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146A - 적층구조물 - Google Patents

적층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146A
KR19980087146A KR1019980017778A KR19980017778A KR19980087146A KR 19980087146 A KR19980087146 A KR 19980087146A KR 1019980017778 A KR1019980017778 A KR 1019980017778A KR 19980017778 A KR19980017778 A KR 19980017778A KR 19980087146 A KR19980087146 A KR 19980087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ley
axis direction
government
skeletal
m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394B1 (ko
Inventor
마코토 혼다
Original Assignee
시오사카 구니오
가부시키가이샤 강쿄 어세스먼트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542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871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오사카 구니오, 가부시키가이샤 강쿄 어세스먼트 센터 filed Critical 시오사카 구니오
Publication of KR1998008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ewage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Gyroscopes (AREA)
  • Fuel Cell (AREA)
  • Magnetic Heads (AREA)
  • Pallet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현장에서의 작업내용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적층구조물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적층구조물은, X축방향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51)를 가지고, 상기 X축방향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50)와, 이 골격부재(50)를 상기 X축방향 및 상기 Y축방향과 직교하는 Z축방향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로서, 상기 Z축방향에 인접하는 골격부재(50) 중의 일방의 골격부재(50)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51)의 골짜기부(56)와 인접하는 골격부재(50) 중의 타방의 골격부재(50)의 산형부(51)의 정부(54)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돼 있다.

Description

적층구조물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지하저수 등에 구조물로서 이용되는 적층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하저수 구조물로서는, 예를 들어, 특개평8-18408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는, 방수층과 방수층보호재로 주위를 덮은 중공부분을 땅속에 굴삭 형성하고, 다수의 유공(有孔)파아프를 중공부분에 서로 밀접한 상태로 충전설치하여, 상상(上床)콘크리트 및 방수층을 유공파이프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한 것으로, 중공부분과 지상과를 연통하는 급수파이프 및 배수파이프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지하저수 구조물은, 중공부분에 설치되는 유공파이프를 현장까지 운반하고 보관하는 데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또, 시공할 때 유공파이프가 충전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그의 위치결정에 시간이 소비된다. 게다가, 유공파이프의 제조는 형상에 기인하여 코스트를 상승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그러한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지하저수 구조물에 한하지 않고, 경량이며, 게다가 강도적으로도 강한 적층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적층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저수 구조물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골격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3 (a)는 도 2의 골격부재의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3 (b)는 도 2의 골격부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골격부재를 교차하여 적층한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5 (a)∼(g)는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예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골격부재를 같은 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골격부재를 절첩(折疊)자재하게 형성하여, 그 골격부재를 접은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적층구조물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골격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 (a)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개략적 일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10 (b)는 도 10 (a)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 (a)는 도 10 (a)에 보이는 골격부재의 타의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일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11 (b)는 도 11 (a)의 B-B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보이는 골격부재의 타의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지하저수구조물의 타의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 (a)는 도 2에 보이는 골격부재를 일단째에 병설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14 (b)는 일단째의 위에 도 2에 보이는 골격부재를 병설한 이단째의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14 (c)는 이단째의 위에 도 2에 보이는 골격부재를 병설한 삼단째의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5는 일단째의 위에 이단째를 적층하는 때, 일단째의 병설한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교차하여 타 넘게 이단째의 골격부재를 놓은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6은 적층구조물의 하부에 최하부보강재, 상부에 평탄면부재를 마련한 경우의 적층구조물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2의 골격부재의 타의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골격부재를 동방향에 적층한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골격부재를 병설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적층구조물을 성토(盛土)내에 설치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적층구조물을 수로내에 설치한 수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그림이다.
도 23은 도 22의 I-I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50 : 골격부재(骨格部材) 51 : 산형부(山形部)
54 : 정부(頂部) 58 : 골짜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조물은 단면의 형상이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고, 상기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이 골격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로서,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돼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2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X축방향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고, 상기 X축방향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이 골격부재를 상기 X축방향 및 상기 Y축방향과 직교하는 Z축방향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Z축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돼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3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X축과 그 X축에 직교하는 Z축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고, 상기 X축 및 상기 Z축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이 골격부재를 상기 Z축방향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로서, 상기 Z축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돼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4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청구항1, 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있어서,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이면측공간이 형성돼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5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청구항1, 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있어서,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돼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이면측공간을 형성하고, 그 이면측공간 내에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대향하는 사면을 접속하여 상기 산형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마련한 것이다.
또, 청구항6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청구항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있어서, Z축방향에 적층된 인접하는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에 마련한 골짜기부요소(凹所)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에 마련한 정부요소(頂部凹所)에 계지하고, 상기 골짜기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이면측에서 상기 골짜기부를 본 요소이고, 상기 정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표면측에서 상기 정부를 본 요소이다.
또, 청구항7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청구항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있어서, Z축방향에 적층된 인접하는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에 마련한 골짜기부요소(凹所)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에 마련한 정부요소에 계지하고, 상기 정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표면측에서 상기 정부를 본 요소이며, 상기 산형부의 정부를 횡단하는 방향에 경사한 제1, 제2의 정부경사면과, 이 제1의 정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정부경사면에 접속하고 상기 산형부의 정부에 평행인 제3의 정부평탄면과로 둘러싸인 공소(空所)이고, 상기 골짜기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이면측에서 상기 골짜기부를 본 요소이며, 상기 산형부의 골짜기부를 횡단하는 방향에 경사한 제1,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이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에 접속하고, 상기 산형부의 골짜기부에 평행인 제3의 골짜기부평탄면과로 둘러싸인 공소이고, 상기 산형부의 정부의 각도와 상기 산형부의 골짜기부의 각도는 공히 θ, 상기 제1의 정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정부경사면은 외방에 향해 멀어지고 내방에 향해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상기 제1의 정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정부경사면과가 이루는 각도는 θ이고, 상기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은 외방에 향해 멀어지고 내방에 향해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상기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과가 이루는 각도는 θ이고, 상기 골짜기부요소가 상기 정부요소에 계지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의 정부평탄면과 상기 제3의 골짜기부평탄면과는 대향하고, 상기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 및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이 상기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산형부의 표면측에, 상기 제1의 정부경사면 및 상기 제2의 정부경사면이 상기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각각 대향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8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청구항1, 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있어서,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이면측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산형부의 상기 표면측과 상기 이면측과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그 개구부를 거쳐 물을 통과시켜, 적층하여 형성되는 상기 골격부재와 상기 골격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이면측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지하저수용의 적층구조물로 한 것이다.
또, 청구항9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청구항1, 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있어서, 최하부의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는 이면측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면측공간을 메우도록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에 각각 맞대어, 하면을 평탄면에 구성한 최하부보강부재를 마련한 것이다.
또, 청구항10 기재의 적층구조물은, 청구항1, 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있어서, 최상부의 골격부재의 인접하는 표면측의 산형부와의 사이에 표면측공간이 형성돼, 상기 표면측공간을 메우도록, 인접하는 상기 산형부의 표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에 각각 맞대어, 상면을 평탄면에 구성한 평탄면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평탄면부재의 상면을 상기 산형부의 정부에 일치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적층구조물은, X축방향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짐과 동기에 상기 산형부의 정부에 정부요소, 골짜기부에 골짜기부요소를 가지고, 상기 X축방향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상기 X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에 직교하는 Y축방향과로 형성되는 평면에 상기 골격부재를 병설하고, 이 병설된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X축방향 및 상기 Y축방향과 작교하는 Z축방향에, 상기 골격부재를 병설하여 상기 골격부재를 상기 Z축방향에 순차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로서,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교차하여 타 넘도록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Z축방향에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평면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정부요소에,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Z축방향에 마련한 상기 골격부재의 골짜기부요소가 계지되고, 상기 정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표면측에서 상기 정부를 본 요소이고, 상기 골짜기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이면측에서 상기 골짜기부를 본 요소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구조물의 일례로서, 지하저수에 구조체로서 적층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저수 구조물의 단면도를 도 1에 보인다. 공간 (10)은 지면을 깊이 파 형성한 것이고, 측벽 (11)은 경사면을 가진다. 공간의 측벽 (11) 및 상면(床面) (12)에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차수(遮水)처리가 돼 있고, 이에 의해 차수공간이 형성되어, 공간 내외의 물의 침투가 차단된다.
위에 말한〔차수처리」란, 예를 들어, 도 2, 도 3에 보이는 골격부재 (50)(또는, 판상체:板狀體)를 도 1, 도 4에 보이는 것 처럼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 (40)의 주위, 말하자면, 적층구조물 (40)의 저면, 측면, 천정면을 도 1에 보인 차수시트 S로 덮어 처리하는 것으로, 내부에 차수한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을 지하저수용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면에는 빗물 등을 모으는 저수조 (21)이 마련돼 있고, 다시, 저수조 (21)로부터 차수공간 내의 상부로 빗물 등을 유도하는 도수관 (20)(도수부)이, 예를 들어, 차수시트 S를 관통하여 마련돼 있다. 따라서, 저수조 (21)로부터 도수관 (20)을 통하여 차수공간 안으로 빗물 등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차수공간 내에는 골격부재 (50)이 적층되고, 각 골격부재 (50)에는 후술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통과용의 개구부로서 기능하는 정부요소(頂部凹所) (55), 골짜기부요소 (57)이 마련돼 있다. 이 개구부(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를 통해 물을 통과시키고, 적층하여 형성되는 골격부재 (50)과 골격부재 (50)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후술의 이면측공간 (52a)를 포함하는 공간을 지하저수용 탱크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 차수공간 내로부터 차수공간외, 예를 들어, 지표의 탱크(도시생략)에로 빗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부 (30)이 마련돼 있다. 배출부 (30)은, 예를 들어, 차수시트 S를 관통하여 마련된 배출관 (31), 펌프 (33) 및 송수관 (33)으로 이루어진다. 배출관 (31)은 차수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수공간 내외를 잇는 것이며, 차수공간 내의 빗물 등은 펌프 (32)에 의해 배출관 (31)로부터 송수관 (33)으로 송수된다.
차수공간 내에는 골격부재 (50)(또는, 판상체)을 상호 교차, 예를 들어, 직교시키어 적층한 적층구조물 (40)이 마련돼 있고, 내부에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
골격부재 (50)은 도 2,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이는 대략 장방형이며, 판두께 대략 동일한 평판을 장변(Y축방향 Y)과 평행으로 단변방향(X축방향 X)에 교대로 들어가고 나가게 접어간 형상으로, 산형이 연속하는 산형부 (51)을 가지고 있다. 사시도를 도 2에 보인다.
결국, 단일의 골겨부재 (50)(또는, 판상체)은,
단면의 형상이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 (51)을 가지고, 상기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세하게는, X축방향 X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 (51)을 가지고, X축방향 X와 직교하는 Y축방향 Y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며,
더 상세하게는, X축과 그 X축에 직교하는 Z축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 (51)을 가지고, 상기 X축 및 상기 Z축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골격부재 (50)(또는, 판상체)은 적층하는 골격부재 (50)을 계지시키는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을 가지고 있다. 이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은 골격부재 (50)을 계지하는 기능외에 산형부 (51)의 표면측과 이면측과를 관통하는 개구부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돼 있어,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을 거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골짜기부요소 (57)은 골격부재 (50)의 이면측에서 골짜기부 (56)을 본 요소이고, 정부요소 (55)는 골격부재 (50)의 표면측에서 정부 (54)를 본 요소이다.
골격부재 (50)은 판두께 대략 동일하고, 표면측의 산형형상과 이면측의 산형형상은 대략 동일, 말하자면, 산형부 (51)의 이면측의 형상은 도 2, 도 3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표면측의 산형부 (51)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되어, 산형부 (51)의 이면측에 이면측공간 (52a)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같은 방향에 쌓아 올리면,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틈없이 쌓여 겹쳐진다. 그런 한편, 골격부재 (50)을 상호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쌓아 올리면, 골격부재 (50)과 골격부재 (50)과의 사이에 공간〔공간은 도 3 (b),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산형부 (51)의 이면측에 마련된 이면측공간 (52a)와 산형부 (51)의 표면측에 마련된 표면측공간 (52b)와를 가진다.〕이 마련된다. 때문에, 골격부재 (50)을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같은 방향에 쌓아 겹치어 운반이나 보관을 행함에 의하여, 성(省)스페이스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도 4에 보이는 적층구조물 (40)에서는, 또,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구조체로서 구성할 수 있어, 구조체로서의 밀도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층한 후에, 예를 들어, 체결구등(도시생략)을 이용함에 의하여, 적층구조물 (40)으로서 일체화할 수가 있으나,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예를 들어 절결부)에 의한 맞춤으로도 일체화가 가능하다.
또한, 골격부재 (50)을 X축방향 X 및 Y축방향 Y와 직교하는 Z축방향 Z에 적층하여 적층구조물 (40)을 형성하는 때에는, 굘격부재 (50)을 상호 직교시키고 있으나, 직교에 한하지 않고, 적어도 상하의 산형이 교차하게 하여, 골격부재 (50)을 상방(Z축방향 Z)에 적층하도록 하여도 좋다.
결국,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Z축방향 Z에 인접하는 골격부재 (50) 중의 일방의 골격부재 (50)〔일방의 골격부재 (50)을, 예를 들어, 도 4에 부호 A로 나타낸다.〕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 (51)의 골짜기부 (57)과, 인접하는 골격부재 (50) 중의 타방의 골격부재 (50)〔타방의 골격부재 (50)을, 예를 들어, 도 4에 부호 B로 나타낸다.〕의 산형부 (51)의 정부 (54)와는, 교차(보다 바람직하기는, 직교)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적층구조물 (40) 전체의 밀도(무게)는 용도에 따라 적의 설계할 수가 있고, 적층구조물 (40)을 구성하는 골격부재 (50)의 재질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나 금속등을 적의 선택할 수가 있다.
골격부재 (50)은 금형 등을 이용한 수지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코스트 저감이나 경량화를 또한 도모할 수 있다. 또, 접은 자리〔정부 (54), 골짜기부 (56)〕에서 벌어지지 않도록 신축불가(회동불가)의 일체성형의 외,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은 자리〔정부 (54), 골짜기부 (56)〕가 X축방향 X에 신축자재(회동자재의 힌지구조)의 골격부재 (5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때에는 늘인 상태로 사용하나, 운반이나 보관에 있어서는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주름을 잡아 접을 수가 있어, 운반이나 보관시에 취급이 용이해져, 성스페이스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소정의 산형형상으로 된 상태에 보지하게 하는 접은 자리이면 좋으나, 다 펴져 평판상태로 되어버리는 경우에는, 적층시에 X축방향 X에 신축하지 않게 구속수단,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절결에 의한 맞춤을 마련하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안정한 적층구조물 (40)을 얻을 수가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골격부재 (50)을 구성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 (51)」이란, 도 5 (a)에 보인 바와 같은 일방향에 연속하는 산형형상에 한하지 않고, 도 5 (b)에 보인 바와 같은 산형이 평평한 부분을 가지는 형상, 도 5 (c)에 보인 바와 같은 경사부분이 바로 위로 기립해 있는 형상, 도 5 (d)에 보인 바와 같은 파형(波形)의 형상 외에, 도 5 (e), (f), (g)에 보인 바와 같은, 이들 산형형상의 산형과 산형과의 사이에 평평한 부분을 가지는 것이거나, 평평한 부분이 등간격, 규칙적인 부등간격인 경우도 포함되는 것이다. 형상의 종류 및 그의 치수는, 여러가지의 사용조건을 고려하여 적의 결정하면 족하다.
단일의 골격부재 (50)의 외형은, 도 2,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보이는 장방형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이용하는 차수공간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 골격부재 (50)은 판두께 대략 동일이지만, 다소 부분적으로 두께가 변해도, 상술한 겹쳐 나가는 방향에서 쌓아겹침 높이가 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표면에 형성된 연속하는 산형의 산형부 (51)의 이면의 형상은, 표면의 산형의 산형부 (51)의 형상에 따라 마련되고, 게다가, 산형부 (51)의 이면측에는 이면측공간 (52a)가 마련돼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다음은, 적층구조물 (40)으로서 적층되는 골격부재 (50) 상호의 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산형부 (51)의 정부 (54)에는 정부요소 (55), 산형부 (51)의 골짜기부 (56)에는 골짜기부요소 (57)이, 각각 접은 자리〔정부 (54), 골자기부 (56)〕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돼 있다. 절결로 인해, 운반·보관시의 성스페이스화가 침해되지는 않는다.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의 소정간격 a 는, 제1의 각부(脚部) (58)과 제2의 각부 (59)와를 정부 (54)로 연결한 산형부 (51)에 있어서, 정부 (54)와 정부 (54)〔또는 골짜기부 (56)과 골짜기부 (56)〕의 개방측의 선단간격 b 보다도 적게 하고 있다.
따라서, Z축방향 Z에 적층된 인잡하는 골격부재 (50) 중의 일방의 골격부재 (50)〔일방의 골격부재 (50)을, 예를 들어, 도 4에 부호 A로 나타낸다.〕의 산형부 (51)의 골짜기부에 마련한 골짜기부요소 (57)이, 인접하는 골격부재 (50) 중의 타방의 골격부재 (50)〔타방의 골격부재 (50)을, 예를 들어, 도 4에 부호 B로 나타낸다.〕의 산형부 (51)에 마련한 정부요소 (55)에 계지하고 있다.
특히,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부요소 (55)는 산형부 (51)의 정부 (51)을 횡단하는 방향에 경사한 제1, 제2의 정부경사면 (55K, 55L)과, 이 제1의 정부경사면 (55K)와 제2의 정부경사면 (55L)에 접속하여, 산형부 (51)의 정부 (54)에 평행인 제3의 정부평탄면 (55M)과로 둘러싸인 공소이고, 또, 골짜기부요소 (57)은 산형부 (51)의 골짜기부 (56)을 횡단하는 방향에 경사한 제1,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 (57K, 57L)과, 이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 (57K)와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 (57L)에 접속하여, 산형부 (51)의 골짜기부 (56)에 평행인 제3의 골짜기부평탄면 (57M)과로 둘러싸인 공소이다.
그리고. 산형부 (51)의 정부 (54)의 각도와 산형부 (51)의 골짜기부 (56)의 각도는 공히 θ, 제1의 정부경사면 (55K)와 제2의 정부경사면 (55L)은 외방에 향해서 멀어지고 내방에 향해서 가까워지게 경사하고, 제1의 정부경사면 (55K)와 제2의 정부경사면 (55L)이 이루는 각도도 θ이며, 또,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 (57K)와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 (57L)은 외방으로 향해서 멀어지고 내방으로 향해서 가까워지게 경사하고,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 (57K)와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 (57L)이 이루는 각도도 θ로 돼 있다.
따라서, 골짜기부요소 (57)이 정부요쇼 (55)에 계지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3의 정부평탄면 (55M)과 제3의 골짜기부평탄면 (57M)은 대향(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하여,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 (57K) 및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 (57L)이 타방의 골격부재 (50)〔타방의 골격부재 (50)을, 예를 들어, 도 4에 부호 B로 나타낸다.〕의 산형부 (51)의 표면측에, 제1의 정부경사면 (55K) 및 제2의 정부경사면 (55L)이 일방의 골격부재 (50)〔일방의 골격부재 (50)을, 예를 들어, 도 4에 부호 A로 나타낸다.〕의 산형부 (51)의 이면측에 각각 대향((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하게 되어, 골짜기부요소 (57)과 정부요소 (55)와는 걔지하고, 계지한 골격부재 (50)은 X축방향 X 및 Y축방향 Y에는 이동이 저지돼(까워맞춘 경우, X축방향 X 및 Y축방향 Y에는 이동돼), Z축방향 Z에만 이동이 허용되게 돼 있다.
골짜기부요소 (57)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대략 6각형을 하고 있다. 더구나,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은 골격부재 (50)의 표리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통수용의 개구부로도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돼 있다.
접은 자리〔정부 (54), 골짜기부 (56)〕방향의 간격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쌓아 올렸을 때에 정부요소 (55)와 골짜기부요소 (57)이 계지하게 되는 상술한 치수로 돼 있다.
따라서, 골격부재 (50)의 산형부 (51)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최적의 것을 채용하면 좋다.
정부요소 (55)와 골짜기부요소 (57)은 Y축방향 Y에 관하여 반 피치만 어긋난 위치에 마련돼 있다. 이와 같은 상대위치관계에 의해, 동일한 골격부재 (50)을 이용하여 바로 위 방향(Z축방향 Z)에 적층할 수 있고, 사용하는 골격부재 (50)의 종류를 줄일 수가 있어, 코스트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대위치관계를 적의 변경함으로써, 가지가지의 형상의 적층구조물 (4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평판의 골격부재 (50)을 구부리어 산형부 (51)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같은 모양의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접하는 골격부재 (50)을 적층하여 계지한 상태를 도 4에 보인다. 정부요소 (55)와 골짜기부요소 (57)과의 계지에 의해, 서료 직교하는 방향에 쌓아올리는 때의 위치결정이 불필요하게 돼, 적층작업이 용이해져서 작업효율이 높아진다.
더하여, 적층상태로 정부요소 (55)와 골짜기부요소 (57)과를 끼워맞춰지게 하면, X축방향 X 및 Y축방향 Y에의 이동이 구속되게 되어서, 상방으로부터 하중을 걸어두면, 끼워맞춤 상태가 벗어지지 않게 되어, 체결구 등으로 골격부재 (50)을 고정하여 놓을 필요가 없어져, 적층작업의 가일층의 용이화, 부품개수의 삭감, 작업효율의 향상, 코스트의 저감 등의 도모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접은 자리〔정부 (54), 골짜기부 (56)〕에서 신축하는 골격부재 (50)의 경우에는, 정부 (54)와 골짜기부 (56)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신축이 구속되게 된다. 또한, 최하단의 골격부재 (50)의 힌지의 신축저지(각부의 이동저지)는, 예를 들어, 도 8에 있어서의 보조체 (61)(하측 평판)을 이용함에 의해 달성된다.
절결부 또는 요부(우묵함)를 마련하고 있지 않는 경우, X축방향 X가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한 때에는 산형부 (51)의 이면측의 이면측공간 (52a)의 높이 분 만큼 Z축방향 Z로 높아져 가나, 절결부 등을 마련하면, 적층의 골격부재 (50)은 교합하여 그 만큼 낮아져버리는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이 필요치 않아져 적층작업이 용이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골격부재 (50)에 동일한 절결을 마련하여 서로 교합하도록 적층시키고 있어, 골격부재 (50)의 X축방향 X 및 Y축방향 Y에의 이동이 구속되고 있으나, 예를 들어, 어느 일방만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절결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적층구조물 (40)에 경사면을 가지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차수공간이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도 대응가능해진다.
따라서, 단일의 골격부재 (50)을 X방향 X와 Y축방향 Y와로 형성되는 평면상에 죽 깖과 동시에 Z축방향에 적층하여, 적층구조물 (40)이 대략 지표면 위치 부근까지 쌓아올려진 후,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천정부 (13)에 의해, 차수공간을 덮으면서 지표면을 고른다. 더구나, 절결부 상호를 끼워맞춰 쌓아올리기 때문에, 물의 통로는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에 의해 확보된다. 또, 최상위의 골격부재 (50)의 위에는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은 천판(天板) (62)(상측평판)를, 최하위의 골격부재 (50)의 밑에는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은 저판 (61)(하측평판)을 마련하여 시공면의 평탄화에 대응할 수가 있다.
도구나,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산형부 (51)의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의 표면측과 이면측과를 관통하는 개구부로서 형성하여 골격부재 (50)을 계지시키는 기능 이외에, 물을 통과시키는 기능까지도 구비하였는데, 정부요소 (55), 골짜기요소 (57)을 전면적으로 개구하면, 골격부재 (50)의 강도가 지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일의 골격부재 (50)에 관통공이 없이 파인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별도 통수용의 구멍으로서, 산형부 (51)의 표면측과 이면측과를 관통하는 개구부 K를, 예를 들어, 산형부 (51)의 정부, 골짜기부, 사면부 등의 적의의 장소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도 9에 있어서는 정부에 개구부 K를 마련하고 있다).
즉,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을 전면적으로 막거나, 또, 도 10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의 일부를 이면측공간 (52a) 내에 산형부 (51)의 이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을 보강부재 H로 접속하여 막아〔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에 개구부 K를 남기고 있다.〕, 이면측공간 (52a) 내에 산형부 (51)의 이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을 보강부재 H로 접속하여 산형부 (51)을 보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 11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정부요소 (55), 골짜기부요소 (57)를 전면적으로 막은 상태에서, 이면측공간 (52a) 내에 산형부 (51)의 이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을 보강부재 H로 접속하도록 하여 강도를 보다 증대하게 하여도 좋다.
더구나, 도 9, 도 12에 보이는 골격부재 (50), (50')를 사용하여 도 13에 보이는 적층구조물 (40)을 형성할 수가 있다. 골격부재 (50), (50')는 어느 것이나 X축방향 X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 (51)을 가짐과 동시에 산형부 (51)의 정부 (54)에 정부요소 (55)를 가지고, X축방향 X와 직교하는 Y축방향 Y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예를 들어, 골격부재 (50)의 산형부 (51)은 4열(도 9 참조), 골격부재 (50')의 산형부 (51)은 2열(도 12 참조)로 돼 있다.
그리하여, 도 14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단째(최하위치)는, X방향 X와 X축방향에 직교하는 Y측방향 Y와로 형형되는 평면에, 골격부재 (50)을 병설하고, 이 병설된 골격부재 (50)의 X축방향 X 및 Y축방향 Y와 직교하는 Z축방향에, 도 14(b)), 도 14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골격부재 (50), (50')를 병설하여, 이단, 삼단으로 Z축방향에 순차 적층하여 도13에 보이는 직방체 형상의 적층구조물 (40)을 형성한다.
그 때, X축방향 X와 X축방향에 직교하는 Y축방향 Y와로 형성되는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골격부재(둘의 골격부재는, 도 14, 도 15에서 말하면, 부호 C, D)의 산형부를 교차하여 타 넘도록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골격부재(둘의 골격부재는, 도 14, 도 15에서 말하면 부호 C, D)의 Z축방향에 골격부재(골격부재는, 도 14, 도 15에서 말하면, 부호 E)의 산형부를 마련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골격부재(둘의 골격부재는, 도 14, 도 15에서 말하면, 부호 C, D)의 정부요소〔도 9의 정부요소 (55)〕에,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골격부재(둘의 골격부재는, 도 14, 도 15에서 말하면, 부호 C, D)의 Z축방향에 마련한 골격부재(골격부재는 도 14, 도 15에서 말하면, 부호 E)의 산형부 (51)의 골짜기부 (56)에 마련한 골짜기부요소〔도 9의 골짜기부요소 (57)〕가 계지되어서,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골격부재(둘의 골격부재는, 도 14, 도 15에서 말하면, 부호 C, D)를 연결시키고 있다.
또,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층구조물 (40)에 걸리는 하중이 최하부의 골격부재 (50)에 집중하여 걸리는 부당한 사정이 생긴다. 그러한 부당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하부의 골격부재 (50)의 산형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이면측공간 (52a)를 메우도록, 산형부의 이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에 각각 맞대어, 하면을 평탄면에 형성한 대략 삼각형상의 최하부보강부재 (41)을 마련하고, 최하부보강부재 (41)에 의해 적층구조물 (40)에 걸리는 하중을 최하부보강부재 (41)로도 견디어 내게 하여, 최하부 골격부재 (50)에 걸리는 하중의 경량화를 도모하여, 적층구조물 (40)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천판 (62)를 마련하였으나, 천판 (62)의 대신, 최상부의 골격부재 (50)의 인접하는 표면측의 산형부 (51)과의 사이에 형성된 표면측공간 (52b)를 메우도록, 인접하는 산형부(인접하는 산형부를 도 16에 부호 F, G로 나타낸다.)의 표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에 각각 맞대어, 상면을 평탄면에 구성한 평탄면부재 (42)를 마련하여, 평탄면부재 (42)의 상면을 산형부의 정부 (54)에 일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수공간의 경우로 설명하였는데, 빗물 등을 일시적으로 저수하여 서서히 지면에 물을 침투시키는 것 같은 공간의 경우라도 다름없이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여사한 공간은 지면을 파서 형성하는 외에, 주위를 토사 등으로 둘러 싸 지하공간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응용할 수 있다.
또,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골격부재 (50)은, X축방향 X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었으나, 다음에 설명하는 골격부재 (50)(판상체)은, X축방향 X에 단일의 산형의 산형부 (51)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의 골격부재 (50)은 도 17에 보이는 바와 같은 외관이며, 도 2에 있어서의 골격부재 (50)을 산형마다에 분할시킨 것이다.
따라서, 골격부재 (50)을 적층하여 적층구조물 (4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X축방향 X에 골격부재 (50)을 병설하여 산형을 연속시키면서 집합체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호 교차하도록 계속하여 적층해 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적층구조물 (40)의 외형치수에 관하여 폭넓게 대응할 수가 있다.
게다가, 골격부재 (50)도 같은 방향에 일치하게 하여 적층하면, 도 1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딱 들어 맞게 쌓아 겹칠 수 있다. 또, 병설하는 중간부에 있어서, 1개 놓기 또는 여러개 놓기로 병설하는 것도 가능하고, 설치하는 장소나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변화가 풍부한 적층구조물 (4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골격부재 (50)을 연속적으로 채워 넣어 병설한 집합체의 외, 예를 들어, 골격부재 (50)을 하나 놓기로 병설하는 집합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도시생략), 단일의 산형의 산형부 (51)을 가지는 골격부재 (50)을 이용하면, 설치장소나 사용상황에 따라 적의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골격부재 (50)을 도 19에 보이는 바와 같이, 교대로 들어가고 나가게 병설한 집합체 (72)로 되도록 병설하면, 적층구조물 (40) 전체로서의 강도가 한층 높아져, 폭넓은 사용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구조물 (40)을 이용한 지하저수 구조물, 말하자면, 적층구조물 (40)으로서, 개구부를 거쳐 물을 통과시키고, 적층하여 형성되는 골격부재 (50)과 골격부재 (50)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이면측공간 (52a)를 포함하는 공간을 이용하는 지하저수용의 적층구조물 (40)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2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면 (81)의 위에 성토를 하는 경우에, 내부에 골격부재 (50)을 교차하도록 적층한 적층구조물 (40)을 이용하고, 외측만을 토사 등 (82)로 덮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성토에 사용되는 것은 토사나 콘크리트 등의 중량물인데, 지반이 단단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지반의 보강공사가 필요하게 돼, 공기나 코스트가 들었다. 그러나, 내부에 공간을 가진 적층구조물 (40)을 이용함에 의하여, 연약한 지반의 경우라도 지반강화공사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공기단축이나 코스트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이 경우에는, 적층구조물 (40)의 내부에 토사가 들어가지 않도록, 적층구조물 (40)의 주위를 시트 (83)으로 둘러 산 후에, 토사 등 (82)로 덮는다. 게다가, 주위의 토사에 의해, 적층구조물 (40)에 위로부토의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골격부재 (50)의 끼워맞춤 상태가 보지되어서, 적층구조물 (40)은 일체화된다.
그 밖에, 골격부재 (50)을 교차하도록 적층한 적층구조물 (40)은, 어초(魚礁)블록, 소파(消波)블록, 수로, 수문, 벽재(壁材) 등의 구조물에도 응용할 수가 있다. 어초블록 등의 경우에는,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골격부재 (50)과 천판 62)(상층평판)를 결합하도록 마련하면, 일체화하여 취급할 수가 있다. 천판 (62)로서 어느 정도의 무게가 있는 것을 사용하면, 자중에 의해, 절결부의 끼워맞춤이 빠지는 일이 없으므로, 체결구가 필요치 않게 된다. 골격부재 (50)을 금속 이외의,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제작해 놓으면, 해수에서 사용하여도 녹슬지 않고, 게다가, 금속제의 체결구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녹 등의 부식의 걱정이 없고, 고내구성의 적층구조물 (40)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수로의 경우에는, 도 2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의 수로의 하방 양단에 적층구조물 (40)을 마련해 놓음에 의해 물고기 등의 생태계를 형성 보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사가 용이해져, 공기단축이나 코스트 저감, 메인테넌스 용이화 등의 효과가 있다. 이 경위의 판상체의 재질, 그 산형부의 형상이나 치수, 개구부의 위치나 수, 크기 등은 적의 결정하면 된다.
청구항1 (2 또는 3)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골격부재는 인접하는 산형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만큼, 골격부재는 가볍고, 더구나, 골격부재 중중의 일방의 골격부재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와 인접하는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하여 적층하기 때문에, 강도적으로 강한 적층구조물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청구항4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이 표면측의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돼 있는 만큼, 골격부재를 살얇게 형성할 수가 있어, 골격부재를 더 가볍게 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5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산형부의 이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을 보강부재로 접속하여 산형부를 보강하기 때문에, 강도적으로 더 강한 적층구조물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청구항6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Z축방향에 적층된 인접하는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골짜기부요소를,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에 마련한 정부요소에 계지하면 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게다가, Z축방향에 적층되는 골격부재의 적층상태를 보지할 수 있어, 강도적으로도 강한 적층구조물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청구항7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의 효과보다 강도적으로도 더 강한 적층구조물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청구항8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적층구조물의 주위를, 예를 들어, 차폐시트로 덮어 물 저류용의 적층구조물로서 이용하는 경우, 상방의 골격부재로 받은 물을 산형부에 마련한 개구부를 이용하여 하방의 골격부재에 유도하고, 게다가, 골격부재의 인접하는 산형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물을 모으는 부분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9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적층구조물에 걸리는 하중을 최하부보강부재로도 지탱하게 하여, 최하부의 골격부재의 산형부에 걸리는 하중의 경감화를 도모하여, 강도적으로도 강한 적층구조물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청구항10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평탄면부재의 상면을 산형부의 정부에 일치시키고, 평탄면부재의 사면을 인접하는 산형부의 표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에 각각 맞대어, 적층구조물의 상면을 평탄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골격부재를 적층하여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는 때, 적층구조물의 상면에 형성되는 표면축공간에 있어서의 요소를 메울 수가 있다.
또, 청구항11 기재의 적층구조물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교차하여 타 넘도록,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Z축방향에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골격부재를 Z축방향에 적층하고, 게다가,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골격부재까지도 접속할 수가 있어, 강도적으로도 강한 적층구조물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1)

  1. 단면의 형상이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고, 상기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이 골격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로서,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돼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적층구조물.
  2. X축방향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고, 상기 X축방향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이 골격부재를 상기 X축방향 및 상기 Y축방향과 직교하는 Z축방향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Z축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3. X축과 그 X축에 직교하는 Z축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고, 상기 X축 및 상기 Z축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이 골격부재를 상기 Z축방향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로서, 상기 Z축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와는, 교차하는 관계에 배치되어 적층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4.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이면측공간이 형성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5.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돼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이면측공간을 형성하고, 그 이면측공간 내에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대향하는 사면을 접속하여 상기 산형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6. 제 2 또는 3 항에 있어서, Z축방향에 적층된 인접하는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에 마련한 골짜기부요소(凹所)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에 마련한 정부요소에 계지하고, 상기 골짜기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이면측에서 상기 골짜기부를 본 요소이고, 상기 정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표면측에서 상기 정부를 본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7. 제 2 또는 3 항에 있어서, Z축방향에 적층된 인접하는 골격부재 중의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골짜기부에 마련한 골짜기부요소(凹所)가, 인접하는 상기 골격부재 중의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정부에 마련한 정부요소에 계지하고, 상기 정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표면측에서 상기 정부를 본 요소이며, 상기 산형부의 정부를 횡단하는 방향에 경사한 제1, 제2의 정부경사면과, 이 제1의 정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정부경사면에 접속하고 상기 산형부의 정부에 평행인 제3의 정부평탄면과로 둘러싸인 공소(空所)이고, 상기 골짜기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이면측에서 상기 골짜기부를 본 요소이며, 상기 산형부의 골짜기부를 횡단하는 방향에 경사한 제1,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이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에 접속하고, 상기 산형부의 골짜기부에 평행인 제3의 골짜기부평탄면과로 둘러싸인 공소이고, 상기 산형부의 정부의 각도와 상기 산형부의 골짜기부의 각도는 공히 θ, 상기 제1의 정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정부경가면은 외방에 향해 멀어지고 내방에 향해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상기 제1의 정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정부경사면과가 이루는 각도는 θ이고, 상기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은 외방에 향해 멀어지고 내방에 향해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상기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과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과가 이루는 각도는 θ이고, 상기 골짜기부요소가 상기 정부요소에 계지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의 정부평탄면과 상기 제3의 골짜기부평탄면과는 대향하고, 상기 제1의 골짜기부경사면 및 상기 제2의 골짜기부경사면이 상기 타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산형부의 표면측에, 상기 제1의 정부경사면 및 상기 제2의 정부경사면이 상기 일방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각각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8.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 이면측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산형부의 상기 표면측과 상기 이면측과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그 개구부를 거쳐 물을 통과시켜, 적층하여 형성되는 상기 골격부재와 상기 골격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이면측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지하저수용의 적층구조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9.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최하부의 골격부재의 산형부의 이면측의 형상은 표면측의 상기 산형부의 형상에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에는 이면측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면측공간을 메우도록 상기 산형부의 이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에 각각 맞대어, 하면을 평탄면에 구성한 최하부보강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10.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최상부의 골격부재의 인접하는 표면측의 산형부와의 사이에 표면측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측공간을 메우도록, 인접하는 상기 산형부의 표면측의 대향하는 사면에 각각 맞대어, 상면을 평탄면에 구성한 평탄면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평탄면부재의 상면을 상기 산형부의 정부에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11. X축방향에 연속하는 대략 산형의 산형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산형부의 정부에 정부요소, 골짜기부에 골짜기부요소를 가지고, 상기 X축방향과 직교하는 Y축방향에 대략 동일단면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진 골격부재와, 상기 X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에 직교하는 Y축방향과로 형성되는 평면에 상기 골격부재를 병설하고, 이 병설된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X축방향 및 상기 Y축방향과 작교하는 Z축방향에, 상기 골격부재를 병설하여 상기 골격부재를 상기 Z축방향에 순차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구조물로서,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교차하여 타 넘도록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Z축방향에 상기 골격부재의 산형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정부요소에, 상기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의 상기 골격부재의 상기 Z축방향에 마련한 상기 골격부재의 골짜기부요소가 계지되고, 상기 정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표면측에서 상기 정부를 본 요소이고, 상기 골짜기부요소는 상기 골격부재의 이면측에서 상기 골짜기부를 본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물.
KR10-1998-0017778A 1997-05-21 1998-05-18 적층구조물 KR100508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85297 1997-05-21
JP???9-130852 1997-05-21
JP???10-115778 1998-04-24
JP10115778A JP2901959B2 (ja) 1997-05-21 1998-04-24 積層構造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146A true KR19980087146A (ko) 1998-12-05
KR100508394B1 KR100508394B1 (ko) 2005-11-21

Family

ID=2645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778A KR100508394B1 (ko) 1997-05-21 1998-05-18 적층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76065B1 (ko)
EP (1) EP0879922B1 (ko)
JP (3) JP2901959B2 (ko)
KR (1) KR100508394B1 (ko)
CN (1) CN1080193C (ko)
AT (1) ATE261027T1 (ko)
DE (1) DE69822035T2 (ko)
ES (1) ES221620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0014211A3 (cs) * 1999-05-27 2002-06-12 Peter Küppers Stavební prvek
EP1317592B1 (de) * 2000-09-15 2007-02-21 Jörg R. Bauer Verfahren und System zum lösbaren Befestigen eines flächigen Bauteils auf einem Untergrund, insbesondere einer Fliese an einer Wand oder auf einem Boden, sowie Formfolie hierfür
US6659687B1 (en) * 2001-01-12 2003-12-09 James Donlin Subterranean fluid distribution and drainage system
JP4493958B2 (ja) * 2003-09-09 2010-06-30 Jfe建材株式会社 軽量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法並びにその盛土材
JP4528176B2 (ja) * 2005-03-25 2010-08-1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浮力対策構造を備えた軽量盛土構造体
JP2007016555A (ja) * 2005-07-11 2007-01-25 Bridgestone Corp 雨水貯留浸透槽用の構成部材及び雨水貯留浸透槽
JP4673264B2 (ja) * 2006-07-25 2011-04-20 株式会社Eng工房 貯留装置
KR100840350B1 (ko) 2006-10-19 2008-06-20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저류 장치
US7861480B2 (en) * 2007-01-04 2011-01-04 Top-Hat Framing System, Llc Roof subframe system
JP4840998B2 (ja) * 2007-07-23 2011-12-2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構造体
US20090274865A1 (en) * 2008-03-20 2009-11-05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Cellular lattice structures with multiplicity of cell sizes and related method of use
WO2009121016A2 (en) 2008-03-28 2009-10-01 Noble Environmental Technologies Corporation Engineered molded fiberboard panels, methods of making the panels, and products fabricated from the panels
JP5162320B2 (ja) * 2008-05-12 2013-03-13 株式会社Eng工房 雨水貯留装置及び雨水貯留装置の形成方法
JP5089562B2 (ja) * 2008-12-01 2012-12-0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浸透側溝構造体
WO2011037002A1 (ja) * 2009-09-25 2011-03-3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樹脂製積層構造物を備える地中構造物
WO2011089690A1 (ja) * 2010-01-20 2011-07-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骨格ブロック、骨格ブロック組立構造、骨格ブロックの耐クリープ性向上方法および骨格ブロック組立構造の耐せん断荷重または斜め方向荷重の向上方法
US20120052233A1 (en) * 2010-08-24 2012-03-01 Miroslav Planeta Interlocking sheet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CN102220779B (zh) * 2011-04-15 2013-03-27 袁国珊 一种集雨保墒板及其铺设方法
US8496810B2 (en) 2011-05-04 2013-07-30 Rainflex, Llc Rainwater collec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JP5652320B2 (ja) * 2011-05-11 2015-01-14 マックス株式会社 打込工具
KR101605662B1 (ko) * 2014-11-27 2016-03-22 김충기 다중 지지벽 구조체
CN105155666A (zh) * 2015-10-16 2015-12-16 南通沪望塑料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雨水收集模块
US10030392B2 (en) 2016-10-26 2018-07-24 Tim Alan Lane Subframe support for retrofit roof
CN112854118A (zh) * 2021-01-14 2021-05-28 鲍韵清 一种消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9666A1 (de) * 1970-04-23 1971-12-23 Dr Becker Otto Alfred Wandelement mit Isolierung
DE2119863A1 (en) * 1971-04-23 1972-10-26 Langfeldt, Werner, 7453 Burladingen Lightweight building panel prodn - with deformed reinforcing core
DE2237707A1 (de) * 1972-08-01 1974-02-07 Bayer Ag Draenageelement fuer den erd-, grundund wasserbau
JPS5526840A (en) * 1978-08-17 1980-02-26 Toukouen Kk Irrigation tank for plant cultivating soil in hard foundation
FR2502458A2 (fr) * 1980-01-14 1982-10-01 Renard Patrick Perfectionnements au dispositif souterrain d'irrigation ou de drainage
US4917536A (en) * 1989-01-31 1990-04-17 Eljen Corporation Fluid storage system
FR2682410B1 (fr) * 1991-10-11 1994-07-22 Hamon Ind Thermique Structure de reservoir de retenue d'eau.
KR0119563Y1 (ko) * 1994-08-01 1999-02-01 손연호 배수판
KR960011008U (ko) * 1994-09-06 1996-04-15 허동수 액체용기와 뚜껑의 연결편 구조
JP3164988B2 (ja) 1994-12-28 2001-05-14 大林道路株式会社 地下貯水構造物
FR2740485B1 (fr) * 1995-10-25 1997-12-05 Induplast Sa Bassin tampon enterre de stockage et de traitement des eaux pluviales
US6003283A (en) * 1998-05-07 1999-12-21 Hexcel Corporation Vented flexible honeycom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32334A (ja) 2001-02-06
JPH11190049A (ja) 1999-07-13
ATE261027T1 (de) 2004-03-15
EP0879922B1 (en) 2004-03-03
CN1080193C (zh) 2002-03-06
JP3258995B2 (ja) 2002-02-18
ES2216202T3 (es) 2004-10-16
JPH1136383A (ja) 1999-02-09
EP0879922A2 (en) 1998-11-25
KR100508394B1 (ko) 2005-11-21
JP3258966B2 (ja) 2002-02-18
EP0879922A3 (en) 1999-02-03
JP2901959B2 (ja) 1999-06-07
DE69822035D1 (de) 2004-04-08
US6176065B1 (en) 2001-01-23
CN1211501A (zh) 1999-03-24
DE69822035T2 (de) 200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7146A (ko) 적층구조물
US6574934B1 (en) Block forming dead form work element for a reinforced concrete wall
AU2022397022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KR200272975Y1 (ko) 다공법이 혼용된 중력식 안벽구조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290011Y1 (ko)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JP3793434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及び浸透施設
JP4933867B2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KR100663689B1 (ko) 적층 조립식 방파제
JP3030806B2 (ja) 消波構造物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519602B2 (ja) 消波堤の構築方法
KR102614249B1 (ko) 현장 타설 강결 거더 구조를 갖는 피씨 박스
JP4452592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0709510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저장고 시공방법 및 저장고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708895B1 (ko)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GB2245629A (en) Concrete blocks
KR100914342B1 (ko) 주철 판넬을 이용한 보강토 공법
KR200429713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럭
KR100409197B1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2000144718A (ja) コンクリート合成矢板
KR200168437Y1 (ko) 방파제 또는 호안 피복블럭
JPS63219714A (ja) 消波堤用有底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それを使用した消波堤、同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を使用する消波堤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622

Effective date: 201207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30

Effective date: 201210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