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576A - 승객컨베어 - Google Patents

승객컨베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576A
KR19980081576A KR1019980014159A KR19980014159A KR19980081576A KR 19980081576 A KR19980081576 A KR 19980081576A KR 1019980014159 A KR1019980014159 A KR 1019980014159A KR 19980014159 A KR19980014159 A KR 19980014159A KR 19980081576 A KR19980081576 A KR 1998008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passenger conveyor
deceleration
braking forc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토츄이치
다카하시다츠히코
마츠모토미치아키
가스야세이키
미사카히로츠구
Original Assignee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쯔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8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57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시에 제동장치가 갑자기 동작하더라도 승객의 전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승객컨베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승객컨베어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14)의 작동시에, 제동력을 복수회에 나눠 부여함과 동시에 최초의 제동력보다도 2회째 이후의 제동력을 강화하게 하는 수단(34)을 설치함으로써, 제동시 당초에 승객에 대하여 이상사태를 인식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컨베어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전동도로등의 승객컨베어에 관계되고, 특히 신규의 제동동작을 행하는 승객컨베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컨베어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는, 전용조작 키(key)로 종업시에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와, 안전장치의 동작에 의거해서 운전을 긴급정지시키는 경우가 있다.
안전장치의 동작에 의해서 승객컨베어의 운전을 긴급정지시키는 것으로서는, 예컨대 특개평7-25207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승객컨베어가 있다.
상기 종래의 승객컨베어는, 운전시에 갑자기 긴급정지함으로써 승객이 전도하는 사고에 관해서는 배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갑자기 운전정지를 하더라도 승객에 대하여 안전한 승객컨베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객에 대하여 긴급정지가 있을 것을 알릴 수 있는 승객컨베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승강장 사이를 무단상(無端狀)으로 연결되어 순환이동하는 복수의 발판과, 이들 발판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그 양측에 설치된 이동손잡이와, 이들 발판과 이동손잡이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전동기와 감속기와 제동장치를 가지는 승객컨베어에서, 작동시, 제동력을 복수회로 나누어 부여함과 동시에 처음의 제동력보다도 2회째 이후의 제동력을 강화하게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승객은 처음의 작은 제동력에 의한 감속에 따라, 이상을 느껴 이동손잡이를 쥘 자세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에 오는 큰 제동력에 의한 감속에 의해서 넘어지는(전도) 것을 면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객컨베어의 제동지령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객컨베어의 제동지령장치를 구비한 S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객컨베어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구동장치에 설치된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제동장치의 코일에의 인가전압과 제동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선도.
도 6은 도 4와는 다른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동장치의 코일에의 인가전압과 제동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선도.
도 8은 실험에 사용한 제동패턴의 비교를 나타내어, (a)는 일단감속에 의한 제동패턴을 나타내고, (b), (c)는 각각 2단감속에 의한 제동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고령자의 전도(轉倒)한계속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젊은이의 전도한계속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제동장치 26 : 철심
27 : 코일 31A,31B : 제1의 안전장치
32A∼32F : 제2의 안전장치 4 : 제동지령수단
35 : 제동내용선택장치 36A∼36N : 제동지령장치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의 형태를 도 l∼도 4의 에스컬레이터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건물의 아래층1과 위층2에 걸쳐 설치한 프레임체3에 필요한 장치를 지지시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하부승강장4및 상부승강장5이 설치되고, 이들 양승강장4, 5 사이를 승객반송체가 순환이동하고 있다. 이 승객반송체는,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는 체인7에 의해서 무단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층층대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전동도로의 경우에는, 승객수송체가 체인에 의해서 무단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발판에 의해서 구성되는 경우와, 승객수송체가 무단상으로 연속되는 벨트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발판체인7의 한쪽 끝은 상부승강장5의 하측에서 축지(軸支)된 구동스프로킷8에 감아걸리고, 다른쪽 끝은 하부승강장4의 하측에서 축지된 종동(從動)스프로킷9에 권감아걸려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층층대6의 양측에서 그 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프레임체3상에 난간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이 난간의 둘레 가장자리에 이동손잡이 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있다. 상기 상부승강장5의 하측에는, 상기 구동스프로킷8을 구동하는 구동장치 11도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 1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기12와 감속기13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기12의 회전축12S에는 축이음매15를 통해 감속기13의 입력축 13S의 일단측이 연결되고, 이 입력축13 S의 타단측에는 제동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감속기13의 출력축16에는 스프로킷17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로킷17에는 구동체인18이 감아걸려 있고, 이 구동체인18은 상기 구동스프로킷8과 동축의 동력스프로킷19에 감아걸려 있다.
상기 제동장치1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감속기상자13F의 입력축13S의 타단측이 관통하는 쪽에, 볼트21에 의해서 고리모양의 디스크20를 고정하고, 이 디스크20를 기준으로 상기 제동장치14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고리형상의 디스크20는, 상기 입력축13S과 동심적(同心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상자13F를 관통한 입력축13S에는, 바깥둘레에 축방향으로 긴 복수의 톱니부를 가지는 스프라인허브22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라인허브22의 톱니부에 원반형의 라이닝23이 축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 상기 디스크20에는, 상기 입력축13S과 평행하게 지지볼트24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볼트25는 철심26을 관통해서 그 선단에 너트25를 돌려끼워, 상기 디스크20와 철심26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상기 철심26은, 상기 입력축13S과 동심인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이닝23과 대향하는 쪽에 개구부를 가지는 고리형상 홈27G과 용수철 구멍28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철심26의 고리형상홈27G 내에 코일27을 장착하여 전자석을 구성하고 있고, 또 상기 용수철구멍 28G 내에는 압축용수철28을 수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라이닝23과 상기 철심26과의 사이에는, 상기 입력축13S과 동심이 되도록 아마추어29가 위치하고 있다. 이 아마추어29는, 자성재로 고리형상반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볼트24를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입력축13S과 동심이 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아마추어29는 압축용수철28의 튀는 힘에 의해서 철심2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눌려져 있는 아마추어29는, 라이닝23을 디스크20측으로 변위시켜 꽉 누르고, 꽉 누른 상태에서 이 라이닝23을 디스크20와의 사이에 끼어 누르고 있다. 이 상태가 제동상태이다.
이 제동상태에서, 철심26내의 코일27에 통전하면, 전자석이 되어 철심26은 전자력을 발생하여 아마추어29를 흡착한다. 이 아마추어29가 철심26에 흡착되어 변위함으로써, 라이닝23은 디스크20와의 사이에 끼어 누른 상태에서 풀려나, 입력축13S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이 상태가 제동석방상태이다.
이 외에, 에스컬레이터에는 전용조작키30(도 1)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업무를 시작할 때 운전을 개시시키고, 업무가 끝날때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에는, 이동손잡이 10의 난간내에의 출입구에 제1의 안전장치31A, 31B가 설치되고, 또 층층대6과 난간을 구분하는 스커트가드의 내측에는 복수의 제2의 안전장치32A∼32F가 설치되어 있다. 제l의 안전장치31A, 31B는, 이동손잡이10와 함께 유아의 손가락이 난간내에 끌려들어가려고 할 때에, 즉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제2의 안전장치32A∼32F는, 층층대6와 스커트가드와의 사이에 승객의 신발이나 발이 끌려들어가려고 할 때에, 즉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또, 에스컬레이터에는 정전을 검출하여 전동기12의 전원회로를 차단시키기 위해서, 정전검출수단33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키, 안전장치, 검출수단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이 되고, 이들 정지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정지신호에 의거하여, 제동지령수단34을 통해 제동장치1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 제동지령수단34은, 키, 안전장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정지신호를 판별하여 제동내용을 선택하는 제동내용선택장치35와, 이 제동내용 선택장치3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선택되어 제동장치14를 작동시키는 제동패턴이 다른, 복수의 제동지령장치36A∼36N를 가진다.
여기서, 제동지령수단34의 동작을 설명한다.
예컨대, 전용조작키30에 의해 종업시에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 전용조작키30에 의한 정지신호가 들어 가면, 정전이나 각종 안전장치에 의한 정지신호가 아닌 것이 판별되어 제동지령장치36A가 선택된다. 선택된 제동지령장치36A는, 전동기12에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동장치14의 코일27에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 제동지령장치36A는 제동장치14의 코일27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한번에 감속정지시키는 소위 일단제동(一段制動)을 지령하는 제동패턴을 가진다. 통상, 업무가 끝날때에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승객은 이미 없기 때문에 승객에 대한 급제동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제1의 안전장치31A, 31B나 제2의 안전장치32A∼32F가 작동한 경우에는, 긴급을 요하기 때문에 즉시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켜야 함과 동시에, 승객에 대하여는 급제동에 의한 전도를 없앨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동지령장치36B가 선택된다. 제동지령장치36B는 전동기12에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동장치14를 약한 제동력으로 일차감속시킨 뒤 전제동력으로 2차감속시켜 정지시키는 소위 2단제동을 지령하는 제동패턴을 가지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즉시 정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제동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전검출수단33이 작동한 경우에는, 승객에 대한 급제동에 의한 전도를 없애는 것이 최우선이 되기 때문에, 제동지령장치36N가 선택된다. 이 제동지령장치36N는 전동기12에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동장치14를 약한 제동력으로 일차감속시킨 뒤 전제동력으로 2차감속시켜 정지시키는 소위 2단제동을 지령하는 제동패턴을 가지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긴급히 정지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제동시간을 길게하여 승객이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전시에는 전동기11의 전원은 바로 차단되지만, 제동장치14의 전원은 배터리나 콘덴서등의 보조전원으로 바꿈으로써, 상기 2단제동을 행할 수 있다.
이 외에, 상승운전시의 정지와 하강운전시의 정지에서는 에스컬레이터의 기능이나 정지시에 승객이 받는 관성의 크기등이 다르기 때문에, 상승운전과 하강운전에서 제동패턴, 예컨대 2차감속거리등을 바꾸어 다른 2단제동을 지령하는 제동지령장치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2단 감속에 한하지 않고, 2단이상의 복수단감속을 지령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승객이 타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 각종 제동패턴을 가지는 제동지령장치36B∼36N의 어느 것이나 일차감속과 2차감속의 2단제동을 지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2단제동에 관해서 도 5에 따라 설명하겠다.
정지신호를 받아 제동내용 선택장치35에 의해서 선택된 제동지령장치36B∼36N 중의 어느 하나는, 제동장치14의 코일27에의 통전을 차단한다. 이 통전차단시를 a점이라고 하면, 이 a점에서는 코일27에의 인가전압은 100%이고, 당연히 제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다음에 인가전압이 강하하여 철심26의 흡착력이 저하하고, 아마추어29가 압축용수철28에 눌려서 라이닝23을 디스크20에 접촉시키는 b점에 도달하면, 제동력이 생기기 시작한다. 여기서, 코일27에의 인가전압이 0이 될 때의 제동력을 100%로 하였을 때, 강하시키는 전압을 미리 설정한 약한 일차감속의 제동력α이 생기도록 c점에서 d점까지 인가전압β을 일정시간 유지하고, 그 후 f점의 전압 0까지 강하시킴으로써, 제동력α의 일차감속 다음에, 그것보다도 큰 제동력 100%의 2차감속의 2단제동이 행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일차감속으로 약한 제동력이 발생하고, 그것이 소정시간 계속된 뒤, 제동력 100%의 2차감속이 되기 때문에, 승객은 일차감속시에 순간적으로 몸을 긴장시킬수가 있어, 다음에 계속되는 2차감속을 감당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동장치14의 코일27에의 통전을 차단하고, 인가전압을 단시간이면서고 단번에 e점까지 떨어뜨려 0으로 하고 있어, 제동력도 100%가 되는 e점까지 단시간이면서 단번에 도달하기 때문에, 승객은 거기에 대처할 여유가 없어 넘어지고 마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인가전압β을 c점에서 d점까지 일정시간 유지한만큼, 제동시간은 e점에서 f점까지 길어진다.
다음에, 제동장치14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 6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감속기상자13 F에, 볼트37에 의해서 고리형상의 철심38을 입력축13S과 동심적으로 고정하여, 이 철심38의 내부에 코일39과 영구자석40을 조립하고 있다.
한편, 입력축13S의 감속기상자13F를 관통한 쪽에는 허브41가 장치되고, 이 허브41에 접시용수철 또는 복수의 판용수철 등으로 된 탄성부재42를 볼트43로 고정하여, 탄성부재42를 외경(外徑)방향으로 연재시키고 있다. 이 탄성부재42의 외경측에는 상기 입력축13S과 동심적이 되는 고리형상의 아마추어44를 장치하고, 상기 철심38측에 면하도록 대향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아마추어44와 대향하는 상기 철심38측에 라이닝45을 유지시키고 있다.
상기 구성의 제동장치14는, 철심38이 영구자석40의 흡착력에 의해서 탄성부재42를 변위시켜 아마추어44를 끌어당겨, 철심38상의 라이닝45에 아마추어44를 압접함으로써 제동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동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코일39에 통전하여 영구자석40이 발생하는 자계와는 역방향의 자계를 발생시켜서 영구자석40의 흡착력을 없앤다. 영구자석40에 의한 흡착력의 소멸에 의해 아마추어44를 끌어당기고 있던 힘도 없어지므로, 아마추어44는 탄성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서 라이닝45으로부터 떠나, 입력축13S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회전중인 입력축13S을 멈추게 하는 경우에는 코일39의 통전을 차단한다. 코일39에의 통전차단으로 인해 없어지고 있던 영구자석40의 흡착력이 효력이 생겨 아마추어44에 작용하기 때문에, 아마추어44는 탄성부재42를 변위시켜 라이닝45에 압접하여, 양자의 마찰에 의해 입력축13S의 회전이 멈춘다.
상기 구성의 제동장치14를 사용하여, 2단제동을 행하는 경우를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정지신호를 받아 코일39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시점을 g점이라고 한다. 이 g점에서는 제동력은 발생하지 않고, 다음에 전압이 점차로 강하하여 h점에 도달하면, 코일39이 발생하는 역자계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없어졌던 영구자석40의 흡착력이 효력이 생기기 시작하여 아마추어44를 라이닝45에 접촉시켜, 양자의 마찰에 의해 제동력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코일39에의 통전이 완전히 없어지고, 영구자석40에 의한 흡착력이 100% 발휘되는 i 점의 제동력을 미리 설정한 약한 일차감속의 제동력으로 한다. 이 100%의 제동력을 j점까지 일정시간 유지한 뒤, j점에서 k점까지 상기 코일39에 전원을 접속시켜 역전압 y을 걸어, 영구자석40이 발생하는 자계와 동방향의 자계를 코일39에 발생시킨다. 아마추어44는 영구자석40과 코일39에 의해서 같은 방향에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서 철심38에 큰 흡착력을 발생시키고, k점에서는 일차감속의 제동력 100보다도 큰 제동력 χ%의 2차 감속이 된다.
이와 같이, 정지지령이 있었을 때에, 코일39에의 전압을 플러스측으로부터 마이너스측에 걸쳐 인가함으로써,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플러스측 또는 마이너스측으로만 변화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코일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구동장치 11의전동기12를, 인버터에 의해 회전제어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각종 정지지령이 있더라도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정지지령이 있을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장치14에 의해 약한 제동력의 일차감속을 행한다. 그 다음에 인버터에 의해 회전수를 줄여서 0까지 떨어뜨리고, 최종적으로 제동장치14와 전동기12의 전원을 차단해서 제동장치14에 의해 정지상태를 유지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일차감속후의 2차감속은 인버터로 제어된 전동기12에 의한 감속이며, 이 전동기12에서의 감속은 일차감속보다도 감속도가 큰 것이 된다. 또, 일차감속 및 2차감속 모두 인버터에 의해서 전동기12를 회전제어하여 감속및 정지시키고, 정지한 뒤의 정지유지만 제동장치14에 의해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일차감속과 2차감속은 반드시 제동장치14만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고, 별도의 장치 또는 수단의 조합에 의해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 제동지령수단34과 제동장치14는 청구항 l, 2에 기재된 제동속도의 변화율을 바꾸는 수단, 청구항3에 기재된 감속도의 최대피크전에 절반이하의 감속도인 소피크를 부여하는 수단, 청구항4에 기재된 복수회 제동력을 부여하는 수단. 청구항5에 기재된 제동1시간의 후반측에 감속도의 최대치를 위치시키는 수단, 청구항6에 기재된 처음보다도 2회째 이후의 제동력을 강화하는 수단, 청구항7에 기재된 제동력을 소정범위로 유지시키는 수단, 청구항8에 기재된 작은 감속도 다음에 큰 감속도를 발생시키는 수단, 청구항10에 기재된 제동력을 초기시는 약하게 그 후에 강하게 발생시키는 수단에 해당한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 전용조작키30, 제l의 안전장치31A, 31B, 제2의 안전장치32A∼32F, 정전검출수단33이 청구항9에 기재된 복수의 정지신호발생장치에 해당하고, 제동지령수단34이 청구항 11∼14에 기재된 처음보다도 2회째 이후의 제동력을 강화하게 하는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청구항15, 16, 17에 기재된 방법은, 상기 제동지령수단34과 제동장치14에 따라서 실시되는 것은 물론이고, 제동장치14와 전동기12의 1인버터제어와의 조합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1∼8, 10, 11에 기재된 각 수단은, 제동장치14와 인버터제어되는 전동기2의 조합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정지에 관해 모니터 테스트한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상정지시의 실측감속파형과 제동패턴〕
설치경사 30도이고 매분30m의 속도로 운전되고 있는 일반 에스컬레이터에 상당하는 실험장치로 비상정지시킨 경우에 측정한 감속파형을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서 실선은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나타내고, 점선은 에스컬레이터의 감속도를 나타낸다, 도 8(a)은, 감속파형이 하나의 정현파(正弦波), 바꾸어 말하면 감속도의 피크가 하나의 일단감속의 제동패턴을 나타내고, 도 8(b)은 감속파형이 처음에는 작고 다음에는 커지는 두개의 정현파, 바꾸어 말하면 감속도의 최대피크전에 최대피크의 절반이하가 되는 피크가 존재하는 두개의 피크로 된 2단감속의 제동패턴을 나타내며, 도8(c)는 감속파형이 처음에는 크고 다음에 작아지는 2개의 정현파, 바꾸어 말하면 감속도의 최대피크의 다음에 최대피크보다 작은, 구체적으로는 최대(最大)피크의 절반이하가 되는 소(小)피크가 존재하는 2개의 피크로 된 2단감속의 제동패턴을 나타내서, 이 세개의 제동패턴을 피험자에게 부하하였다.
〔실험장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실험장치에는, 정부기관의 안전연구소에서 개발한 리니어 액셀러레이터를 사용하였다.
이 리니어 액셀러레이터는, 작성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서보모터를 컴퓨터제어하여 보행자가 서는 이동대를 원하는 모드로 가감속 제어하는 장치이다. 또, 이 리니어 액셀러레이터는, 감속시간 및 제동패턴의 제어가 가능하며, 장치전체는 기동부, 손잡이부착 이동대, 구동부,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 장치의 용량으로서는, 손잡이부착 이동대의 최대이동거리가 9.2m, 구동부의 모터의 토오크가 105 kg cm, 순간 토오크가 800 kg cm이다. 한편, 발판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은 전동도로와, 층층대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에스컬레이터에서의 승객이 선자세의 유지한계값은, 수평인 마루의 면을 수평이동시켜 급정지시킨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경사각도θ가 30도인 에스컬레이터에서의 유지한계값은 수평시의 한계속도(Vh)로 환산함으로써 경사면에 따른 한계값 V(= Vh secθ)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험장치로서 행하기로 하였다.
〔실험방법〕
1) 실험항목
실험은, 도 8(a), 도 8(b), 도 8(c)에 나타내는 제동패턴별,
a. 선자세유지한계,
b. 뒤를 향해 선자세유지한계,
c. 선 사람이 제동시에 손잡이를 쥐기까지의 시간,
이며, 선자세의 유지와 넘어지겠다고 판단되는 자세평가는, 비디오카메라의 모니터화면을 전문가가 보고 판단하는 방법으로 하고, 동시에 피험자의 족압측정(足壓測定) 에 의한 자세판정법도 적용하였다.
2) 피험자
a. 고령피험자(65∼73세)는 남자5명과 여자5명이고, 평균연령은 69.2세이며, 평균신장이 153 cm, 평균체중이 55.1 kg
b. 젊은피험자(18∼19세)는 남자 2명, 여자 3명이고, 평균연령은 18.8세이며, 평균신장이 167.4 cm, 평균체중이 60.8 kg
상기 실험방법으로 피험자가 선자세를 무너뜨리는(전도에 이름) 한계속도를 측정한 바, 고령피험자는 도 9, 젊은피험자는 도 10에 나타내는 결과가 되었다. 또, 도 9, 도 10중 실선은 도 8(a)이 일반적인 일단감속의 제동패턴에 의한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점선은 도 8(b)의 처음에는 작게 다음에 커지는 2단감속의 제동패턴에 의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며, 2점쇄선은 도 8(c)의 처음에는 크게 다음에 작아지는 2단감속의 제동패턴에 의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이 도 9, 도 10을 보면, 고령피험자 및 젊은피험자 모두 한계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즉, 도 8(a)에 나타내는 일반적인 일단감속의 제동패턴에 비하여, 도 8(c)에 나타내는 2단감속의 제동패턴은 한계속도가 낮고, 도 8(b)에 나타내는 2단감속의 제동패턴은 한계속도가 높아져서, 감속파형이 처음에는 작고 다음에 커지는, 2개의 정현파로 이루어지는 2단감속의 제동패턴이 선자세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또, 뒤를 향하여 선자세의 유지한계에 대해서도 앞을 향한 것과 비교하여 약 15%의 마이너스효과가 있지만, 도 8(b)에 나타내는 제동패턴에 의한 감속이 우수하다는 것이 측정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장치의 손잡이부착 이동대를 4도, 8도, 12도로 기울여서 피험자를 세운 경우에, 손잡이를 붙잡기까지의 반응시간도 각각 도 8(b)에 나타내는 제동패턴에 의한 감속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 의해, 도 8(b), 도 8(c)의 2단감속에 의한 제동패턴중에서, 천천히 감속시킨 후에 급히 감속시키는 도 8(b)의 제동패턴이, 연령차, 자세의 방향, 이동대의 경사에도 불구하고 선자세의 안정화(전도방지)가 뛰어나고, 특히 감속시간이 800 ms 이상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을 알았다.
다른 한편으로, 처음에 강한 감속을 부하하는 도 8(c)의 제동패턴에서는, 돌발적으로 큰 선위치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초기쇼크로부터 헤어나지 못해 자세를 바로잡을 수가 없는 것에 의한 것으로 추정 관찰된다.
한 편, 도 8(b)에서 감속도의 피크가 두개 있는데, 감속도의 피크가 제동시간의 후반측에 하나 나타나는 것과 같은 제동이나, 감속도의 피크가 복수개 있더라도, 감속도의 최대피크(최대치)가 제동시간의 후반측에 한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제동을 행해도, 비상정지가 시작되는 것에 의해, 초기시에 승객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도사고를 줄일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의 형태는, 승객컨베어로서의 에스컬레이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하층에 걸쳐 설치되고 경사형의 전동도로나 수평으로 설치된 전동도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갑자기 운전정지를 하더라도 승객에 대하여 안전하고, 게다가 승객에 대하여 긴급정지가 있을 것을 정지직전에 알릴 수 있는 승객컨베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제동속도의 변화율을 제동도중에 작게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2. 제동시의 제동속도를 적어도 제1단, 제2단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제 l단보다 제2단의 제동속도의 변화율을 작게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3. 제동시의 감속도의 최대피크전에, 최대피크보다 작은 소피크의 감속도를 부여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4. 정지지령에 의해 복수회 제동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5. 정지지령에 의해 제동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컨베어에 있어서, 제동시간의 후반측에 감속도의 최대치를 위치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6. 양 승강장 사이를 이동하는 승객반송체를 구비한 승객컨베어에 있어서, 제동시, 제동력을 복수회에 나눠 부여함과 동시에, 최초의 제동력보다도 2회째 이후의 제동력을 강화하게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7. 양 승강장사이를 이동하는 승객반송체를 구비한 승객컨베어에 있어서, 제동시, 그 도중에 제동력을 소정범위로 유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8. 양 승강장사이를 이동하는 승객반송체를 구비한 승객컨베어에 있어서, 제동동작중에 작은 감속도 다음에 큰 감속도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9. 양 승강장사이를 이동하는 승객반송체와, 복수의 정지신호발생수단과, 이들 정지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정지신호에 따라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컨베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지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정지신호를 판별하여 제동내용을 선택하는 제동내용선택장치와, 이 제동내용 선택장치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제동력발생수단을 작동시키는 제동지령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10. 안전장치의 동작에 의해 제동력을, 초기시는 약하게 그 후에 강하게 발생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11. 승객컨베어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과, 승객컨베어에 설치된 각종안전장치와, 이들 안전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동수단을 동작시켜 제동력을 복수회에 나눠 부여함과 동시에, 최초의 제동력보다도 2회째 이후의 제동력을 강화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튀어오르는 힘에 의해 회전체에 제동력을 주어 전자코일을 여자하여 제동력을 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동수단의 작동시, 상기 전자코일의 인가전압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전압을 플러스측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전압을 플러스측으로부터 마이너스측에 걸쳐 변화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
  15. 비상제동지령에 의해 감속자극을 줌과 동시에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의 제동방법.
  16. 비상제동시, 소정시간 감속시킨 뒤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의 제동방법.
  17. 비상제동시, 제동력의 부여와 개방을 복수회 반복하여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컨베어의 제동방법.
KR1019980014159A 1997-04-23 1998-04-21 승객컨베어 KR19980081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682 1997-04-23
JP9105682A JPH10297863A (ja) 1997-04-23 1997-04-23 乗客コンベア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576A true KR19980081576A (ko) 1998-11-25

Family

ID=1441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159A KR19980081576A (ko) 1997-04-23 1998-04-21 승객컨베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0297863A (ko)
KR (1) KR19980081576A (ko)
CN (1) CN1095804C (ko)
HK (1) HK1014921A1 (ko)
MY (1) MY134804A (ko)
SG (1) SG68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63A (ja) * 1997-04-23 1998-11-10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JP4728693B2 (ja) * 2005-05-10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制動方法
JP5028039B2 (ja) * 2006-07-07 2012-09-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補助ブレーキ制御装置
CN101269770B (zh) * 2008-05-09 2010-06-02 上海永大电梯设备有限公司 一种实现马达抱闸力侦测的方法
CN102556797A (zh) * 2012-02-24 2012-07-11 苏州通润驱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制动力的自动检测控制方法
EP3205618B1 (en) 2016-02-15 2024-04-03 TK Escalator Norte, S.A.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port device, namely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DE102018214251B3 (de) * 2018-08-23 2020-01-09 Thyssenkrupp Ag Aufzugsanlage
WO2020230189A1 (ja) * 2019-05-10 2020-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制動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CN110759214A (zh) * 2019-11-15 2020-02-07 杨启豪 爬虫传送带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282A (en) * 1976-04-02 1977-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Stopping apparatus for man conveyor
JPS55115585A (en) * 1979-02-28 1980-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Stop controller for passenger conveyor
JPH01214594A (ja) * 1987-08-06 1989-08-28 Hitachi Ltd 流体圧エレベ−タ−制御装置
JPH04191262A (ja) * 1990-11-27 1992-07-09 Toshiba Corp 斜行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519275U (ja) * 1991-08-27 1993-03-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スカレータの制動装置
JPH05139678A (ja) * 1991-11-22 1993-06-08 Toshiba Corp マンコンベアのブレーキ装置
US5337878A (en) * 1993-12-28 1994-08-16 Otis Elevator Company Assembly and method for adjusting brake force for passenger conveyor emergency brake
JPH07330272A (ja) * 1994-06-07 1995-12-1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および移動歩道のインレットガード
JPH08310777A (ja) * 1995-05-19 1996-11-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ーの低速運転装置
KR960040926A (ko) * 1995-05-19 1996-12-17 김태구 차량의 브레이크 고착방지장치
JPH10297863A (ja) * 1997-04-23 1998-11-10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282A (en) * 1976-04-02 1977-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Stopping apparatus for man conveyor
JPS55115585A (en) * 1979-02-28 1980-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Stop controller for passenger conveyor
JPH01214594A (ja) * 1987-08-06 1989-08-28 Hitachi Ltd 流体圧エレベ−タ−制御装置
JPH04191262A (ja) * 1990-11-27 1992-07-09 Toshiba Corp 斜行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519275U (ja) * 1991-08-27 1993-03-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スカレータの制動装置
JPH05139678A (ja) * 1991-11-22 1993-06-08 Toshiba Corp マンコンベアのブレーキ装置
US5337878A (en) * 1993-12-28 1994-08-16 Otis Elevator Company Assembly and method for adjusting brake force for passenger conveyor emergency brake
JPH07330272A (ja) * 1994-06-07 1995-12-1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および移動歩道のインレットガード
JPH08310777A (ja) * 1995-05-19 1996-11-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ーの低速運転装置
KR960040926A (ko) * 1995-05-19 1996-12-17 김태구 차량의 브레이크 고착방지장치
JPH10297863A (ja) * 1997-04-23 1998-11-10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4921A1 (en) 1999-10-08
CN1095804C (zh) 2002-12-11
JPH10297863A (ja) 1998-11-10
CN1197762A (zh) 1998-11-04
MY134804A (en) 2007-12-31
SG68040A1 (en) 199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8901B1 (en) Elevator
CA2008251A1 (en) Safety mechanism for preventing unintended motion in traction elevators
JPH05193860A (ja) エレベータ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
KR19980081576A (ko) 승객컨베어
WO2007046129A1 (ja) エレベータ装置
CA208235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otoring while braking
JP2011168369A (ja) エスカレータ
JP41157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3243576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US10662028B2 (en) Method for moving an elevator car
JP4115396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ブレーキ装置
JP3596294B2 (ja) 乗客コンベア
JPS5974875A (ja) トラクシヨン式エレベ−タ
JP3780467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H033875A (ja) 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
JP3935720B2 (ja) 乗客コンベア
JPWO2002053485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JPH0826620A (ja) エレベーターの救出装置
JP2000143115A (ja) エレベーターの故障時救出運転装置
JP4728693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制動方法
JPH0718696Y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S6210917B2 (ko)
JPH0313504Y2 (ko)
JP6751380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H09208170A (ja)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