스킷(16; 26; 36; 46)을 수용하기 위하여, 고리모양으로 연장되어 원뿔형으로 설계된 그루브(14b; 24b; 34b; 44b; 54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16; 26; 36; 46)의 내경은 고리모양으로 원뿔형으로 설계된 상기 그루브(14b; 24b; 34b; 44b; 54b)에 매칭되고, 상기 개스킷의 높이를 가지고 선형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6. 램프소켓으로 설계되고 반사기 벽(17; 27; 37) 내부에 만들어진 개구부(17a; 27a; 37a)를 구비한 반사기를 가지며;
    램프의 전구(10; 20; 30)가 고정되는 금속 홀더부(12; 22; 32)가 구비된 램프캡을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상기 금속 홀더부(12; 22; 32)에 연결된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71; 81) 및 램프의 전기 연결부(15; 25; 35)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71; 81)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14; 24; 34)를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평면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시러그들(14a; 24a; 34a)을 가지고 상기 램프의 고정 및 정확한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지시러그들(14a; 24a; 34a)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상기 반사기 개구부(17a; 27a; 37a)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는 상기 램프캡이 가지는 지시러그들(14a; 24a; 34a)과 같은 개수의 금속 커버 클립들(13b; 23b; 33b)을 가지며, 상기 커버 클립들(13b; 23b; 33b)은 상기 지시러그들(14a; 24a; 34a)을 덮음으로써 상기 플라스틱 러그들 (14a; 24a; 34a)은 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커버 클립들(13b; 23b; 33b)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7. 램프소켓으로 설계되고 반사기 벽(47) 내부에 만들어진 개구부(47a)를 구비한 반사기를 가지며;
    램프의 전구(40; 50)가 고정되는 금속 홀더부(42; 52)가 구비된 램프캡을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상기 금속 홀더부(42; 52)에 연결된 금속지지슬리브(43; 53) 및 램프의 전기 연결부(45; 55)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43; 53)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캡부(44; 54)를 가지며;
    상기 램프캡은 평면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시러그들(43b; 53b)을 가지고 내부에 있는 상기 램프의 고정 및 정확한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시러그들(43b; 53a)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43; 53)와 통합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시러그들(43b; 53a)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상기 반사기 개구부(47a)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71; 81; 53)는 고리모양으로 설계되고,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71; 81; 53)의 직경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반사기 개구부(17a; 27a; 37a; 47a)의 맞물림 직경에 매칭되며,
    상기 금속지지슬리브(13; 23; 33; 71; 81; 53)에는, 상기 램프가 램프소켓으로 설계된 상기 개구부(17a; 27a; 37a; 47a)에서 내부에 고정된 후에, 상기 반사기 벽(17; 27; 37; 47) 상에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스프링(13c; 23c; 33c; 43c; 70; 80; 9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KR1019970706309A 1996-01-11 1996-10-17 접착제없이캡이씌워지는전기램프 KR100437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0714.3 1996-01-11
DE19600714 1996-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901A true KR19980702901A (ko) 1998-09-05
KR100437557B1 KR100437557B1 (ko) 2004-07-16

Family

ID=778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309A KR100437557B1 (ko) 1996-01-11 1996-10-17 접착제없이캡이씌워지는전기램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957569A (ko)
EP (1) EP0815578B1 (ko)
JP (1) JP3992292B2 (ko)
KR (1) KR100437557B1 (ko)
CN (2) CN1097283C (ko)
AR (1) AR004554A1 (ko)
AU (1) AU7619996A (ko)
BR (1) BR9607821A (ko)
CA (1) CA2215068C (ko)
CZ (1) CZ287883B6 (ko)
DE (2) DE59601558D1 (ko)
ES (1) ES2131967T3 (ko)
HU (1) HU220268B (ko)
MX (1) MX9706896A (ko)
PL (1) PL185304B1 (ko)
TW (1) TW334575B (ko)
WO (1) WO1997025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3506A1 (de) * 1998-09-23 2000-03-3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TW570288U (en) * 1998-11-18 2004-0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mp with reflector
DE19855403A1 (de) * 1998-12-01 2000-06-0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für einen Fahrzeugscheinwerfer
DE19855265A1 (de) * 1998-12-01 2000-06-2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und Beleuchtungsvorrichtung mit einer derartigen elektrischen Lampe
JP2001101909A (ja) * 1999-09-30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DE19951203A1 (de) * 1999-10-22 2001-04-2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weinwerferlampe
US6296373B1 (en) * 1999-12-09 2001-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Incandescent lamp for use in a reflector
CN100474484C (zh) * 1999-12-17 2009-04-01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灯头,灯心和灯头的组合,以及灯的固定方法
US6536929B1 (en) * 2000-08-23 2003-03-25 Forgacs Laszlo Incandescent lamp for use in a reflector
DE10121608A1 (de) 2001-05-04 2002-11-0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DE10148114A1 (de) * 2001-09-28 2003-04-1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einwerferlampe
US6913376B2 (en) * 2001-10-31 2005-07-05 Guide Corporation Sealing bulb boot for moveable reflectors
DE20300699U1 (de) * 2003-01-16 2003-03-2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Lampensockel und Lampe mit einem Lampensockel
CN100538997C (zh) * 2003-08-15 2009-09-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增加的热稳定性的车灯
DE102004007150A1 (de) * 2004-02-12 2005-08-2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ockel für eine Scheinwerferlampe und Scheinwerferlampe
CN1906733B (zh) * 2004-10-04 2011-01-1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改进的热传导性的灯座
US20070108882A1 (en) * 2005-11-16 2007-05-17 Schneider Jerome J Jr Incandescent lamp including self sealing mount base
DE202006002888U1 (de) 2006-02-21 2006-05-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nsockel und Lampe mit einem Lampensockel
EP2067161A2 (en) * 2006-09-14 2009-06-10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amp for a light system
DE102007015923A1 (de) 2007-04-02 2008-10-09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ampensockel, Fahrzeuglampe mit einem derartigen Lampensock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lampe
DE102007037822A1 (de) * 2007-08-10 2009-02-12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eleuchtungsvorrichtung
US8415868B2 (en) * 2008-04-25 2013-04-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pressure discharge lamp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JP5612100B2 (ja) * 2009-09-18 2014-10-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放電ランプのバーナーを固定する器具
DE102010002647A1 (de) 2010-03-08 2011-09-08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logenglühlampe
DE102010002650B4 (de) 2010-03-08 2012-11-22 Osram Ag Halogenglühlampe für Fahrzeugscheinwerfer
BR112013014469A2 (pt) * 2010-12-10 2016-09-13 Federal Mogul Ignition Co montagem de lâmpada integral e método de contrução da mesma
WO2019083863A1 (en) 2017-10-23 2019-05-02 Patent Holding Company 001, Llc DEVICES,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S
US10995923B1 (en) 2020-08-24 2021-05-04 Osram Sylvania Inc. Vehicle lamp base having integrally formed spring to bias reflector
WO2022094439A1 (en) 2020-10-30 2022-05-05 Datafeel Inc. Wearabl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kits,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347C (ko) *
DE205773C (ko) * 1907-10-06 1909-01-19
US1139684A (en) * 1914-06-24 1915-05-18 Gen Gas Light Co Globe-holder.
JPS5688274A (en) * 1979-12-20 1981-07-17 Tokyo Shibaura Electric Co Light source
DE8201536U1 (de) * 1982-01-22 1983-06-3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Halogengluehlampe
DD205773A1 (de) * 1982-04-29 1984-01-04 Becker Wolf Ruediger Metallische waermeschutzscheibe mit getterwirkung in elektrischen lampen
DD245347A3 (de) * 1983-10-24 1987-05-06 Saranskoe Proizdstv Obed Sveto Halogengluehlampe
DE3344356A1 (de) * 1983-12-08 1985-06-20 Saranskoe Proizvodstvennoe Ob"edinenie "Svetotechnika", Saransk Halogengluehlampe
DE8522797U1 (de) * 1985-08-07 1985-10-3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Kittlos gesockelte elektrische Lampe
DE3602234A1 (de) * 1986-01-25 1987-07-30 Hella Kg Hueck & Co Fahrzeugscheinwerfer
US4987343A (en) * 1988-10-03 1991-01-22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headlamp
DE8907108U1 (ko) * 1989-06-09 1989-08-1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8000 Muench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25733A1 (de) 1997-07-17
AR004554A1 (es) 1998-12-16
TW334575B (en) 1998-06-21
DE59601558D1 (de) 1999-05-06
MX9706896A (es) 1997-11-29
EP0815578A1 (de) 1998-01-07
HUP9800716A3 (en) 2000-09-28
CN1156867C (zh) 2004-07-07
HUP9800716A2 (hu) 1998-07-28
CZ285097A3 (cs) 1998-06-17
EP0815578B1 (de) 1999-03-31
CN1097283C (zh) 2002-12-25
PL322115A1 (en) 1998-01-05
KR100437557B1 (ko) 2004-07-16
CN1314692A (zh) 2001-09-26
PL185304B1 (pl) 2003-04-30
HU220268B (hu) 2001-11-28
CA2215068C (en) 2004-12-28
BR9607821A (pt) 1998-07-07
JP3992292B2 (ja) 2007-10-17
DE19681219D2 (de) 1998-06-18
JPH11502365A (ja) 1999-02-23
AU7619996A (en) 1997-08-01
CN1178598A (zh) 1998-04-08
CZ287883B6 (cs) 2001-03-14
ES2131967T3 (es) 1999-08-01
CA2215068A1 (en) 1997-07-17
US5957569A (en)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2901A (ko) 접착제 없이 캡이 씌워지는 전기램프
KR100970879B1 (ko) 장착이 단순한 헤드라이트
US4760506A (en) Light bulb mounting structure in automotive lamp
ES2262546T3 (es) Lampara de faro.
US20120176798A1 (en) Lamp unit
GB2064747A (en) Device for securing a bulb to the reflector of a headlamp
US7004609B2 (en) Headlamp bulb
US7887224B2 (en) Automotive lamp provided with a bulb locked to the cap of the lamp
KR101333237B1 (ko) 램프용 소켓
KR100864546B1 (ko) 전조등전구
KR100621263B1 (ko) 전기 램프 및 전기 램프를 가진 조명 시스템
JP4554339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相手部品に光源を装着する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4789920A (en) Lamp and base assembly, particularly for association with an automotive head lamp reflector
US6095866A (en) Electric lamp
EP1690282B1 (en) Lamp socket with improved heat conduction
US4548589A (en) Arc tube and plastic reflector assembly method
EP3044806B1 (en) Vibration resistant automotive front lighting lamp
EP3055877B1 (en) Vibration resistant automotive front lighting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