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721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721A
KR19980070721A KR1019980001962A KR19980001962A KR19980070721A KR 19980070721 A KR19980070721 A KR 19980070721A KR 1019980001962 A KR1019980001962 A KR 1019980001962A KR 19980001962 A KR19980001962 A KR 19980001962A KR 19980070721 A KR19980070721 A KR 1998007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recording
storage medium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889B1 (ko
Inventor
가나타니마사카즈
나카무라타다미
구리타카즈히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7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6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자기 광 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 매체용의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장치 본체와 뚜껑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는 기록 매체를 삽입 및/방출하는데 사용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기록 매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재생 유니트를 구비한다. 상기 뚜껑은 개구부를 개폐한다. 상기 뚜껑은 장치 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뚜껑은 그 측면에 경사부를 가지며, 이 경사부는 상기 기억 매체가 장치본체내로 삽입될 때 기록 매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본 발명은 기억 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를 이용한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뚜껑을 갖는 기억 매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디스크 카트리지를 이용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된 전자 기기는 기억 매체로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1에 도시된 전자 기기는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이며 장방형의 박스형 케이싱(1)과 케이싱(1)의 앞쪽에 끼워지는 전방 패널(2)을 구비한다. 이 전방 패널(2)은 케이싱(1)의 전방 표면 개구부를 폐쇄한다.
상기 전방 패널(2)에는 기억 매체 삽입부(3)가 관통 형성되며, 삽입부는 슬롯형 장방형 개구부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기억 매체 삽입부(3)를 통해 기기 내로 삽입되고 그 밖으로 방출된다. 전방 패널(2)의 기억 매체 삽입부(3)는 그 내부에 배치된 뚜껑(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뚜껑(5)는 전체 기억 매체 삽입부(3)를 폐쇄할수 있는 셔터부(5a)와 상기 셔터부(5a)의 종방향 양 측부의 상부에 돌출 제공되는 좌우 한쌍의 회전 샤프트 부(5b)를 구비한다. 상기 양 회전 샤프트 부(5b)는 전방 패널(2)에 제공된 샤프트 구멍과 회전결합되며, 기억 매체 삽입부(3)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비도시)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전방 패널(2)의 기억 매체 삽입부(3)는 대개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뚜껑(5)에 의해 폐쇄된다. 이 뚜껑(5)가 디스크 카트리지(4)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뒤로 밀려나고 이후 회전 샤프트부(5b)를 회전 중심으로 사용하여 대략 90。 뒤로 회전될 때, 기억 매체 삽입부(3)는 완전히 개방되고, 그로 인해 디스크 카트리지(4)의 삽입통로가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기억 매체 삽입부(3)를 폐쇄하는 뚜껑(5)은 케이싱(1)내에서 안쪽으로 회전하는 셔터로서 작용하며, 디스크 카트리지(4)가 삽입될때는 디스크 카트리지(4)에 의해 안쪽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디스크 카트리지(4)가 기기에 로딩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4)가 전자 기기내로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에 도달되면, 뚜껑(5)은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는 케이싱(1)내에 수용디는 기구, 패트등이 노출될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먼지등이 개방된 기억 매체 삽입부(3)로부터 케이싱(1)에 들어갈수 있으며 이는 어떤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 기억 매체 삽입부(3)의 내부가 대개는 뚜껑(5)에 의해 폐쇄되지만, 기억 매체 삽입부(3) 그자체는 항상 노출되며, 이는 설계의 자유도를 감소시키고 기기의 외관을 단일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기억 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는 기록 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디스크 기억 장치와 그 내부에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재생 장치와 그 내부에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은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케이싱, 전방 패널, 뚜껑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전방 패널과 뚜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 는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케이싱, 전방 패널, 뚜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 은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그 상승 상태로 파지하는 수단의 제 1 예인 평행 수직 운동형 로딩 기구의 단면도.
도 7 은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그 하강 상태로 파지하는 수단의 제 1 예인 평행 수직 운동형 로딩 기구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뚜껑을 개폐하는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8a는 뚜껑이 개방되기 이전의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이고, 도 8b는 뚜껑이 개방되는 초기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이며, 도 8c는 뚜껑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임.
도 9a 내지 도 9b는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뚜껑을 개폐하는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9a는 로딩기구가 상승되기 이전의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이고, 도 9b는 로딩 기구가 하강되는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임.
도 10 은 도2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의 수정예인 회전 로딩 기구의 평면도.
도 11 은 도10에 도시된 회전 로딩 기구의 측면도.
도 12 는 도10에 도시된 회전 로딩 기구의 회전 작동을 도시하고 카트리지 홀더의 경사각이 작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
도 13 은 도10에 도시된 회전 로딩 기구의 회전 작동을 도시하고 카트리지 홀더의 경사각이 도1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해 크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
도 14 는 도10에 도시된 회전 로딩 기구의 회전 작동을 도시하고 카트리지 홀더가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그 수평 상태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재생 장치의 외관의 사시도.
도 16a 내지 도 16b는 도15에 도시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뚜껑을 개폐하는 작동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6a는 뚜껑의 일련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이고, 도 16b는 뚜껑이 상단부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도면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케이싱 2, 8 : 전방 패널
3 : 기억매체 삽입부 4 : 디스크 카트리지
5,9 : 뚜껑 6 : 디스크 재생장치
13 : 고정 나사 15 : 노치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기억 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는 본체와 뚜껑을 구비한다. 본체는 그 전방표면쪽에 개구부를 가지며 이는 기억매체를 삽입 및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뚜껑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이 뚜껑은 개구부를 개폐한다. 뚜껑은 기억매체가 전자기기내로 삽입되었을 때 기억매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뚜껑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경사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장치 본체와 뚜껑을 구비한다. 기록 매체를 삽입 및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장치 본체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기록매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 재생 유니트를 구비한다. 상기 뚜껑은 개구부를 개폐한다. 상기 뚜껑은 장치 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뚜껑은 기억 매체가 장치 본체내로 삽입될 때 기록매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뚜껑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경사부를 그 측면에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본체와 뚜껑을 구비한다. 본체는 거의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는 그 네 개의 모서리중 하나의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노치형성하므로써 디스크 카트리지를 삽입 및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개구를 갖는다. 본체는 개구부의 하단 에지에 그 개구부의 아래쪽에서 위로 경사져 있는 제 1 경사표면부를 가지며, 또한 그 개구부의 측부 에지에는 개구부의 아래쪽에서 위로 선형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는 호(arc)형 제 2 부분을 갖는다. 뚜껑은 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뚜껑은 개구부가 폐쇄될 때 장치본체의 상면과 동일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표면과, 상기 제 1 표면에 거의 수직하게 제공되고 본체의 측면과 동일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표면을 구비한다. 뚜껑은 제 1 경사면과 함께 V형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 2 경사면을 구비하며, 이 제 2 경사면은 제 2 경사부의 개구부의 하단 에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공되고,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경사면과 협력하여 뚜껑을 회전시키도록 장치내로 삽입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본체와 뚜껑을 구비한다. 이 본체는 거의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는 그 네 모서리중 하나를 대각선으로 노치형성하므로써 디스크 카트리지를 삽입 및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그 개구부의 측부 에지에 형성되는 회전 제한부를 구비한다. 본체에는 뚜껑이 제공되는데 이는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해 이동 및 회전될수 있다. 상기 뚜껑은 개구부가 폐쇄될 때 장치 본체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 1 표면부와, 상기 제 1 표면부와 수직하게 제공되어 본체의 측면과 동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표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경사면은, 장치내로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해 작동되고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뚜껑을 회전시키는 V형 단면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 및 재생 장치는 예로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자기광학 디스크를 사용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의 예를 기술하므로써 기술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재생 장치(6)는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싱(7), 전방 패널(8), 뚜껑(9)을 구비한다. 이들 케이싱(7), 전방 패널(8), 뚜껑(9)은 디스크 재생 장치(6)의 대면체(facing body)를 형성한다. 대면체에는, 디스크 로딩 기구, 디스크 회전 기구, 정보 재생 기구, 셔터 개폐 기구 및, 기타 기구와 장치등이 수용된다.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싱(7)은 그 전면에 관통 개구를 구비하고 장방형이도록 형성된다. 케이싱(7)에는, 후술되는 섀시가 수용 및 고정되고, 디스크 로딩 기구, 정보 재생 기구등과 함께 장착된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싱(7)의 상면에는 재생 버튼, 조송(早送:fast forward)버튼, 정지 버튼, 음량 조정 버튼등이 제공된다.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방 패널(8)의 후방에 제공되는 패널 프레임부(12)는 케이싱(7)의 앞면에 제공되는 개구부(11)와 함게 결합된다. 전방 패널(8)은 다수의 결합나사(13)에 의해 케이싱(7)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케이싱(7)의 개구부(11)측의 하면에는 개구를 갖는 한쌍의 연결 설편(舌片:tongue pieces)(7a,7a)이 제공되며, 측면에는 나사 삽입 구멍(7b,7b)이 천공된다. 전방 패널(8)의 패널 프레임부(12)의 양 측부에는 나사 삽입 구멍을 갖는 한쌍의 베어링 피스(12a,12a)가 제공된다. 결합 나사(13,13)는 패널 프레임부(12)가 케이싱(7)의 개구부(11)와 결합된 상태에서 베어링 피스(12a,12a)의 나사삽입 구멍으로 나사삽입되어 전방 패널(8)을 케이싱(7)에 결합시킨다.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싱(7)에 고정된 전방 패널(8)은 그 상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갖는 장방형의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전방 패널(8)이 케이싱(7)에 결합되면, 뒷면 측부 개구부(14b)는 케이싱(7)의 개구부(11)와 대향하며, 이들 개구부(14b,11)는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연속해서 연결된다. 전방 패널(8)의 전방부의 상부 모서리부에는 뚜껑(9)을 덮도록 사용되는 노치부(15)가 제공된다. 노치부(15)에서 개방되어 있는 상면측 개구부(14a)는 기록매체 삽입부로서 작용하며, 이 기록매체 삽입부를 통해서 기록 매체가 디스크 재생 장치(6)내로 삽입된다. 전방 패널(8)이 케이싱(7)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 장치(6)를 고려해볼 때, 개구부(14a)는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 장치(6)의 네 모서리중 하나를 대각선으로 노치형성하므로써 형성된 개구로서 간주될수 있다. 상기 전방 패널(8)의 상부에는, 노치부(15)가 제공되므로써 뚜껑(9)의 하단 에지와 접촉하는 평면 수용부(8a,8a)와, 이 평면 수용부(8a,8a)의 뒤쪽에 연속하여 제공되고 후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수용부(8b,8b)가 제공된다. 상기 경사면 수용부(8b,8b)는 그 하단부로부터 그 상단부 부근까지 선형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서 만곡되어 상향 볼록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평면 수용부(8a,8a) 사이 부분의 전방 단부 에지에는 앞으로 경사진 평면으로서 형성된 패널측 경사 안내부(16)가 제공된다. 경사 안내부(16)의 측방향 길이는 개구부(14a)의 측방향 길이와 거의 유사하게 설정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후술되듯이 삽입되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하단 에지는 경사 안내부(16)와 접촉되며 경사 안내부는 디스크 카트리지(50)를 방향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전방 패널(8)의 경사면 수용부(8b,8b)의 뒤쪽에는 좌우의 경사면 수용부(8b,8b)를 연결하도록 후방 프레임부(8c)가 제공된다.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50)를 볼수 있는 투명창을 갖고 호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d)가 후방 프레임부(8c)의 종방향으로 중간부에 제공된다. 패널 프레임부(12)의 각 베어링 피스(12a,12a)의 삽입 개구 아래에는 동일 중심선을 공유하면서 상호 대향하도록 안쪽으로 돌출되는 회전 샤프트(18a,18b)가 제공된다. 도2에 도시되듯이,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50)를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방출 버튼(24)과 상기 전자 기기에 헤드폰을 연결하기 위한 헤드폰 잭(25)이 전방 패널(8)의 앞면에 제공된다.
전방 패널(8)의 노치부(15)와 매치되도록 전방 패널(8)에 결합되는 뚜껑(9)은 앞면판(9a), 이 앞면판(9a)에 수직하게 제공되어 그로부터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면판(9b), 그리고 상면판(9b)의 양 측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측면판(9c,9c)을 구비한다. 상기 앞면판(9a)은 개구부(14a)가 폐쇄되는 상태에서 전방패널(8)의 앞면과 동일한 평면에 제공된다. 뚜껑(9)의 앞면판(9a)의 외부, 즉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50)에 대향하는 측부에는 뒤로 기울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뚜껑측 경사 안내부(19)가 제공된다. 경사 안내부(19)의 깊이 방향 및 폭방향 길이는 패널측 경사 안내부(16)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삽입되면 경사 안내부(19)는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상단 에지와 접촉되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가압력에 의해 상승되고, 그로 인해 기록 매체 삽입부로 작용하는 개구부(14a)가 개방된다.
전술했듯이,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9)의 경사 안내부(19)와 케이싱측 부재로 작용하는 전방 패널(8)의 경사 안내부(16)는 양 경사안내부(19,16)가 상호 접촉하는 경계의 부근에서 서로 연속되도록 S 형상 단면을 갖는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삽입되면, 경사 안내부(16)와 경사 안내부(19)가 상호 작용하며, 그로 인하여 후술되는 뚜껑(9)의 개방 작동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뚜껑(9)의 상면판(9b)의 양 하면측 부분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아암부(20a,20b)가 제공된다. 이들 아암부(20a,20b)는 전방 패널(8)의 경사면 수용부(8a,8b)를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바이어스되고 그 중간부로부터 뒤쪽으로 구부러진다. 하나의 아암부(20a)는 그 선단부에 원통형 샤프트부(21a)를 가지며, 다른 아암부(20b)는 그 선단부에 베어링 개구(20b)를 갖는다.
원통형 부분(21a)과 베어링 개구(21b)중에, 전방 패널(8)의 하나의 회전 샤프트(18a)는 원통형 부분(21a)의 구멍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패널(8)의 다른 회전 샤프트(18b)는 베어링 개구(21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원통형 샤프트부(21a)의 회전부와 베어링 개구(21b)는 뚜껑(9)의 회전 중심으로 사용된다. 뚜껑 이동 기구는 한쌍의 아암부(20a,20b)와, 여기에 각각 제공되는 원통형 샤프트부(21a) 및 베어링 개구(21b)와, 전방 패널(8)에 제공되는 한쌍의 회전 샤프트(18a,18b)로 형성된다. 뚜껑 이동 기구는 뚜껑(9)을 원통형 샤프트부(21a)와 베어링 개구(21b)에 의해 각각 피봇 지지되는 회전 샤프트(18a,18b)를 사용하여 뚜껑(9)을 회전시키므로써 뚜껑(9)이 케이싱(7)에 대해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뚜껑(9)을 이동시킨다.
도4에 도시되듯이, 양 아암부(20a,20b) 사이에는 뚜껑(9)을 상승시키기 위한 리브(22,22)가 제공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삽입되면, 이들 리브(22,22)는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상면으로 이동되며 이후 디스크 카트리지(50)상에서의 슬라이딩으로 인하여 뚜껑(9)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그로 인해 뚜껑(9)이 쉽게 회전될수 있게 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삽입 및 방출되면 리브(22,22)의 선단부가 디스크 카트리지(50)와 접촉된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듯이, 뚜껑(9)을 전방 패널(8) 쪽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토션 스프링(23)이 뚜껑(9)과 전방 패널(8) 사이에 끼워진다. 이 토션 스프링(23)은 그 중심부에 코일부(23a)를 가지며 코일부(23a)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두 개의 스프링 피스(23b,23b)를 구비한다. 뚜껑(9)의 아암부(20a)의 선단부에 있는 원통형 샤프트부(21a)는 토션 스프링(23)의 코일부(23a)내로 삽입된다. 하나의 스프링 피스(23b)가 아암부(20a)의 스프링 수용 피스(20c)와 결합되어 정지되고, 다른 스프링 피스(23c)는 전방패널(8)의 내면에 제공되는 스프링 수용 피스(8e)와 결합되어 정지된다. 따라서, 뚜껑(9)은 전방 패널(8)을 향하여, 즉 개구부(14a)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전방 패널(8)이 뚜껑(9)에 결합된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23)의 스프링력이 뚜껑(9)을 전방 패널(8)쪽으로 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도 8a에 도시되어 있듯이, 앞면판(9a)의 하단부와 뚜껑(9)의 양 측면판(9c)은 전방 패널(8)의 평면 수용부(8a)와 경사면 수용부(8b,8b)와 위쪽으로부터 접촉된다. 뚜껑(9)이 케이싱(7)의 네 모서리중 하나에 위치되므로, 뚜껑(9)과 케이싱(7)이 일체로 대면체를 형성한다. 뚜껑(9)이 그 외형과 케이싱(7)의 외형이 연속적이도록 형성되므로, 유니트의 것으로 간주될수 있는 전체 외형을 갖는 대면체가 형성된다.
상기의 배치를 갖는 대면체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섀시(28)에 장착되는 디스크 로딩 기구(30)와 디스크 회전 기구(40)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디스크 로딩 기구(30)는 기록 매체 삽입부(14a)를 통해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14a)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홀더(31)를 그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기구이다. 디스크 로딩 기구(30)가 그 하강 작동을 수행하면, 디스크 카트리지(50)에 수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의 자기광학 디스크(53)는 디스크 로딩 기구(30) 아래에 제공되는 디스크 회전 기구(40)의 스핀들 모터(41)상에 로딩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스크 로딩 기구(30)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섀시(28)에 의해 지지되는 카트리지 홀더(31)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섀시(28)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 부재(32)와, 로딩 작업시에 카트리지 홀더(31)를 로킹하기 위한 홀더 로킹 부재(33)를 구비한다. 상기 섀시(28)는 그 상면, 전후면에 개구를 갖는 측방경사진 U형상 단면의 편평 케이싱으로 형성되고 그 앞면은 전방 패널(8)에 대향된다. 슬라이딩 부재(32)는 섀시(28)에 대해 전후방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제공된다.
카트리지 홀더(31)와 슬라이딩 부재(32)는 각각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홀더 승강 기구에 의해 상대적으로 이동될수 있다. 홀더 승강 기구는 카트리지 홀더(31)의 수평 방향 운동을 제한하여 카트리지 홀더(31)를 수직방향으로만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슬라이딩 부재(32)의 수직방향을 제한하여 수평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수평 운동 기구와, 슬라이딩 부재(32)의 수평 운동을 카트리지 홀더(31)의 승강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 기구로 구성된다.
디스크 로딩 기구(30) 아래에 제공되는 디스크 회전 기구(40)는 자기광학 디스크 (53)와 스핀들 모터(41)을 자기적으로 척킹 (magnetically chucking) 하기위한 턴테이블(43)을 구비하며, 상기 스핀들 모터는 그 회전 샤프트의 선단부에서 턴테이블(43)과 결합된다. 스핀들 모터(41)는 그 회전 샤프트가 위를 향하는 상태에서 그 앞쪽의 중심에서 섀시(28)상에 장착되며, 또한 스핀들 모터(41)의 아래쪽에 제공되는 고정 부재(42)의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 나사에 의해 섀시(28)상에 고정된다. 턴테이블(43)의 중심에는 비도시의 링형상 자석이 제공되며, 이 자석은 후술되듯이 자기광학 디스크를 척킹한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스크 재생 장치(6)에 사용될 디스크 카트리지(50)는 한쌍의 상부 셸(51) 및 하부 셸(52)과, 이들 셸(51,52) 사이에 제공되는 디스크 챔버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자기광학 디스크(53)를 구비한다. 자기광학 디스크(53)의 중심부에는 비도시의 금속 허브가 결합된다. 금속 허브의 아랫면은 하부 셸(52)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에 대향된다. 스핀들 모터(41)의 턴테이블(43)은 이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며, 이후 턴테이블(43)에 제공되는 링형상 자석이 자기광학 디스크(53)를 자기적으로 흡수하여 척킹한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부 및 하부 셸(51,52)은 자기광학 디스크(53)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관통 제공되는 개구부(54,54)를 구비한다. 도2에서, 하부셸(51)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54)는 도면의 혼란함을 방지하기위해 도2에 도시되지 않았다. 기록 및 재생 기구의 자기 헤드는 상부 셸(51)의 개구부(54)내로 삽입되며, 기록 및 재생 기구의 광학 헤드는 하부 셸(52)의 개구부(54)에 대향된다. 이들 개구부(54,54)는 셔터(55)에 의해 개폐될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셔터(55)는 카트리지 홀더(31)에 제공된 셔터 개폐 기구(비도시)에 의해 개방되고, 셔터(55)가 개방된 상태에서 자기 헤드 또는 광학 헤드는 광학 자기 디스크(53)에 대향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디스크 재생 장치(6)로부터 방출되면 셔터 개폐 기구는 디스크 카트리지(50)를 그 셔터가 개구부(54,54)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배치의 디스크 재생 장치(6)에서의 뚜껑(9)의 개폐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단부는 디스크 재생 장치(6)의 기록 매체 삽입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는 케이싱(7)의 상 하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뚜껑(9)쪽으로 이동되고, 도8a에 도시되듯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하단 에지는 전방 패널(8)의 안내 경사부(16)와 접촉된다. 이 때,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상단 에지는 뚜껑(9)의 경사 안내부(19)와 접촉될수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50)에 힘(F)이 가해져서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전방 패널(11)을 압박하면, 전방 패널(8)의 반력(R)이 케이싱(7)과 연결되어 이에 고정된다. 도8a에 도시되어 있듯이, 경사 안내부(16)는 깊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평면으로서 형성되며, 경사 안내부(16)와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접촉점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에 따라 디스크 카트리지(50)에는 디스크 카트리지(9) 위에 배치되는 뚜껑(9)을 향하여 대각선 상향 힘(S)이 가해진다.
상기 뚜껑(9)이 케이싱(7) 측부상에서 뚜껑 이동 기구와 회전샤프트(18a,18b)에 의해 피봇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회전 지지대(fulcrum)으로서 작용하는 회전 샤프트(18a,18b)는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운동 궤적으로부터 길이 T 만큼 아래에 위치된다. 도8a에 도시되듯이 뚜껑(9)에는 시계방향 회전 운동 M 이 생성된다. 이 때, 토션 스프링(23)의 스프링력에 의해 뚜껑(9)을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회전 모멘트(M)보다 큰 상태에서 뚜껑(9)이 토션 스프링(23)에 의해 전방 패널(8)쪽으로 항상 바이어스되므로, 뚜껑(9)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회전 모멘트(M)가 토션 스프링(23)에 기인한 모멘트보다 커지면 도8b에 도시되듯이 뚜껑(9)은 회전중심(O)으로서 회전 샤프트(18a,18b0를 사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상단 에지와 접촉되는 뚜껑(9)의 경사 안내부(19)가 그 아래쪽에 깊이방향으로 커다란 오목함을 갖는 호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수평 방향 운동에 반응하여 뚜껑(9)의 회전을 고정할수 있다. 케이싱(7)의 내부에 뚜껑(9)의 회전 중심(O)이 배치되므로, 전방 패널(8)의 상부에 제공되는 경사면 수용부(8b)와 회전 중심(O) 사이 거리는 경사면 수용부(8b)의 중간부에서 가장 짧아진다. 그러므로, 경사면 수용부(8b)가 그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직선 연장되면 뚜껑(9)은 상기 거리가 가장 짧아지는 부분에 대해 상부에서 회전될수 있는데, 이는 경사면 수용부(8b)의 상부에 있는 연장부가 뚜껑(9)의 회전과 간섭되기 때문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되어 있듯이, 경사면 수용부(8b)의 ( 상기 거리가 가장 짧아지는 위치에 대한 )위쪽 부분은 호형상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거리가 최단 거리와 같거나 그 이하이므로, 이러한 배치를 고려할 때 뚜껑(9)의 회전을 고정시킬수 있다.
상하 경사 안내부(19,16)와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상기와 같은 작용이 뚜껑(9)을 케이싱(7)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선단부가 기록 매체 삽입부로서의 개방된 개구부(14a)내로 이동되면, 도8c에 도시되듯이, 뚜껑(9)은 디스크 카트리지(50)상으로 이동된다. 이후 디스크 카트리지가 그 운동 궤적 방향에서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앞에서 디스크 재생 장치(6)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재생 장치(6)내로 삽입될수 있다.
이 때,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전방 패널(8)과 뚜껑(9)에 의해 샌드위치되어 평면수용부(8a)에 의해 안내되면서 삽입되는 동안, 뚜껑(9)에 제공된 리브(22,22)의 하단부만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상면과 슬라이딩 접촉되며 그로 인해 리그(22,22)에 의해 야기되는 마찰 드랙(drag)은 그리 크지 않다. 토션 스프링(23)의 바이어싱력(biasing force)이 여전히 뚜껑(9)으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50)로 가해지더라도,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쉽게 삽입될수 있다.
섀시(25)에 의해 지지되는 카트리지 홀더(31)가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운동 궤적상에 배치되고 카트리지 홀더(31)의 삽입 개구는 디스크 카트리지(50)가 뚜껑(9)에 의해 통과될 때 뚜껑(9)의 내부의 부근에 제공되므로, 그 삽입측부가 카트리지 홀더(31)내로 진입한다. 도9a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완전히 케이싱(7)측으로 삽입되면, 디스크 카트리지(50)는 카트리지 홀더(31)내로 완전히 이동되고, 이후 카트리지 홀더(31)는 도6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이 때,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셔터(55)는 셔터 개폐 기구의 작동에 의해 개방된다. 뚜껑(9)은 디스크 카트리지(50)상으로 이동되고 개구부(14a)는 그 개방된 상태로 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소정의 카트리지 홀더(31) 위치로 이동되면 디스크 로딩 기구(30)는 카트리지 홀더(31)를 수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도7에 도시되어 있듯이, 카트리지 홀더(31)내에 유지되는 디스크 카트리지(50)는 디스크 회전 기구(40)의 스핀들 모터(41)에 가까워지고 이후 자기광학 디스크(53)는 턴테이블(43)상에 척킹된다. 이 때, 자기 헤드 또는 광학 헤드는 그 셔터(55)가 개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50)의 개구부(54,54)중 하나를 통해 자기광학 디스크(53)에 대향되고 그러므로 자기광학 디스크(53)는 기록 및 재생될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소정 위치로 하강되고 자기광학 디스크(53)가 턴테이블(43)에 의해 척킹되면, 뚜껑(9)을 상승시키기 위해 디스크 카트리지(50)로부터 뚜껑(9)에 가해지는 힘이 증대되고 따라서 토션 스프링(23)의 스프링력은 뚜껑(9)을 전방 패널(8) 쪽으로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도9b에 도시되어 있듯이, 뚜껑(9)의 앞면판(9a)의 하면은 전방 패널(8)의 평면수용부(8a)와 접촉되고 측면판(9c,9c)의 하면 각각은 평면 수용부(8a)및 경사면 수용부(8b)와 접촉된다. 뚜껑(9)과 전방 패널(8a)은 상호 완전 접촉되며 그로 인하여 개구부(14a)는 완전히 폐쇄된다.
도9b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록매체 삽입부(14a)로서의 개구부(14a)는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폐쇄되고, 먼지 등은 개구부(14a)를 통하여 디스크 기록 장치(6)내로 침입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먼지 등의 침입에 기인하는 트러블 등의 문제를 방지할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14a)가 전방 패널(8)에 대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전체 장치의 설계상의 자유도가 증대되고 이는 보다 창조적인 (즉, 비획일적인) 설계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기록매체 로딩 기구로서 회전형 디스크 로딩 기구(60)를 사용하는 수정예를 도11 및 이어지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크 로딩 기구(60)는 기록매체 삽입부로서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50)를 유지하기 위한 카트리지 홀더의 앞쪽을, 회전중심으로서 그 뒤쪽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카트리지 홀더의 앞쪽이 위로 회전되고 그러므로 카트리지 홀더가 경사졌을 때, 이 디스크 로딩 기구(60)는 그 언로딩 상태로 된다. 카트리지 홀더의 앞쪽이 하향 회전되고 그로인해 카트리지 홀더가 그 수평 상태로 되면, 이 디스크 로딩 기구(60)는 그 로딩 상태로 된다. 이 로딩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50)에 수용된 자기광학 디스크(53)는 디스크 회전 기구(40)의 스핀들 모터(41)의 (비도시된) 턴테이블상으로 로딩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되듯이, 디스크 로딩 기구(60)는 케이싱(7)에 고정되는 섀시(61)와, 이 섀시(61)에 제공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될수 있는 카트리지 홀더(62)와, 상기 섀시(61)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수 있는 방출 레버(63)를 구비한다.
상기 섀시(61)는, 디스크 카트리지(50)보다 약간 큰 평면을 갖는 낮은 저면판(61a)과 이 저면판(61a)의 양 측방향 측부상에서 직립되도록 형성되는 좌우의 측면판(61b,61b)으로 형성되고 장방형 단면을 갖는 얕은 거터(gutter)를 구비한다. 디스크 회전 기구(40)의 스핀들 모터(41)는 섀시(61)의 저면판(61a)의 앞쪽 중심부에 고정된다. 정보 재생 기구(57)의 광학 헤드(58)는 자기광학 디스크(53)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될수 있도록 스핀들 모터(41)의 한 측부상에 배치된다.
카트리지 홀더(62)는 섀시(61)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판(62a)과, 하향 직립되도록 상면판(62a)의 측방향 측부에 형성된 좌우측면판(62b,62b) 및, 측면판(62b,62b)의 하부를 적절한 폭만큼 구부리므로써 측면판(62b,62b)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유지판(62c,62c)을 구비한다. 섀시(61)와 카트리지 홀더(6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디스크 카트리지 로딩부를 형성하고, 도12에 도시되듯이 이 공간의 일측부에는 카트리지 삽입부(62e)가 제공된다. 상기 유지판(62c,62c)에 대응하도록 카트리지 홀더(62)의 상면판(62a)의 뒤쪽 양측부에는 가압 스프링(62d,62d)이 결합된다. 이들 가압 스프링(62d,62d)은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50)를 유지판(62c,62c) 쪽으로 바이어스시켜 디스크 카트리지(50)를 그 높이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카트리지 홀더(62)와 섀시(61)는 좌우의 후단부에서 피봇(64,6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다. 카트리지 홀더(62)는 회전중심으로 사용되는 피봇(64,6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된다. 섀시(61)의 정역방향 전방 및 후방부에는 측부로 돌출되는 안내핀(64,65)이 제공되고, 카트리지 홀더(62)의 정역방향 중간부에는 측부로 돌출되는 안내 샤프트(66)가 제공된다. 안내 핀(65,65)과 안내 샤프트(66)가 그 측면판(61b)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측부에서 섀시(61)의 외부에는 방출 레버(63)가 배치된다.
방출 레버(63)의 정역방향 전방 및 후방부에는 정역방향으로 직선 연장되는 안내 개구(67,67)가 관통 제공되며, 그 정역방향 중간부에는 캠 개구(68)가 관통 제공된다. 섀시(61)에 제공되는 안내핀(65,65)은 안내 개구(67,67)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되며, 각 안내핀(65,65)의 선단부에 제공되는 플랜지형 헤드부는 방출 레버(6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카트리지 홀더(62)에 제공되는 안내 샤프트(66)는 방출 레버(63)의 캠 구멍(68)을 통해 슬라이딩 관통된다.
이 캠 구멍(68)은 정역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는 수평 캠부(68a)와, 수평 캠부(68a)의 후방 단부로붜 대각선으로 연속하여 하향 연장되는 경사 캠부(68b)를 구비한다. 후술되듯이, 안내 샤프트(66)가 경사 캠부(68b)의 하단부에 배치되면, 카트리지 홀더(62)는 그 수평 상태로 유지되며, 안내 샤프트(66)가 수평 캠부(68a)로 이동되면 카트리지 홀더(62)는 그 앞쪽에서 상승되고 이후 경사진다.
바이어싱 수단의 예인 인장 코일 스프링(69)는 방출된 레버(63)와 섀시(61) 사이에서 연신된다. 코일 스프링(69)은 그 전방 단부에서 섀시(61)의 후방 단부에 제공된 결합 피스(63a)와 결합되어 정지되고, 코일 스프링(69)의 스프링력은 방출 레버(63)를 항상 전방으로 바이어스시킨다. 방출 레버(63)의 선단부는 방출 레버(63)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방출 입력부(63b)로서 제공된다. 상기 방출 버튼(24)과 유사한 버튼은 방출 입력부(63b)에 결합되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방출 작업용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6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싱(7), 전방 패널(8)과, 뚜껑(9)을 갖는 대면체내에 수용된다. 대면체에 수용된 디스크 로딩 기구(60)의 작업은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면의 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12 내지 도14는 케이싱(7)에 고정된 섀시(61)를 도시하지 않지만 섀시(61)에 대해 각각 소정 방식으로 이동되는 카트리지 홀더(62)와 방출 레버(63)를 도시한다. 상기 뚜껑(9)의 개폐 작동은 도8a 내지 도8c, 도9a 및 도9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할 필요가 없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62)의 소정 위치로 삽입될때까지 방출 레버(63)는 바이어싱 력에 대항하여 후방 위치에 배치되고 결과적으로 카트리지 홀더(62)의 안내 샤프트(66)는 캠 구멍(68)의 수평 캠부(68a)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 홀더(62)의 앞쪽은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홀더(62)는 도시되지 않은 홀더 로킹 부재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 카트리지 홀더(62)의 카트리지 삽입 슬롯은 뚜껑(9)이 외부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뚜껑(9)의 운동에 따라 개방되는 기록 매체 삽입부로서의 개구부에 대향된다. 따라서, 디스크 재생 장치(6)의 개구부(14a)에 의해 통과되는 디스크 카트리지(50)는 있는 그대로 카트리지 홀더(62)의 카트리지 삽입 슬롯(62a)내로 삽입되고 디스크 카트리지 로딩부내로 이동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밀려나서 소정 위치로 삽입되면, 뚜껑(9)의 리브(22,22)는 디스크 카트리지(50)상으로 이동되고, 뚜껑(9)은 토션 스프링(23)의 스프링 력에 의해 전방 패널(8)쪽으로, 즉 개구부(14a)가 페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뚜껑(9)은 전방 패널(8)상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개구부(14a)가 폐쇄된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카트리지 홀더(62)의 소정 우치로 삽입되면, 카트리지 홀더(62)를 로킹하기 위한 홀더 로킹 부재의 로킹 작업은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작동에 따라 해제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69)의 스프링력은 방출 레버(63)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며, 그로 인하여 코일 스프링(69)의 인장력은 방출 레버(63)를 전방으로 바이어스시킨다. 방출 레버(63)의 안내 개구(67,67)가 섀시(61)의 안내핀(65,65)과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방출 레버(63)만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방출 레버(63)의 캠 구멍(68)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캠구멍(68)의 수평 캠부(68a)에 배치된 안내 샤프트(66)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도13에 도시되듯이 경사 캠부(68b)내로 이동된다. 이러한 안내 샤프트(66)의운동에 따르면, 카트리지 홀더(62)의 앞쪽이 하강된다. 또한, 안내 샤프트(66)가 경사 캠부(68b)의 최하단부에 도달하면, 도14에 도시되듯이, 카트리지 홀더(62)의 앞쪽은 그 최하 위치로 하강하며 카트리지 홀더(62)는 그 수평 상태로 된다.
이때, 카트리지 홀더(62)에 의해 유지되는 디스크 카트리지(50)는 디스크 회전 기구(40)의 스핀들 모터(41)에 가까워지며 이후 자기광학 디스크(53)는 비도시의 턴테이블에 의해 척킹된다. 그 결과, 자기 헤드와 광학 헤드는 디스크 카트리지(50) 밖으로 개구부(54,54)를 통하여 자기광학 디스크(53)에 대향되며 이후 자기광학 디스크(53)을 기록 또는 재생하는 작업이 준비되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도15, 16a, 16b에 도시된 배치를 갖는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70)에 적용될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70)는 섀시에 장착되는 디스크 로딩 기구와 기타 기구를 수용하기위한 대면체를 구비한다. 대면체는 케이싱(71)과 뚜껑(72)으로 구성된다. 경사 안내부(73)는 뚜껑(72)에만 제공된다. 뚜껑(72)은 케이싱(71)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며 뚜껑(72)의 슬라이딩 운동은 케이싱(72)의 기록 매체 삽입부(74)를 개폐한다.
케이싱(71)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케이싱(7)과 전방 패널(8)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도록 장방형의 박스형상이며, 그 앞쪽에 있는 상부 모서리부를 대각선으로 절단하므로써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삽입 및 방출되는 기록 매체 삽입부(74)를 구비한다. 케이싱(71)의 (기록매체 삽입부(74)를 제외한) 양 측부에는 뚜껑(72)의 측면판(72c,72c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 노치부(75,75)가 제공된다.
상기 뚜껑(72)은 제 1 실시예의 뚜껑(9)의 앞면판(9a)이 하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며, 앞면판(72a)의 상단부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상면판(72b)과, 그 양 측부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측면판(72c,72c)을 구비한다. 뒤쪽으로 돌출되는 V형 단면의 경사 안내부(73), 즉 V형 단면을 갖는 오목형 경사 안내부는 뚜껑(72)의 외부에, 즉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50)에 대향하는 그 표면에 제공된다. 경사 안내부(73)의 좌우 방향 길이는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측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삽입되면,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단부면부는 경사 안내부(73)의 상면과 접촉되며,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 하면 선단부는 경사 안내부(73)의 하면과 접촉된다.
뚜껑(72)은 전체 기록 매체 삽입부(74)를 커버하도록 케이싱(71)의 전방단부에 결합되며 그 양 단부 측면판(72c,72c)은 케이싱(71)의 좌우 오목한 노치부(75,75)상에 수용된다. 각각의 오목한 노치부(75,75)는 측면판(72c)의 하면과 접촉될 하부 제한표면(75a)과, 측면판(72c)의 뒷면과 접촉될 상부 제한표면(75b)을 구비한다. 이들 양 제한 표면(75a,75b) 사이에는 오목한 노치부(75)가 측면판(72c)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향 호형 릴리프 표면(75c)가 형성된다. 오목 노치부(75,75) 각각의 위쪽의 기록 삽입부(74)의 부근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안내 오목부(76)가 제공된다.
뚜껑(72)의 측면판(72c,72c) 각각에는, 안내 볼록부(77)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호형 안내구멍(77)이 안내 볼록부(76)에 대응하도록 관통 제공된다. 안내 구멍(77)은 뚜껑(9)이 이동할수 있는 범위를 설정한다. 도15 및 도16a에 도시되듯이, 뚜껑(72)이 기록 매체 삽입부(74)를 폐쇄하면, 안내 볼록부(76)는 안내 구멍(77)의 상단 에지에 배치된다. 뚜껑(72)이 상승되고 이후 기록 매체 삽입부(74)가 개방되면, 안내 볼록부(76)는 안내구멍(77)의 하단 에지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뚜껑(72)의 개폐 작업을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70) 내로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50)의 삽입측부는 뚜껑(72)의 경사 안내부(73)에 인접하고 이후 대각선 하방향으로부터 삽입되며, 이후 디스크 카트리지(50)에는 대각선 후방으로 가압력이 가해진다. 이 때, 뚜껑(72)은 안내 구멍(77)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안내 볼록부(76)에 의해 안내되어 점차 상승된다. 뚜껑(72)은 도16a에 도시된 파선으로 도시되는 상태로부터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를 거쳐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상태로 위치 변화된다. 이후, 기록 매체 삽입부(74)는 개방되고, 디스크 카트리지(50)를 카트리지 홀더(31)내로 삽입할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50)가 카트리지 홀더(31)내로 완전히 삽입되고 이후 디스크 카트리지(50)의 후방 단부가 뚜껑(72)의 앞면판(72a)의 하단 에지를 지나 삽입되면, 앞면판(72a)의 앞쪽은 아무것도 지지하지 않지만 그 뒤쪽은 케이싱(7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 결과, 뚜껑의 앞면판(72a) 측은 그 무게로 인하여 하향 회전된다. 뚜껑(9)의 이러한 회전은 자동으로 기록 매체 삽입부(74)를 폐쇄시킨다. 뚜껑(72)은 케이싱(71)과 뚜껑(72) 사이에 제공되는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항상 바이어스될수도 있다.
이상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각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자기광학 디스크가 기록매체로서 사용되었으나, 다른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판독전용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기록매체로서 사용될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를 수용하는 카세트와 같은 기록 매체, 그 내부에 시일링된 반도체 메모리를 갖는 카드형 매체에 적용될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디스크 재생 장치에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기록 또는 기억을 위한 기록 또는 기억 장치뿐 아니라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적용될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케이싱측 부재로서의 전방 패널(8)과 뚜껑(9)이 그 사이 접촉 경계 부근에서 서로 연속 배치되도록 케이싱이 외부로 개방되는 케이싱 부분을 향하여 뚜껑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경사 안내부로서 경사 안내부(16,19)가 제공되었고, 제 2 실시예에서는 뚜껑(72)상에서만 이동하도록 사용되는 경사 안내부와 같이 경사 안내부(73)가 제공되었지만, 경사 안내부는 뚜껑측 또는 케이싱측 부재상에만 있을수도 있고 뚜껑은 케이싱의 개구부 전체를 개폐할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경사안내부(19)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케이싱(7)의 경사 안내부(16)는 평면으로 형성되었지만, 이와 반대로 경사 안내부(19)가 평면으로 그리고 경사안내부(16)가 곡면으로 형성될수도 있으며, 또한 이들 경사부(16,19)가 곡면과 평면으로 형성될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50)가 뚜껑(9)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은 뚜껑(9,72)을 직접 손으로 개방할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토션 스프링(23)이 뚜껑 이동 기구의 스프링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이나 판과 같은 다른 스프링 부재뿐 아니라 고무 탄성체등과 같은 스프링 부재가 사용될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8)

  1. 기억 매체를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
    기억매체를 삽입 및 방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그 앞면쪽에 갖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기억매체가 전자기기내로 삽입되었을 때 기억매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뚜껑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기억매체가 전자기기내로 삽입될 때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뚜껑을 기억매체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할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그 두께가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와 접촉하는 그 단부 쪽으로 점차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뚜껑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뚜껑은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때 본체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제 1 표면부와, 상기 제 1 표면에 수직하게 제공되어 본체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제 2 표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하측 주변부와 상기 뚜껑의 제 2 표면부의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전자기기내로 삽입될 기억매체에 대향되는 뚜껑의 표면이며 상기 제 2 표면부의 선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전자 기기내로 삽입될 기억매체에 대향되는 뚜껑의 표면이며 V형 오목부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 2 표면부의 앞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뚜껑의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본체의 네 모서리중 하나의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노치형성하므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측부에지는 개구부의 하측으로부터 상향 직선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는 제 2 호형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기억매체가 전자기기내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부와 협력하여 뚜껑을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킬수 있는 추가 경사부를 그 앞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경사부는 경사부와 함께 V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뒷면에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기억매체와 접촉될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을 개구부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추가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
  14. 기록 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기록 매체를 삽입 및 방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고,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기록 매체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 재생 유니트를 구비하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되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기억매체가 장치 본체에 삽입되었을 때 기록 매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뚜껑을 회전시키기 위한 경사부를 그 측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기록 매체가 개구부를 통해 장치 본체내로 삽입될 때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뚜껑을 기록매체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킬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그 두께가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와 접촉되는 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뚜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은 개구부가 폐쇄될 때 장치본체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표면부와, 상기 제 1 표면부와 수직하게 제공되어 장치 본체의 측면과 동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표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본체의 개구부의 하측 주변부와 뚜껑의 제 2 표면부의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여 상호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장치내로 삽입될 기록 매체에 대향되는 뚜껑의 표면이며 상기 제 2 표면부의 선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장치내로 삽입될 기록 매체에 대향되는 뚜껑의 표면이며 V형 오목부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 2 표면부의 앞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뚜껑의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본체의 네 모서리중 한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노치형성하므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측부에지는 상기 개구부의 하측으로부터 직선으로 상향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 2 호형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기록매체가 장치내로 삽입될 때 경사부와 협력하여, 뚜껑을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킬수 있는 추가 경사부를 그 앞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경사부는 경사부와 함께 V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뒷면에는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기록매체와 접촉될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뚜껑을 추가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 및 재생 장치.
  27.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이 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네 개의 모서리중 한 모서리를 대각선으로 노치형성하므로써 디스크 카트리지를 삽입 및 방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고, 상기 본체는 개구부의 하단 에지에 그 개구부의 하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제 1 경사 표면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하측으로부터 직선으로 상향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제 1부분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호형 제 2 부분을 상기 개구부의 측부 에지에 구비하고,
    상기 뚜껑은 개구부가 폐쇄될 때 장치본체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 1 표면부와, 상기 제 1 표면부에 수직하게 제공되어 본체의 측면과 동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표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은, 제 1 경사면과 함께 V형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 2 경사면을 가지고, 이 제 2 경사면은 제 2 표면부의 상기 개구부의 하단 에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공되며, 상기 장치내로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뚜껑을 경사면과 협력하여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28.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해 이동 및 회전될수 있도록 상기 본체상에 제공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네 모서리중 한 모서리에 대각선으로 노치를 형성하므로써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및 방출에 사용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그 개구부의 측부 에지에 형성된 회전 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은 개구부가 폐쇄될 때 상기 장치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 1 표면부와, 이 제 1 표면부에 대해 수직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과 동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표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은 장치내로 삽입될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해 작동되어 개구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뚜껑을 회전시키는 V형 단면의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80001962A 1997-01-24 1998-01-23 전자기기 KR100623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1394A JPH10208457A (ja) 1997-01-24 1997-01-24 電子機器
JP97-011394 1997-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21A true KR19980070721A (ko) 1998-10-26
KR100623889B1 KR100623889B1 (ko) 2006-12-07

Family

ID=1177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962A KR100623889B1 (ko) 1997-01-24 1998-01-23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038202A (ko)
JP (1) JPH10208457A (ko)
KR (1) KR100623889B1 (ko)
CN (1) CN1144204C (ko)
ID (1) ID19750A (ko)
MY (1) MY123967A (ko)
TW (1) TW3573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07B1 (ko) * 2000-04-17 2004-11-09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전자 기기의 커넥터 보호용 플랩의 개폐 기구
KR100754527B1 (ko) * 2000-05-17 2007-09-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및/혹은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251B1 (en) * 1995-12-11 2003-09-02 John R. Klug Method for providing node targeted content in an addressable network
JPH10208457A (ja) * 1997-01-24 1998-08-07 Sony Corp 電子機器
JPH11296954A (ja) * 1998-04-15 1999-10-29 Shinwa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1328940A (ja) * 1998-05-19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6847367B1 (en) * 1998-07-23 2005-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for port area of electronic equipment
JP3236264B2 (ja) * 1998-09-07 2001-1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003173664A (ja) * 2001-12-05 2003-06-20 Mitsumi Electric Co Ltd 記録メディア装置
JP4197146B2 (ja) * 2003-10-20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M255988U (en) * 2004-02-27 2005-01-21 Lite On It Corp A broken-disc ejected protector used in a slot-i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CN2706832Y (zh) * 2004-04-22 2005-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存取机防尘装置
CN2715472Y (zh) * 2004-05-28 2005-08-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
JP4228228B2 (ja) * 2004-07-23 2009-02-25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および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60020258A (ko) * 2004-08-31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안전장치 및 그것을 갖는 디스크 플레이어
JP2006155696A (ja) * 2004-11-25 2006-06-15 Orion Denki Kk 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0357617C (zh) * 2005-01-13 2007-12-26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
CN2800432Y (zh) * 2005-04-03 2006-07-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驱挡板固定装置
JP3113191U (ja) * 2005-05-31 2005-09-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内蔵型テレビジョンおよびディスク装置
US7273362B2 (en) * 2005-07-06 2007-09-25 Scroll Technologies Scroll compressor with an eccentric pin having a higher contact point
JP2009076148A (ja) * 2007-09-21 2009-04-09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2009170051A (ja) * 2008-01-18 2009-07-30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CN111655829A (zh) 2018-01-26 2020-09-11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用粘合剂及任选载体固化液体氧化胺、甜菜碱和/或磺基甜菜碱表面活性剂
CN114684427B (zh) * 2022-03-31 2024-03-26 南京大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条烟盒塑封膜的六面自动联动美容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771U (ko) * 1981-01-30 1982-08-07
US4454599A (en) * 1980-10-03 1984-06-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reproducing signals from a disc
US4481617A (en) * 1982-09-21 1984-11-06 Xerox Corporation Memory disc drive
US4673994A (en) * 1984-03-05 1987-06-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cassette viewing mechanism
DE3644284A1 (de) * 1985-12-23 1987-06-25 Gold Star Co Bandkassetten-lademechanismus fuer ein kassetten-videobandgeraet
JPH02105380A (ja) * 1988-10-14 1990-04-17 Kenwood Corp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ーの防水用カバー機構
JPH02289961A (ja) * 1989-04-28 1990-11-29 Sony Corp 可搬式記録再生装置
US5105317A (en) * 1989-04-19 1992-04-14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and lid mechanisms for a portable video tape recorder
JP2676668B2 (ja) * 1992-09-08 1997-11-17 株式会社リコー カートリッジ式記録再生装置のシャッタ開閉機構
US5787063A (en) * 1990-09-20 1998-07-28 Richoh Company, Ltd. Disk drive unit having improved shutter mechanism
JPH05225670A (ja) * 1992-02-07 1993-09-03 Ricoh Co Ltd 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3545432B2 (ja) * 1993-01-26 2004-07-21 株式会社リコー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ドライブ装置
US5995469A (en) * 1994-07-13 1999-11-30 Mitsumi Electric Co., Ltd. Disk device having movable cartridge holder and a cam plate having a cam groove with three successive inclined cam groove portions
US5748595A (en) * 1995-03-30 1998-05-05 Ricoh Company, Ltd. Cartridge loading mechanism with a door closing assembly
JP3229212B2 (ja) * 1995-12-15 2001-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蓋体開閉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記録再生装置
JPH10208457A (ja) * 1997-01-24 1998-08-07 Sony Corp 電子機器
MY117462A (en) * 1997-06-30 2004-06-30 Sony Corp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07B1 (ko) * 2000-04-17 2004-11-09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전자 기기의 커넥터 보호용 플랩의 개폐 기구
KR100754527B1 (ko) * 2000-05-17 2007-09-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및/혹은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889B1 (ko) 2006-12-07
CN1200531A (zh) 1998-12-02
ID19750A (id) 1998-07-30
JPH10208457A (ja) 1998-08-07
US20010026521A1 (en) 2001-10-04
CN1144204C (zh) 2004-03-31
TW357340B (en) 1999-05-01
US6038202A (en) 2000-03-14
MY123967A (en) 2006-06-30
US6324147B2 (en) 200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889B1 (ko) 전자기기
KR100366112B1 (ko) 디스크카트리지
JPH1131235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記憶装置
JPH10208359A (ja) 電子機器
KR0170368B1 (ko) 디스크카트리지장착장치
JP2743525B2 (ja) ディスク用記録再生装置
WO1996016403A1 (fr)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support de memoire et equipement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JP3114636B2 (ja) ディスク装置
KR101059493B1 (ko) 디스크 카트리지용 셔터 부재,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기록 또는 재생 장치
JPH1118542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433586Y2 (ko)
JP2903585B2 (ja) ディスク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H0492249A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用シャッタ開閉機構
JP3049823B2 (ja) ディスクカセット用アダプ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3236264B2 (ja) 記録/再生装置
KR930008502Y1 (ko) 콤팩트 디스크용 카트리지
KR0119520Y1 (ko) 셔터 오픈장치를 갖는 디스크 플레이어
JP404237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8648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428456B2 (ja) 記録/再生装置
JPH07320440A (ja) 記録媒体の収納装置
JP348546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297991B2 (ja) 記録装置
JPWO2005078718A1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2000090537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