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942A -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942A
KR19980072942A KR1019970007973A KR19970007973A KR19980072942A KR 19980072942 A KR19980072942 A KR 19980072942A KR 1019970007973 A KR1019970007973 A KR 1019970007973A KR 19970007973 A KR19970007973 A KR 19970007973A KR 19980072942 A KR19980072942 A KR 1998007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
weight
water
silica glass
glass monoli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9900B1 (ko
Inventor
백영민
윤영식
김선욱
전명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900B1/ko
Priority to DE19810133A priority patent/DE19810133C2/de
Priority to FR9802900A priority patent/FR2760451B1/fr
Priority to RU98104702A priority patent/RU2141928C1/ru
Priority to US09/037,521 priority patent/US5938805A/en
Priority to GB9804999A priority patent/GB2323085B/en
Priority to JP10057901A priority patent/JP2902624B2/ja
Priority to CNB981078621A priority patent/CN1159266C/zh
Publication of KR1998007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6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sintering, e.g. by cold isostatic pressing of powders and subsequent sintering, by hot pressing of powders, by sintering slurries or dispersions not undergoing a liquid phase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14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gas- or vapour- phase reaction processes
    • C03B19/1484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or translating the article being formed
    • C03B19/1492Deposition substrates, e.g. tar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86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or translating the preforms being formed, e.g. lathes
    • C03B37/01493Deposition substrates, e.g. targets, mandrels, start rods or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6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to produce glass through wet rou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 실리카 함유 분말 100 중량부와 100 - 30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여 1차 솔을 만들고, 상기 솔의 pH를 9 - 11의 범위로 조절하여 속히 건조시키고 600℃ 이상에서 열처리한 다음, 이를 다시 100 - 200 중량부의 탈이온수와 혼합하여 2차 솔을 형성하고, 상기 솔을 금형에서 젤화시키고, 건조한 후 열처리 및 소결하여 고순도 실리카 유리 단일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1차 솔의 젤화를 거치지 않고 빠른 시간에 1차 솔을 건조시킴으로써 공정시간과 단계를 단축시킬 수 있고, 수용성 유기 결합제를 첨가함으로써 건조시 문제가 되는 균열 발생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솔-젤(sol-gel)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섬유 제조용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고밀도, 고순도의 실리카를 함유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glass monolith)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솔-젤 공법을 이용하여 유리 단일체를 제조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건조시 균열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상용화되지 못하였고, 실리콘 알콕사이드를 이용한 솔-젤법은 균일하며 투명한 유리체를 제조할 수는 있으나, 수축률이 매우 높아서( 60%) 광섬유 제조용 2차 석영관 같은 대형 유리관을 제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발연 실리카(fumed SiO2) 입자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료인 발연 실리카 분말을 1차로 솔(sol)로 분산시키고, 젤화, 건조 및 분말화한 후, 이를 열처리하고, 다시 물에 분산시켜 2차 솔을 형성하고, 이를 건조 및 소결시킴으로써 입자의 크기를 원 분말보다 크게하여 결과적으로 입자간 공극의 크기를 키워 균열이 없는 단일체를 만드는 제조방법이 시도 되었으나, 상기 기술된 공정만으로는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차 솔의 젤화 공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 대형 유리 단일체를 제조할 경우, 2차에 걸친 솔의 분산을 실시하더라도 건조시 균열이 발생하고, 1차 솔의 1차 젤화를 위해 장시간의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솔의 pH를 조절하여 젤화를 거치지 않고 매우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키므로 2차 솔 분산까지의 제조공정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말의 입자크기를 키워 입자간의 공극을 크게하여 건조시 모세관압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차 솔의 건조시 적당량의 수용성 유기화합물을 첨가하여 2차 젤의 건조시 발생하는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농도 실리카 함유 분말 100 중량부와 100 - 30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여 1차 솔을 만들고, 상기 솔의 pH를 9 - 11의 범위로 조절하여 속히 건조시키고 600℃ 이상에서 열처리한 다음, 이를 다시 100 - 200 중량부의 탈이온수와 혼합하여 2차 솔을 형성하고, 상기 솔을 금형에서 젤화시키고, 건조한 후 열처리 및 소결하여 고순도 실리카 유리 단일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솔-젤법(sol-gel method)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제조 공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 제조 공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리카 유리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농도의 실리카를 함유하는 미세 분말, 바람직하게는 사염화규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수득한 발연 실리카 분말(7 - 40 nm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을 물, 바람직하게는 증류된 탈이온수와 1:1 -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전단 믹서로 혼합한 후 볼밀을 이용하여 균일한 혼합상태가 된 1차 솔을 형성한다. 이후 형성된 1차 솔에 암모니아수 등을 적량 첨가하여 pH를 9 - 11 정도로 조정하여 젤화되지 않는 상태로 만든 후 전기 오븐에 넣어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건조하거나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 넣어 급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건조된 건조물을 고온(600 - 1200℃)에서 열처리하여 입자간의 응집에 의한 입자 성장을 시킨다. 그후 상기 성장된 입자들을 1차 솔의 형성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2차 분산시켜 2차 솔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2차 솔 형성시에 필요에 따라 수용성 유기 결합제(예: 폴리비닐알코올 등)를 첨가하여 건조시 발생될 수 있는 균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후 상기 2차 솔을 다시 볼밀을 이용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만들고 금형, 바람직하게는 젤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금형에 부어 젤화시킨다. 상기 솔을 금형에 붓기 전에 혼합물 주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하여 혼합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 젤화가 끝나면, 상기 습윤 젤을 금형에서 꺼내 건조시킨다. 이후 균열이 없이 건조된 젤을 저온 로(furnace)에 넣고 1100℃ 이하에서 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건조 젤 내의 수산기(OH)를 제거하고, 헬륨 가스를 이용하여 잔존 염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첨가되었던 결합제를 제거한다. 그후 수산기가 제거된 열처리된 건조 젤을 고온 로에 넣고 1100℃ 이상, 유리 용융점 이하에서 소결하여 유리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리카 유리 단일체 제조방법을 최상의 실시예(best mode)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실시예 1]
고농도의 실리카를 함유한 발연 실리카 분말(비표면 50 m2/g) 2200 g을 탈이온수 6600 g 및 28% 암모니아수 50 ml와 혼합하여 실리카 함량 25 중량%인 1차 솔을 제조한다. 이때 균질한 1차 솔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리카 재질의 직경이 10 mm인 볼 18 kg을 넣고, 90 rpm의 회전속도로 24 시간 동안 볼밀을 수행한다. 이어서 볼밀이 끝난 1차 솔을 120℃ 온도의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켜 수분을 증발제거한다. 그후 건조가 끝난 실리카를 분쇄한 후 20 메쉬 체(sieve)로 분급 후 11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다 (열처리로의 승온속도 : 300℃/hr). 이어서 상기 열처리된 분말을 물과 1:1.2 중량비로 혼합하여 15분간 블렌딩하고, 폴리비닐알코올을 약 20g 첨가한 후, 상기 볼밀 조건과 같은 조건 하에 2차 볼밀을 24 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때 2차 볼밀이 끝나기 20분 전에 플루오르화 암모늄 4.4 g을 첨가한다. 그후 상기 제조된 솔을 금형에 부어 48 시간 동안 젤화시킨다. 이때 상기 금형은 테플론 재질로 만들어져, 상, 하부 부분과 외부 튜브형 부분, 그리고 중심 막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형 내부의 성형가능크기는 내경 35 mm, 외경 71 mm, 길이 1.3 m이다. 이후 상기 겔화 후, 금형의 막대를 제거하고, 상대습도 80%의 상온에서 2 - 3일 건조 후 금형을 제거한다. 이어서 튜브 형 젤을 상대습도 80%의 상온에서 10일간 건조하고, 40℃에서 24시간, 60℃에서 24시간, 80℃에서 24시간 건조한다. 이후 수득된 건조 젤의 잔류 수분과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900℃에서 5시간 유지시킨다 (열처리로의 승온 속도 : 100℃/hr). 그후 열처리가 끝난 건조 젤을 헬륨, 염소 가스 분위기의 로에서 유리화시킨다(탈히드록실화는 600 - 1000℃에서 5시간, 유리화는 1400℃에서 1시간). 유리화 소결이 끝난 튜브는 내경 21 mm, 외경 41 mm, 길이 1 m의 크기로, 수축율은 약 25%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 제조방법은 2차에 걸친 솔 분산, 젤화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방법[도1 참조]에 비하여 1차 솔의 젤화를 거치지 않고 빠른 시간에 1차 솔을 건조시킴으로써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용성 유기 결합제를 첨가함으로써 건조시 문제가 되는 균열 발생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연 실리카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1차 솔을 제조시, 염기성 물질을 첨가하여 pH를 염기성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1차 젤화를 거치지 않고 매우 빠른 시간에 1차 솔을 건조시킴으로써 2차 솔 분산까지의 공정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원분말을 1차 솔화한 후 건조, 열처리하여 분말의 입자 크기를 키워 입자간 공극을 크게 함으로써 건조시 모세관압에 의해 발생되는 균열의 생성을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2차 젤의 건조시 적당량의 수용성 유기 결합제를 첨가함으로써 입자간의 공극 크기와 입자간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2차 젤의 건조시 발생될 수 있는 균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실리카 유리 단일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농도 실리카 함유 분말 100 중량부와 100 - 30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여 1차 솔을 만들고, 상기 솔의 pH를 9 - 11의 범위로 조절하여 속히 건조시키고 600℃ 이상에서 열처리한 다음, 이를 다시 100 - 200 중량부의 탈이온수와 혼합하여 2차 솔을 형성하고, 상기 솔을 금형에서 젤화시키고, 건조한 후 열처리 및 소결하여 고순도 실리카 유리 단일체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실리카 함유 분말은 사염화규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얻은 발연 실리카이고 물은 증류된 탈이온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유리 단일체는 튜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득된 2차 솔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2차 솔을 금형에 붓기 전에 혼합물 주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감압하여 혼합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KR1019970007973A 1997-03-10 1997-03-10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KR10022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973A KR100229900B1 (ko) 1997-03-10 1997-03-10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DE19810133A DE19810133C2 (de) 1997-03-10 1998-03-09 Kieselglasmonolith-Herstellungsverfahren unter Verwendung eines Sol-Gel-Prozesses
FR9802900A FR2760451B1 (fr) 1997-03-10 1998-03-10 Procede de fabrication d'un monolithe de verre de silice en utilisant un traitement de gel de solution
RU98104702A RU2141928C1 (ru) 1997-03-10 1998-03-10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онолитного кварцевого стек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золь-гель процесса
US09/037,521 US5938805A (en) 1997-03-10 1998-03-10 Silica glass monolith fabricating method using sol-gel process
GB9804999A GB2323085B (en) 1997-03-10 1998-03-10 Sol-gel process for silica monolith fabrication
JP10057901A JP2902624B2 (ja) 1997-03-10 1998-03-10 ゾル−ゲル法を用いたシリカガラス単一体の製造方法
CNB981078621A CN1159266C (zh) 1997-03-10 1998-03-10 用溶胶-凝胶法制作独石硅玻璃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973A KR100229900B1 (ko) 1997-03-10 1997-03-10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942A true KR19980072942A (ko) 1998-11-05
KR100229900B1 KR100229900B1 (ko) 1999-11-15

Family

ID=1949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973A KR100229900B1 (ko) 1997-03-10 1997-03-10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38805A (ko)
JP (1) JP2902624B2 (ko)
KR (1) KR100229900B1 (ko)
CN (1) CN1159266C (ko)
DE (1) DE19810133C2 (ko)
FR (1) FR2760451B1 (ko)
GB (1) GB2323085B (ko)
RU (1) RU2141928C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378B1 (ko) * 2001-09-11 2007-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투명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KR100722379B1 (ko) * 2001-09-11 2007-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투명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KR100770176B1 (ko) * 2001-09-11 2007-10-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투명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457B1 (ko) * 1997-10-02 1999-11-15 윤종용 실리카 글래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 글래스 제조방법
KR100419060B1 (ko) * 1999-12-24 2004-02-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졸-겔법을 이용한 허스롤용 실리카질 슬리브의 제조방법
KR100346189B1 (ko) * 1999-12-28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첨가제가 도핑된 고순도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US6598429B1 (en) 2000-11-17 2003-07-29 Beamtek, Inc. Method for fabricating gradient-index rods and rod arrays
US6457329B1 (en) * 2000-12-14 2002-10-01 Fitel Usa Corp. Process for fabricating sol-gel article involving low-shrinkage formulation
US20020157418A1 (en) * 2001-03-19 2002-10-31 Rahul Ganguli Proces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bubble defects in sol-gel silica glass
US20060270248A1 (en) * 2005-05-31 2006-11-30 Gould George L Solvent Management Methods for Gel Production
US9476123B2 (en) 2005-05-31 2016-10-25 Aspen Aerogels, Inc. Solvent management methods for gel production
EP1897860A1 (en) * 2006-09-07 2008-03-12 Degussa Novara Technology S.p.A. Sol-gel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9115A (en) * 1981-07-31 1983-12-06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Fabrication of sintered high-silica glasses
DE3390375T1 (de) * 1982-12-23 1985-02-07 Suwa Seikosha Co. Ltd., Tokio/Toky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iciumdioxidglas
JPS60127216A (ja) * 1983-12-10 1985-07-06 Nitto Chem Ind Co Ltd 低アルカリ低アルミナ含量の水性シリカゾルの製造法
US4605428A (en) * 1984-08-03 1986-08-12 At&T Bell Laboratories Sintered high-silica glass and articles comprising same
GB2165233B (en) * 1984-10-04 1988-03-09 Suwa Seikosha Kk Method of making a tubular silica glass member
GB2165534B (en) * 1984-10-05 1988-10-19 Suwa Seikosha Kk Method of preparing parent material for optical fibres
DE3635842A1 (de) * 1986-10-22 1988-04-28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s keramik oder glas
US5254508A (en) * 1991-12-12 1993-10-19 Yazaki Corporation Sol-gel process for forming a germania-doped silica glass rod
US5250096A (en) * 1992-04-07 1993-10-05 At&T Bell Laboratories Sol-gel method of making multicomponent glass
US5240488A (en) * 1992-08-14 1993-08-31 At&T Bell Laboratories Manufacture of vitreous silica product via a sol-gel process using a polymer additi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378B1 (ko) * 2001-09-11 2007-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투명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KR100722379B1 (ko) * 2001-09-11 2007-05-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투명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KR100770176B1 (ko) * 2001-09-11 2007-10-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투명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804999D0 (en) 1998-05-06
RU2141928C1 (ru) 1999-11-27
CN1199037A (zh) 1998-11-18
JPH10251026A (ja) 1998-09-22
JP2902624B2 (ja) 1999-06-07
GB2323085B (en) 2001-08-08
US5938805A (en) 1999-08-17
KR100229900B1 (ko) 1999-11-15
FR2760451A1 (fr) 1998-09-11
CN1159266C (zh) 2004-07-28
GB2323085A (en) 1998-09-16
DE19810133A1 (de) 1998-10-15
DE19810133C2 (de) 2001-05-03
FR2760451B1 (fr) 200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00B1 (ko)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KR100229884B1 (ko) 솔-젤법을 이용한 고순도 실리카 유리의 제조방법
KR100230457B1 (ko) 실리카 글래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 글래스 제조방법
EP1700829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lass-monoliths by means of the sol-gel process
RU99121190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варцевого стекла высокой чистоты с применением золь-гелевого процесса
KR100326174B1 (ko) 솔-젤 공법을 이용한 고순도 실리카 글래스 제조 방법
KR950008579B1 (ko) 하이-실리카 유리 제품의 제조방법
KR100346189B1 (ko) 첨가제가 도핑된 고순도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 방법
KR100337703B1 (ko) 졸-겔 공정용 실리카 글래스 조성물
KR100549422B1 (ko) 졸-겔 공정용 실리카 글래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방법
KR100258217B1 (ko)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JP4268489B2 (ja) 透明石英ガラス体の製造方法
JP3158523B2 (ja) オキシナイトライドガラスの製造方法
KR100243327B1 (ko) 졸-겔 공정용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방법
KR100549423B1 (ko) 졸-겔 공정용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방법
DE102005059291B4 (de) Verfahren für die Herstellung eines Quarzglas-Bauteils
KR19980072944A (ko) 솔-젤법을 이용한 실리카 유리 단일체의 제조방법
US20060081011A1 (en) Sol-Gel proc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crystal fiber using the same
JPH0234528A (ja) 石英ガラスの製造方法
KR20000060200A (ko) 졸-겔 공정용 실리카 글래스의 제조방법
JPS6217026A (ja) 石英系ガラスの製造方法
KR20010028001A (ko) 졸-겔 공정용 실리카 글래스 조성물
JPS615924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