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095A -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095A
KR19980087095A KR1019980017546A KR19980017546A KR19980087095A KR 19980087095 A KR19980087095 A KR 19980087095A KR 1019980017546 A KR1019980017546 A KR 1019980017546A KR 19980017546 A KR19980017546 A KR 19980017546A KR 19980087095 A KR19980087095 A KR 1998008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tection device
housing
impact protection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하인쯔
프레트 트릭
허버트 뵈게
귄터 디트리히
헤르만 굴
Original Assignee
주르겐 헤르만
독토르 잉그. 에이치.씨.에프. 포르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르겐 헤르만, 독토르 잉그. 에이치.씨.에프. 포르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주르겐 헤르만
Publication of KR1998008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적어도 하우징, 가스 발생기 및 에어백으로 구성되는 설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팽창된 에어백이 전방에 위치된 도어 트림의 직립 벽 부분 상에 제공된 상태로 도어의 내부 패널에 장착된다.
종래의 도어 공동의 효과적 이용과 하우징과 도어 내부 패널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이 가스 발생기용 홈통형 수납부와, 전방에 위치된 에어백용 배출 채널과, 패널형 장착부를 구비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수납부는 도어 내부 패널 내의 리세스를 통과하여 후방에 위치된 도어 공동을 관통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용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형태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 모듈은 적어도 하우징, 가스 발생기 및 에어백으로 구성되어 측면 도어의 내부 도어 패널 상에 장착되며, 팽창된 에어백의 출구 개구는 전방에 위치된 도어 트림의 직립 벽 부분에 장착된다.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공지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독일 특허출원공개 제195 11 511 A1호)에 있어서, 하우징의 하부는 탑승자를 향하는 도어 내부 패널의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 내부 패널 상의 외부 마운트(mount)에 의해 고정된다. 도어 내부 패널은 하우징의 장착 영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있게 설계되고, 그 결과 가스 쿠션(gas cushion)이 펼쳐질 때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 가스 발생기 및 에어백으로 구성된 설치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공동이 도어 내부 패널과 내부 도어 트림 사이에 남아 있어야 하며, 따라서 도어 트림의 자유로운 설계를 제한하게 된다. 에어백이 팽창함에 따라 하우징의 날카롭게 모서리진 경계면에 의해 손상될 위험성이 또한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이 설치될 때 보다 견고한 연결이 상기 하우징과 내부 도어 패널 사이에 제공되고 도어 내의 종래의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측면 충격 보호 장치용 하우징과 인접하는 도어 내부 패널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효과적으로 본 발명이 정의하는 추가 특징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주요 장점은 수납부가 도어 내부 패널의 리세스를 통해 후방에 위치된 도어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므로 도어 창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도어의 본체 내의 공동이 상기 설치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되도록 가스 발생기용 홈통형(trough-shaped) 수납부, 에어백용으로 전방에 위치된 배출 채널 및 패널형 장착부로 구성되는 하우징이 상대적으로 견고한 구조체이라는 사실이다.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도어 부분은 상부에 위치된 창의 축 보강부와 함께 도어 내부 패널의 모서리방향 오프셋부(offset)에 의해 아주 견고하게 된다. 상기 배출 채널은 국부적으로 장착된 비이드(bead)와 주변 비이드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제조된다. 또한, 상기 비이드는 에어백이 팽창할 때의 손상에 대해 에어백을 보호한다. 배출 채널이 견고하기 때문에 에어백이 펼쳐질 때 도어 트림은 부하를 받지 않는다. 또한, 배출 채널은 상기 도어 트림을 지나 상기 에어백을 안내한다. 하우징은 도어 밀봉 필름에 장착된다. 에어백이 팽창될 때, 도어의 내부 패널은 변형되지 않는다. 모듈과 일체로 제공된 하우징 상의 교체 래치(latch)는 설치 모듈이 대응 측면 도어 상에 정확히 설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가스 발생기용 마개(plug)가 또한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도1은 차량 도어의 내부 패널의 내부로부터 도시된 상기 도어의 측면도로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용 설치 모듈이 상기 도어의 내부 패널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확대도.
도3은 상기 설치 모듈의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면 충격 보호 장치
2 : 하우징
3 : 가스 발생기
4 : 에어백
5 : 설치 모듈
6 : 내부 패널
9 : 도어 트림
10 : 출구 개구
15 : 수납부
16 : 배출 채널
17 : 장착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1)는 하우징(2), 가스 발생기(3) 및 접혀진 에어백(4)으로 구성된 설치 모듈(5)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도어(7)의 내부 패널(6)에 고정된다.
팽창된 에어백(4)을 위한 출구 개구(10)는 전방에 위치한 도어 트림(9)의 직립 벽 부분(8)에 제공되며, 본 실시예의 출구 개구(10)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덮개(11)에 의해 덮인다. 에어백(4)이 팽창될 때, 하향 회동하는 반부(12)와 상향 회동하는 다른 반부(13)를 갖는 덮개의 반부는 해제 위치로 회동된다.
직사각형 리세스(14)는 직사각형 리세스(14)의 긴 측면이 측면 도어(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짧은 측면이 측면 도어(7)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설치 모듈(5)을 수용하도록 도어 내부 패널(6)의 상부 영역에, 즉 벨트 라인 아래에 제공된다.
설치 모듈(5)의 하우징(2)은 긴 튜브 발생기에 의해 형성된 가스 발생기(3)용의 긴 홈통형 수납부(15)와, 에어백(4)용의 전방 위치된 배출 채널(16)과, 도어 내부 패널(6)에 하우징을 장착하기 위한 배출 채널(16)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 패널형 장착부(17)를 구비한다.
차량의 횡방향으로 보아 직립 장착부(17)는 배출 채널(16)과 수납부(15) 사이의 대략 중앙에서 연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부(15)는 도어의 내부 패널(6)의 리세스(14)를 통해 안내되고 후방 위치된 도어 공동(18) 내로 돌출한다. 높이 조절가능한 도어 창(19)은 상기 도어 공동 내에서 수납부(15)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이동한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 도어의 내부 패널(6)은 리세스(14)의 모서리에서 도어 창(19)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라운드진 오프셋부(20)를 갖는다. 하우징(2)은 도어 내부 패널(6)에 접착된 도어 밀봉 필름(21) 상에서 내부 쪽으로 설치되고, 장착 나사(22)에 의해 도어 내부 패널(6) 상의 정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나사는 대략 직사각형 장착부(17)의 코너에 구비된다. 장착 나사(22)는 장착부(17) 내의 개구(37)를 통해 안내되고 도어 내에 위치된 용접 너트 또는 플러그 너트(38) 내로 나사결합된다(도2 참조).
도2에 의하면, 하우징(2)은 상호 연결되는 하부 부분(23a)과 상부 부분(23b)으로 구성된다. 수직 방향으로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홈톰형 수납부(15)는 하부 부분(23a) 상에 형성되는 반면에, 배출 채널(16)은 상부 부분(23b) 상에 형성된다.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하부 부분(23a, 23b) 상에서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플랜지(24, 25)는 외부 단부에 주위 보강 오프셋부(39)를 갖는 패널형 장착부(17)를 형성한다. 배출 채널(16)은 출구 개구(10)를 향하는 측면 상에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외향 오프셋부 또는 비이드(26)를 구비한다. 그 결과, 에어백(4)은 팽창시의 손상에 대해 보호된다. 팽창된 에어백(4)은 배출 채널(16)을 통해 도어 트림(9)을 지나도록 안내된다. 또한, 배출 채널(16)은 다수의 인접한 보강 비이드(27)에 의해 장착부(17)와 연결되는 영역의 상하부에 제공되어 견고한 배출 채널(16)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2)은 강판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하우징(2)은 일부품으로서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핀은 장착부(17)의 하부 모서리에서 도어 내부 패널(6)을 향하는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핀은 하우징(2)이 설치될 때 도어 내부 패널(6) 내의 대응 구멍에 결합된다(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정확한 설치에 대한 보호 부재). 수납부(15)의 하부(29)에서 하우징(2) 내부에 위치된 발생기 마운트(32)의 장착 요소(나사 볼트; 31)가 삽입되는 보어(30)는 국부적으로 제공된다. 와셔 및 너트(33)는 나사 볼트(31) 상에 외부에서 장착된다. 배출 채널(16)의 외부에서, 가스 발생기(3)로 이어지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연장 라인의 마개가 삽입되어 비틀림에 대해 안정하게 되는 직사각형 개구(34)가 제공된다.
개구(34)의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게, 플러그 너트(36)를 갖는 마운트(35)는 배출 채널(16) 외부의 하우징(2) 상에 제공되며, 전방에 위치된 덮개(11)는 장착 나사에 의해 너트에 안전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홈통형 수납부와 패널형 장착부를 갖는 하우징을 사용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어 내부 패널과 도어 트림 사이의 공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하우징과 도어 내부 패널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1)

  1. 적어도 하우징, 가스 발생기 및 에어백으로 구성되는 설치 모듈이 측면 도어의 내부 패널에 장착되며, 팽창가능한 에어백용의 출구 개구가 전방 위치된 도어 트림의 직립 벽 부분 상에 제공되는, 차량 탑승자용의 팽창가능한 에어백의 형태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은 가스 발생기(3)를 장착하기 위한 홈통형 수납부(15)와, 전방 위치된 에어백(4)용의 배출 채널(16)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2)을 도어 내부 패널(6)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출 채널(16)에 대략 수직하게 정렬된 판 형태의 장착부(17)를 가지며, 상기 수납부(15)는 도어 내부 패널(6)의 리세스(14)를 통해 안내되고 후방 위치된 도어 공동(18)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2)은 홈통형 수납부(15)가 하부 부분(23a)에 형성되고 배출 채널(16)이 상부 부분(23b)에 형성되도록 상호 연결된 상부 부분(23b)과 하부 부분(23a)으로 구성되며, 상부 부분(23b)과 하부 부분(23a) 상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24, 25)는 판 형태의 장착부(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배출 채널(16)은 출구 개구(10)를 향하는 측면 상에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외향 원주 방향 오프셋부 또는 비이드(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배출 채널(16)은 국부적으로 보강 비이드(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5. 상기 전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은 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6. 상기 전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핀은 도어 내부 패널(6)을 향하는 측면의 장착부(17) 상에 제공되고, 상기 핀은 도어 내부 패널(6) 내의 대응 개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리세스(14)의 모서리의 도어 내부 패널(6)은 라운드지고 도어 창(19)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프셋부(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8. 상기 전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어(30)는 수납부(15)의 하부(29) 상에 국부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보어를 통해 가스 발생기(3) 및 에어백(4)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착 요소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9. 상기 전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긴 하우징(2)은 상대적으로 평평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10. 상기 전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너트(36)를 갖는 마운트(35)는 판 형태의 장착부(17) 상의 배출 채널(16)의 외부에 제공되고, 그 상에 전방 위치된 덮개(11)가 장착 나사에 의해 플러그 너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11. 상기 전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은 일부품으로 제조되고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KR1019980017546A 1997-05-16 1998-05-15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KR19980087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0587A DE19720587A1 (de) 1997-05-16 1997-05-16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DE19720587.9 1997-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095A true KR19980087095A (ko) 1998-12-05

Family

ID=782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46A KR19980087095A (ko) 1997-05-16 1998-05-15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06005A (ko)
EP (1) EP0878361B1 (ko)
JP (1) JPH11255061A (ko)
KR (1) KR19980087095A (ko)
DE (2) DE19720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97B1 (ko) * 2007-10-18 201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15820U1 (de) * 1999-09-08 2000-01-13 Trw Repa Gmbh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US7363750B2 (en) * 2000-07-25 2008-04-29 Alcoa Inc. Sliding vehicle door with a moveable window assembly
JP3752527B2 (ja) * 2000-08-30 2006-03-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DE10135614A1 (de) * 2001-07-21 2003-02-13 Findlay Ind Deutschland Gmbh Türverkleidung mit Seitenairbag-Modul eines Personenkraftwagens
DE10253636B4 (de) * 2002-11-13 2005-09-0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Kraftfahrzeugtür
FR2858957B1 (fr) * 2003-08-22 2006-08-18 Mollertech Sas Piece d'habillage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un volet apte a masquer un coussin gonflable
JP4453543B2 (ja) * 2004-12-21 2010-04-21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382740B2 (ja) * 2005-10-21 2009-1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4861282B2 (ja) * 2007-09-27 2012-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カバー体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425536B2 (ja) * 2009-06-19 2014-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JP6396101B2 (ja) * 2014-07-14 2018-09-2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4786978B (zh) * 2015-04-28 2017-03-0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的侧碰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5535A1 (de) * 1983-04-29 1984-03-2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bdeckung fuer ein aufblasbares gaskissen
US4989896A (en) * 1988-10-17 1991-02-05 Tip Engineering Group, Inc. Double door closure for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US5062664A (en) * 1989-05-11 1991-11-05 Allied-Signal Inc. Air bag assembly
US5744776A (en) * 1989-07-14 1998-04-28 Tip Engineering Group, Inc. Apparatus and for laser preweakening an automotive trim cover for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US5195774A (en) * 1990-11-30 1993-03-23 Takata Corporation Air bag attaching structure
DE4101286A1 (de) * 1991-01-17 1992-07-23 Trw Repa Gmbh Aufblasbarer gassack fuer rueckhaltesysteme in fahrzeugen
US5224732A (en) * 1991-07-16 1993-07-06 Toyota Motor Co Ltd Inflatable restraint system for side impact crash protection
US5332256A (en) * 1992-02-24 1994-07-26 Morton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circumference diffuser reaction canister
JP3265510B2 (ja) * 1992-04-10 2002-03-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4214662C2 (de) * 1992-05-02 2001-10-18 Porsche Ag 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JPH06144149A (ja) * 1992-11-04 1994-05-24 Takata Kk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の起動装置
JPH06227348A (ja) * 1993-02-05 1994-08-16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5431436A (en) * 1993-09-21 1995-07-11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JPH0796811A (ja) * 1993-09-28 1995-04-11 Kansei Corp 樹脂製品及びエアバッグ装置用リッド
DE4410889C2 (de) * 1994-03-29 1996-03-28 Opel Adam Ag Airbagabdeckung
DE9408908U1 (de) * 1994-05-31 1994-11-17 Trw Repa Gmbh Gassack-Schutzvorrichtung
DE4430412C1 (de) * 1994-08-26 1995-10-12 Porsche Ag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JPH0872658A (ja) * 1994-09-06 1996-03-19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GB2293355B (en) * 1994-09-08 1997-12-17 Alliedsignal Deutschland Gmbh Inflatable safety restraint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4443027A1 (de) * 1994-12-02 1996-06-05 Trw Repa Gmbh Seitenaufprall-Gassack
DE19505214C2 (de) * 1995-02-16 2000-05-04 Johnson Contr Interiors Gmbh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e Seitentür eines Personenkraftwagens
US5511819A (en) * 1995-03-27 1996-04-30 Morton International, Inc. Fastenerless automotive passenger airbag module endcap
DE19511511A1 (de) 1995-03-29 1996-02-22 Daimler Benz Ag Gassack in einem Kraftwagen
DE19535430A1 (de) * 1995-09-23 1997-03-27 Vaw Ver Aluminium Werke Ag Airbagprofil
DE29517372U1 (de) * 1995-11-02 1996-02-01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DE29608055U1 (de) * 1996-04-24 1996-07-18 Daimler Benz Ag Gassack, insbesondere für ein Seitenairbagmodul
US5669627A (en) * 1996-07-25 1997-09-23 Morton International, Inc. Side impact airbag module with extruded cover
DE29616891U1 (de) * 1996-09-27 1997-01-30 Trw Repa Gmbh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Gassackmoduls
US5803490A (en) * 1997-05-05 1998-09-08 Chrysler Corporation Side air 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97B1 (ko) * 2007-10-18 201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8361B1 (de) 2005-11-02
DE19720587A1 (de) 1998-11-19
EP0878361A2 (de) 1998-11-18
EP0878361A3 (de) 2002-01-23
JPH11255061A (ja) 1999-09-21
US6106005A (en) 2000-08-22
DE59813150D1 (de)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7095A (ko)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EP0841221B1 (en) Structure for arrangement of occupant protective apparatus for vehicle
US6478456B1 (en) Headlamp having an impact-resistant housing assembly
US20010000290A1 (en) Interior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corporating head-protecting air bag body
US20040160078A1 (en) Mounting structure for a pillar trim in an automobile having a curtain type airbag
JP4306103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81346A (ko) 차량용 후드 에어백 장치
US5261692A (en) Inflatable restrai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occupants
EP1937519A1 (en) Airbag device
WO2014208666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6935653B2 (en) Passenger air bag system for vehicles
JPH1191479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取付構造
US5370416A (en) Airba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including airbag mounting structure with high degree of airtightness
JP4155870B2 (ja) エアバッグドア付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US6880857B2 (en) Fastening device for a belt roller
JPH08258651A (ja) エアバッグ装置
EP1216896A2 (en) Flange shaped discharge opening for an airbag module
JPH04368250A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0641034B1 (ko) 에어백장치
JP316832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243585B1 (ko) 자동차의 범퍼카바 장착구조
JPH0986171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KR200151716Y1 (ko) 자동차의 범퍼 설치구조
KR19980026174U (ko) 리어 범퍼 취부 구조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