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285A -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285A
KR19980079285A KR1019970028541A KR19970028541A KR19980079285A KR 19980079285 A KR19980079285 A KR 19980079285A KR 1019970028541 A KR1019970028541 A KR 1019970028541A KR 19970028541 A KR19970028541 A KR 19970028541A KR 19980079285 A KR19980079285 A KR 19980079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kin treatment
external skin
oil
al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993B1 (ko
Inventor
요코야마미네유키
즈카다히로유키
사카이데츠야
야마구치쇼코
스즈키유미코
나카야마야스카즈
야스하라히로아키
사카모토오키히코
Original Assignee
후쿠하라요시하루
가부시키가이샤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하라요시하루, 가부시키가이샤시세이도 filed Critical 후쿠하라요시하루
Publication of KR1998007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2Aftershav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15Polygalacturonase (3.2.1.1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2/00Carbon-oxygen lyases (4.2)
    • C12Y402/02Carbon-oxygen lyases (4.2) acting on polysaccharides (4.2.2)
    • C12Y402/0201Pectin lyase (4.2.2.1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식물체를 가령 효소로 단세포화함으로써 얻어지는 단세포화된 식물을 제제화하여, 시간에 따른 식물의 유효 성분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분 잔류 효과가 우수하고, 특정 자유 라디칼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식물의 유효 성분의 지속적인 방출 효과를 갖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본 발명은 단세포화된 식물(unicellularized plant)을 함유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이적으로는, 식물의 추출물 등에서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단세포화된 식물의 특징이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최대 효과로 발현되게 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조성물의 본래 목적은 신체를 자연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과학이 발달한 오늘날, 목적은 신체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화장품 등을 사용하여 인간을 아름답게 그리고 매력적으로 표현하고 자신을 기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 건조등으로부터 피부 등을 보호하여 노화를 방지하고, 아름다움의 세월을 증가시키고, 즐거운 삶을 영위하는 것이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화장품 조성물의 개발 분야에서 현재까지 다양한 시도가 행하여졌다.
예를 들면, 각종 유형의 화학 성분을 제제화하여 화장품에 그러한 성분의 대응하는 작용을 부여하거나 또는 독창적으로 기본 성분을 가공함으로써 각종 유형의 제제를 창조하려는 시도가 행해졌다. 그 결과로서 각종 유형의 새로운 화장품이 제조되었다.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것들이 주요 장애물이 되었다.
특히, 단일 화장품 조성물에 각종 기능을 부여하려고 할 때, 불가피하게 제제화되는 화학 물질의 유형이 더 커졌고, 이것과 함께 제제화의 금지 때문에 더 많은 제한이 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각종 시도가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현재의 화장품 조성물에 고유한 상기 문제를 가능한 최대로 해결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 같은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지내에 단세포화된 식물을 함유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1은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페놀 글리코시드 성분의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의 차트이다.
도2는 각종 조건하에서 건조된 단세포화된 당근의 β-카로틴의 시간에 따른 상대 농도를 연구한 결과의 도면이다.
도3은 각종 조건하에서 당근 추출물 건조 제품의 β-카로틴의 안정성을 연구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각종 조건하에서 부드러운 단세포화된 당근의 시간에 따른 상대 농도를 연구한 결과의 도면이다.
도5는 단세포화된 당근의 수분 잔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단세포화된 당근의 β-카로틴의 서방성(slow releas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단세포화된 당근의 히드록시 라디칼(OH·)의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알로에-함유 유효 성분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알로에의 에탄올 추출물의 알로에-함유 유효 성분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수분 잔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인간 피부 피브로블라스트에서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단세포화된 알로에에 의한 콜라겐 생성의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단세포화된 프리지아(Freesia) 꽃의 수분 잔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단세포화된 프리지아 꽃의 히드록시 라디칼(OH·)의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수분 잔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그 목적을 향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성분들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생각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 단세포화된 식물, 즉 세포 단위로 분리된 식물체를 제제화함으로써, 식물의 추출물등에서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단세포화된 식물의 특징을 화장품 조성물에서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어서(예컨대, 식물의 유효 성분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분 잔류 효과가 우수하고, 특정 자유 라디칼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식물의 유효 성분의 지속적인 방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단세포화된 식물의 화학 물질의 우수한 성질을 이용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혼합된 단세포화된 식물은 효소적 분해 또는 기계적인 분리 등의 수단에 의해 처리되는 세포벽을 갖는 식물, 해초, 또는 다른 천연 재료를 의미하는 데, 여기서는 세포벽을 파괴하지 않고 세포간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파괴하고, 이로써 물질을 세포 단위(단일 세포 또는 세포 덩어리)로 분해하고, 그 다음 허물허물한 상태, 액체 조성물, 또는 동결건조된 제품으로 만들게 된다.
단세포화된 식물은 이미 기능 식품에서 사용되고 있고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혼합될 때 안전성에서 명백하게 문제를 갖고 있지 않다.
단세포화된 식물의 재료는 채소, 과일, 해초, 및 의약용 약초 등의 세포벽을 갖는 식물체이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정 재료는 단세포화된 식물이 혼합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특정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된다. 이러한 식물은 먼저 세척되고 멸균되고, 예비 처리되지 않으면 그 다음 단세포화 공정에 적용된다.
이러한 단세포화 공정의 전형적인 방법으로서, 펙틴아제 등에 의한 효소 처리에 의해 펙틴같은 세포간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세포화된 식물은 세포벽을 갖는 것이라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세포벽을 분해하는 효소, 즉 셀룰라제는 효소 처리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없다.
효소처리에 사용되는 식물 조직의 단세포화를 위한 효소로서는, Aspergillus niger, Rhizopus sp.등에서 추출되는 폴리갈락투로나제 및 펙틴아제;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japonicus, 및 다른 Aspergillus sp.에서 추출되는 펙틴 리아제; 및 Aspergillus japonicus 등에서 추출되는 펙토리아제를 예시할 수 있지만, 식물의 세포간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할 수 있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식물 조직의 단세포화를 위한 효소에 있어서, 상기의 Rhizopus sp. 또는 Aspergillus sp. 등의 효소 재료로부터 통상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식물 조직 단세포화 효소가 단세포 상태로 전환되는 재료에 작용하도록 할 때, 그것을 효소의 최적 온도에서 그리고 최적 pH 등의 최적 조건하에서 그리고 최소 사용량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물론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 조직 단세포화 효소의 최적 온도는 일반적으로 30 내지 40℃이고 최적 pH는 4 내지 5이다.
더욱이, 효소 반응후에는, 가령 22 메시 크기(구멍 크기 710μm)의 체를 이용하여 걸러내서, 식물의 외피(외부 표피), 섬유성 물질, 코어, 씨 등의 잔류하는 경향이 있는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제제화할 수 있는 허물허물한 단세포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허물허물한 단세포 현탁액 대신에, 원심분리(적어도 10분간 1500 x g) 등의 방법에 의해 현탁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단세포 페이스트 또는 건조 표본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그 다음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과 혼합할 수 있다.
그러나, 세포간 물질을 구성하는 펙틴등은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측쇄 및 주쇄에 중성 당류가 포함되어 있다. 더욱이, 헤미셀룰로스와 결합되어 있다고 믿어진다. 따라서, 기계적인 공정 단독으로는 단세포화된 식물로서의 분리가 어렵다. 그러나, 백일초의 잎 등의 경우에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세포 식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혼합되는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단세포화된 식물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그것은 단세포화되는 식물의 유형, 단세포화된 식물의 제제화로부터 원하는 효과,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형태 등에 의해 결정된다. 제제 상태로의 제제화가 가능하기만 하면,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적어도 0.001중량% 및 30중량% 이하의 범위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0.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제제화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 그리고 8.0 중량% 이하의 범위로 제제화된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은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된 그렇게 제조한 단세포화된 식물을 함유하고, 식물 추출물 등에서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단세포화된 식물의 특징을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최대 정도로 발현할 수 있다.
예컨대, 이후에 기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된 단세포화된 당근을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함으로써, 당근의 β-카로틴 및 다른 유효 성분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의 우수성, 수분 잔류 효과의 우수성, 특정 자유 라디칼(히드록시 라디칼(OH·))의 제거 효과의 우수성, 및 상기 유효 성분의 지속 방출의 효과 등의 다양한 우수 효과가 얻어질 수 잇다.
더욱이, 단세포화된 알로에를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함으로써, 수분 잔류 효과의 우수성, 알로에닌 및 다른 알로에의 유효 성분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의 우수성, 피부의 표피를 형성하는 피브로블라스트의 증식의 증진 효과가 있다. 또, 콜라겐 생성의 증진 등의 각종 우수 효과가 있다.
또한, 단세포화된 프리지아 꽃을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함으로써, 특정 자유 라디칼(히드록시 라디칼(OH·))의 제거 효과 및 수분 잔류 효과 및 색깔 안정화 효과 등의 각종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단세포화된 붓꽃의 지하경을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함으로써, 수분 잔류 효과 등의 각종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제제화되는 단세포화된 식물의 유형 및 형태는 물리화학적으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상기 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상술한 것처럼, 채소, 과일, 해초, 의약용 약초 등에서 추출된 단세포화된 식물을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허물허물한 단세포 현탁액, 단세포 페이스트, 건조 표본 등의 어떤 형태의 단세포 식물은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단세포화된 식물의 한 유형이 단독으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내에 혼합될 수 있고 또는 둘 이상의 유형이 서로 조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단지 상술한 대로 단세포화된 식물을 제제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은 각종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이 다른 화학 성분의 제제화에 의해 나타내게 되는 효과를 부여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다른 화학 성분을 제제화하는 것은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제제화가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이 선 케어 제품(sun care product)으로서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p-아미노벤조산 및 다른 벤조산 타입 UV 흡수제,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및 다른 안트라닐산 타입 UV 흡수제, 옥틸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호모메틸 살리실레이트, 및 다른 살리실산 타입 UV 흡수제, 이소프로필 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 디-p-메톡시신나메이트 모노-2-에틸헥사노에이트, [4-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릴-3-메틸부틸]-3,4,5-트리메톡시신남산 에스테르 및 다른 신남산 타입 UV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나트륨, 및 다른 벤조페논 타입 UV 흡수제, 우로칸산, 에틸 우로카네이트, 2-페닐-5-메틸벤즈옥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을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수분 잔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러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스, D-만니톨, 글루텐, 글루코스, 과당, 락토스,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소듐 히알로네이트, 소듐 아데노신 포스페이트, 락트산 나트륨, 갈레이트, 피롤리돈 카보네이트, 글루코사민,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습윤제를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학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비타민 A 오일, 레티놀, 레티놀 팔미테이트, 이노시톨, 피리독신 클로레이트, 벤질 니코티네이트, 니코틴아미드, 디-α-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 디-α-토코페롤, 포타슘 디-α-토코페롤-2- L-아스코르빅 디에스테르, 디-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판토텐산, 바이오틴, 및 기타 비타민,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및 기타 호르몬, 알기닌, 아스파라긴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세린, 루신, 트립토판, 및 기타 아미노산, 알란토인, 아줄렌, 글리시르레틴산, 및 기타 해열제, 아르부틴 및 기타 표백제, 산화아연, 탄닌, 및 기타 수렴제, L-멘톨, 장뇌, 및 기타 신선하게 하는 화학 물질(freshener) 또는 황, 리소짐 클로라이드, 피리독신 클로레이트, γ-오리자놀 등을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각종 의약 효과를 갖는 각종 유형의 추출물을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Houttuynia cordate 추출물, Phellon 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멜리로트 추출물, 화이트 데드 네틀 추출물, 감초 뿌리 추출물, 초본 모란 추출물, 사포나리아 추출물, 수세미오이 추출물, 기나수 추출물, 포복 바위취 추출물, Sophora angustifolia 추출물, 수련 추출물, 보통 회향 추출물, 앵초 추출물, 장미 추출물, Rehmannia glutinosa 추출물, 레몬 추출물, Lithospermum erythrorhizon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붓꽃 지하경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사향초 추출물, 차 추출물, 해초 추출물, 오이 추출물, 정향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멜리사 추출물, 당근 추출물, 서양칠엽수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복숭아잎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풍년화 추출물, 태반 추출물, 흉선 추출물, 실크 추출물 등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제제화할 수 있는 의약성분은 상기의 의약 성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욱이, 상기의 의약 성분은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단독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또는 상기의 의약 성분의 두가지 이상의 타입을 조합하여 목적에 따라 적당히 제제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의약성분은 유리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염을 형성할 수 있을 때에는 산 또는 염기의 염의 형태로 또는 카르복실산 기를 가질 때에는 에스테르의 형태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은 제약, 준(quasi)-의약(연고, 크림치약 등) 및 화장품(안면 세제, 에멀션, 크림, 겔, 엣센스(미용 용액), 팩, 마스크, 또는 기타 기본 화장품;파운데이션, 립스틱, 또는 기타 메이크업 화장품;구강 화장품, 방향 화장품, 헤어 화장품, 바디 화장품 등)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수용액, 다른 용액, 에멀션, 파우더, 오일, 겔, 연고, 에어로솔, 물-오일 시스템, 물-오일-파우더 시스템 등의 다양한 범위의 제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는, 원하는 형태 및 제제에 따라 넓은 범위의 통상의 공지된 기본 성분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아마인유, 츠바키유(tsubaki oil), 퀸즐랜드넛 오일, 옥수수유, 밍크 오일, 올리브유, 아보카도 오일, 사산쿠아 오일(sasanqua oil), 비버향 오일, 잇꽃 오일, 살구 오일, 계피 오일, 호호바 오일(jojoba oil), 포도 오일, 해바라기 오일, 아몬드 오일, 평지 오일, 참기름, 밀 맥아 오일, 쌀 맥아 오일, 쌀겨 오일, 면실유, 대두유, 땅콩기름, 차씨 오일, 금달맞이꽃 오일, 노른자위 오일, 니이츠풋 오일(neetsfoot oil), 간유, 트리글리세린, 글리세린 트리옥타네이트,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테이트, 및 기타 액체유 및 지방;코코넛 오일, 팜유, 야자 인 오일, 및 기타 액체 또는 고체 오일 및 지방;카카오 지방, 쇠고기 지방조직, 양 지방, 돼지 지방, 말 지방, 수소화된 오일, 수소화된 비버향 오일, 일본식 왁스, 시어 버터, 및 기타 고체 오일 및 지방;밀랍,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면 왁스, 브라질밀랍야자 왁스, 소귀나무 왁스, 나무 왁스, 경랍, 몬탄랍, 왕겨 왁스, 라놀린, 환원된 라놀린, 경질 라놀린, 케이폭 왁스, 사탕수수 왁스, 호호바 왁스, 셜랙 왁스, 및 기타 왁스를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또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세틸 옥타네이트 및 기타 옥탄산 에스테르,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기타 이소옥탄산 에스테르;헥실 라우레이트 및 기타 라우르산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및 기타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옥틸 팔미테이트 및 기타 팔미트산 에스테르,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및 기타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기타 이소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옥틸 이소팔미테이트 및 기타 이소팔미트산 에스테르, 이소데실 올레에이트 및 기타 올레산 에스테르,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및 기타 아디프산 디에스테르, 디에틸 세바스에이트 및 기타 세바스산 디에스테르,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및 기타 에스테르 오일;액체 파라핀, 취랍, 스콸란, 스콸렌, 프리스탄, 파라핀, 이소파라핀, 세레신, 바셀린, 미소납, 및 기타 탄화수소 오일 등을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히드로겐 폴리실록산, 및 다른 사슬형 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및 기타 시클릭 실록산,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을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비누 염기, 라우르산 나트륨, 팔미트산 나트륨, 및 기타 지방산 비누, 라우로황산나트륨, 라우로황산칼륨, 및 기타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 염, POE 라우로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 라우로황산나트륨, 및 기타 알킬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 염,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신, 및 기타 N-아실사르코신 산, 소듐 N-미리스틸-N-메틸타우린, 소듐 N-코코일-N-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릴메틸 타우레이트, 및 기타 고급 지방산 아미드 술포네이트, 소듐 POE 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POE 스테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기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술포숙신산 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 술포숙신산 나트륨, 및 기타 술포숙시네이트, 선형 데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선형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선형 도데실 벤젠설페이트, 및 기타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소듐 N-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 N-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모노소듐 N-미리스토일-L-글루타메이트, 및 기타 N-아실글루타메이트, 소듐 수소화 비버향 오일 지방산 글리신 설페이트 및 기타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 터키 레드 오일 및 기타 설페이트화된 오일, POE 알킬아릴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α-올레핀설페이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이차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드 숙신산 나트륨, N-팔미토일 아스파라기네이트 디트리에탄올 아민, 소듐 카세인, 및 기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기타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염,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염,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클로라이드, 세틸피디늄 클로라이드 및 기타 알킬 피리디늄 염, 알킬 4차 암모늄 염, 알킬 디메틸벤질 암모늄 염, 알킬 이소퀴놀리늄 염, 디알킬 모르포늄 염, POE 알킬 아민, 알킬 아민 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및 기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2-소듐 염, 및 기타 이미다졸린 부류의 양극성 계면활성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드 베타인, 술포 베타인, 및 기타 베타인 부류의 계면활성제, 및 기타 양극성 계면활성제;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산 소르비탄, 펜타옥타노산 디글리세릴 소르비탄, 테트라옥타노산 디글리세릴 소르비탄, 및 기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케이트,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에이트,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α,α'-올레에이트 피로글루타메이트,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말산 및 기타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기타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수소화된 비버향 오일 유도체, 글리세린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기타 친액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모노올레산 PO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PO-소르비탄, 모노올레산 POE 소르비탄, 테트라올레산 POE 소르비탄, 및 기타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르산 POE 소르비트, 모노올레산 POE 소르비트, 펜타올레산 POE 소르비트, 모노스테아르산 POE 소르비탄, 및 기타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POE-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POE-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OE-글리세린, 및 기타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디스테아레이트, POE 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 POE 지방산 에스테르, POE 라우릴 에테르, POE 올레일 에테르, POE 스테아릴 에테르, POE 베헤닐 에테르, POE2-옥틸도데실 에테르, POE 콜레스타놀 에테르, 기타 POE 알킬 에테르, POE 옥틸 페닐 에테르, POE 노닐 페닐 에테르, POE 디노닐 페닐 에테르, 및 기타 POE 알킬 페닐 에테르, 플루로닉(Pluronic) 및 기타 플루아로닉스(pluaronics), POE·POP 세틸 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OE·POP 모노부틸 에테르, POE·POP 수화 라놀린, POE·POP 글리세린 에테르, 및 기타 POE·POP 알킬 에테르, 테트로닉(Tetronic) 및 기타 테트라-POE·테트라-POP 에틸렌 디아민 축합 생성물, POE 비버향 오일, POE 수소화 비버향 오일, POE 수소화 비버향 오일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수소화 비버향 오일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수소화 비버향 오일 모노피로글루타메이트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에스테르, POE 수소화 비버향 오일 말레산 및 기타 POE 비버향 오일 수소화 비버향 오일 유도체, POE 소르비탄 밀랍 및 기타 POE 밀랍 라놀린 유도체, 코코넛 오일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레이트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및 기타 알칸올아미드, POE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아민, POE 지방산아미드,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POE 노닐페닐 포름알데히드 축합 생성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및 기타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기타 계면활성제를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기타 저급 알코올;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및 기타 스테롤 등을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스, 갈락탄, 캐롭 검, 구아르 검, 카라야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마르멜로 씨, 조류 콜로이드(조류 추출물), 전분(쌀, 밀, 감자, 옥수수), 및 기타 식물 타입 중합체,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레란, 및 기타 미생물 타입 중합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및 기타 전분 타입 중합체, 콜라겐, 카세인, 알부민, 젤라틴, 및 기타 동물 타입 중합체, 메틸 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소듐 셀룰로스 설페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결정질 셀룰로스, 셀룰로스 분말, 및 기타 셀룰로스 타입 중합체,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기타 알긴산 타입 중합체, 폴리비닐메틸 에테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 등), 및 기타 비닐 타입 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계 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타입 중합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기타 아크릴 타입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중합체, 벤토나이트,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라포나이트, 헥토나이트, 무수성 규산, 및 기타 무기 타입 수용성 중합체 등을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알라닌, 소듐 에데테이트, 소듐 폴리포스페이트, 소듐 메타포스페이트, 인산, 및 기타 금속 이온 밀봉재;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L-알기닌, L-리신,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및 기타 중화제;락트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디-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및 기타 pH 조정제;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및 기타 산화방지제를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벤조산, 살리실산, 카르볼산, 소르브산, p-옥시벤조산 에스테르, p-클로로메타크레솔, 헥사클로로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클로로헥시딘 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카르브아닐리드, 광민감성 원소, 페녹시에탄올, 및 기타 항세균제를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적당한 향, 색깔 등을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기본 성분들은 모두 실례들이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제제화될 수 있는 기본 성분은 이러한 기본 성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본 성분들은 원하는 형태에 기초한 제제에 따른 적당한 조합으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속에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특이적인 제제들이 하기의 실시예에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세부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것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참고실시예 A)단세포화된 당근의 제조
(1) 식물 조직 단세포화 효소의 제조
1 kg의 톱밥을 6 kg의 밀 씨껍질과 혼합하였다. 이것에 1% HCl 30ml을 포함하는 5 리터의 수도물을 뿌렸고, 그 다음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1시간 동안 증기 멸균한 다음, 통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Rhizopus 포자를 34-35℃에서 그것에 뿌렸다. 이것을 30℃ 및 85%의 상대 습도(고)에서 48-50시간동안 배양하고 건조시켜서 맥아로서 사용하였다.
맥아 1중량부 당 3중량부의 비율로 뜨거운 물을 가하였다. 추출된 여과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유사하게 0℃로 냉각시킨 아세톤을 여기에 첨가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 40 내지 60% 포화된 침전 분획을 모으고, 건조시키고, 식물 조직 단세포화 효소로서 사용하였다.
(2) 단세포화된 당근의 제조
멸균 및 세척을 위해 하이포아염소산 나트륨에서 10분간 침지시킨 8kg의 당근을 식품 슬라이서에 의해 3 mm2로 잘게 썰었다. 여기에 2kg의 멸균 냉각수를 가하고, 20% 시트르산 용액에 의해 pH를 4.3으로 조정한 다음, 90℃ 이상에서 약 10분간 혼합물을 멸균하기 위해서 증기를 불어 넣었다.
상기 (1)에서 제조한 효소용액을 당근에 0.5중량%의 양만큼 첨가한 다음, 멸균 공정하에서 믹서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고속으로 (외부 자켓의 수온 40℃) 이것을 혼합하고 분해시켰다.
분해 종결후 분해되지 않은 섬유성 물질을 20 메시 스테인레스 스틸 시브에 의해 제거하여 9.5 kg의 허물허물한 단세포화된 당근 현탁액을 얻었다.
이 허물허물한 단세포화된 당근 현탁액을 동결 건조 장치(FTS에 의해 제조)에 의해 처리하여 허물허물한 단세포화된 당근의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 Rhizopus 곰팡이 스콜레코스포어(scolecospore)는 식품에 사용되며, 따라서 극히 안전하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 Rhizopus 곰팡이 스콜레코스포어가 상기 단세포화된 당근에서 혼합된다는 사실은 안전성에 있어서 전혀 어떤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더욱이, 당근의 세포외 단백질이 문제일 때는, 상기 단세포화된 당근을 원심분리하고(약 3000rpm) 얻어진 상징액을 물로 대치하여 시스템으로부터 세포외 단백질을 제거한다.
(참고실시예 B)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제조
(1)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제조
10kg 의 미세하게 절단된 알로에(즉, Aloe arborescens)를 식품 슬라이서 등에 의해 세분하였다. 효소 수용액(세분된 알로에 체적의 50%의 물의 체적으로 세분된 알로에에 대하여 0.04중량%의 양만큼 용해된 Macelotyme(phonetic) R-200(Yakurt Yakuhin Kogyo 에 의해 제조)을 세분된 알로에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75 rpm).
교반이 종결된 후, 반응생성물을 710 μm 메시 시브를 통해서 거른 다음,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30분간 85℃에서 처리하였다. 이 효소 불활성화 처리후, 300 μm 크기의 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효소 불활성화된 생성물을 여과하였다. 여기에 적당한 방부제를 첨가하여 원하는 단세포화된 알로에를 얻었다.
(2)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페놀 글리코시드 성분의 HPLC에 의한 분석
단세포화된 알로에에서 알로에의 주요 유효성분으로서 알려진 알로에닌 및 기타 글리코시드 성분이 어떤 종류의 구조를 갖는 지의 여부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석되었다.
상기(1)에서 얻어진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동결건조된 분말 100mg을 메탄올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초음파로 10분간 냉각 교반한 다음, 15분간 3000rpm에서 원심분리한 후, 얻어진 상징액을 HPLC 샘플(10㎕)로서 사용하였다.
HPLC 조건
컬럼:CAPCELLPAK C18(4.6 mmφ x 250 mm:Shiseido Co.,Ltd.에 의해 제조)
칼럼 온도:45℃
용리제:CH3CN(A)-H2O(B)
0분(12%(A)), 19분(23%), 24분(28%), 39분(46%), 49분(100%)
용출 속도:1 ml/min
검출 파장:UV 290nm
이러한 HPLC 분석의 결과의 차트가 도1에서 보여진다.
도1로부터 단세포화된 알로에는 일반적으로 알로에의 유효 성분으로 간주되는 성분, 즉 알로에닌, 이소바르발로인, 바르발로인, 및 페룰로일알로에신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참고실시예 C) 단세포화된 프리지아의 제조
단지 프리지아의 꽃부분 500g을 모아서 면도날로 세분하고, 그것의 2g에 100ml의 효소 수용액(프리지아 꽃 체적의 50%의 물의 체적으로 세분된 프리지아 꽃에 대하여 0.04중량%의 양만큼 용해된 Macelotyme(phonetic) R-200(Yakurt Yakuhin Kogyo 에 의해 제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후, 효소 처리된 생성물을 710 ㎛ 메시 시브에 의해 여과하여 잔류물을 제거하여 단세포화된 프리지아 꽃을 얻었다.
(참고실시예 D)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의 제조
껍질을 벗긴 붓꽃(Iris parida, Iridaceae)의 지하경 부분 61.54g을 세분하였다. 상기 Macelotyme(phonetic) R-200 (0.08%;49.2mg)을 식물체와 동일한 정제된 물의 체적(62ml)에 녹이고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후, 혼합물을 710 ㎛ 메시 시브에 의해 여과하고 잔류물을 제거하여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을 얻었다.
(참고실시예 E) 단세포화된 파낙스 인삼(Panax Ginseng)의 제조
파낙스 인삼(Araliaceae) 52.5g을 세분하였다. 상기 Macelotyme(phonetic) R-200 (0.08%;42.0mg)을 식물체의 2배의 정제된 물의 체적(106ml)에 녹이고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5.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후, 혼합물을 710 ㎛ 메시 시브에 의해 여과하고 잔류물을 제거하여 단세포화된 파낙스 인삼을 얻었다.
(참고실시예 F) 단세포화된 시트루스 운시우(Citrus Unshiu)의 제조
시트루스 운시우(Rutaceae)의 껍질 53.22g을 세분하였다. 상기 Macelotyme (phonetic) R-200 (0.08%;43.0mg)을 식물체와 동일한 정제된 물의 체적(53ml)에 녹이고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개시후 5분간, 동일한 양의 정제된 물(53ml)을 시스템에 첨가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반응 종결후, 혼합물을 710 ㎛ 메시 시브에 의해 여과하고 잔류물을 제거하여 단세포화된 시트루스 운시우를 얻었다.
(참고실시예 G) 단세포화된 스위티(Sweety)의 제조
스위티의 껍질 79.90 g을 세분하였다. 상기 Macelotyme(phonetic) R-200 (0.08%;64.0mg)을 식물체와 동일한 정제된 물의 체적(80ml)에 녹이고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개시후 5분간, 동일한 양의 정제된 물(80ml)을 시스템에 첨가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반응 종결후, 혼합물을 710 ㎛ 메시 시브에 의해 여과하고 잔류물을 제거하여 단세포화된 스위티를 얻었다.
(시험 실시예 A1) 단세포화된 당근의 안정성의 시험
(1) 상기 참고실시예 A 에서 제조한 허물허물한 단세포화된 당근의 동결건조된 분말의 안정성을 β-카로틴의 상대농도에서 연구하였다(도2).
도2는 β-카로틴의 상대농도의 시간에 따른 연구결과의 그래프이다;□:0℃(어두운 부분), ◇:일광(실온), 및 ○:50℃(어두운 부분).
이것과는 반대로, 도3은 당근의 추출물의 건조 제품(아세톤으로 3번 추출하고 진공 건조시킨 당근)의 시험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β-카로틴의 안정성의 연구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2 및 도3으로부터, 0℃ 및 일광하에서 단세포화된 당근의 β-카로틴은 당근 추출물의 β-카로틴과 비교할 때 시간에 따른 안정성이 극히 우수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β-카로틴의 농도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ODS 칼럼(Capcelpak C18:Shiseido Co.,Ltd.에 의해 제조))에 의하여 분석되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즉, β-카로틴은 칼럼으로부터 10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용출되고 450 nm에서 검출되었다. 칼럼의 유속은 2 ml/min이었다.
(2) 상기 참고실시예에서 제조한 허물허물한 단세포화된 당근의 안전성을 연구하였다.
도4는 상기 허물허물한 단세포화된 당근의 β-카로틴의 상대농도의 시간에 따른 연구결과의 그래프이다;□:0℃(어두운 부분), ◇:37℃(어두운 부분), ○:50℃(어두운 부분), △:일광.
도4로부터 허물허물한 단세포화된 당근은 어떤 조건하에서 건조제품에 대한 β-카로틴의 안정성에서 우수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즉, 단세포화된 식물이 종종 혼합 성분으로서 물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단세포화된 식물의 우수한 안정성이 강하게 제안된다.
(시험실시예 A2) 단세포화된 당근의 수분 잔류 효과의 연구
단세포화된 당근(8중량% 수용액)의 수분 잔류 효과를 물, 글리세린(8중량% 수용액), 당근의 메탄올 추출물(8중량% 수용액), 및 DPG(디프로필렌 글리콜)(8중량% 수용액)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즉, 상기 샘플 각각 50㎕을 22℃ 및 45%의 건조습도로 유지된 방에 위치한 화학 저울에 놓았다. 중량의 변화를 전체 7번, 매 3분마다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샘플의 수분 증발율 계수(dw/dt=kW로서 발견되는 수분 증발율 계수 k, 여기서 수분의 양은 W이고 경과시간은 t, 즉 logW=kt+C(C는 상수이다))를 계산하였다.
도5는 그 결과를 보여준다.
그 결과로부터 단세포화된 당근 식물은 물 뿐만아니라 습윤제로서 알려진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보다 수분의 증발에 대해 더 저항성이 있고, 수분 잔류 효과는 당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관찰되지 않고, 단세포화된 식물로서 당근의 존재에 기초한 효과라는 것은 명백하다.
(시험실시예 A3) 단세포화된 당근에서 β-카로틴의 서방성의 연구
30중량%의 농도를 나타내도록 아온 교환된 물(81.2중량부), 디프로필렌글리콜(7.0중량부), 및 브루신 변형된 알코올(5.0중량부)을 포함하는 수성 성분에 첨가된 참고실시예A에서 제조된 단세포화된 당근의 건조 제품을 포함하는 수층 용액으로, 그리고 30중량%의 농도를 나타내도록 오일 성분(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에 첨가된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오일층 용액으로의 β-커로틴의 느린 방출을 연구하였다(도6).
즉, 상기 샘플을 37℃에서 배양하고, 세포외 용액을 시간에 따라 샘플링하고, 상기 시험실시예 1(1)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β-카로틴의 양을 분석하였다. 도6에서는, 수층 용액(□)은 명백하게 오일층 용액(○)처럼 용이하게 β-카로틴을 방출하지 않았다.
도6의 결과로부터, 단세포화된 식물의 유효 성분은 수층으로 존재할 때, 가령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을 화장품으로서 사용할 때, 사용할 때에 단세포화된 식물의 외부로 많이 방출되지 않지만, 그러나 수분이 증발하고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오일 부분 및 피부위의 오일 성분이 단세포화된 식물과 접촉하게 될 때, 가령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이 사용될 때 상당한 시간의 경과후에 다량의 유효 성분이 방출되게 하는 느린 방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느린 방출 효과는 β-카로틴처럼, 강한 산화 방지 작용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갖지만 세포 밖에서 불안정한 물질을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극히 유용하다.
(시험실시예 A4) 단세포화된 당근에서 히드록시 라디칼(OH·)의 제거 효과의 연구
참고실시예A에서 제조한 단세포화된 당근 현탁액 및 당근의 메탄올 추출물의 OH·제거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도7).
즉, OH·는 과산화수소(H2O2) 및 Fe2+에 의해 생성되고 OH·는 ESR 스핀 트래핑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특히, 50㎕의 1mM FeSO4수용액 및 20㎕의 디메틸피롤린-N-옥시드 10% 수용액을 75㎕의 10mg/l 샘플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75㎕의 과산화수소(1mM)를 가하고 혼합물을 30초동안 교반하였다. 75초후에 ESR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히드록시 라디칼( OH·)의 양을 초기 피크의 높이에 의해 비교하였다.
도7로부터, OH·제거효과를 다량으로 β-카로틴을 포함하는 당근의 메탄올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조차, 단세포화된 당근은 1중량%의 적은 농도에서 놀라운 OH·제거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OH·는 활성 효소 그룹중에서 가장 강한 반응성을 가지며, 예컨대 단백질 변형 또는 DNA 절단을 일으킨다. 따라서, OH·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면 피부 노화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부를 더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결과로부터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OH·제거를 위한 성분으로서 단세포화된 식물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노화 조절 효과를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시험실시예 B1)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안정성의 시험
(1) 상기 참고실시예B에서 제조한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동결건조 분말의 안정성을 실험 시작시에 알로에의 유효 성분의 상대 농도에서 연구하였다(도8).
도8은 도면의 우측에서 보여지는 조건하에서 상기 HPLC 에 의해 특정된 단세포화된 알로에에서 유효 성분의 상대농도의 시간에 따른 연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0℃:0℃, 광으로부터 차단;50℃:50℃, 광으로부터 차단;일광:일광).
이것과는 반대로, 도9는 알로에 추출물의 건조 제품(에탄올에 의해 3번 추출된 다음 진공 건조시킨 알로에)에 대한 시험과 동일 조건하에서 상기 단세포화된 알로에에서 관찰된 유효 성분의 안정성 연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 및 도9로부터 보면, 0℃에서 단세포화된 알로에 및 알로에 추출물에 대한 시험 성분 모두 시간에 따라 안정하였지만, 일광 및 50℃에서 알로에 추출물의 시험 성분은 시간에 따라 상당히 변하였다. 그러나, 단세포화된 알로에에서는 시험 성분 모두 모든 조건하에서 시간에 따라 안정하였다.
이것으로부터 단세포화된 알로에에서는 시간에 따른 유효 성분의 유효한 안정화 작용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유효성분의 농도는 상기 참고실시예 B와 동일한 방식으로 HPLC에 의해 분석되었다(동일한 조건 세트).
(시험실시예 B2) 단세포화된 알로에의 수분 잔류 효과의 연구
단세포화된 알로에(5중량% 수용액)의 수분 잔류 효과를 물과 알로에의 에탄올 추출물(5중량% 수용액)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이 수분 잔류 효과의 연구방법은 상기 시험실시예 A2에서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였다. 도10은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이 결과로부터, 알로에 추출물은 물과 관련하여 거의 어떤 수분 잔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단세포화된 알로에는 이것과 관련하여 상당한 수분 잔류 효과를 명백하게 보여준다는 것이 자명하다. 더욱이, 이 결과로부터 상기 시험실시예 A2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분 잔류 효과는 단세포화된 식물로서 알로에의 존재에 기초한 효과라는 것은 명백하다.
(시험실시예B3) 단세포화된 알로에에 의한 인간 피부 피브로블라스트의 증식 효과의 연구
일정한 수의 인간 피부 피브로블라스트를 세포 배양용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10% 태아소 혈청(FBS)을 함유하는 델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에 의해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0.5% FBS 함유 DMEM 배지로 대체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단세포화된 알로에(2.0 중량% 수용액) 또는 알로에의 에탄올 추출물(2.0 중량%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결후, 웰중의 DNA의 양은 특이적으로 티미딘과 결합하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는 Hoechest 33258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고(C.Labarca, K.Paigen, Analytical Biochemistry,102,344-352(1980)), 그 결과는 세포계수의 지표가 되었다.
시험 결과는 도11에서 보여진다. 도11에서는 수평축은 콘트롤에 대한 웰 당 DNA의 양의 상대치를 보여준다.
도11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은 피브로블라스트의 어떤 증식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단세포화된 알로에에서는 피브로블라스트의 명백한 증식 효과가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B4) 단세포화된 알로에에 의한 콜라겐 생성의 증진 효과의 연구
상기 시험실시예B3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정한 수의 인간 피부 피브로블라스트를 세포 배양용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10% 태아소 혈청(FBS)을 함유하는 델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에 의해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0.5% FBS 함유 DMEM 배지로 대체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 단세포화된 알로에(2.0 중량% 수용액) 또는 알로에의 에탄올 추출물(2.0 중량%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결후, 인간 피부 피브로블라스트에 의해 생성된 프로콜라겐 타입 I 카르복시 말단 프로펩티드(PIP)를 ELISA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단세포화된 알로에가 첨가되지 않은 샘플(콘트롤)의 DNA 당 PIP의 양을 100으로 할 때, 10-3중량% 농도의 단세포화된 알로에 첨가된 샘플의 PIP의 양을 측정하고, 콜라겐 생성의 증진율(%)로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12에서 보여진다. 도12에서는 수평축은 콜라겐 생성의 증진율(%)(=콘트롤과 비교한 PIP의 양(%))을 나타낸다.
도12로부터, 단세포화된 알로에에서 인간 피부 피브로블라스트의 콜라겐 생성의 증진 작용이 상당한 정도로 관찰되었다.
(시험실시예 C1) 단세포화된 프리지아 꽃의 수분 잔류 효과의 연구
단세포화된 프리지아 꽃(5 중량% 수용액)의 수분 잔류 효과를 물과 주요한 습윤제인 글리세린(5 중량% 수용액)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수분 잔류 효과의 연구 방법은 상기 시험실시예 A2에서 수행된 방법과 동일하다. 도13은 이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결과로부터 물과 관련하여 동일한 농도의 글리세린 수용액에서 동일한 수분 잔류 효과가 관찰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시험실시예 C2) 단세포화된 프리지아 꽃의 히드록시 라디칼(OH·) 제거 효과의 연구
참고실시예C에서 제조한 단세포화된 프리지아꽃에서 OH· 제거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도14).
OH·제거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기 시험실시예A4와 동일한 방식으로 ESR 스핀 트래핑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도14로부터 단세포화된 프리지아 꽃은 존재하는 양에 비례하여 OH· 제거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시험실시예 D1)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의 수분 잔류 효과의 연구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의 수분 잔류 효과를 정제된 물, 글리세롤, 및 붓꽃 지하경의 에탄올 추출물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즉, 정제된 물을 예외로 하고는, 5.0중량% 수용액을 제조하고 단세포화된 당근의 수분 잔류 효과 연구(시험실시예A2)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분 증발율 계수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1에서 보여진다.
[표 1]
샘플 수분 증발율 계수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 -0.0189
붓꽃 지하경의 에탄올추출물 -0.0249
정제된 물 -0.0254
글리세롤 -0.0230
표1의 결과로부터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의 수분 잔류 효과는 글리세롤의 것보다 더 우수하고 수분 잔류 효과가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으로부터 유도된다는 사실은 붓꽃 지하경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큰 수분 잔류 효과가 괸찰될 수 없다는 사실로부터 명백하다.
실시예 A1 내지 A3
하기 표2에서 보여지는 단세포화된 붓꽃 구근을 포함하는 제제의 화장수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먼저, 물을 실제 사용 시험, 광 안정성 시험, 및 수분 잔류 시험을 하였다(시험 방법, 시험결과 등은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표 2]
비교실시예 실시예
A1 A2 A3 A4 A5 A1 A2 A3
정제된 물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에탄올 5.0 5.0 5.0 5.0 5.0 5.0 5.0 5.0
글리세롤 1.0 1.0 1.0 1.0 1.0 1.0 1.0 1.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 0.1 0.1 0.1 0.1 0.1 0.1 0.1 0.1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롤 0.5 0.5 0.5 0.5 0.5 0.5 0.5 0.5
올레일 에테르(15mol) 0.5 0.5 0.5 0.5 0.5 0.5 0.5 0.5
메틸파라벤조에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 - - - - 1.0 3.0 5.0
당근의 에탄올 추출물 - 0.3 0.5 - - - - 5.0
β-카로틴 - - - 0.01 0.06 - -
실제 사용 시험
상기 제제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대해서 실제 사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상기 피부 적용 작용제의 적당량을 실제 사용할 때 피부 개선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각각 10명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여성 패널의 안면에 적용시켰다.
피부 개선 효과의 평가기준
EG:극히 양호(적어도 10명의 여성중 9명이 샘플을 양호하다고 평가)
G: 양호(10명의 여성중 7 내지 8명이 샘플을 양호하다고 평가)
SG:다소 양호(10명의 여성중 3 내지 6명이 샘플을 양호하다고 평가)
P: 열등함(10명의 여성중 2명이하가 샘플을 양호하다고 평가).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냈다.
[표 3]
비교실시예 실시예
A1 A2 A3 A4 A5 A1 A2 A3
피부 개선 효과 P P P P P G G EG
이러한 결과로부터 단세포화된 당근을 제제화함으로써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 피부 개선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교실시예, 즉, 당근의 어떤 메탄올 추출물 또는 β-카로틴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실시예 A1 뿐만아니라 다른 비교실시예에서도, 동일한 것중의 하나가 제제화되는 경우, 피부 개선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즉, 상기 실시예의 피부 개선 효과는 β-카로틴으로부터 유도되는 효과가 아니고, 단세포화된 식물의 제제화에 기인하는 효과인 것을 강하게 제안한다(가령 단일 세포 식물의 세포벽이 적당하다는 가능성 등).
광에 대한 안정성 시험
0℃에서 일광에 노출된 생성물은 투과광을 이용하여 SM 칼라 컴퓨터에 의해 헌터 칼라 차이(ΔE)에 대해서 측정되었고, 동시에 판단을 육안으로 수행하였다: ΔE(Lab) = [(ΔL)2+ (Δa)2+ (Δb)2]1/2
육안에 의한 판단의 기준
EG 내지 G : 문제없음(G 보다 EG에서 칼라 정도가 더 적게 희미해짐)
SG : 허용가능 범위내
P : 희미함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표 4]
1 일 3 일 6일 8일 특징
실시예 A3 0.28 G 1.00 G 1.31 SG 2.57 P 단세포화된 당근
비교실시예 A1 0.18 G 0.35 G 0.83 G 2.29 G 없음(콘트롤)
비교실시예 A5 0.38 G 1.84 G 7.54 P 4.73 P β-카로틴
이러한 결과로부터 단세포화된 당근이 제제화되는 실시예 A3에서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은 β-카로틴이 다른 형태로 제제화되는 비교실시예A5와 비교시 시간에 따라 β-카로틴 칼라의 희미해지는 정도가 더 적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것으로부터, 단세포화된 식물이 제제화되는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는, 시간에 따른 식물의 유효 성분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과는 단세포화된 당근의 제제화 양이 최대인 실시예A3에서 얻어진 것이며, 그래서 단세포화된 당근의 제제화 양이 더 적은 실시예A! 및 실시예A2에서는, 그 결과로서 광 및 열에 대해 불안정한 β-카로틴의 제제화 양이 더 적게 되고, 실시예A3 보다 나타나는 단세포화에 기인하는 희미해짐의 억제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온도 안정성 시험
0℃와 비교했을 때, 37℃ 및 50℃에서 8일간 샘플을 방치하는 경우 헌터 칼라 차이(ΔE)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육안으로 판단을 하였다.
육안에 의한 판단의 기준
G : 문제없음
SG : 허용가능한 범위내
P : 희미해짐
그 결과를 표5에 나타냈다.
[표 5]
37℃ 50℃ 특징
실시예 A8 1.01 G 1.03 G
비교실시예 A1 7.54 G 4.96 G 뿌연 백색이 되어 식별곤란
비교실시예 A5 5.55 P 8.24 P
이러한 결과로부터, 50℃의 심한 조건하에서 조차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거의 어떤 칼라의 희미해짐을 관찰할 수 없었다.
제제화된 단세포화된 당근의 양이 더 적은 실시예A1 및 실시예A2에서는, 광 안정성의 상기 시험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이유 때문에 실시예A3의 것 보다 더 큰 온도 안정성이 관찰될 수 있다.
수분 잔류 시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수분 잔류는 상기 단세포화된 식물의 수분 잔류 시험 실시예A1, 비교실시예A1, 비교실시예A5와 동일한 시험 시스템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그 결과는 도15에서 보여진다.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우수한 수분 잔류 효과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실시예A1 보다 제제화된 단세포화된 당근의 더 많은 양을 갖는 실시예A2 및 실시예A3에서, 실시예A1 보다 더 큰 수분 잔류 효과가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의 다양한 제제의 성분들의 실례가 기술된다. 상기 실시예 A1 내지 A3와 동일한 시험이 제제에 대해 수행되었고, 모든 제제가 이용가능성, 광에 대한 안정성, 습도에 대한 안정성, 및 수분 잔류에 있어서 우수하였다.
실시예 A4 : 반투명 화장수
중량%
에탄올 8.0
폴리에스테르 글리콜 1500 2.0
글리세롤 1.0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1
수산화칼륨 0.1
L-알기닌 0.05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1.0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0.1
단세포화된 당근(동결 건조된 제품) 3.0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반투명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A5 : 에멀션
중량%
카르복시비닐중합체 0.05
수산화칼륨 0.3
스테아르산 1.5
세틸 알코올 0.5
스콸란 5.0
밀랍 1.0
폴리옥시에틸렌(10mol)모노올레산 에스테르 1.0
PCA-Na 0.05
L-알기닌 0.1
글리세롤 3.0
디프로필렌 글리콜 3.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5.0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상기 수층 성분과 오일층 성분을 혼합하고 유화시키고 그 다음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에멀션을 얻었다.
실시예 A6 : 화장수
중량%
글리세롤 5.0
시트르산 0.03
시트르산 나트륨 0.05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0.1
에탄올(95%) 10.0
POE (15 mol) 올레일 에스테르 1.0
D-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0
UV 흡수제 0.1
향수 0.1
방부제 0.1
칼라 충분한 양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에탄올(95%), POE(15mol)올레일 에스테르, 향료, 및 방부제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서로 용해시킨 다음,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유사하게 실온에서 글리세린,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D-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 UV 흡수제, 색깔, 정제된 물을 혼합 및 용해시켜서 원하는 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A7 : W/O 타입 크림
중량%
글리세롤 5.0
폴리에틸렌글리콜(M.W. 400) 2.0
글리시르레틴산 모노암모늄염 0.1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0.1
N-아세틸-D-글루코사민 10.0
세타놀 4.0
스콸란 5.0
스테아르산 1.0
밀랍 1.0
바셀린 1.0
POE (25 ml) 세틸 에테르 2.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5
방부제 0.1
향수 0.15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N-아세틸-D-글루코사민, 세타놀, 스콸란, 스테아르산, 밀랍, 바셀린, POE(25mol)세틸 에테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방부제, 및 향료를 서로 혼합 및 용해시킨 후, 유사하게 혼합 및 용해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시르레틴산 모노암모늄염, 단세포화된 당근 및 정제된 물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유화시켰다. 유화된 입자를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시킨 다음 혼합물을 열교환기에 의해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W/O 타입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A8 : 팩
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10.0
폴리에틸렌 글리콜(MW 400) 0.4
글리세롤 3.0
에탄올(95%) 8.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0.1
방부제 0.1
향수 0.1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에탄올, 단세포화된 당근, 방부제, 및 향료를 서로 혼합 및 용해시킨 다음, 80℃에서 혼합 및 용해시킨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향료속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팩을 얻었다.
실시예 A9 : 막대모양의 립스틱
중량%
비버향 오일 20.0
세틸 알코올 20.0
밀랍 5.0
칸델릴라 왁스 30.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2.0
스콸란 13.0
브라질 밀랍야자 왁스 5.0
색소 5.0
향수 충분한 양
제조 방법
상기 성분을 80℃에서 혼합 및 용해시키고, 몰드속에 붓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그 결과를 취해서 원하는 막대 모양의 립스틱을 얻었다.
실시예 A10 : 헤어린스
중량%
염소화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3.0
세틸 알코올 1.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2.0
방부제 0.1
글리세롤 5.0
향수 0.1
칼라 충분량
POE (8mol)스테아릴 에테르 0.6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상기 성분을 80℃에서 혼합 및 용해시킨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헤어 린스를 얻었다.
실시예 A11 : 헤어 토닉
중량%
에탄올(95%) 50.0
글리세롤 1.0
POE (80mol) 수소화 비버향 오일 에테르 1.0
향수 0.5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0.005
히노키 오일 0.005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에탄올, POE(60mol)수소화 비버향 오일 에테르, 향료, 단세포화된 당근, 및 히노키 오일을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녹인 후, 여기에 글리세롤과 정제된 물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원하는 헤어 토닉을 얻었다.
실시예 A12 : 분말성 파운데이션
중량%
세리시트 47.28
활석 15.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재품) 15.0
이산화티탄 6.5
산화철 3.5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콸란 6.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1.0
방부제 0.5
산화방지제 0.02
향수 0.2
제조 방법
분말성 파운데이션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시예 A13 : 막대 아이섀도
중량%
프루시안 블루 12.0
활석 4.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5.0
진주 분말 17.0
브라질 밀랍야자 왁스 10.0
고체 파라핀 5.0
라놀린 유도체 5.0
스콸란 21.0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20.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에스테르 1.0
향수 충분량
제조 방법
이 막대 아이섀도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시예 A14 : 세안 크림
중량%
세타놀 2.0
밀랍 2.0
스테아르산 3.0
바셀린 8.0
스콸란 37.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0
POE(20mol)소르비탄 라우르산 에스테르 2.5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2.5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0.2
글리세롤 2.0
프로필렌글리콜 5.0
정제된 물 나머지
수산화칼륨 0.1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5.0
제조 방법
세타놀, 밀랍, 스테아르산, 바셀린, 스콸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POE(20mol)소르비탄 라우르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파라벤조에이트, 및 향료 및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정제된 물, 수산화칼륨, 단세포화된 당근을 각기 70℃로 가열하고 용융시킨 다음, 전자의 오일층 성분을 후자의 수층성분에 첨가하고 두가지를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후, 결과물을 열교환기에 의해 30℃로 냉각시켰다. 이것을 용기속에 채워서 원하는 세안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A15 : 칼라민 로션
중량%
칼라민(Calamine) 1.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1.0
밴토나이트 0.2
페놀 충분량
글리세롤 4.0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칼라민 로션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시예 A16 : 고체 파우더
중량%
활석 87.9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10.0
액체 파라핀 2.0
향수 0.1
제조 방법
고체 파우더를 통상의 방법에 의헤 제조했다.
실시예 A17 : 루즈
중량%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5.0
활석 80.0
스테아르산 아연 5.0
라이스 전분 10.0
색소 충분량
향수 충분량
방부제 충분량
제조 방법
이 루즈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시예 A18 : 아이라이너
중량%
산화철(흑색) 11.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5.0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에멀션 43.0
글리세롤 5.0
POE(20mol)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1.0
카르복시에틸렌메틸셀룰로스(10% 수용액) 15.0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레이트 1.0
정제된 물 19.0
향수 충분량
방부제 충분량
제조 방법
이 아이라이너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시예 A19 : 셰이브 후 로션
중량%
에탄올(95%) 25.0
소르비톨 2.0
헥사클로로펜 0.1
멘톨 0.3
아미노벤조산 0.2
시트르산 0.1
향수 충분량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0.1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이 셰이브 후 로션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시예 A20 : 미용액(Beautify Liquid)
중량%
글리세롤 8.0
디프로필렌글리콜 5.0
히알루론산 0.1
에탄올 5.0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15
수산화칼륨 0.006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0.02
우로칸산 0.1
판토테닐에틸에테르 0.05
향수 0.01
POE(20mol)옥틸도데칸올 0.3
메틸파라벤조에이트 0.1
트리소듐 에데테이트 0.01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1.0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이 미용액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시예 A21 : 에멀션
중량%
스콸란 5.0
바셀린 2.0
밀랍 0.5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일 에스테르 0.8
20(EO)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1.2
향수 0.5
에틸파라벤조에이트 충분량
비타민 E 아세테이트 충분량
프로필렌 글리콜 5.0
히알루론산 0.5
에탄올 5.0
카르복시비닐 중합체(1.0중량% 수용액) 20.0
수산화칼륨 0.1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1.0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에멀션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실시예 A22 : 모발용 산성 헤어 염료
중량%
블랙 No. 401 0.2
자색 No. 401 0.3
황색 No. 4 0.1
벤질 알코올 5.0
크산 검 1.0
시트르산 0.5
트리소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충분량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1.0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벤질 알코올을 첨가한 다음, 크산 검, 시트르산, 트리소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및 단세포화된 당근을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점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점성 용액에 블랙 No. 401, 자색 No.401, 및 황색 No.4를 가하였다. 이것을 교반하면서 균질적으로 혼합하여 원하는 헤어 산성 헤어 염료를 얻었다.
실시예 A23 : 린스-샴푸
중량%
소듐 라우릴폴리옥시에틸렌(3mol) 황산에스테르 9.0
소듐 라우릴 황산 에스테르 4.0
코코넛 오일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4.0
글리세롤 1.0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 제품) 0.2
락트산 0.5
향수 충분량
칼라 충분량
트리소듐 에틸렌 아미드 테트라아세테이트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단세포화된 당근, 락트산, 향수, 칼라, 및 트리소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를 점차적으로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혼합한 후,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소듐 라우릴폴리옥시에틸렌(3mol)황산 에스테르, 소듐 라우릴 황산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및 글리세롤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30℃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린스 샴푸를 얻었다.
실시예 A24 : 바디 샴푸
중량%
코코넛 오일 10.0
비프 탤로우 5.0
라우르산 5.0
미리스트산 4.0
메틸폴리실록산 0.5
프로필렌 글리콜 10.0
1,3-부틸렌 글리콜 5.0
아세트산-디-α-토코페롤 0.05
수산화칼륨 5.0
메틸 셀룰로스 0.5
트리소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0.1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제품) 0.5
인산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코코넛 오일, 비프 탤로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메틸 폴리실록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아세트산-디-α-토코페롤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수산화칼륨, 그 다음 메틸셀룰로스, 트리소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단세포화된 당근, 인산, 및 향수가 용해된 정제된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두가지를 혼합하여 원하는 바디 샴푸를 얻었다.
실시예 A25 : 바디 린스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15.0
POP(9mol)디글리세릴 에테르 15.0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5
크산 검 0.5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 0.1
메틸 폴리실록산 5.0
향수 충분량
단세포화된 당근(동결건조제품) 0.6
락트산 0.3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1,3-부틸렌글리콜, POP(9mol)디글리세릴 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크산 검,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를 용해시켰다. 여기에 메틸 폴리실록산 및 향수를 가하였다. 이것을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그 다음 단세포화된 당근 및 락트산을 가하여 원하는 바디 린스를 얻었다.
실시예 B1 : 크림
중량%
스테아르산 5.0
스테아릴 알코올 4.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8.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3.0
프로필렌글리콜 10.0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0.5
수산화칼륨 0.2
아황산수소 나트륨 0.2
방부제 충분량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프로필렌글리콜, 단세포화된 알로에, 및 수산화칼륨을 가하고, 용해시켰다. 이것을 가열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 및 가열용융시키고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상기 수층에 오일층을 천천히 가하였다. 전체양을 첨가한 후 일정 시간 동안 혼합물을 70℃에서 유지하여 반응이 일어나게 하였다. 다음에는,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균질적으로 유화시켰다. 이것을 강하게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B2 : 크림
중량%
스테아르산 2.0
스테아릴 알코올 7.0
수소화 라놀린 2.0
스콸란 5.0
2-옥틸도데실 알코올 6.0
폴리옥시에틸렌(25mol)세틸 알코올 에테르 3.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2.0
프로필렌글리콜 5.0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1.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고 이것을 가열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 및 가열용융시키고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상기 수층에 오일층을 가하고, 예비 에멀션화를 수행한 다음 그 결과물을 호모믹서로 균질적으로 유화시켰다. 이것을 강하게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B3 : 크림
중량%
고체 파라핀 5.0
밀랍 10.0
바셀린 15.0
액체 파라핀 41.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2.0
폴리옥시에틸렌(20mol)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 2.0
비누 파우더 0.1
붕사 0.2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1.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비누 파우더와 붕산 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그것을 녹이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70℃에서 용융시켰다(오일층). 교반하면서 오일층을 수층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반응을 일으켰다. 반응 종결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균질적으로 유화시킨 다음 교반하면서 냉각시켜서 원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B4 : 에멀션
중량%
스테아르산 2.5
세틸 알코올 1.5
바셀린 5.0
액체 파라핀 10.0
폴리옥시에틸렌(10 mol)모노올레산 에스테르 2.0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3.0
트리에탄올 아민 1.0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상표명:
Carbopol 941, B.F.Goodrich에 의해 제조) 0.05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0.5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를 소량의 정제된 물에 녹였다(층 A). 남아 있는 정제된 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녹이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다른 성분들을 혼합하고 가열 용융시킨 다음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오일층을 수층에 첨가하고 예비 에멀션화를 수행한 다음, 층 A를 첨가하고, 균질적인 유화를 위해 호모믹서를 이용하였다. 유화후, 혼합물을 강하게 교반하여 원하는 에멀션을 얻었다.
실시예 B5 : 에멀션
중량%
미소납 1.0
밀랍 2.0
라놀린 20.0
액체 파라핀 10.0
스콸란 5.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에스테르 4.0
폴리옥시에틸렌(20mol)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1.0
프로필렌글리콜 7.0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10.0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가열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가열 용융시키고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교반하면서 오일층을 수층에 점차적으로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균질적으로 유화시켰다. 유화시킨 후, 강하게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에멀션을 얻었다.
실시예 B6 : 겔
중량%
95% 에틸 알코올 10.0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폴리옥시에틸렌(50mol)올레일알코올 에스테르 2.0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상표명:Carbopol 940,
G.F.Goodrich에 의해 제조) 1.0
수산화칼륨 0.15
L-아르기닌 0.1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5.0
소듐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술포네이트 0.05
3-소듐-2-하이드로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0.05
메틸파라벤조에이트 0.2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Carbopol 940을 균질적으로 녹였다(수층). 한편, 단세포화된 알로에, 폴리옥시에틸렌(50mol)올레일 알코올 에테르를 95% 에탄올에 녹이고 수층에 첨가하였다. 다음에는, 다른 성분들을 수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산화칼륨 및 L-아르기닌에 의해 중화시키고 두껍게 하여 원하는 겔을 얻었다.
실시예 B7 : 미용액
중량%
(층 A)
95% 에틸 알코올 10.0
폴리옥시에틸렌(20mol)옥틸도데칸올 1.0
판토테닐에틸 에테르 0.1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2.0
메틸파라벤조에이트 0.15
(층 B)
수산화칼륨 0.1
(층 C)
글리세롤 5.0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상표명:Carbopol 940,
G.F.Goodrich에 의해 제조) 0.2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층 A 및 층 C를 균질적으로 용해시키고 층 A를 층 C에 첨가하여 그것을 용해시켰다. 다음에는, 층 B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용기내에 채웠다.
실시예 B8 : 팩
중량%
(층 A)
디프로필렌글리콜 5.0
폴리옥시에틸렌(60mol)수소화 비버향 오일 5.0
(층 B)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 건조 제품) 0.1
올리브유 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2
향수 0.2
(층 C)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폴리비닐 알코올(비누화 90, 중합도 2000) 13.0
에탄올 7.0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층 A, 층 B, 및 층 C를 모두 균질적으로 용해시킨 다음, 층 B를 층 A에 가하여 그것을 용해시켰다. 다음에는, 이것을 층 C에 첨가한 다음 채워서 원하는 팩을 얻었다.
실시예 B9 : 고체 파운데이션
중량%
활석 43.1
카올린 15.0
세리시트 10.0
백색아연 7.0
이산화티탄 3.8
황색 산화철 2.9
흑색 산화철 0.2
스콸란 8.0
이소스테아르산 4.0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3.0
이소세틸 옥타네이트 2.0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0.1
방부제 충분량
향수 충분량
제조 방법
활석으로부터 흑색 산화철까지의 분말 성분을 블렌더에 의해 완전히 혼합한 다음, 스콸란 내지 이소세틸 옥타네이트, 단세포화된 알로에, 방부제, 향수의 오일 성분을 첨가하고 잘 반죽하였다. 결과적인 혼합물을 몰드속에 채워서 원하는 고체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시예 B10: 고체 파운데이션(크림 타입)
중량%
(분말 성분)
이산화티탄 10.03
세리시트 5.4
카올린 3.0
황색 산화철 0.8
벤가라 0.3
흑색 산화철 0.2
(오일층)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1.5
액체 파라핀 4.5
폴리옥시에틸렌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 4.0
(수층)
정제된 물 50.0
1,3-부틸렌글리콜 4.5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1.5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에스테르 3.0
방부제 충분량
향수 충분량
제조 방법
수층을 가열 및 교반하고, 완전히 혼합 및 분쇄된 분말 성분을 여기에 첨가하고, 두가지를 호모믹서로 가공하였다. 가열 및 혼합된 오일층을 이것에 첨가하고 결과물을 호모믹서로 가공한 다음, 교반하면서 향수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크림 타입 고체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시예 C1: 크림
중량%
스테아르산 5.0
스테아릴 알코올 4.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8.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3.0
프로필렌 글리콜 10.0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동결건조제품) 0.1
수산화칼륨 0.2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방부제 충분량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프로필렌 글리콜,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 및 수산화칼륨을 정제된 물에 가하고 용해시키고, 가열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 및 가열 용융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오일층을 상기 수층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전체양의 첨가가 종결된 후, 혼합물을 70℃에서 잠시동안 유지하여 반응을 일으켰다. 다음에는,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균질적으로 유화시켜서 강하게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C2: 크림
중량%
스테아르산 2.0
스테아릴 알코올 7.0
수화된 라놀린 2.0
스콸란 5.0
2-옥틸도데실 알코올 6.0
폴리옥시에틸렌(25mol)세틸 알코올 에테르 3.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2.0
프로필렌글리콜 5.0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동결건조제품) 2.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프로필렌 글리콜을 정제된 물에 가하고, 가열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 및 가열 용융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오일층을 상기 수층에 점차적으로 첨가하고, 예비 에멀션화를 수행한 다음, 균질적인 에멀션화를 위해 호모믹서를 사용하였다. 다음에는, 이것을 강하게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C3: 크림
중량%
고체 파라핀 5.0
밀랍 10.0
바셀린 15.0
액체 파라핀 41.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2.0
폴리옥시에틸렌(20mol)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 2.0
비누 파우더 0.1
붕산나트륨 0.2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동결건조제품) 2.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비누 파우더 및 붕산나트륨을 정제된 물에 가하고 용해시키고, 가열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 및 가열 용융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교반하면서 오일층을 상기 수층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반응을 일으켰다. 반응 종결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균질적으로 유화시키고 강하게 교반하여 원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C4: 에멀션
중량%
스테아르산 2.5
세틸 알코올 1.5
바셀린 5.0
액체 파라핀 10.0
폴리옥시에틸렌(10mol)모노올레산 에스테르 2.0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3.0
트리에탄올 아민 1.0
카르복실 비닐 중합체(상표명:Carbopol 941,
B.F.Goodrich 에 의해 제조) 0.05
단세포화된 알로에(동결건조제품) 0.1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를 소량의 정제된 물에 녹였다(층 A). 남아 있는 정제된 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녹이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다른 성분들을 혼합하고 가열 용융시킨 다음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오일층을 수층에 첨가하고 예비 에멀션화를 수행한 다음, 층 A를 첨가하고, 균질적인 유화를 위해 호모믹서를 이용하였다. 유화후, 혼합물을 강하게 교반하여 원하는 에멀션을 얻었다.
실시예 C5: 에멀션
중량%
미소납 1.0
밀랍 2.0
라놀린 20.0
액체 파라핀 10.0
스콸란 5.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에스테르 4.0
폴리옥시에틸렌(20 mol)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1.0
프로필렌글리콜 7.0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동결건조제품) 5.0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에틸파라벤조에이트 0.3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프로필렌 글리콜을 정제된 물에 가하고, 가열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수층). 이것과는 별도로, 다른 성분을 혼합 및 가열 용융하고 70℃에서 유지하였다(오일층). 오일층을 상기 수층에 점차적으로 첨가하고, 예비 에멀션화를 수행한 다음, 균질적인 에멀션화를 위해 호모믹서를 사용하였다. 다음에는, 이것을 강하게 교반하면서 30℃로 냉각시켜서 원하는 에멀션을 얻었다.
실시예 C6: 겔
중량%
95% 에틸 알코올 10.0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폴리옥시에틸렌(50mol)올레일
알코올 에스테르 2.0
카르복시 비닐 중합체(상표명:Carbopol 940,
G.F.Goodrich 에 의해 제조) 1.0
수산화칼륨 0.15
L-아르기닌 0.1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동결건조제품) 7.0
소듐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술포네이트 0.05
3-소듐-2-히드로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0.05
메틸파라벤조에이트 0.2
향수 충분량
정제된 물 나머지
제조 방법
정제된 물에 Carbopol 940을 균질적으로 녹였다(수층). 한편, 단세포화된 알로에, 폴리옥시에틸렌(50mol)올레일 알코올 에테르를 95% 에탄올에 녹이고 수층에 첨가하였다. 다음에는, 다른 성분들을 수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산화칼륨 및 L-아르기닌에 의해 중화시키고 두껍게 하여 원하는 겔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의 추출물 등에서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단세포화된 식물의 특징을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에서 최대로 나타낼 수 있는 단세포화된 식물이 제제화된 화장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더욱이, 단세포화된 식물의 의약품으로서의 우수한 특성을 이용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아닌 다른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6)

  1. 단세포화된 식물을 포함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세포화된 식물이 단세포화된 당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세포화된 식물이 단세포화된 알로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세포화된 식물이 단세포화된 프리지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세포화된 식물이 단세포화된 붓꽃 지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피부 처리 조성물.
KR1019970028541A 1996-06-28 1997-06-28 외부피부처리조성물 KR100504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857896 1996-06-28
JP96-188578 1996-06-28
JP97-95297 1997-03-28
JP09095297A JP3142245B2 (ja) 1996-06-28 1997-03-28 皮膚外用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285A true KR19980079285A (ko) 1998-11-25
KR100504993B1 KR100504993B1 (ko) 2005-12-09

Family

ID=2643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541A KR100504993B1 (ko) 1996-06-28 1997-06-28 외부피부처리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19962B1 (ko)
EP (1) EP0815838B1 (ko)
JP (1) JP3142245B2 (ko)
KR (1) KR100504993B1 (ko)
DE (1) DE69728818T2 (ko)
TW (2) TWI233807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547A (ko) * 1998-10-24 2000-05-25 손경식 싱글셀-식물로부터 회수한 유용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20010064389A (ko) * 1999-12-29 2001-07-09 서경배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2926A (ko) 2012-11-15 2014-05-27 (주)아모레퍼시픽 서방성 녹차 세포 전달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8510B1 (ko) * 2021-08-27 2022-01-07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붓꽃 구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022414A1 (ko) * 2021-08-18 2023-02-23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아이리스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1172B2 (ja) * 1997-04-25 2004-09-29 カネボウ株式会社 パック料
EP0945073A3 (en) * 1998-03-26 2001-01-17 Shiseido Company Limited Process of production of natural flavor or fragrance
US6261566B1 (en) 1999-10-22 2001-07-1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mulberry extract and retinoids
IT1318447B1 (it) * 2000-04-04 2003-08-25 Paolo Farina Formulazioni per la rimozione della placca dentale e del tartaro.
JP2002068995A (ja) * 2000-08-25 2002-03-08 Phoenix Seiyaku Kk 糖尿病治療剤
BR0115582A (pt) 2000-11-22 2004-01-06 Otsuka Pharma Co Ltd Composição de emulsão de o/a e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a mesma
US6939537B2 (en) * 2001-03-12 2005-09-06 San-Ei Kagaku Co., Ltd. Composition for blending to hair treating agents and a hair treating agent
US6835375B2 (en) * 2001-03-30 2004-12-28 San-Ei Kagaku Co., Ltd. Composition for blending to hair treating agent and a hair treating agent
US6770264B2 (en) 2001-11-13 2004-08-03 Noville, Inc. Chewing gum compositions comprising diglycerol
US6723304B2 (en) 2001-11-13 2004-04-20 Noville, Inc.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diglycerol
US20040031500A1 (en) * 2002-08-09 2004-02-19 Michael Reyzis Cuticle oil gel composi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dispensing same
US20040223942A1 (en) * 2003-03-06 2004-11-11 Kao Corporation Skin aging-preventing or improving agent
WO2004108096A1 (ja) * 2003-06-02 2004-12-16 Eau De Faveur Co., Ltd. 大豆を単細胞に分離して得られる粉末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ITMI20031313A1 (it) * 2003-06-27 2004-12-28 Indena Spa Associazioni di agenti vasoprotettori e formulazioni che li contengono.
US20050025737A1 (en) * 2003-07-30 2005-02-03 Sebagh Jean Louis Compositions containing melon extracts
CN100457194C (zh) * 2003-08-20 2009-02-04 美尼康株式会社 隐形眼镜用液体制剂
US20040180026A1 (en) * 2004-03-10 2004-09-16 Tammy Ha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7887851B2 (en) * 2004-06-07 2011-02-15 Kao Corporation Aromatase activator
JP4777645B2 (ja) * 2004-12-24 2011-09-21 花王株式会社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及びコラーゲン代謝賦活剤
US20080096783A1 (en) * 2006-10-20 2008-04-24 All-Wins Biotechnology Co., Ltd. Bamboo vinegar shampoo for pet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US8623335B2 (en) * 2007-09-10 2014-01-07 Tauna Ann Waddington Scar and rosacea and other skin care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US7939479B2 (en) * 2008-03-12 2011-05-10 Chandler Barry E Dry hand cleaner comprising corncob particles
US20100202995A1 (en) * 2009-02-09 2010-08-12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for lipophilic compounds,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US8597668B2 (en) * 2009-02-09 2013-12-03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for lipophilic compounds,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US8637489B2 (en) * 2009-02-09 2014-01-28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for lipophilic compounds,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US20100202988A1 (en) * 2009-02-09 2010-08-12 L'oreal Clear carrier compositions containing an alkoxylated monoacid and an alkyl monoamine and method of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using such compositions
US9879284B2 (en) * 2010-10-28 2018-01-30 Alfonso José GONZALEZ MARÍN Method for obtaining natural extracts, oleoresins, condiments, colorants, flavoring substances and aromas from aromatic plant substances, alfalfa, flowers with pigments, and vegetables
KR101855919B1 (ko) * 2011-06-16 2018-05-0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MY171285A (en) * 2011-08-05 2019-10-07 Stemtech Int In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ombinations of natural ingredients
US10898426B2 (en) * 2016-01-27 2021-01-26 Shiseido Company, Ltd.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external skin care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lpha-gel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WO2018081005A1 (en) * 2016-10-25 2018-05-0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mposition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gromwell roo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compositions
US11241374B2 (en) * 2018-06-28 2022-02-0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using light and glucosamine hydrochlori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9093C1 (de) * 1981-10-01 1988-05-05 Dr. Babor GmbH & Co, 5100 Aachen Kosmetisches Mittel
HU191489B (en) * 1983-10-12 1987-02-27 Bodnarne Lovasi,Beatrix,Hu Cosmetic containing living unicellular alga
JPS61254510A (ja) * 1985-05-02 1986-11-1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US4959214A (en) * 1985-06-28 1990-09-25 Carrington Laboratories Inc.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aloe products products produced thereby and compositions thereof
US4885157A (en) * 1987-02-13 1989-12-05 Fiaschetti Mary G Dermal cosmetic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for
DE4130324A1 (de) * 1991-09-12 1993-03-18 Gerhard Dr Weissflog Kosmetisches gesundheitspflegemittel
US5356811A (en) 1992-04-21 1994-10-18 Coats Billy C Method of processing stabilized aloe vera gel obtained from the whole aloe vera leaf
JP2914543B2 (ja) 1992-08-25 1999-07-05 宇部興産株式会社 ダイカストマシンのダイハイト調整方法
BR9406611A (pt) * 1993-02-16 1996-01-09 Novo Nordisk As Enzima demonstrando atividade pectine liase vetor de expressão recombinante célula processo para produzir uma enzima demonstrando atividade pectina liase e preparação de enzima
JPH07274977A (ja) * 1994-04-14 1995-10-24 Shikoku Sogo Kenkyusho:Kk 有用植物エキス抽出方法及び該抽出方法により得られた植物エキス並びに該植物エキスを含有有効成分とする皮膚改善用品
JP2709289B2 (ja) 1995-09-13 1998-02-04 有限会社▲高▼橋慧食品研究所 植物の完全単細胞化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547A (ko) * 1998-10-24 2000-05-25 손경식 싱글셀-식물로부터 회수한 유용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20010064389A (ko) * 1999-12-29 2001-07-09 서경배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2926A (ko) 2012-11-15 2014-05-27 (주)아모레퍼시픽 서방성 녹차 세포 전달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022414A1 (ko) * 2021-08-18 2023-02-23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아이리스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조성물
KR102348510B1 (ko) * 2021-08-27 2022-01-07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붓꽃 구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027274A1 (ko) * 2021-08-27 2023-03-02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붓꽃 구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993B1 (ko) 2005-12-09
JPH1072335A (ja) 1998-03-17
DE69728818T2 (de) 2005-03-31
TW200306211A (en) 2003-11-16
EP0815838A3 (en) 1999-11-10
US6419962B1 (en) 2002-07-16
EP0815838A2 (en) 1998-01-07
JP3142245B2 (ja) 2001-03-07
DE69728818D1 (de) 2004-06-03
TWI233807B (en) 2005-06-11
EP0815838B1 (en) 2004-04-28
TW575431B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993B1 (ko) 외부피부처리조성물
JP4644589B2 (ja) マイナスイオン水の製造方法、及び、マイナスイオン水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JP2003277223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弾力性維持化粧料。
JP349521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H11246347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2002193734A (ja) 外用組成物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2001278783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H0812561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3319870B2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浴用剤
JPH11246337A (ja) 抗老化剤
JP3839390B2 (ja) 化粧料
WO1998041183A1 (fr) Preparations dermatologiques embellissantes
JPH11106347A (ja) 免疫賦活剤
JP2007031316A (ja) 抗変異原性を利用した抗紫外線刺激剤
JPH1171295A (ja) 紫外線皮膚免疫機能低下防止用免疫賦活剤
JPH09249550A (ja) 皮膚外用剤
KR960004498B1 (ko) 풍년화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JP3611553B2 (ja) 皮膚外用剤
JPH0995436A (ja) 皮膚外用剤
JPH11246344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2002193820A (ja) 皮膚外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H11139952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11246343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413

Effective date: 20070822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