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641A -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641A
KR19980072641A KR1019970007550A KR19970007550A KR19980072641A KR 19980072641 A KR19980072641 A KR 19980072641A KR 1019970007550 A KR1019970007550 A KR 1019970007550A KR 19970007550 A KR19970007550 A KR 19970007550A KR 19980072641 A KR19980072641 A KR 1998007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ear door
spare tire
opening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0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641A/ko
Publication of KR1998007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641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차체부에 후면도어가 설치되고 후면도어 외측에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자동차에서,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의 이동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생산비용이 저감되도록 하고 후면도어부의 구조가 단순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어 후면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체 후면부 일측에 소정폭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스페어타이어를 설치할수 있도록 되는 캐리어의 연장 끝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 외측면 하단부쪽에 고무재질에 의해 일정반경을 갖고 만곡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쪽이 소폭 확개되게 형성되며, 내주면 중간부에 영구자석(62)이 동일 곡면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캐리어(60)을 후면도어쪽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캐리어(60)의 일측 하단부가 개구된 잠금수단(61)에 탄력적으로 삽입되게 되며, 이때 캐리어(60)가 잠금수단(61)을 확개시키며 삽입된 후이므로 잠금수단(61)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게 되고, 영구자석(62)의 자력에 의해 캐리어(60)의 지지력이 상승되고,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이 흡수되도록 하는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본 발명은 후면차체부에 후면도어가 설치되고 후면도어 외측에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자동차에서,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의 이동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캐리어 이동제어구조를 개선하여 생산비용이 저감되도록 하고 후면도어부의 구조가 단순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되어 후면도어(2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체(10) 후면부 일측에 소정폭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스페어타이어(도시생략)를 설치할수 있도록 되는 캐리어(60)의 연장 끝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면도어(20)의 외부면이 취부되고 잠금수단(50)의 상부쪽인 후면도어(20)의 중간부에 캐리어(60)의 후면도어(20)쪽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스토퍼(40)가 돌출되게 취부되어 있다.
여기에서, 잠금수단(50)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레버(51)에 의해 회동되는 걸림쇠가 캐리어(60)에 걸리거나 분리되도록 되고, 레버의 조작에 의해 캐리어(60)가 고정되거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스토퍼(4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원형단면의 고무부재 중간에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고무부가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후면도어(20)에 취부되며, 캐리어(60)가 고무부에 먼저 접촉되도록 하므로 후면도어(20) 및 캐리어(60)의 도장손상을 방지하고 충격과 소음등을 흡수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설치구조는, 캐리어(60)의 절곡부에 스페어타이어를 브라켓에 의해 취부하며, 보통 캐리어(60)와 함께 스페어타이어를 후면도어(20)에 밀착시키고 잠금수단(50)에 의해 후면도어(20)쪽에 밀착지지 해두므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이때 스토퍼(40)는 고무가 캐리어(6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캐리어(60)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주행시 진동을 흡수하므로 소음을 방지하고 도장이 소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0은 범퍼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설치구조는, 잠금수단(50)과 스토퍼(40)가 각기 별도로 제작되어 각기 다른 공정에서 후면도어(20)의 중간부와 하단부에 취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상승되고 조립성이 낮으며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캐리어의 이동을 제한하고 완충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스토퍼겸용 잠금수단을 장치하여, 생산비용이 저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후면도어의 스토퍼와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후면도어에 적용된 잠금장치의 로크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 자동차 후면도어에 적용된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를 나타나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캐리어 61 : 스토퍼
62 : 영구자석 63 : 잠금레버
먼저, 본발명의 자동차도 개구부가 형성되어 후면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체 후면부 일측에 소정폭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스페어타이어를 설치할수 있도록 되는 캐리어의 연장 끝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단, 본발명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후면도어 외측면 하단부쪽에 스페어타이어가 설치되도록 하는 캐리어(60)의 일측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스토퍼겸 잠금수단(61)이 취부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잠금수단(61)은 고무재질에 의해 일정반경을 갖고 만곡되게 형성되고, 개구부쪽이 소폭 확개되게 형성되며, 내주면 중간부에 영구자석(62)이 동일 곡면상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스페어타이어가 취부된 캐리어(60)을 후면도어쪽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캐리어(60)의 일측 하단부가 후면도어에 접촉되기 직전에 먼저 개구된 잠금수단(61)에 탄력적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캐리어(60)가 잠금수단(61)을 확개시키며 삽입된 후이므로 잠금수단(61)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게 되며, 영구자석(62)의 자력에 의해 캐리어(60)의 지지력이 상승되게 된다. 또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발생을 억제하고 캐리어(60) 외피를 보호한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은, 후면도어에 캐리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생산비용이 저감되고 구조가 간단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개구부가 형성되어 후면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체 후면부 일측에 소정폭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스페어타이어를 설치할수 있도록 되는 캐리어의 연장 끝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 외측면 하단부쪽에 고무재질에 의해 일정반경을 갖고 만곡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쪽이 소폭 확개되게 형성되며, 내주면 중간부에 영구자석(62)이 동일 곡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KR1019970007550A 1997-03-07 1997-03-07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KR19980072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550A KR19980072641A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550A KR19980072641A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641A true KR19980072641A (ko) 1998-11-05

Family

ID=6598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550A KR19980072641A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6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KR101393568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KR19980072641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로크구조
JP3089163B2 (ja) ドアチェックリンク機構のカバー構造
KR100348044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외측 손잡이구조
KR100527138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100560246B1 (ko) 연료주입도어 장착구조
KR100320808B1 (ko) 자동차의 여닫이형 도어용 고정장치
KR200153171Y1 (ko) 자동차 글루브박스의 완충구조
KR100471313B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100526875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
KR0122766Y1 (ko) 승용차의 트렁크선반 진동방지장치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JP3339232B2 (ja) 自動車用リアパーセルトリム
KR100579971B1 (ko) 자동차용 플립업 글래스의 리어 와이퍼 마운팅 구조
KR19990024591U (ko) 차량의 스트라이커
KR19980068125U (ko) 충격흡수용 도어 스트라이커
KR200327508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구조
KR200252014Y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완충클립
KR19990034956A (ko)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0112754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가이드 장치(A guide device of car-glove-box)
KR19980035756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JPH0123342B2 (ko)
KR19980085508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