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996A -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996A
KR19980086996A KR1019980017135A KR19980017135A KR19980086996A KR 19980086996 A KR19980086996 A KR 19980086996A KR 1019980017135 A KR1019980017135 A KR 1019980017135A KR 19980017135 A KR19980017135 A KR 19980017135A KR 19980086996 A KR19980086996 A KR 19980086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ide walls
outer side
locking
low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7412B1 (ko
Inventor
마코토 다루사와
미쓰히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후지타 아키라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255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09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54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051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타 아키라,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타 아키라
Publication of KR1998008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5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은 시트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활주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활주레일 어셈블리는 차체 바닥에 고정된 하부레일과, 해당 시트에 고정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의 시트 위치조절을 목적으로 상기 하부레일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상부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레일은 통상의 평탄 바닥벽과, 바닥벽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과, 상기 외부측벽 양쪽 상단으로부터 내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을 가져 보통 역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룬다. 반면, 상기 상부레일은 통상의 평탄 상부벽과, 상부벽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과, 상기 내부측벽 양쪽 하단으로부터 외측방 및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을 가져 보통 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하부레일의 내부측벽은 상기 상부레일의 내,외부측벽간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틈새 사이로 삽입되는 한편, 상기 상부레일의 외부측벽은 상기 하부레일의 내,외부측벽간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틈새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상,하부레일 하부 모서리 사이에는 다수의 구형부재가 개재되는 한편, 상기 상부레일의 외부측벽 상단과 상기 하부레일 내부측벽의 측방연장부 사이에는 다수의 로울러가 개재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본 발명은 차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시트 위치조절을 위한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seat slide unit)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본 공개 실용신안등록출원 (심사미필) 제4-48034호에 공개된 통상의 자동차 활주레일 어셈블리(assembly)를 나타내는 바, 이에는 차체 바닥에 고정된 하부레일(1)과,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레일(2)상에 미끄럼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상부레일(2)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레일(1)이 해당 하부레일상에 고정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잠금홈(4a)을 갖는 잠금판(4)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상부레일(2)은 해당 상부레일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잠금판(4)내 하나의 잠금홈(4a)과 결합하여 상기 시트를 잠그게 되는 잠금고리(3a)를 갖는 잠금레버(3)를 포함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종래의 활주레일 어셈블리의 경우, 그러나, 상기 잠금레버(3), 잠금판(4) 및 관련부품이 상기 두 레일(1, 2)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뒤좌석 승객의 다리를 둘 공간이 제한될뿐 아니라 시트 또는 그 인접유닛들, 예를 들면 경사유닛, 시트 승강유닛 및 동일류의 각종 장치에 관한 설계자유도 역시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도 1의 시트 활강유닛은 많은 구성부품을 갖는 관계로 비싸고 무겁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의 다른 활강유닛이 제안되어 있는 바, 이는 하부레일(1) 및 그 위에 미끄럼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상부레일(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부레일(1)은 바닥벽(1a)과, 바닥벽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1b)과, 각각의 내부측벽(1b) 상단으로부터 외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통상 역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외부측벽(1c)을 갖는다. 상기 상부레일(2)은 상부벽(2a)과, 상부벽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2b)과, 각각의 외부측벽(2b) 하단으로부터 내측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어 통상 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내부측벽(2c)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상부레일(2)의 외부측벽(2b)이 상기 하부레일(1)의 상대 외부측벽(1c) 외측에 위치하는 관계로, 상기 상부레일(2)의 내부측벽(2c)은 하부레일(1)의 내,외부측벽(1b, 1c)간 형성된 안내틈새 사이로 마치 악수하듯이 들어가 있다.
도 2상의 활주레일 어셈블리 역시 상기 상부레일(2) 내측면 및 하부레일(1) 외측면 상단 모서리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구형부재(3)와, 상기 하부레일(1)의 외부측벽(1c) 하단과 상부레일(2)의 상대 내측방 연장부 사이에 개재된 두 개의 U자형 수지재 리테이너(4)를 포함한다.
상기 활주레일 어셈블리의 경우, 그러나 상,하부레일(2, 1)간 헐거워지는걸 방지하고자 양측 레일간에 미끄럼접촉 상태로 끼워둔 상기 수지재 리테이너(4)로 인해 작동력이 증대되고, 결국은 더욱 헐거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상,하부레일 사이가 헐거워지지 않게 하면서도, 상부레일을 하부레일에 대해 실질적 일정 작동력으로 슬라이딩(sliding)시킬 수 있는 개선형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 저가인 동시에 두 레일간 분할력으로 상기 상부레일에 작용하는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견딜수 있는 앞서 언급한 형태의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수직단면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수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3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정면도.
도 6은 상기 도 3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측면도.
도 7a는 상기 도 3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수직단면도.
도 7b는 상기 도 3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다른 수직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3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에 장착된 두 개 로울러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3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의 단면 일부 특히, 각각의 로울러 어셈블리내 상부 로울러와 상,하부레일상의 스톱퍼의 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4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상기 도 4의 XI-XI선 단면도.
도 12는 상기 도 4의 XII-XII선 단면도.
도 13은 상기 상부레일내에 삽설되는 잠금판의 평면도.
도 14는 상기 잠금판의 측면도.
도 15는 해제위치에서의 상기 잠금판의 측단면도.
도 16은 상기 잠금판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상기 상,하부레일의 분해사시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며, 동일류 부품에 대해서는 전도면에 걸쳐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은 시트 양측에 배치되며 각각 차체 바닥면에 고정된 하부레일과, 해당 시트에 고정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 시트 위치조절 목적으로 상기 하부레일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상부레일을 갖는 두 개의 활주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레일은 통상의 평탄 바닥벽과, 바닥벽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과, 외부측벽 양쪽 상단으로부터 내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역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룬 두 개의 내부측벽을 갖는다. 상기 상부레일은 통상의 평탄 상부벽과, 상부벽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과, 내부측벽 양쪽 하단으로부터 외측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어 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룬 두 개의 외부측벽을 갖는다. 상기 하부레일의 내부측벽이 상부레일의 내,외부측벽간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틈새 사이로 삽입되는 반면, 상기 상부레일의 외부측벽은 하부레일의 내, 외부측벽간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틈새 사이로 삽입되어 있다.
다수의 구형부재들이 상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 모서리 사이에 개재된 한편, 상부레일 외부측벽 상단부와 상기 하부레일 내부측벽의 측방연장부 사이에는 다수의 로울러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경우, 로울러 및 구형부재같은 회동부재로 인해 하부레일에 대한 상부레일의 미끄럼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로울러와 상기 하부레일 내부측벽의 측방연장부간 유격이 줄어들어 상부 회동부재의 헐거운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을 슬라이딩시킴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비교적 적은 하중이 필요하게 된다.
편리하게는, 상기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은 상기 다수의 구형부재 및 로울러중 각각 두 개의 구형부재와 하나의 로울러를 잡아주는 다수의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리테이너는 상기 두 개의 구형부재 및 하나의 로울러간 위치관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레일 외부측벽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취부가 형성되며, 하부레일 내부측벽의 측방연장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가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취부 및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 반대측 선단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부레일의 미끄럼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 기능을 갖게 된다. 이들 절취부 및 함몰부는 또한 상기 활주레일유닛으로부터 해당 로울러 및 구형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별도의 스톱퍼가 불필요하다.
또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레일의 내,외부측벽간 안내틈새 폭은 대략 상기 로울러가 기울어지지 않을 정도로 결정된다.
상기 하부레일의 내부측벽중 일측 하단에는 다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된 한편, 상부레일에는 제1선단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잠금판이 장착되어 있다. 잠금판은 또한 상기 제1선단 맞은편 제2선단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된 제1수평연장부를 갖는 바, 이 제1수평연장부상에는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부레일 위치고정을 위한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잠금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일단이 상기 잠금판에 고정된 하나의 레버가 상기 상부레일 상부벽을 지나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레버작동시 상기 잠금판은, 상기 수개의 잠금돌기가 상대 잠금구멍으로 삽입되는 잠금위치와, 해당 잠금돌기가 상기 다수의 잠금구멍으로부터 분리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자동차 시트 활강유닛은 또한 상기 잠금판을 상부레일에 대해 선회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과, 상기 잠금위치쪽으로의 해당 잠금판 편심을 목적으로 상기 지지축에 감긴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판은, 해당 잠금판이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함에 있어 그 제2선단이 상기 하부레일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 내부측벽 하단에는 다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잠금판은 각각 하나 이상의 잠금홀이 형성되며 그 제2선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 외측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수평연장부를 갖고 있다.
상기 구조로 인해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잠금력이 증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레일 양측 내부측벽에 함몰부가 형성되며,/또는 상기 잠금판의 마주보는 양측벽에는 해당 잠금판 측방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두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은 1997년 5월 13일 동일자로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9-122549호 및 9-122550호에 근거한 것이며, 상기 선출원 내용은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우선, 지금까지 개발된 자동차용 시트 활주유닛은 일반적으로 시트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 두 개의 활주레일유닛을 포함하며 이들은 동일구조인 관계로, 이하에는 상기 활주레일 어셈블리중 하나만 인용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에 적용된 두 개의 활주레일 어셈블리중 하나를 나타낸다. 도면상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활주레일 어셈블리는 전,후방 지지대(6)를 매개로 차체 바닥에 고정된 하부레일(7)과, 시트 쿠션(cushion)에 고정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의 시트 위치조절을 목적으로 상기 하부레일(7)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상부레일(8)을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레일(7)은 통상의 평탄 바닥벽(7a)과, 바닥벽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7b)과, 상부외벽 양측 상단으로부터 내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보통 역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내부측벽(7c)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레일(8)은 통상의 평탄 상부벽(8a)과, 상부벽(8a)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8b)과, 내부측벽 양측 하단으로부터 외측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어 보통 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외부측벽(8c)을 갖는다.
상기 구조의 경우, 하부레일(7)의 상기 내부측벽(7c)은 상부레일(8)의 내, 외부측벽(8b, 8c)간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틈새 사이로 삽입되는 한편, 상기 상부레일(8)의 외부측벽(8c)은 하부레일(7)의 내,외부측벽(7c, 7b)간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틈새 사이로 마치 악수하듯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상부레일(8)의 각 외부측벽(8c) 전후방부에는 전,후방 절취부(8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활주레일 어셈블리는 또한 두 개의 전방 로울러 어셈블리(5) 및 후방 로울러 어셈블리(5)를 포함하는 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모두는 동일구조이다. 각각의 로울러 어셈블리(5)는 상부 로울러(10)와, 두 개의 하부 구형부재(9)와, 상기 상부 로울러(10) 및 하부 구형부재(9)를 잡아주기 위한 리테이너(11)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11)는 통상의 C형 단면을 가지며, 그 중앙부에 형성된 상부 함몰부(11a)와, 상부 함몰부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전,후방 하부 함몰부(11b)를 또한 가진다.
상부 로울러(10)가 상기 상부 함몰부(11a)내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삽설된 반면, 상기 두 개의 하부 구형부재(9)는 각각의 하부 함몰부(11b)내에 역시 회동가능하게 삽설되어 있다.
이들 상부 로울러(10) 및 하부 구형부재(9)가 모두 하나의 리테이너(11)내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로울러(10) 및 하부 구형부재(9)간 위치관계는 실질적으로 변동하지 않는 바, 이로써 그 헐거워지는 정도가 완화되고 상기 로울러 어셈블리의 강성이 안정된다.
상기 각각의 전,후방 로울러 어셈블리(5)가 상기 하부레일(7)의 내,외부측벽(7c, 7b)간에 형성된 안내틈새내에 미끄럼가능 상태로 장착된 관계로, 상기 상부레일(8)은 하부레일(7)에 대해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각 로울러 어셈블리(5)는 상기 상부레일(8)상의 상대 절취부(8d)를 따라 해당 절취부 전단(8g) 및 후단(8h) 사이를 이동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구형부재(9)는 하부레일(7) 내측면 및 상부레일(8) 외측면과 그들 하부 모서리부에 있어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구형부재(9)와 접촉상태의 상,하부레일(8, 7) 해당 표면은 굴곡져서 하부 구형부재(9)를 보완하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표면은, 그러나, 경사면으로 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상부 로울러(10)는 하부레일(7)의 내,외부측벽(7c, 7b)간 안내틈새 폭(W)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 로울러(10)의 기울어짐을 막아 해당 로울러(10)를 실질적 일정 작동력으로 안정회전시킴으로써 소음발생을 방지하고자, 상기 하부레일(7)의 내,외부측벽(7c, 7b) 내부윤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상부 및 측방부 윤곽을 또한 갖는다.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레일(7)은 각각의 내부측벽(7c) 측방 연장부에 형성된 4개의 함몰부(7g, 7h)를 갖는다. 이들 함몰부(7g, 7h)는 상응하는 상부 로울러(10)의 전후방 스톱퍼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로울러(10)가 상기 함몰부(7g)와 절취부(8d)의 후단(8h) 사이에 끼게 될 때, 하부레일(7)에 대한 상부레일(8)의 더 이상의 전방이동은 방지된다. 반면, 상부 로울러(10)가 상기 함몰부(7h)와 절취부(8d)의 전단(8g) 사이에 끼게되는 경우, 하부레일(7)에 대한 상부레일(8)의 더 이상의 후방이동이 동일한 원리로 저지된다.
상기 하부레일(7)의 함몰부(7g, 7h)와 상부레일(8)상의 절취부(8d)는 또한 상기 활주레일 어셈블리로부터 상부 로울러(10) 및 하부 구형부재(9)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별도의 스톱퍼가 불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레일(8)이 상부 로울러(10) 및 하부 구형부재(9)의 회전에 힘입어 하부레일(7)상을 활주하기 때문에, 비록 상부 로울러(10)와 상기 하부레일(7)의 내부측벽(7c) 측방 연장부간 틈새가 작아 헐거운 정도가 최소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부레일(8)을 원활히 슬라이딩시킴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비교적 작은 하중만 가해주면 된다. 더욱이, 상기 상부레일(8)을 하부레일(7)로부터 상방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해당 상부레일(8)에 비교적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하부레일(8, 7) 양쪽 측벽 및 상부 로울러(10)의 강성이라면 그 정도의 하중은 견뎌낼 수 있다.
상기 활주레일유닛은 잠금장치(19)를 포함하는 바,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하부레일(7)의 내부측벽(7c) 하단에는 일정간격을 둔 통상의 직사각형 잠금돌기(7i, 7j)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역U자형에 유사한 단면을 갖는 잠금판(17)이 상기 상부레일(8)의 양측 내부측벽(8b) 사이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도 12 및 도 15에 잘 나타나 있듯이, 상기 잠금판(17) 양쪽 전방측벽(17a)에는 원형구멍(17b)이 일측 후방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17c)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직사각형 잠금구멍(17d)이, 그리고 또 다른 일측 후방측벽 하단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된 다른 수평연장부(17e)에는 잠금구멍(17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레일(8) 양쪽 내부측벽(8b)은 함몰부(8j)를 갖는 바, 해당 함몰부(8j)상에는 원형구멍(8i)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판(17)은 그 원형구멍(17b)에 삽설된 지지축(16)과 상기 상부레일(8)의 함몰부(8j)내 원형구멍(8i)을 매개로 상부레일(8)에 대하여 수직선회할 수 있는 구조이다. 잠금판 전방측벽(17a)의 외부면간 간격은 상기 상부레일 내부측벽(8b)의 내부면간 간격보다 작은 관계로, 상기 잠금판(17)의 전방측벽(17a)은 상부레일(8)상의 두 개 함몰부(8j) 사이에 헐겁지 않을 정도로 장착된다. 잠금판(17) 후방측벽상에 있어 상기 수평연장부(17c, 17e) 부근에는 각각의 돌기(17g)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17g)는 상부레일 내부측벽(8b)에 대해 잠금판(17) 후방측벽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축(16) 둘레에는 잠금스프링(18)이 감겨져 잠금판(17)을 상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하부레일(7)상의 잠금돌기(7i)를 잠금판내 잠금구멍(17d)과 맞물리게 하는 동시에, 해당 하부레일(7)내 하나의 잠금돌기(7j)를 잠금판(17)내 잠금구멍(17f)과 또한 결합시킨다.
상기 잠금판(17)의 수평연장부(17e)에 다수의 잠금구멍을 형성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상기 하부레일(7)상의 잠금돌기(7i) 및 이와 상응하는 상기 잠금판(17)상 잠금구멍(17f)이 없어도 됨을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잠금판(17)은 그 일측 전방측벽(17a)과 일체로 형성된 전방돌출 스톱퍼(17j)를 갖고 있다. 잠금판(17)이 해제위치쪽으로 하향이동하는 경우, 상기 전방돌출 스톱퍼(17j)의 상단이 상기 상부레일 상부측벽(8a)의 내부면을 가로막음으로써, 해당 잠금판(17)의 후단(17i)이 하부레일 바닥벽(7a) 상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판(17)의 상부벽 내부면에는 레버(20)의 후단부(20a)가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해당 레버(20)는 상기 후단부(20a) 전방으로 연장된 다음 상방, 외측방, 및 전방의 순서로 꺽여진 형상이다. 상기 레버(30)의 상부 연장부는 해당레일의 외측방 연장부 및 전방 연장부를 상부레일(8) 외부에 둔 상태로 하여 상기 상부레일 상부벽(8a)상의 길다란 개구부(8k)내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20)의 전단(20b)은 시트 선단 하방에 위치한 파이프 형상의 잠금레버(21) 후단(21a)에 삽설되어 있다. 상기 레버(20)로부터 잠금레버(21)가 분리되는 것은 C형 링(22)이 막아준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의 잠금장치(19)는 상기 두 개의 활주레일 어셈블리중 하나 또는 두 개 모두에 적용되어 있지만, 상기 잠금레버(21)는 그중 하나에만 적용됨을 밝혀둔다.
상기 잠금장치(19)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시트 사용자가 상기 잠금스프링(18)의 편심력 반대방향으로 상기 잠금레버(21)를 상방 이동시키면, 상기 잠금판(17)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레일(7)의 잠금돌기(7i, 7j)에 대한 수평연장부(17c, 17e)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해제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레일(7)에 대한 상부레일(8)의 상대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상기 시트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시트 사용자가 상기 잠금레버(21)를 어떤 희망위치에 놓으면, 상기 잠금레버(17)는 상기 잠금스프링(18)의 편심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하부레일(7)상의 수개 잠금돌기(7i) 및 하나의 잠금돌기(7j)가 상기 잠금판(17)의 잠금구멍(17d, 17f)으로 각각 삽입되어 해당 시트를 잠근다.
상기 구조의 경우, 상기 잠금판(17), 잠금스프링(18) 및 관련부품을 포함한 잠금장치(19) 대부분이 상부레일(8)내에 깔끔한 상태로 위치하고 레버(20)를 제외한 기타의 부재는 외부에 드러나지 않는 관계로, 뒷좌석 탑승자의 다리 둘 공간이 넓어지는 동시에 상기 활주레일 어셈블리에 인접한 다른 장치류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19)는 근본적으로 상기 지지축(16), 잠금판(17), 잠금스프링(18) 정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들어 상기 시트 활주유닛의 가격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잠금판(17)상의 전방돌출 스톱퍼(17j)의 존재는 해당 잠금판(17)의 후단부(17i)가 상기 하부 레일(7)의 바닥벽(7a)에 닿는 것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하부레일(7)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8)의 상대운동시 상기 잠금판 후단(17i)이 끌리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아울러, 잠금판(17)의 수평연장부(17c, 17e)에 대한 상기 하부레일 잠금돌기(7i, 7j)의 결합으로 인해, 상부레일(8) 및 하부레일(7)의 잠금과정이 상기 활주레일 어셈블리 양측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해당 활주레일 어셈블리 자체의 강성이 증대된다.
덧붙여, 상부레일 내부측벽(8b)에 형성된 함몰부(8j) 및 잠금판(17)에 형성된 돌출부(17g)가 상기 상부레일(8)내에서의 하부레일(7)의 측방이동을 억제함에 따라, 상기 잠금판(17)의 수직이동이 원활하며 상부레일(8)에 대한 잠금판(17)의 헐거운 정도가 줄어든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나, 당업자에 있어 사소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의 그러한 수정 또는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되어 마땅하다.

Claims (10)

  1. 차체 바닥에 고정되며, 통상의 평탄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양측단으로부터 상방 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과, 상기 양쪽 외부측벽 상단으로부터 내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을 가져 보통 역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하부레일과, 시트에 고정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의 시트 위치조절을 목적으로 상기 하부레일에 미끄럼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통상의 평탄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과, 상기 양쪽 내부측벽 하단으로부터 외측방 및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을 가져 보통 U자에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상부레일을 각각 가지며, 상기 하부레일의 내부측벽이 상부레일의 내,외부측벽간에 형성된 양측 안내틈새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레일의 외부측벽이 하부레일의 내,외부측벽간에 형성된 안내틈새 사이로 삽입된 구조로서 시트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활주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상,하부레일 하부 모서리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구형부재와; 상기 상부레일의 외부측벽 상단과 하부레일 내부측벽의 측방 연장부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형부재중 두 개와 상기 다수의 로울러중 하나를 각각 잡아주는 다수의 리테이너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 양쪽 외부측벽이 적어도 하나의 절취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하부레일 양쪽 내부측벽이 그 측방연장부상에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를 가지며, 이들 적어도 하나의 절취부와 적어도 두 개의 함몰부가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부레일의 미끄럼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스톱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의 내,외부측벽간에 형성된 안내틈새의 폭이 대략 상기 다수 로울러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정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5. 차체 바닥에 고정되며, 통상의 평탄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과, 상기 양쪽 외부측벽 상단으로부터 내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내부측벽을 가지며, 그중 제1내부측벽 하단부에는 다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된 구조의 하부레일과, 시트에 고정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의 시트 위치조절을 목적으로 상기 하부레일에 대해 미끄럼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통상의 평탄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연장된 두 개의 내부측벽과, 상기 양쪽 내부측벽 하단으로부터 외측방 및 상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외부측벽을 갖는 상부레일을 각각 가지며, 시트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활주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상부레일내에 위치하며, 해당 상부레일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제1선단과, 상기 잠금돌기들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해 상부레일을 잠그게 되는 다수의 잠금구멍이 형성된 구조로서 제1선단 맞은편의 제2선단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된 제1수평연장부를 갖는 잠금판과; 상기 잠금판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레일의 상부벽으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 작동즉시, 상기 잠금판이, 상기 몇몇 잠금돌기가 다수의 잠금구멍내에 결합된 잠금위치와, 상기 잠금돌기들이 다수의 잠금구멍으로부터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에 대해 상기 잠금판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과, 상기 잠금판을 잠금위치로 밀어붙이기 위해 해당 지지축에 감긴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판이 그 제1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를 가지며, 상기 스톱퍼가 상기 잠금판이 해제위치로 이동함에 있어 상기 하부레일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측벽이 그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잠금돌기를 가지며, 상기 잠금판이, 해당 잠금판 제2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수평연장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레일에 대해 상부레일을 잠그기 위해 상기 제2내부측벽상 다수의 잠금돌기중 하나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돌기를 갖는 제2수평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잠금판의 측방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양쪽 내부측벽상에 형성된 함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판이 그 측방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양쪽 맞은편 측벽에 형성된 두 개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활주유닛.
KR19980017135A 1997-05-13 1998-05-13 자동차시트슬라이드장치 KR100517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2550 1997-05-13
JP12255097A JP3970978B2 (ja) 1997-05-13 1997-05-13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JP97-122549 1997-05-13
JP12254997A JP3950512B2 (ja) 1997-05-13 1997-05-13 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96A true KR19980086996A (ko) 1998-12-05
KR100517412B1 KR100517412B1 (ko) 2005-12-06

Family

ID=2645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80017135A KR100517412B1 (ko) 1997-05-13 1998-05-13 자동차시트슬라이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89521A (ko)
EP (1) EP0878342B1 (ko)
KR (1) KR100517412B1 (ko)
DE (1) DE69832435T2 (ko)
TW (1) TW3729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09B1 (ko) * 2011-04-18 2013-07-01 후베이 헨스 포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좌석 슬라이드 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6137B2 (ja) * 1998-11-13 2008-06-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6378928B1 (en) * 1999-09-08 2002-04-30 Dura Global Technologies Pivoting actuator for seat track assembly
DE60012128T2 (de) * 1999-12-27 2004-11-18 Ikeda Bussan Co., Ltd., Ayase Gleitschiene für Fahrzeugsitz
JP3771106B2 (ja) * 2000-03-22 2006-04-26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及びその樹脂スライダー
US20030206669A1 (en) * 2000-07-13 2003-11-06 Smith Rodger G. Track assembly
US6497397B2 (en) * 2000-11-16 2002-12-2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Seat slide apparatus
US6460818B1 (en) * 2001-04-26 2002-10-08 Garelick Mfg. Co. Adjustable lockable tandem slide for boat seat
US20030006355A1 (en) * 2001-07-09 2003-01-09 Horsfield Keith C. Seat track assembly with locking mechanism
EP1470020B1 (en) * 2002-01-28 2006-06-14 Intier Automotive, Inc. Automotive seat track having vertically adjustable bearings
WO2003093053A1 (en) * 2002-05-03 2003-11-13 Intier Automotive Inc. Internal reinforcement bracket for a seat track assembly
FR2847531B1 (fr) * 2002-11-25 2005-11-11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2853865B1 (fr) * 2003-04-17 2005-06-24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FR2863959B1 (fr) * 2003-12-18 2006-04-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e telle glissiere
FR2883519B1 (fr) * 2005-03-23 2007-08-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escamotable pour faire coulisser 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2884462B1 (fr) * 2005-04-18 2007-06-29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US7314204B2 (en) * 2005-09-27 2008-01-01 Kabushikigaisha Imasen Denki Seisakusho Sliding rail system
JP4774913B2 (ja) * 2005-10-25 2011-09-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20090051208A1 (en) * 2006-02-27 2009-02-26 Szybisty Robert J Leaf Spring Track Latch
US20080303525A1 (en) * 2007-06-06 2008-12-11 Baker Hughes Incorporated Single-dipole high frequency electric imager
WO2008153229A1 (en) * 2007-06-13 2008-12-18 Austem Co., Ltd. Seat track for use in vehicle with locking assembly of insert type
JP5239278B2 (ja) * 2007-09-21 2013-07-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2269860A4 (en) * 2008-04-03 2014-11-05 Shiroki Corp SEAT GUIDE
US8251336B2 (en) * 2008-07-09 2012-08-28 Shiroki Corporatio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ATE543110T1 (de) * 2008-07-22 2012-02-15 Prad Res & Dev Nv Vorrichtung zum ausgleich der impedanz eines widerstandsmesswerkzeugs
JP5309802B2 (ja) * 2008-09-02 2013-10-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8299797B2 (en) * 2009-07-30 2012-10-30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ell logging resistivity image tomography
US8556221B2 (en) 2010-11-08 2013-10-15 Taco Metals, Inc. Roller mount for seat
JP5621724B2 (ja) * 2011-07-12 2014-11-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2013013393A1 (zh) * 2011-07-27 2013-01-31 Wu Huai 投影仪定位装置
DE102011115948B3 (de) * 2011-10-12 2013-01-24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barer Fahrzeugsitz
DE102014217754B4 (de) 2013-09-20 2019-05-09 Lear Corporation Easy-Entry Sitzeinstellvorrichtung und Schienenanordnung
US9776532B2 (en) 2013-09-20 2017-10-03 Lear Corporation Easy entry seat track adjuster
US10214119B2 (en) 2013-09-20 2019-02-26 Lear Corporation Track adjuster
US10160350B2 (en) * 2015-06-30 2018-12-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Adjusting device for longitudinal adjustment of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assembly
JP2018012408A (ja) * 2016-07-20 2018-01-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717143B2 (ja) * 2016-09-27 2020-07-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7757428A (zh) * 2017-11-17 2018-03-06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滑轨及其操纵杆机构
JP7387137B2 (ja) * 2019-07-31 2023-11-28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アジャスタ
KR20210073715A (ko) 2019-12-11 2021-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플로어 모듈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5997A1 (de) * 1976-02-14 1977-08-18 Riehle Fa Otto Gleitfuehrung fuer in fahrzeuglaengsrichtung verschiebbare sitze
GB2107575B (en) * 1981-09-01 1985-06-05 Ti Cox Ltd Vehicle seat slides
DE8130557U1 (de) * 1981-10-20 1982-02-11 C. Rob. Hammerstein Gmbh, 5650 Solingen Laengsfuehrung, insbesondere fuer laengsverstelleinrichtungen von fahrzeugsitzen
DE3836248A1 (de) * 1988-10-25 1990-04-26 Keiper Recaro Gmbh Co Sitzschiene fuer fahrzeug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JP3043819B2 (ja) * 1991-01-21 2000-05-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417059B2 (ja) * 1994-06-15 2003-06-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888274B2 (ja) * 1995-01-23 1999-05-10 池田物産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9521566B4 (de) * 1995-06-19 2008-07-10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Längsführung für einen Fahrzeugsitz mit zwei Schienen und zwischen diesen angeordneten Führungsmitteln
JP3400613B2 (ja) * 1995-06-28 2003-04-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FR2736596B1 (fr) * 1995-07-12 1997-10-03 Cesa Dispositif de reglage longitudinal d'un siege pour vehicule automobile
JP3687144B2 (ja) * 1995-08-09 2005-08-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FR2739066B1 (fr) * 1995-09-26 1997-12-12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verrouillable en position pour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JP3653877B2 (ja) * 1996-07-31 2005-06-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FR2755654B1 (fr) * 1996-11-14 1999-01-0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verrouillable instantan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09B1 (ko) * 2011-04-18 2013-07-01 후베이 헨스 포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좌석 슬라이드 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2435T2 (de) 2006-08-17
DE69832435D1 (de) 2005-12-29
TW372916B (en) 1999-11-01
US6089521A (en) 2000-07-18
EP0878342B1 (en) 2005-11-23
EP0878342A1 (en) 1998-11-18
KR100517412B1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412B1 (ko) 자동차시트슬라이드장치
CN102398535B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EP1431104B1 (en) Seat slide device
US20070090263A1 (en) Seat slid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20060017217A1 (en) Paper tray supporting structure
US4725032A (en) Seat slide adjuster for vehicles
US6578810B2 (en) Seat slide apparatus
JP441951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11332163B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US20060108851A1 (en) Headrest device for vehicle seat
JPH0544187Y2 (ko)
KR0163490B1 (ko) 차량의 좌석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2450017B1 (ko) 이륜차용 슬라이딩형 짐받이 장치
JPH0350780Y2 (ko)
JP3970978B2 (ja)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JP2002114064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17215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240109461A1 (en) Seat rail locking device for vehicle
JPH0323871Y2 (ko)
JPH10309964A (ja) 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200214492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85862Y2 (ja) 乗物用方向可変座席
JPH0535741Y2 (ko)
JPH03244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