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974A - 자기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974A
KR19980080974A KR1019980011424A KR19980011424A KR19980080974A KR 19980080974 A KR19980080974 A KR 19980080974A KR 1019980011424 A KR1019980011424 A KR 1019980011424A KR 19980011424 A KR19980011424 A KR 19980011424A KR 19980080974 A KR19980080974 A KR 1998008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recording medium
layer
magnetic record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괴츠
헬뮤트야쿠쉬
베르너로크
에리크호프만
한스게오르그고트만
한스-요아킴제너
요한보이트
Original Assignee
로타르란거
엠텍마그네틱스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타르란거, 엠텍마그네틱스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타르란거
Publication of KR1998008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1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wo or more magnetic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 G11B5/706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metals or alloys
    • G11B5/7062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metals or alloys containing Co metal or allo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 G11B5/7062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 G11B5/70636CrO2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 G11B5/7062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 G11B5/706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non-metallic substances iron oxi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 of non-magnetic parti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자기 기록 매체(magnetic recording medium)는 비자성 기판(nonmagnetic substrate) 및 상기 비자성 기판 상에 도포되며 자성 도포제(magnetic pigment)로서 금속 산화물(metal oxides)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자화 가능한 층(magnetizable layer)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층(upper layer)의 도포제는 그 BET 값이 하부층(lower layer)의 도포제의 것보다 더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층의 두께는 건조시에 3 ㎛ 내지 5 ㎛이며, 상기 하부층의 두께는 건조시에 1.1 ㎛ 내지 3 ㎛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효과는 상부층의 자성 도포제는 코발트로 도우프(doped)된 Υ-Fe2O3이며, 하부층의 자성 도포제는 침상(針狀)의 CrO2일 때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얻는 이중층 기록 매체에서는, 주파수 곡선이 중앙에서 통상적인 강하(depression)를 나타내는 일이 없이 특히 저주파에서의 출력 레벨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매체
본 발명은 비자성 기판(nonmagnetic substrate) 및 비자성 기판 상에 도포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층은 모두 자성 도포제(magnetic pigment)로서 자화 가능한 금속 산화물(metal oxides)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 도포제는 코발트 함유 FeOx로 이루어지며, 상부층(upper layer)의 도포제의 BET 값은 하부층의 도포제보다도 더 높고, 상부층의 두께는 하부층의 두께보다 더 크다.
초기에 소개된 일반적인 타입의 자기 매체는 특히 HiFi 능력 및 저잡음 레벨을 가지는 오디오 테이프용으로 공지되어 있다. 고주파 신호들은 실질적으로 테이프 면에만 기록되는데 반해서, 특히 저주파 신호는 자성층 전체(total magnetic layer)를 자화한다는 사실에서 상기 자기 매체가 오디오 테이프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자기 기록 매체의 기록 속성은 사용되는 자성 도포제의 입자 미세도(微細度 : particle fineness), 보자력(coercive force) 및 잔류 유도(residual induction)에 의해 기본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 레벨은 보자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특정 한계 내에서 개선될 수 있으며, 저주파 신호 레벨은 잔류 유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으며, 잡음 특성(noise behavior)은 상기 자성 도포제의 입자 미세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포제 특성들은 단독의 도포제 타입으로는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개별적인 자성층 내에 적합한 도포제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도포제 타입들을 가지는 여러 개의 자성층들을 조합함으로써 소망하는 특성을 달성하려는 시도가 행해져 왔다.
독일 공개 특허 번호 DE-A 제19 38 006호는 상부층의 주성분으로서 이산화크롬을 포함하는 다층 테이프(multilayer tape)를 개시하고 있다. 이 독일 공개 특허에 개시된 발명의 목적은 하부층 내의 볼륨-도우프형 코발트 페라이트계 도포제(volume-doped cobalt ferrite pigment)의 자기 왜곡 특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에 따르면, 예를 들어 IEC Ⅱ 바이어스 고정(bias setting)용과 같은 오디오 테이프가 그 개시 내용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독일 특허 번호 DE 제25 56 188호는 두 개의 자성층을 조합함으로써 개선된 전자 음향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비자성 기판(nonmagnetic substrate)에 인접하는 하부층은 BET 표면적이 15 m2/g내지 25 m2/g인 이산화크롬을 함유하며, 상부 자성층은 BET 표면적이 26 m2/g내지 36 m2/g인 이산화크롬을 함유한다. 따라서, 장파장(long wavelength)에서 감도가 개선된 오디오 테이프가 얻어진다.
독일 특허 번호 DE 제31 48 769호는 수평 배향(longtudinal orientation)의 자성 침상 도포제가 있는 하부층 및 수직 배향(perpendicular orientation)의 자성 침상 도포제가 있는 상부층이 구비된 이중층(double-layer)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독일 특허 번호 DE 제26 47 941호는 보자력이 29 kA/m 내지 32 kA/m이고 잔류 유도가 0.15 mTesla보다 작은 철산화물(iron oxide)을 함유하는 상부층과, 보자력이 20 kA/m 내지 40 kA/m이고 잔류 유도가 15 mTesla보다 큰 자성 도포제를 포함하는 하부층이 구비된 다층 테이프(multilayer tape)를 개시하고 있다. 이 인용 특허의 목적은 잡음 특성이 개선된 표준 오디오 테이프를 얻기 위한 것이다.
독일 특허 번호 DE 제39 14 565호는 보자력이 최소 48.6 kA/m이고 BET 값이 최소 28 m2/g인 CrO2가 상부층의 자성 도포제로서 사용되고, 보자력이 44 kA/m 내지 56 kA/m이고 BET 값이 26 m2/g내지 34 m2/g인 침상 코발트 페라이트가 하부층으로 사용되는 이중층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독일 특허 번호 DE 제23 05 247호, 제24 34 940호, 제28 26 565호, 제 30 04 771호, 제32 19 779호, 및 제35 14 649호 및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0 090 052호 및 제0 090 053호는 재생 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이중층 구조가 있는 자기 기록 매체를 개시하고 있다.
본 출원인들이 연구한 결과 IEC-Ⅱ 타입의 다수의 고품질 오디오 테이프들의 매체 주파수 범위 내의 출력 레벨은 저주파에 비해서 감소되고, 특히 돌비(Dolby) 잡음 억제 시스템과 관련하여 가청 선형 왜곡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에 소개된 일반적인 타입의 자기 매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여기서 상기 자기 매체는 위에서 언급한 특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며 생산이 간편하고 또한 저주파 및 고주파에서의 출력 레벨이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 의해 달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부층의 두께는 3.1 ㎛ 내지 5 ㎛의 범위에서 선택되며, 하부층의 두께는 1.1 ㎛ 내지 3 ㎛의 범위에서 선택된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이와 달리,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자기 기록 매체는 상부층의 두께가 하부층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더 얇다. 독일 공개 특허 번호 DE-A 제40 11 279호는 연속 습식(wet-on-wet) 방법에 의해 생산되며, 하부층의 두께가 상부층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 개의 자화 가능한 층들을 가지는 자기 기록 매체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에서는 하부층이 더 두꺼운 상부층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데 요하는 기층(基層 : primer layer)의 기능을 가지며, 또한 하부층의 두께가 0.3 ㎛ 내지 1 ㎛의 범위에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자기 기록 매체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자성 기판
2 : 하부 자성층
3 : 상부 자성층
이하의 예시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생산되는 기록 매체는 보자력이 55 kA/m 내지 60 kA/m이고 코발트로 도우프된 Fe2O3를 자성 도포제로 포함하는 상부층과, 보자력이 50 kA/m 내지 55 kA/m이고 상부층과 마찬가지로 코발트로 도우프된 Fe2O3를 함유하는 하부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층의 도포제는 BET 값이 대략 40 m2/g내지 45 m2/g이며, 상기 하부층의 도포제는 BET 값이 대략 20 m2/g내지 25 m2/g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특이한 효과는 상부층은 위에서 언급한 특성을 가지는 코발트로 도우프된 Fe2O3를 함유하며, 하부층은 BET 값이 20 m2/g내지 25 m2/g이고 Hc값이 40 kA/m 내지 50 kA/m 정도인 CrO2를 자성 도포제로 사용하는 자기 매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부층의 두께는 3.1 ㎛ 내지 5 ㎛의 범위이며, 하부층의 두께는 1.1 ㎛ 내지 3 ㎛의 범위이다.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강자성 분말(ferromagnetic powder)은 일반식이 FeOx(여기서, x는 1.33 내지 1.5이다. 즉, 마그헤마이트(γ-Fe2O3,x=1.5), 마그네타이트(Fe3O4,x=1.33) 및 이들로 이루어진 버쏠라이드 화합물[(berthollide compounds)(FeOx, 1.33x1.5)]인 강자성 철 산화물(ferromagnetic iron oxides)로 이루어진 자성 분말이다.
2가 금속이 강자성 철 산화물에 첨가될 수 있다. 2가 금속의 예로서는 주기율표의 Ⅵ B, Ⅶ B, Ⅷ, ⅠB 및 Ⅱ B족의 2가 금속, 예를 들어 Cr, Mn, Co, Ni, Cu 및 Zn이 있다. 상기 금속들은 철 산화물 내의 철 금속을 기준으로 대략 0.5 내지 20 원자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원자 퍼센트의 양으로 첨가된다. 상술한 2가 금속 중에서 코발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Co와 함께 Cr, Mn, Ni, Cu 및 Zn과 같은 기타 금속들이 첨가되는 경우, 이들 기타 금속들의 양은 Co 금속과 기타 금속들의 합이 앞에서 정의된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된다.
강자성 철 산화물 침상 결정체(ferromagnetic iron oxide needles)의 길이/폭의 비율은 대략 2 : 1 내지 20 : 1인 것이 좋으며, 5 : 1 이상인 것이 특히 좋고, 침상 결정체의 전체 길이는 대략 0.2 ㎛ 내지 2.0 ㎛인 것이 좋다.
이러한 강자성 철 산화물의 제조 방법들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소39-5009, 소39-10307 및 소48-39639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부층 내에 사용되는 침상 자성 이산화크롬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공개 문헌 중에서 EP 0 027 640, EP 0 198 110, EP 0 217 352, EP 0 218 234, EP 0 238 713, EP 0 239 087, EP 0 239 096, EP 0 268 093, EP 0 293 685, EP 0 304 851, EP 0 325 942, EP 0 355 755, EP 0 433 838, EP 0 548 642, DE 40 05 21 및 DE 44 12 611호를 특히 언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A 0 027 640호는 열수(hydrothermal) 분위기 하에서 동비율(synproportionation)의 크롬(Ⅲ) 및 크롬(Ⅵ) 산화물에 의해 이산화크롬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물은 예를 들어 실린더 반응기 내에 초기에 투입되며, 크롬 산은 교반 과정 중에 도입되고, 필요한 경우 안티몬, 셀레늄 또는 이들 화합물과 같은 개질제(modifier)가 첨가된다. 그 후, 산화크롬(Ⅲ)은 추가 교반 공정에서 동비율 반응에 필요한 화학량론적 양만큼 첨가된다. 이산화크롬의 차후 형성은 240 ℃ 내지 500 ℃ 및 100 바(bar) 내지 700 바(bar)의 고압 반응기에서 혼합 조절에 의하여 수행된다. CrO2의 제조 반응은 10 시간 내지 50 시간만에 완료되며, 반응기의 압력은 시간 함수에 선형적으로 4 시간 내지 8 시간 도중에 0 바(bar)로 낮아진다. 그 후, 이산화크롬은 반응용기로부터 기계적으로 꺼내어 공지된 방식으로 안정화시킨다. 생성된 이산화크롬은 평균 입자 길이가 0.1 ㎛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0.4 ㎛ 내지 0.9 ㎛임)이며, 길이/폭의 비율은 대략 15 : 1 이고, BET에 따라서 결정되는 비표면적이 20 m2/g내지 25 m2/g인 침상 입자로 이루어진다.
이산화크롬의 기타 특성들은 공지의 이산화크롬 자기 테이프에 사용되는 도포제들의 특성들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보자력이 32 kA/m 내지 48 kA/m인 대응하는 이산화크롬 도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하부층에는 보자력이 40 kA/m 내지 55 kA/m인 도포제가 사용되며, 상부층에는 보자력이 55 kA/m 내지 60 kA/m인 도포제가 사용된다(각 경우에 테이프 상에서 측정한 값임).
하부층 보자력이 대략 44 kA/m인 CrO2도포제를 함유하는 하부층과 상부층 보자력이 대략 58 kA/m인 Co-Fe2O3도포제를 함유하는 상부층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 매체용으로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 매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생산된다.
자성층의 생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인더(binder)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의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알코올, 염화비닐리데인(vinylidene chloride)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폴리비닐 포말(polyvinyl formals),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엘래스토머 또는 폴리에스터 엘래스토머, 페녹시 레진 또는 에폭시 레진과 같은 폴리비닐 아세탈이 자성 도포제의 확산(dispersion) 바인더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들은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서로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첨가제들이 이러한 바인더들에 첨가될 수 있다. 혼합물 내의 강자성 기판에 대한 바인더의 중량비는 강자성 기판의 중량 100부에 대한 바인더의 중량을 측정하였을 때 8 내지 400 중량부인데, 10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좋다.
적합한 확산제(dispersants)는 탄소 원자 수가 대략 12 내지 18개이고 일반식이 R1COOH(여기서, R1은 각각 탄소 원자 수가 대략 11 내지 17인 알킬 또는 알케닐임)인 지방산, 예를 들어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리롤레산, 리노렌산, 스테아롤산 및 이들과 동종류의 것, 알칼리 금속(Li, NA, K 등)의 염류 또는 알칼리토 금속(Mg, Ca, Ba 등)의 염 류를 함유하는 금속 비누(metal soap) 및 상기 지방산,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불소 함유 화합물, 상기 지방산의 아미드류, 폴리알칼렌 옥사이드-알킬포스포르산 에스테르, 레시딘, 4가 트리알킬폴리욜레핀녹시암모늄염류가 있다. 탄소 원자 수가 12 이상인 고급 알콜류 및 이들의 황산 에스테르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확산제들은 통상 바인더의 중량 100부에 대해 대략 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윤활제로서는 디알킬폴리실록산, 디알콕시폴리실록산, 모노알킬모노알콕시폴리실록산, 페닐폴리실록산 및 플루오로알킬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오일, 흑연분말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분말, 몰리브덴 디설파이드 분말 및 이황화텅스텐 분말와 같은 무기질 미립(微粒) 분말,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미립 분말,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에틸렌/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α-올레핀 중합체,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며 열 탄소 원자(thermal carbon atom)(탄소 원자 수가 대략 20임)에 n-올레핀의 이중 결합이 존재하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일염기성 C12-C20-지방산류와 일가(一價)의 C3-C12-알콜류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불포화탄화수소가 있다. 이러한 윤활제들은 통상 바인더의 중량 100부에 대해 대략 0.2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의 연마재에는 알루미나, 실리콘 카바이드, 이산화크롬(Cr2O3), 코룬둠, 다이아몬드, 합성 코룬둠, 가네트, 에메리(주성분 : 코룬둠 및 마그네타이트) 및 동종류의 것들이 있다. 이들 연마재는 통상 모오스(Mohs) 경도가 5 이상이며, 평균 입도(粒度)가 0.05 ㎛ 내지 5 ㎛, 바람직하기로는 0.1 ㎛ 내지 2 ㎛이며, 통상 바인더의 중량 100부에 대해 0.5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마재는 상부층에만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 사용될 수 있는 정전기 방지재로서는 카본 블랙 및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그라프트 폴리머(graft polymer)와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분말, 사포닌과 같은 자연산 계면 활성제, 산화알킬렌, 글리세롤 및 글리시돌 등을 기재(基材)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고급 알킬아민, 4가 암모늄염류와 같은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피리딘류, 포스포늄염이나 술포늄염 등의 복소환 화합물, 카르복실기, 술포기, 포스포닐기, 술페이트기 및 포스패이트기 등의 산기(酸基)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아미노산, 아미노술폰산 또는 아미노알콜 등의 인산에스테르 등의 양성(兩性) 계면 활성제가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분말은 통상 바인더의 중량 100부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며, 상기 계면 활성제는 통상 바인더의 중량 100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서로 혼합물 형태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통상 정전기 방지재로서 사용되지만,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목적으로, 예를 들어 확산도, 자성 특성 및 윤활 특성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 또는 코팅 형성 보조재로서도 사용된다.
자성 분말(magnetic powder)은 적당량의 용매, 적당량의 확산제 및 바인더 혼합물 중에서 완전히 혼합되어 제1 확산 단계가 이루어 지는데, 이는 예를 들어 용해제(dissolver), 니더(kneader), 콜로이드 밀, 볼 밀 또는 고전단력(high shear forces)을 제공하는 기타 장치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확산의 제2 단계는 예를 들어 밀링 강도가 연마 매체의 크기와 양 및 속도와 코팅 처리량의 변화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는 비드 밀(bead mill) 내에서 행해진다.
매우 좁은 도포제 입도 분포를 얻으려면, 상기 실시예의 수단으로 언급된 1종 이상의 비드 밀을 통하여 자성 확산제를 제1 저장 용기로부터의 복수 개의 통로 내에서 제 2 저장 용기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
미립 확산제 공급 단계가 종료되고 나면, 필요하다면 여분의 바인더 또는 첨가제들을 자성 확산제와 혼합시킨다.
자성 확산제에 의한 비자성 기판의 후속 코팅 작업은 예를 들어 리버스 롤 코터(reverse roll coater), 매트릭스 프린터 또는 압출 성형 코터(extruder coater) 수단에 의한 종래 기술에 따라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층은 예를 들어 이중 슬롯 코터(dual-slot coater) 수단에 의해 중간 건조 과정이 없이 기판 상에서 수 ㎜ 내지 수 ㎝ 떨어진 두 개의 출구(outlet) 슬롯으로부터 자성 확산제를 도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직접 도포된다. 이러한 코팅 장치는 예를 들어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독일 공개 특허 번호 DE-A 제42 26 138호, 독일 공개 특허 번호 제42 26 139호 및 독일 공개 특허 번호 제19 04 93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포는 먼저 기판 상에 하부층을 캐스팅하여 건조시킨 다음 그 하부층 상에 상부층을 캐스팅하는 방법인 습·건식(wet-on-dry) 방법에 의해서도 역시 수행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트리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통상 5 ㎛ 내지 150 ㎛이다.
캘린더(calendar) 수단에 의해 표면을 매끈하게 하는 처리, 슬리팅 및 메이크 업(slitting and make up) 처리와 같은 코팅된 물질에 가해지는 후속 처리는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 공정의 장점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하여 3.81 ㎜ 자기 테이프 슬릿에 대한 특성을 기재한다.
생성된 자기 기록 매체의 저장 특성은 항상 바스프사(BASF)의 기준 테이프 U 564 W(IEC Ⅱ)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특히, 측정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았다(모든 데이터의 단위는 dB이다).
MOL = 315 Hz에서의 출력 레벨
SOL = 10 kHz에서의 출력 레벨
FM = 3150 Hz와 315 Hz 간의 감도 차이
FH = 10 kHz와 315 Hz 간의 감도 차이
BN = 바이어스 잡음
SP = 프린트 통과 비율에 대한 신호(signal to print-through ratio)
실시예 1
(모든 데이터의 단위는 중량부임)
a) 하부층
Co로 도우프된(Co-doped) γ-Fe2O3[BET : 22 m2/g, Hc(테이프 상에서 측정됨)
: 53.3 kA/m] 15
확산제(dispersant) 0.45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2.9
윤활제 0.1
용매(solvent) 28
b) 상부층
Co로 도우프된(Co-doped) γ-Fe2O3[BET : 42 m2/g, Hc(테이프 상에서 측정
됨) : 58.7 kA/m] 14
윤활제 1.04
Al 2O3(Alox P 10, 미립도가 양호) 0.28
비닐 폴리머 0.7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1.3
확산제(dispersant) 0.5
용매(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
상기 두 개의 층은 건조시의 하부층 두께는 2 ㎛, 건조시의 상부층 두께는 4 ㎛가 되도록 연속 습식(wet-on-wet) 방법에 의하여 이중 압출 성형 코터 수단에 의하여 도포시켰다. PET 기판의 두께는 7 ㎛이다. 건조 및 캘린더 가공 후, 상기 재료는 폭 3.81 ㎜로 슬릿(slit)시키고 필립스(Philips) 타입의 콤팩트 카세트(compact cassettes)에 내장시켰다.
실시예 2
하부층의 자성 도포제가 BET 값이 21 m2/g이고 테이프 상에서 측정된 Hc값이 44.8 kA/m인 침상 CrO2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1
하부층의 두께가 4 ㎛이고 상부층의 두께가 2 ㎛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2
건조시의 두께가 6 ㎛인 단일층인 상부층만을 캐스트하였다.
이하의 표는 두 개의 시판되고 있는 기록 매체와 비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각 경우에 상기 기준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MOL SOL BN SP FM FH
실시예 1 +1.5 +2.2 +3.5 50 -0.1 +1.2
실시예 2 +1.9 +2.2 +3.4 52 -0.1 +1.2
비교예 1 +2.1 +1.3 +2.0 53 -0.6 +0.7
비교예 2 +0.7 +2.2 +3.8 50 0 +1.5
Fuji Z Ⅱ +0.5 +1.9 +4.2 53.9 -0.9 +0.7
TDK SA-X +1.1 +3.4 +3.2 52.5 -0.5 +1.3
본 발명에 따라서 얻게 되는 이중층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면, 주파수 곡선이 중앙에서 통상적인 강하(depression)를 나타내는 일이 없이 특히 저주파에서의 출력 레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자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
    비자성 기판과, 상기 비자성 기판에 도포되고 자성 도포제(magnetic pigment)로서 자화 가능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성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성 도포제는 코발트를 함유하는 FeOx(1.33≤x≤1.5)로 이루어지 며, 최상층의 도포제는 최하층의 도포제보다도 더 큰 BET 값을 나타내고, 최상층의 두께는 3.1 ㎛ 내지 5 ㎛의 범위이며, 최하층의 두께는 1.1 ㎛ 내지 3 ㎛의 범위로서 최상층의 두께가 최하층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특징인 자기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의 보자력은 55 kA/m 내지 60 kA/m이고, 상기 최하층의 보자력은 50 kA/m 내지 60 kA/m인 것인 자기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의 자기 도포제는 CrO2인 것인 자기 기록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의 보자력은 40 kA/m 내지 55 kA/m인 것인 자기 기록 매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은 비자기 도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기 도포제는 고미세도(高微細度)의 Al 2O3인 것인 자기 기록 매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IEC-Ⅱ 바이어스 고정용 오디오 테이프로서 사용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
  8. 제5항에 있어서, IEC-Ⅱ 바이어스 고정용 오디오 테이프로서 사용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
  9. 제6항에 있어서, IEC-Ⅱ 바이어스 고정용 오디오 테이프로서 사용되는 것인 자기 기록 매체.
KR1019980011424A 1997-04-05 1998-04-01 자기 기록 매체 KR19980080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4161.7 1997-04-05
DE19714161A DE19714161A1 (de) 1997-04-05 1997-04-05 Magnetischer Aufzeichnungsträ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974A true KR19980080974A (ko) 1998-11-25

Family

ID=782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424A KR19980080974A (ko) 1997-04-05 1998-04-01 자기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40041A (ko)
EP (1) EP0869483B1 (ko)
JP (1) JPH10283630A (ko)
KR (1) KR19980080974A (ko)
DE (2) DE19714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87798A1 (en) * 1998-03-20 2002-04-16 Toda Kogyo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6217A (en) * 1969-08-04 1972-07-11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443362B2 (ko) * 1972-02-02 1979-12-19
JPS5617734B2 (ko) * 1973-07-19 1981-04-24
JPS5257621U (ko) * 1975-10-23 1977-04-26
DE2556188C3 (de) * 1975-12-13 1979-07-05 Basf Ag, 6700 Ludwigshafen Flexible Mehrschichtmagnetogrammträger
JPS545705A (en) * 1977-06-16 1979-01-17 Fuji Photo Film Co Ltd Double layer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421304A (en) * 1977-07-18 1979-02-17 Fuji Photo Film Co Ltd Double layer magnetic recording tape
JPS55108928A (en) * 1979-02-09 1980-08-21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DE2942646A1 (de) * 1979-10-22 1981-04-3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JPS5733435A (en) * 1980-07-31 1982-02-23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769528A (en) * 1980-10-14 1982-04-28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798135A (en) * 1980-12-11 1982-06-18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7195329A (en) * 1981-05-26 1982-12-01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856228A (ja) * 1981-09-28 1983-04-02 Sony Corp 磁気記録媒体
EP0090053B1 (en) * 1981-09-28 1987-06-24 Sony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630142B2 (ja) * 1984-04-23 1994-04-2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スク状磁気記録媒体
DE3513723A1 (de) * 1985-04-17 1986-10-23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DE3535465A1 (de) * 1985-10-04 1987-04-09 Basf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von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DE3536116A1 (de) * 1985-10-10 1987-04-16 Basf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nadelfoermigem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DE3609971A1 (de) * 1986-03-25 1987-10-0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rom(iii)oxid, ein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sowie die verwendung des chrom(iii)oxids als ausgangsmaterial fuer die chromdioxid-synthese
DE3610192A1 (de) * 1986-03-26 1987-10-0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DE3610411A1 (de) * 1986-03-27 1987-10-01 Basf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nadelfoermigem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DE3635711A1 (de) * 1986-10-21 1988-04-28 Knoll Ag 5-nitrobenzo(de)isochinolin-1,3-dion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718299A1 (de) * 1987-05-30 1988-12-1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bilisiertem nadelfoermigem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DE3728453A1 (de) * 1987-08-26 1989-03-0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difiziertem,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DE3801455A1 (de) * 1988-01-20 1989-08-0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rom(iii)oxid
DE3828498A1 (de) * 1988-08-23 1990-03-01 Basf Ag Chromdioxidmateria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magnetische aufzeichnungstraeger enthaltend dieses chromdioxidmaterial
JP2714850B2 (ja) * 1989-04-07 1998-02-16 コニカ株式会社 塗布装置および重層塗布方法
DE3914565C2 (de) * 1989-05-03 1999-10-21 Emtec Magnetics Gmbh Magnetischer Aufzeichnungsträger
DE3941578A1 (de) * 1989-12-16 1991-06-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bilisiertem chromdioxid und magnetischer aufzeichnungstraeger enthaltend dieses material
DE4005211A1 (de) * 1990-02-20 1991-08-22 Basf Ag Verfahren zum stabilisieren von hochkoerzitivem chromdioxidmaterial
JP2702268B2 (ja) * 1990-09-27 1998-01-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DE4142166A1 (de) * 1991-12-20 1993-06-24 Basf Magnetics Gmbh Magnetischer aufzeichnungstraeger
DE4412611C2 (de) * 1994-04-13 2003-02-27 Emtec Magnetic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inteiligem ferromagnetischem Chromdiox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9483A1 (de) 1998-10-07
DE59804282D1 (de) 2002-07-11
EP0869483B1 (de) 2002-06-05
JPH10283630A (ja) 1998-10-23
US6040041A (en) 2000-03-21
DE19714161A1 (de) 199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104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9231546A (ja) 磁気記録媒体
US5827599A (en) Magnetic recording tape having a backcoat and specified edge profile
JPH11238225A (ja) 磁気テープ
US5080967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6124010A (ja) 磁気記録媒体
US6936340B2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657813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6680088B2 (en) Process for producing magnetic recording medium
US5089317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KR19980080974A (ko) 자기 기록 매체
JPS60224121A (ja) ディスク状磁気記録媒体
JPH0922524A (ja) 磁気記録媒体
JPH05135353A (ja) 磁気記録媒体
JP3277289B2 (ja) 磁気記録媒体
DE4024159A1 (de) Magnetaufzeichnungsmedium
JP2005032365A (ja) 磁気記録媒体
JPH09265626A (ja) コンピュータデータ記録用磁気テープ
JP3023719B2 (ja) 磁気記録媒体
JP2614103B2 (ja) 磁気記録媒体
JPH10135023A (ja) 磁気記録媒体
JPH04214218A (ja) 磁気記録媒体
JPH03162717A (ja)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02192017A (ja) 磁気記録媒体
JPH02110823A (ja) 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