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282A -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282A
KR19980070282A KR1019970078927A KR19970078927A KR19980070282A KR 19980070282 A KR19980070282 A KR 19980070282A KR 1019970078927 A KR1019970078927 A KR 1019970078927A KR 19970078927 A KR19970078927 A KR 19970078927A KR 19980070282 A KR19980070282 A KR 1998007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isk
control member
forc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497B1 (ko
Inventor
야마시따다쓰마로
이시이사다유끼
Original Assignee
가따오까마사따까
알프스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따오까마사따까, 알프스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따오까마사따까
Publication of KR1998007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7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both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and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Abstract

디스크장치에서는, 카트리지 등의 삽입과 배출의 쌍방을 모터의 동력으로 실행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가 대형화되어 있다.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가 삽입되면, 이동부재 (7) 가 장치 내측으로 눌리고, 이동부재 (7) 에 의해 로크해제부재 (41) 가 회동되어, 제어부재 (31) 의 로크가 해제된다. 로크가 해제된 제어부재 (31) 는 스프링 (33) 에 의해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때 제어부재 (31) 로 위치결정암 (51 과 52) 이 구동되어 디스크 가 센터링되고, 제어부재 (31) 로 턴테이블 (23) 이 들어올려져 디스크가 클램프된다. 배출시에는 모터 (38) 로 제어부재 (31) 가 X1 방향으로 되돌아오고, 클램프가 해제되어, 이동부재 (7) 의 반동력으로 카트리지 등이 배출된다. 모터 (38) 는 제어부재 (31) 를 구동하고 있는 것뿐이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Description

디스크장치
본 발명은 디스크가 수납된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에 수납되지 않은 단체 (單體) 디스크가 삽입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성의 간략화와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기록 또는 광자기기록 또는 상 (相) 변화 기록방식의 기록매체로서는,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Da) 가 카트리지 (C) 에 수납된 것, 및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에 수납되지 않은 단체디스크 (Db) 가 있다.
우선, 도 7(b) 에 나타내는 단체디스크 (Db) 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로서는, 장치 전방에 돌출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트레이에 디스크 (Db) 가 설치된 후에 트레이가 장치내에 인입되어, 디스크 (Db) 가 구동유닛의 턴테이블에 클램프되는 것이 있다.
또 차량 탑재용의 CD 플레이어 등에서는, 삽입구의 내측에 이송롤러가 형성되고,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 (Db) 가 이 이송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장치내에 인입되어 디스크 (Db) 의 중심부가 턴테이블에 설치되고, 또 재생 등이 완료된 디스크 (Db) 가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삽입구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다음에, 도 7(a) 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C) 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로서는, 카트리지 (C) 가 손으로 눌려져 장치내에 삽입되어, 카트리지 (C) 내의 디스크 (Da) 가 턴테이블에 설치되고, 또 배출시에는, 장치 외부에 형성된 배출레버 등을 손으로 조작하여, 이 배출레버의 조작력으로 카트리지 (C) 가 장치내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있다.
또, 카트리지 (C) 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로서, 카트리지 (C) 가 삽입되었을 때, 인입부재가 카트리지 (C) 에 걸리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 카트리지가 장치내에 인입되고, 또 재생 등이 완료되면, 카트리지 (C) 가 상기 인입부재의 역방향으로의 동작력으로 배출되는 것이 있다.
우선, 도 7(b) 에 나타내는 단체디스크 (Db) 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에서, 장치 전방으로 트레이가 돌출하는 구조는, 트레이가 돌출하는 만큼만 장치의 전방에 동작스페이스를 만들어야하며, 예를 들면 컴퓨터용에서는 보드 또는 마우스가 돌출하는 트레이의 방해가 된다. 또 장치내에 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는 만큼의 용적을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된다. 한편, 이송롤러에 의해 단체디스크 (Db) 가 인입되고 배출되는 것은, 이송롤러를 형성하는 만큼 장치가 복잡하고 대형화된다.
또한, 단체디스크 (Db) 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에서는, 그 취급에 신중을 요하기 때문에, 손으로 단체디스크를 삽입하고 또 배출레버 등의 힘으로 디스크를 배출하는 수동방식 (매뉴얼 방식) 의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오토로딩방식을 채용하지 않을 수 없어,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다음에, 도 7(a) 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C) 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에서는, 오토로딩방식으로 하면, 인입부재를 카트리지 (C) 의 오목부 (C1) 를 걸어 장치 내측으로 인입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인입부재를 오목부 (C1) 에 확실하게 걸리게 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를 채용해야만 한다. 또 삽입되는 카트리지 (C)의 양측방에 상기 인입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폭 치수가 커진다.
한편, 카트리지 (C) 를 손의 힘으로 삽입하고, 배출레버 등을 조작하는 힘으로 카트리지 (C) 를 배출하는 매뉴얼방식의 디스크장치에서는, 상기 배출레버 등의 조작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하고, 또한 충분한 배출스트로크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장치내의 기구가 매우 복잡해진다.
또한, 도 7(a) 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C) 와 도 7(b) 에 나타내는 단체디스크 쌍방이 장전 가능한 디스크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손의 힘으로 삽입하고 또 손의 힘으로 배출하는 매뉴얼방식, 동력에 의해 삽입 및 배출을 행하는 오토로딩방식 중 어떤 것 이라도, 카트리지 (C) 와 디스크 (Db) 의 크기가 상이하여, 장치내로의 삽입측단부의 이동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카트리지 (C) 와 디스크 (Db) 의 쌍방을 확실하게 삽입시키고, 또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간단한 기구로 카트리지 (C) 또는 단체디스크를 삽압할 수 있고, 또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와 박형화가 가능한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카트리지와 단체디스크 쌍방이 삽입되는 구조라도, 카트리지 및 디스크를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고, 또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a) 는 디스크장치의 주로 상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 는 디스크장치의 측면도.
도 3(a) 는 디스크장치의 주로 하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b) 는 디스크장치의 측면도.
도 4(a), 도 4(b) 는 로크해제부재의 회동동작을 회동각도별로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5 는 로크해제부재가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6(a), 도 6(b) 는 제어부재에 의해 위치결정암이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별 부분평면도.
도 7(a) 는 디스크가 수납된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 는 단체디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하반부 B : 상반부
C : 카트리지 Da, Db : 디스크
1 : 케이스 2 : 하부케이스
3 : 상부케이스 4 : 삽입구
5 : 클램퍼 6 : 가이드
7 : 이동부재 10 : 가압풀리
11 : 소경풀리 12 : 가압와이어
13 : 배출스프링 (가압부재) 14 : 와이어
15 : 안내부재 20 : 디스크 구동유닛
21 : 유닛섀시 22 : 스핀들 모터
23 : 턴테이블 31, 32 : 제어부재
31b, 32b : 랙 31d : 걸림부
33, 34 : 코일스프링 35, 36 : 기어
41 : 로크해제부재 41a : 끼워맞춤용 홈
44 : 로크핀 (로크부재) 51, 52 : 위치결정암
53, 54 : 위치결정핀 (위치결정부재)
57 : 연동레버 57e : 규제부
57b, 57d : 랙 58 : 규제핀
본 발명은 디스크 (Da) 가 수납된 카트리지 (C) 또는 카트리지 (C) 에 수납되지 않은 단체디스크 (Db) 중 적어도 하나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삽입구 (4) 로부터 삽입되는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의 누르는 힘에 의해 장치 내측 (X1 방향) 을 향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재 (7) 와, 상기 이동부재 (7) 를 삽입구 (4) 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 (13) 와, 삽입된 카트리지내의 디스크 또는 단체디스크의 중심부를 협지하는 턴테이블 (23) 및 클램퍼 (5) 와,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 (23) 및 클램퍼 (5) 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 (53, 54) 와,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가 삽입될 때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때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부재 (53, 54) 를 위치결정방향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턴테이블 (23) 또는 클램퍼 (5) 를 클램프방향으로 구동하는 제어부재 (31) 와, 디스크의 구동완료후에, 상기 제어부재 (31) 를 상기 소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복원모터 (38) 가 설치되고, 상기 복원모터 (38) 에 의해 제어부재 (31) 가 초기위치로 되돌아올 때 상기 위치결정부재 (53, 54) 에 의한 위치결정이 해제되고 또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 (7) 에 의해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제어부재 (31) 를 상기 소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33) 과, 제어부재 (31) 를 상기 스프링 (33)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초기위치에 유지하는 로크부재 (44) 가 형성되고,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의 직접 이동력에 의해서, 혹은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에 눌려져 장치 내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 (7) 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로크부재 (44) 에 의한 제어부재 (31) 의 로크가 해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로크부재 (44) 를 로크해제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로크해제부재 (41) 가 형성되고, 이동부재 (7) 가 장치 내측의 소정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이 이동부재 (7) 에 의해 상기 로크해제부재 (41) 가 로크해제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로크부재 (44) 에 의한 제어부재 (31) 의 로크가 해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 (31) 에 랙 (31b) 이 형성되고, 복원모터 (38) 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 (35) 가 이 랙 (31b) 에 맞물려 있어, 스프링 (33) 의 탄성력으로 제어부재 (31) 가 소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복원모터 (38) 로의 통전이 끊겨, 상기 제어부재 (31) 는 복원모터 (38) 의 통전부하가 부여되는 일 없이 상기 스프링 (33) 의 탄성력으로 상기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부재 (31) 가 스프링 (33) 의 가압력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로크부재 (44) 의 로크가 해제되면 스프링 (33) 의 힘으로 제어부재 (31) 가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제어부재 (31) 가 스프링의 힘이 아니고 카트리지 (C) 또는 단체디스크 (Cb) 가 삽입될 때의 누르는 힘에 의해 이동되고, 또는 이동부재 (7) 에 눌려서 이동되며, 이 때의 제어부재 (31) 의 이동력에 의해, 위치결정동작 및 클램프동작이 행해지는 것이여도 좋다. 즉, 제어부재 (31) 는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의 삽입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되고, 혹은 삽입에 수반되는 로크해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또, 디스크를 클램프할 때, 턴테이블 (23) 이 클램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어도 좋으며, 반대로 클램퍼 (5) 가 클램프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가 삽입될 때는, 그 삽입에 수반되는 제어부재 (31) 의 동작에 의해, 위치결정동작 및 클램프동작이 행해지고, 배출은 제어부재 (31) 를 복원모터 (38) 로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모터의 동력은 제어부재 (31) 에만 전달하면 되므로, 기구가 간단하고, 또 장치의 소형화와 박형화가 가능하다. 게다가 배출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이동부재 (7) 의 장치 내측으로의 이동력에 의해서, 제어부재 (31) 의 로크가 해제되고, 제어부재 (31) 가 스프링 (33) 에 의해 이동되는 구조로 하면, 카트리지 (C) 와 단체디스크 (Db) 의 쌍방이 장전되는 디스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 (C) 또는 단체디스크 (Db) 가 삽입되었을 때, 단순히 제어부재 (31) 의 로크를 해제하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카트리지 (C) 의 선단 (先端) 과 디스크 (Db) 의 선단의 장치 내측으로의 이동위치가 상이해도, 제어부재 (31) 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제어부재의 로크해제는,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의 이동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행해져도 좋다. 즉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에 의해 로크해제부재 (41) 가 눌려 동작하여, 로크부재 (44) 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어도 좋다.
또,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의 삽입시에, 복원모터 (38) 를 통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면, 제어부재 (31) 가 스프링 (33) 의 힘으로 동작할 때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 는 디스크장치의 주로 상반부 (B) 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 는 디스크장치의 측면도, 도 3(a) 는 디스크장치의 주로 하반부 (A) 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b) 는 디스크장치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6 은 부분적인 동작설명도이다.
이 디스크장치는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디스크 (Da) 가 수납된 카트리지 (C) 및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에 수납되지 않은 단체디스크 (Db) 의 쌍방이 장전 가능하다. 카트리지 (C) 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 (Da) 및 단체의 디스크 (Db) 는, 예를 들면 파워 디스크 (PD),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DVD), CD-ROM 등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크장치는 하반부 (A) 와 상반부 (B) 로 구성되어 있다. 하반부 (A) 와 상반부 (B) 가 조합된 디스크장치는, 도 2(b)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형이다.
이 디스크장치의 케이스 (1) 는 하반부 (A) 의 하부케이스 (2) 와, 상반부 (b) 의 상부케이스 (3) 로 분할되어 있다. 하부케이스 (2) 와 상부케이스 (3) 가 조합되면, 도 2(b)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박형의 상자형의 케이스 (1) 가 되고, 도시 좌측에 삽입구 (4) 가 개구된다. 도 7(a) 에 나타낸 카트리지 (C) 또는 도 7(b) 에 나타내는 디스크 (Db) 는 삽입구 (4) 로부터 케이스 (1) 내로 X1 방향으로 삽입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 (3) 의 천정판 (3a) 에는, 클램퍼 (5) 가 축 (5a)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 축 (5a) 및 클램퍼 (5) 는, 판스프링 (도시 생략) 에 의해, 하부케이스 (2) 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져 있다.
상반부 (B) 의 상부케이스 (3) 의 천정판 (3a) 에는, 가이드 (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6) 는 긴 구멍형상이며, 삽입구 (4) 측에서는, 카트리지 (C) 등의 삽입방향인 X1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Y1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져 신장되는 경사가이드부 (6a) 와, 이 경사가이드부 (6a) 에 연속하며 또한 상기 X1 방향으로 평행하게 신장되는 직선가이드부 (6b) 를 갖고 있다. 상기 가이드 (6) 에는, 개방·배출부재가 되는 핀형의 이동부재 (7) 가 삽입되고, 이 이동부재 (7) 는 상기 가이드 (6) 의 긴 구멍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 (3) 의 천정판 (3a) 의 하면에는, 소풀리 (9a, 9b, 9c)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부케이스 (3) 의 X1 방향의 단부에서 그리고 Y2 방향의 단부에서의 각부에, 가압풀리 (10)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소풀리 (9a, 9b, 9c) 에는 와이어 (14) 가 걸리고, 이 와이어 (14) 는 가압풀리 (10) 에 감겨지고, 가압풀리 (10) 의 회전에 와이어 (14) 의 주회 (周回) 가 추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7) 는 이 와이어 (14) 중의 1 곳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풀리 (10) 에는 소경풀리 (11)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소경풀리 (11) 에는 가압와이어 (13) 의 일단 (一端) 이 고정되고 또 이 가압와이어 (12) 가 소경풀리 (11) 에 감겨있다. 이 가압와이어 (12) 의 타단 (他端) 과 상부케이스 (3) 의 사이에는 가압부재로서 배출스프링 (13) 이 걸려있다. 이 배출스프링 (13) 의 수축력에 의해 가압와이어 (12) 가 당겨지고, 소경풀리 (11) 및 이것과 일체인 가압풀리 (10) 가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와이어 (14) 는 시계방향으로 주회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으며, 와이어 (14) 에 고정되어 있는 이동부재 (7) 는 가이드 (6) 의 삽입구 (4) 측의 단부에 눌려져 있다.
상기 소경풀리 (11) 에 대하여 배출스프링 (13) 의 인장탄성력에 의한 시계방향의 가압토크가 부여되고, 또, 와이어 (14) 는 대경의 가압풀리 (10) 에 감겨있다. 이에 의해, 가압풀리 (10) 와 소경풀리 (11) 과의 지름의 차에 의해, 이동부재 (7) 의 가이드 (6) 를 따르는 이동거리가 긴 것에 대하여, 배출스프링 (13) 의 신축치수는 짧아진다. 따라서, 이동부재 (7) 의 이동거리에 비하여 짧은 배출스프링 (13) 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스프링 (13) 을 상부케이스 (3) 의 폭방향 (Y 방향) 으로 신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배출스프링 (13) 이 가압와이어 (12) 에 부여하는 장력 (T1) 에 대하여, 가압풀리 (10) 가 와이어 (14) 에 부여하는 장력 (T2) 이 작아지므로, 카트리지 (C) 또는 단체의 디스크 (Db) 가 삽입구 (4) 로부터 삽입되고, 이들에 의해 이동부재 (7) 가 X1 방향으로 밀려들어갈 때 이동부재 (7) 로부터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에 부여되는 저항력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를 삽입구 (4) 또는 케이스 (1) 내로 가벼운 힘으로 밀어넣을 수가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반부 (A) 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 (2) 의 양측판 (2b, 2b) 의 내측에는 안내부재 (15) 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한쪽의 측판 (2b) 에 고정된 안내부재 (15) 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 안내부재 (15) 는 마찰계수가 작은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부재 (15) 는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안내벽 (15a) 과,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측부안내벽 (15b)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기 하부안내벽 (15a) 은, 하부케이스 (2) 의 측판 (2b) 의 높이방향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 (4) 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는 상기 안내부재 (15) 에 의해 케이스 (1) 내의 상방의 영역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 (2) 의 바닥판 (2a) 상에는, 디스크 구동유닛 (20) 의 유닛섀시 (2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섀시 (21) 는 판금재료로 ⊃ 자 형상으로 휨성형된 것이며, 삽입구 (4) 측의 단부에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박형의 스핀들 모터 (22) 가 고정되고, 이 스핀들 모터 (22) 의 회전축 (22a) 에 턴테이블 (23) 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 (3) 의 천정판 (3a) 의 아래에 형성된 클램퍼 (5) 는 턴테이블 (23) 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 유닛섀시 (21) 에는 광헤드 (24) 가 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광헤드 (24) 에는 대물렌즈 (24a) 가 설치되어 있다. 유닛섀시 (21) 상에는, 광헤드 (24) 를 상기 X1-X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렛모터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유닛섀시 (21) 의 양측판 (21b, 21b) 의 장치 내측 (X1측) 에는, 지지축 (25) 이 삽입되어 있다. 하부케이스 (2) 의 바닥판 (2a) 에는 지지편 (2c) 이 잘라세워져 성형되고, 상기 지지축 (25) 은 이 지지편 (2c) 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크 구동유닛 (20) 의 유닛섀시 (21) 는, 장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지지축 (25) 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하부케이스 (2) 의 바닥판 (2a) 상에는, 한 쌍의 판형의 제어부재 (31 과 32) 가 형성되고, 각각이 X1-X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쪽의 제어부재 (31) 와, 하부케이스 (2) 의 바닥판 (2a) 으로부터 잘라세워진 스프링걸림편 (2d) 과의 사이에는 가압부재로서 코일스프링 (33) 이 걸려있으며, 이 코일스프링 (33) 에 의해 제어부재 (31) 가 X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어부재 (32) 와, 하부케이스 (2) 의 바닥판 (2a) 으로부터의 잘라세워진 스프링걸림편 (2e) 과의 사이에도 가압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 (34) 이 걸려 있고, 제어부재 (32) 는 X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한 쪽의 제어부재 (31) 에는 수직으로 일어서는 벤딩편 (31a) 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벤딩편 (31a) 의 X1 측의 가장자리에는 랙 (31b) 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어부재 (32) 에도 수직으로 일어서는 벤딩편 (32a) 이 형성되고, 이 벤딩편 (32a) 의 윗변의 X1 측의 단부에 랙 (32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 (2) 내의 X1 측의 단부에는,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축 (37)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축 (37) 은 하부케이스 (2) 에 지지되어 있는 것인데, 그 지지기구는 생략한다. 축 (37) 의 일단에는 기어 (35) 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기어 (36) 가 고정되어 있다. 기어 (35) 는 한 쪽의 제어부재 (31) 의 랙 (31b) 과 맞물리고, 기어 (36) 는 다른쪽의 제어부재 (32) 의 랙 (32b) 에 맞물려 있다. 한 쌍의 제어부재 (31 과 32) 는 기어 (35, 36) 및 축 (37)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재 (31 과 32) 는 X1-X2 방향으로 동기하여 함께 이동한다.
하부케이스 (2) 의 X1 방향의 내측에는, 복원모터 (38) 가 설치되고, 이 복원모터 (38) 의 출력축에 형성된 기어는 상기 기어 (36) 에 맞물려 있다. 복원모터 (38) 에 통전되어 있지 않을 때는, 한 쌍의 제어부재 (31 과 32) 가 상기 복원모터 (38) 의 부하에 관계없이, 코일스프링 (33 과 34) 의 탄성력에 의해 X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복원모터 (38) 에 통전되면, 기어 (36 및 35) 가 구동되고, 랙 (31b 와 32b) 으로 이동력이 전달되어, 각 제어부재 (31 과 32) 가 X1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재 (31) 의 벤딩편 (31a) 에는, 디스크 구동유닛 (20) 을 클램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동부로서 크랭크형상의 구동공 (31c) 이 형성되고, 제어부재 (32) 의 벤딩편 (32a) 에도 똑같이 구동부로서의 크랭크형상의 구동공 (32c)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닛섀시 (21) 의 양측판 (21b, 21b) 에는, 핀 (39, 39) 이 고정되고, 각 핀 (39, 39) 은 각각 구동공 (31c 과 32c) 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1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재 (31 과 32) 가 X1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면, 상기 구동공 (31c 와 32c) 에 의해 핀 (39, 39) 이 하강되며, 유닛섀시 (21) 가 상기 지지축 (25, 25) 을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동하고, 턴테이블 (23) 이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의 삽입안내 영역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어부재 (31 과 32) 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크랭크형상의 구동공 (31c 와 32c) 으로 핀 (39, 39) 이 들어올려지고, 도 2(b)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섀시 (21) 가 상방으로 회동하고,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로 디스크를 협지 가능하게 된다.
하부케이스 (2) 의 X1 측과 Y1 층의 각부에는, 로크해제부재 (로크해제암 ; 41) 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해제부재 (41) 의 기단부는 지지축 (42)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 (42) 의 외주에는 토션스프링의 로크스프링 (43) 이 형성되어 있어, 이 로크스프링 (43) 에 의해, 로크해제부재 (41) 는 도 3(a) 에 나타내는 평면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 (도3(a) 에서 실선 ① 로 나타내는 방향) 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로크해제부재 (41) 의 선부에는 끼워맞춤용 홈 (41a) 이 형성되어 있고,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6) 를 슬라이딩하는 이동부재 (7) 가 장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재 (7) 는 이 끼워맞춤용 홈 (41a) 에 끼워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부재 (41) 의 기단부에는, 바닥판 (2a) 의 방향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41b) 가 형성되고, 벤딩부 (41b) 의 하단은 바닥판 (2a) 과 평행한 방향으로 벤딩된 로크부 (41c) 가 되어 있다. 이 로크부 (41c) 의 선단에 바닥판 (2a) 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로크부재로서의 로크핀 (44) 이 고정되어 있다.
도 4(a), 도4(b)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재 (31) 의 X1 측의 단부에는 걸림부 (31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 (31d) 는 제 1 단의 걸림부 (31d1) 와 제 2 단의 걸림부 (31d2) 로 이루어진다. 제 2 단의 걸림부 (31d2) 는 경사변이다.
로크해제부재 (41) 가 도 3(a) 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① 의 자세로 회동하고 있을 때,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핀 (44) 이 제 1 단의 걸림부 (31d1) 에 걸리고, 제어부재 (31) 는 X1 측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로크되어 있다. 삽입구 (4) 로부터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가 삽입되고, 이 카트리지 (C) 또는 디스크 (Db) 에 의해 이동부재 (7) 가 장치 내측 (X1 방향) 으로 눌려져가면, ① 의 자세의 로크해제부재 (41) 의 끼워맞춤용 홈 (41a) 에 이동부재 (7) 가 들어가기 시작한다. 또한 이동부재 (7) 가 장치 내측 (X1 방향) 으로 눌리면, 이동부재 (7) 에 의해 로크해제부재 (41) 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로크해제부재 (41) 가 도 3(a) 에 나타내는 ② 의 위치까지 회동하면,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핀 (44) 이 제 2 단의 걸림부 (31d2) 에 걸린다. 그 후에 코일스프링 (33) 의 탄성력으로 제어부재 (31) 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경사진 상기 제 2 단의 걸림부 (31d2) 에, 로크핀 (44) 이 안내되고, 로크해제부재 (41) 는 ② 의 위치보다도 더욱 시계방향으로 조금 회동한다.
디스크 (Db) 가 삽입되었을 때는, 로크해제부재 (41) 가 ② 의 위치까지 회동하고, 다시 상기와 같이 ② 의 위치보다도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카트리지 (C) 가 삽입되었을 때는, 이동부재 (7) 가 가이드 (6) 의 X1 측의 종단까지 밀어넣어져, 로크해제부재 (41) 는 ③ 의 위치까지 회동된다. 도 5 는 로크해제부재 (41) 가 ③ 의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케이스 (2) 의 삽입구 (4) 측에서는, Y1 방향과 Y2 방향의 양측부에 한 쌍의 위치결정암 (51, 5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암 (51 과 52) 의 선단부에는 상방으로 신장하는 위치결정핀 (위치결정부재 ; 53 과 54) 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위치결정암 (51 과 52) 의 기단부는, 하부케이스 (2) 의 바닥판 (2a) 에 고정된 지지축 (55 와 56)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암 (51 과 52) 의 사이에는, Y1-Y2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연동레버 (5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동레버 (57) 와, 바닥판 (2a) 으로부터 잘라세워진 지지편 (2f) 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한 연동스프링 (59) 이 설치되고, 이 연동스프링 (59) 에 의해, 연동레버 (57) 가 Y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동레버 (57) 의 Y1 측의 단부에는 각구멍 (57a) 이 개구되고, 상기 위치결정암 (51) 의 기단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 (55) 은, 이 각구멍 (57A)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각구멍 (57a) 의 X2 측의 가장자리에는 랙 (57b)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암 (51) 의 기단에서 지지축 (55) 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고정된 기어 (51a) 와 상기 랙 (57b) 이 맞물려 있다. 연동레버 (57) 의 Y2 측의 단부에도 각구멍 (57c) 이 개구되어 있고, 위치결정암 (52) 의 기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 (56) 은, 이 각구멍 (57c)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각구멍 (57c) 에서는, 상기 각구멍 (57a) 과 반대측의 X1 측의 가장자리에 랙 (57d) 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암 (52) 의 기부에는 지지축 (56) 을 중심으로 하는 기어 (52a) 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이 기어 (52a) 가 랙 (57d) 과 맞물려 있다.
연동레버 (57) 가 Y1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면, 랙 (57b) 과 기어 (51a) 의 맞물림, 및 랙 (57b) 과 기어 (52a) 의 맞물림에 의해서, 위치결정암 (51) 이 반시계방향으로, 위치결정암 (52) 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결정핀 (53 과 54) 이 서로 떨어진다. 또, 연동레버 (57) 가 Y2 방향으로 이동하면, 위치결정암 (51) 이 시계방향으로, 위치결정암 (52) 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결정핀 (53 과 54) 이 서로 근접한다.
도 6(a),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동레버 (57) 의 Y1 측에서의 가장자리에는, 규제부 (57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 (57e) 는, V 자형의 골짜기부 (57e1), 경사부 (57e2) 및 X1-X2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부 (57e3) 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재 (31) 의 X2 측의 단부에는 바닥판 (2a) 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규제핀 (58) 이 형성되고, 이 규제핀 (58) 이 상기 규제부 (57e) 에 걸어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a) 는, 제어부재 (31) 가 X1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이며, 이 때 규제핀 (58) 은 규제부 (57e) 의 골짜기부 (57e1) 에 끼워맞추어지고, 연동레버 (57) 가 Y1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지되어 있다. 이 때의 위치결정암 (51 과 52) 의 회동위치는 ④ 이다. 제어부재 (31) 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핀 (58) 이 경사부 (57e2) 를 슬라이딩하여 직선부 (57e3) 와의 경계점에 도달한다. 이 때 연동레버 (57) 는 연동스프링 (59) 의 가압력에 의해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위치결정암 (51 과 52) 의 회동위치는 ⑤ 이다. 도 6(b) 에서 다시 제어부재 (31) 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규제핀 (58) 은 직선부 (57e3) 를 슬라이딩하고, 연동레버 (57) 의 위치 및 각 위치결정암 (51 과 52) 의 회동 자세는 도 6(b) 인 채로 변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디스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디스크장치에는,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디스크 (Da) 가 수납된 카트리지 (C), 및 도 7(b) 에 나타내는 단체디스크 (Db) 쌍방이 장전 가능하다. 상기 디스크 (Da 와 Db) 는 모두 직경 및 중심공 (D1) 의 내경치수가 동일하다.
도 7(a) 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C) 는 삽입방향인 X1 측의 단부에 Y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셔터 (S)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셔터 (S) 는 개폐방향 (Y2 방향) 으로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다. 셔터 (S) 를 Y1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카트리지 (C) 에 창이 개구되고, 이 창으로부터 디스크 (D) 의 중심공 (D1) 과 디스크면이 나타난다.
(대기상태)
대기상태에는, 상부케이스 (3) 에 형성된 이동부재 (7) 가 가이드 (6) 의 X2 측의 단부의 ⑦ 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다. 이 이동부재 (7) 에는 배출스프링 (13) 의 탄성력에 의해 X2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되고 있다.
제어부재 (31 과 32) 는, 기어 (35 와 36) 및 축 (37) 에 의해 연결되고, 동기하여 동작하는데, 초기상태에는 양 제어부재 (31 과 32) 가 X1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 로크해제부재 (41) 는 로크스프링 (43) 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① 의 자세로 회동하고 있다. 그리고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부재 (41) 의 기단부에 형성된 로크핀 (44) 이 제어부재 (31) 에 형성된 걸림부 (31d) 의 제 1 단의 걸림부 (31d1) 에 걸리고, 제어부재 (31) 가 X1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로크되어 있다.
이 때,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재 (31) 의 X2 측의 단부에 형성된 규제핀 (58) 이, 연동레버 (57) 에 형성된 규제부 (57e) 의 골짜기부 (57e1) 내에 끼워맞추어지고, 연동레버 (57) 는 연동스프링 (59) 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Y1 방향으로 당겨진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동레버 (57) 의 Y1 측에 형성된 랙 (57b) 에 의해 위치결정암 (51) 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연동레버 (57) 의 Y2 측에 형성된 랙 (57d) 에 의해 위치결정암 (52) 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양 위치결정암 (51 과 52) 은 ④ 의 위치에 있고, 각 위치결정핀 (53 과 54) 은 서로 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핀 (53, 54) 이 디스크 (Db) 또는 카트리지 (C) 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디스크장치에서는, 디스크 (Db) 또는 카트리지 (C) 가 삽입구 (4) 로부터 X1 방향으로 삽입되는데, 이 삽입시에 복원모터 (38) 에 통전되어 있지 않아, 디스크 (Db) 또는 카트리지 (C) 를 사람의 손으로 밀어넣는 매뉴얼 슬롯 인 방식이다.
(디스크 (Db) 의 장전동작)
우선 단체의 디스크 (Db) 를 삽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Db) 는 삽입구 (4) 로부터 케이스 (1) 내에 삽입되고, 하부케이스 (2) 의 내측판 (2b, 2b) 에 형성된 안내부재 (15) 의 하부안내벽 (15a) 상으로 유도된다.
디스크 (Db) 가 삽입구 (4) 가 삽입되면, 디스크 (Db) 의 선단부가 ⑦ 의 위치에 있는 이동부재 (7) 에 닿는다. 다시 손으로 디스크 (Db) 를 밀어넣으면, 디스크 (Db) 의 X1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이동부재 (7) 가 눌리고, 디스크 (Db) 의 삽입에 따라서, 이동부재 (7) 가 가이드 (6) 를 슬라이딩하여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안 와이어 (14) 가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가압풀리 (10)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압풀리 (10) 와 일체인 소경풀리 (11) 에 의해 가압와이어 (12) 가 감기고, 배출스프링 (13) 이 신장한다.
디스크 (Db) 의 X1 방향의 가장자리에 의해, 이동부재 (7) 가 도 3(a) 에 나타내는 ⑧ 의 위치까지 눌리면, 이동부재 (7) 가 ① 의 위치에 있는 로크해제부재 (41) 의 끼워맞춤용 홈 (41a) 에 들어가시 시작한다. 그대로 디스크 (Db) 가 밀려들어가 이동부재 (7) 가 ⑨ 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디스크 (Db) 의 센터링동작 및 디스크클램프동작이 연속해서 행해진다.
이동부재 (7) 가 ⑧ 의 위치로부터 X1 방향으로 밀려들어가면, 이동부재 (7) 가 감압홈 (41a) 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로크해제부재 (41) 가 디스크 (Db) 를 누르는 힘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동부재 (7) 가 ⑨ 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로크해제부재 (41) 는 ② 의 위치까지 회동한다. 이 때 도 4(a) 부터 도 4(b) 에 그 경과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부재 (41) 의 기부에 형성된 로크핀 (44) 이, 제어부재 (31) 의 걸림부 (31d) 의 제 1 단의 걸림부 (31d1) 로부터 벗어나, 제 2 단의 걸림부 (31d2) 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재 (31) 는 코일스프링 (33) 으로 당겨져 X2 방향으로 짧은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 때 복원모터 (38) 는 통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어 (35 와 36) 의 부하는 가벼워졌다. 따라서, 제어부재 (31) 의 X2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랙 (31b) 에 의해 기어 (35) 가 구동되고, 다른쪽의 기어 (36) 에 의해 제어부재 (32) 도 코일스프링 (34) 의 가압력에 의해서 함께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부재 (31) 가 도 4(a) 부터 (b) 까지 X2 방향으로 짧은 거리 이동하면, 도 6(a) 부터 도 6(b) 에 걸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재 (31) 의 X2 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규제핀 (58) 이 규제부 (57e) 의 골짜기부 (57e1) 로부터 빠져나온다. 이에 의해, 연동레버 (57) 는 연동스프링 (59) 으로 당겨져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크해제부재 (41) 가 도 4(b) 에서 ② 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동했을 때의 제어부재 (31) 의 위치는, 도 6(b) 와 일치한다. 도 6(b) 에서는, 규제핀 (58) 이 규제부 (57e) 의 경사부 (57e2) 와 직선부 (57e3) 의 경계에 위치한다. 도 6(a) 부터 도 6(b) 에 이르는 동안에 연동레버 (57) 가 연동스프링 (59) 에 의해 Y2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랙 (57b) 에 의해 위치결정암 (51) 이 시계방향으로, 랙 (57d) 에 의해 위치결정암 (52) 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양 위치결정암 (51 과 52) 이 ④ 의 위치로부터 ⑤ 의 위치로 이동한다.
양 위치결정암 (51 과 52) 이 ⑤ 의 방향으로 회동할 때, 각각의 위치결정암 (51 과 52) 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결정핀 (53 과 54) 이 서로 근접하는 힘에 의해서, 디스크 (Db) 가 X1 방향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Db) 는 ⑤ 의 위치의 위치결정핀 (53, 54) 및 ⑨ 의 위치의 이동부재 (7) 의 3 점에 의해 센터링되고, 디스크 (Db) 의 중심공 (D1) 이 턴테이블 (23) 및 클램퍼 (5) 의 중심과 거의 일치한다.
상기 디스크의 센터링이 완료되기 직전에, X2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제어부재 (31) 의 구동공 (31c) 과, 제어부재 (32) 의 구동공 (32c) 의 각각의 크랭크형상에 의해, 핀 (39, 39) 이 들어올려지고, 유닛섀시 (21) 가 지지축 (25, 25) 을 지점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디스크 (Db) 의 센터링의 완료와 거의 동시 또는 그 직후에, 디스크 (Db) 의 중심공 (D1) 이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로 협지된다.
이와 같이, 도 4(a) 및 도 6(a) 부터 도 4(b) 및 도 6(b) 에 이르는 동안에, 위치결정핀 (53, 54) 및 이동부재 (7) 로 디스크 (Db) 가 센터링되고, 다시,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로 디스크 (Db) 의 클램프가 완료된다. 단, 센터링과 클램프가 완료된 도 4(b) 의 시점에서는, 제어부재 (31) 는 코일스프링 (33) 의 인장력에 의해 다시 짧은 거리만큼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때, 도 4(b) 에 나타내는 걸림부 (31d) 가 경사진 제 2 규제부 (31d2) 에 의해, 로크해제부재 (41) 가 ② 의 위치로부터 조금만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로크해제부재 (41) 의 끼워맞춤용 홈 (41a) 에 유지된 이동부재 (7) 는 X1 방향으로 조금 이동하고, 이동부재 (7) 가 클램프된 디스크 (Db) 로부터 떨어진다.
또, 제어부재 (31) 가 도 4(b)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조금 X2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재 (31) 에 고정된 규제핀 (58) 은 규제부 (57e) 의 직선부 (57e3) 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연동레버 (57) 의 위치는 도 6(b) 와 다르지 않다. 이에 의해서, 위치결정암 (51 과 52) 은 ⑤ 의 위치 그대로이다. 디스크 (Db) 는 턴테이블 (23) 의 상승시의 센터링력을 받아 클램프되는데, 이 클램프시의 센터링기능에 의해 디스크 (Db) 의 중심과 턴테이블 (23) 의 중심이 일치하고, 이 센터링된 디스크 (Db) 의 주연부는 위치결정핀 (53, 54) 및 이동부재 (7) 의 쌍방으로부터 조금 떨어진다. 따라서, 디스크 (Db) 는 위치결정핀 (53, 54) 에 닿지 않으며, 또한 이동부재 (7) 에도 닿지 않고 스핀들 모터 (22) 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광헤드 (24) 에 의해 디스크 (Db) 에 기록된 신호의 리드가 실행된다.
(카트리지 (C) 의 장전동작)
다음에, 도 7(a) 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C) 가 삽입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트리지 (C) 가 삽입구 (4) 에 삽입된 직후에, 도 2(a) 에서 ⑦ 의 위치에 있는 이동부재 (7) 가 셔터 (S) 의 단부 (S1) 에 끼워맞추어진다. 그대로 손의 힘으로 카트리지 (C) 가 삽입되면, 이동부재 (7) 가 눌려 가이드 (6) 를 따라서 이동하는데, 이동부재 (7) 가 가이드 (6) 의 경사가이드부 (6a) 를 이동할 때, 이동부재 (7) 의 Y1 방향으로의 이동분력에 의해 셔터 (S) 가 Y1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동부재 (7) 가 가이드 (6) 의 경사가이드부 (6a) 와 직선가이드부 (6b) 와의 변곡점 (6c) 에 도달한 시점에, 셔터 (S) 가 완전히 개방된다. 그 후, 카트리지 (C) 가 밀려들어가면, 이동부재 (7) 가 가이드 (6) 의 직선가이드부 (6b) 를 X1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직선가이드부 (6b) 를 이동해가는 이동부재 (7) 가, 도 3(a) 에서 ⑧ 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① 의 위치에 있는 로크해제부재 (41) 의 끼워맞춤용 홈 (41a) 에 이동부재 (7) 가 끼워맞추어진다. 그리고 이동부재 (7) 의 X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로크해제부재 (41) 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카트리지 (C) 가 케이스 (1) 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이동부재 (7) 가 가이드 (6) 의 X1 측의 종단으로 이동하고, 로크해제부재 (41) 가 ③ 의 위치까지 회동한다.
카트리지 (C) 의 삽입에 수반하여, 로크해제부재 (41) 가 ① 에서 ③ 의 위치까지 회동하면, 도 4(a) 부터 도 5 까지 그 과정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부재 (41) 의 기부에 형성된 로크핀 (44) 이 제어부재 (31) 의 걸림부 (31d) 의 제 1 단의 걸림부 (31d1) 및 제 2 단의 걸림부 (31d2) 의 쌍방으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의해 로크가 해제된 제어부재 (31) 는 코일스프링 (33) 의 탄성력에 의해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어 (35, 36) 및 축 (37) 을 통하여 동기되고 있는 제어부재 (32) 도 코일스프링 (34) 의 탄성력에 의해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부재 (31 과 32) 가 X2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각각의 제어부재 (31 과 32) 에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형상의 구동공 (31c 와 32c) 으로 유닛섀시 (21) 가 들어올려지고,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로, 카트리지 (C) 내의 디스크 (Da) 의 중심공 (D1) 을 협지 가능하게 된다.
또 제어부재 (31) 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재 (31) 의 X2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규제핀 (58) 이 연동레버 (57) 의 규제부 (57e) 의 골짜기부 (57e1) 로부터 빠져나와, 연동레버 (57) 는 연동스프링 (59) 의 가압력으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연동레버 (57) 에 형성된 랙 (57b) 에 의해 위치결정암 (51) 이 시계방향으로, 또 랙 (57b) 에 의해 위치결정암 (52) 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위치결정핀 (53 과 54) 이, 카트리지 (C) 의 양 측부에 닿는다. 이 때의 위치결정핀 (53, 54) 은 연동스프링 (59) 의 탄성력으로 카트리지 (C) 에 탄압된다.
카트리지 (C) 가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위치결정암 (51 과 52) 이 ⑥ 의 위치로 회동하고, 위치결정핀 (53 과 54) 이 카트리지 (C) 의 양 측부의 오목부 (C1, C1) 내에 끼워맞추어져, 카트리지 (C) 가 위치결정되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 (C) 가 위치결정 유지된 시점에, 이동부재 (7) 에 의해 셔터 (S) 가 이미 개방되어 있으며, 셔터 (S) 가 개방되어 노출된 디스크 (Da) 의 중심공 (D1) 이,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로 클램프된다. 그리고, 광헤드 (24) 에 의해 재생동작이 행해진다.
(배출동작)
이 디스크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디스크 (Db) 또는 카트리지 (C) 가 손으로 삽입되는데, 배출동작은 복원모터 (38) 의 동력에 의해 행해진다.
도시하지 않은 배출조작버튼이 눌려지면, 복원모터 (38) 에 통전되고, 그 회전출력에 의해 기어 (35 와 36) 가 시동되고, 그 회전력이 랙 (31b 와 32b) 에 도달되어, 제어부재 (31 와 32) 가 X1 방향으로 구동된다.
제어부재 (31) 가 X1 방향으로 구동되면, 제어부재 (31) 의 X2 측의 단부에 형성된 규제핀 (58) 이 도 6(a) 에 나타내는 규제부 (57e) 의 경사부 (57e2) 를 X1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연동레버 (57) 가 Y1 방향으로 되돌아오고, 규제핀 (58) 이 골짜기부 (57e) 에 끼워맞추어져 연동레버 (57) 가 유지된다.
연동레버 (57) 가 Y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위치결정암 (51) 이 반시계방향으로, 위치결정암 (52) 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결정핀 (53 과 54) 이 디스크 (Db) 또는 카트리지 (C) 로부터 떨어져, 디스크 (Db) 또는 카트리지 (C) 의 위치결정 유지가 해제된다. 또 구동공 (31c 와 32c) 으로 유닛섀시 (21) 가 하강되고,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에 의한 디스크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따라서, 도 2(a) 에 나타내는 배출스프링 (13) 의 인장탄성력에 의한 이동부재 (7) 의 X2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디스크 (Db) 또는 카트리지 (C) 가 삽입구 (4) 로부터 압출된다. 이동부재 (7) 가 X1 방향의 종단부터 ⑧ 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로크해제부재 (41)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로크해제부재 (41) 가 ① 의 위치로 회동할 때까지의 동안에, 제어부재 (31) 는 X1 방향으로 복귀되어 있으며,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① 의 위치에 회동한 로크해제부재 (41) 의 기부의 로크핀 (44) 이 제 1 단의 걸림부 (31d1) 에 끼워맞추어지고, 제어부재 (31) 가 X1 방향으로 이동한 초기위치에서 로크되고, 이 때 복원모터 (38) 가 정지된다.
또 카트리지 (C) 의 경우에는, 삽입구 (4) 로부터 배출된 시점에, 이동부재 (7) 가 ⑦ 의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서 셔터 (S) 가 폐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가 삽입될 때는, 이에 수반되는 제어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의 위치결정 또는 유지가 행해지고, 배출시에는, 복원모터로 제어부재를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복원모터의 동력을 제어부재에 대하여 부여하면 되므로, 기구가 간단하다.
특히,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어부재의 로크가 해제되어 제어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이동되는 구조로 하면, 카트리지와 디스크가 병용되는 장치를 구성했을 때, 카트리지와 디스크 중 어느 것에 의해서라도 상기 로크를 해제하여, 제어부재를 시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디스크 (Da) 가 수납된 카트리지 (C) 또는 카트리지 (C) 에 수납되지 않은 단체디스크 (Db) 중 적어도 하나가 장전되는 디스크장치로서, 삽입구 (4) 로부터 삽입되는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의 누르는 힘에 의해 장치 내측 (X1 방향) 을 향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재 (7) 와, 상기 이동부재 (7) 를 삽입구 (4) 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 (13) 와, 삽입된 카트리지내의 디스크 또는 단체디스크의 중심부를 협지하는 턴테이블 (23) 및 클램퍼 (5) 와,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 (23) 및 클램퍼 (5) 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 (53, 54) 와,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가 삽입될 때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때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부재 (53, 54) 를 위치결정방향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턴테이블 (23) 또는 클램퍼 (5) 를 클램프방향으로 구동하는 제어부재 (31) 와, 디스크의 구동완료후에, 상기 제어부재 (31) 를 상기 소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복원모터 (38) 가 설치되고, 상기 복원모터 (38) 에 의해 제어부재 (31) 가 초기위치로 되돌아올 때 상기 위치결정부재 (53, 54) 에 의한 위치결정이 해제되고 또 턴테이블 (23) 과 클램퍼 (5) 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 (7) 에 의해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재 (31) 를 상기 소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33) 과, 제어부재 (31) 를 상기 스프링 (33)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초기위치에 유지하는 로크부재 (44) 가 형성되고, 카트리지 또는 단체디스크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로크부재 (44) 에 의한 제어부재 (31) 의 로크가 해제되는 디스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 (44) 를 로크해제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로크해제부재 (41) 가 형성되고, 이동부재 (7) 가 장치 내측의 소정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 이 이동부재 (7) 에 의해 상기 로크해제부재 (41) 가 로크해제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로크부재 (44) 에 의한 제어부재 (31) 의 로크가 해제되는 디스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부재 (31) 에 랙 (31b) 이 형성되고, 복원모터 (38) 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 (35) 가 이 랙 (31b) 에 맞물려 있어, 스프링 (33) 의 탄성력으로 제어부재 (31) 가 소정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복원모터 (38) 로의 통전이 끊겨, 상기 제어부재 (31) 는 복원모터 (38) 의 통전부하가 부여되는 일 없이 상기 스프링 (33) 의 탄성력으로 상기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크장치.
KR1019970078927A 1997-01-23 1997-12-30 디스크장치 KR100258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992997A JP3699230B2 (ja) 1997-01-23 1997-01-23 ディスク装置
JP97-9929 1997-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282A true KR19980070282A (ko) 1998-10-26
KR100258497B1 KR100258497B1 (ko) 2000-07-01

Family

ID=1173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927A KR100258497B1 (ko) 1997-01-23 1997-12-30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55708B1 (ko)
JP (1) JP3699230B2 (ko)
KR (1) KR100258497B1 (ko)
DE (1) DE69805109T2 (ko)
TW (1) TW3821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4808B2 (en) 1998-10-08 2003-01-07 Pioneer Corporation Front-loading disk player with separate first and second carrier uni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04859A (en) * 1982-12-12 1986-05-20 Nobuyuki Hara Loading apparatus for a disc
BE902262A (fr) * 1985-04-23 1985-08-16 Staar Sa Dispositif de chargement automatique de disques dans un tourne-disques.
DE3643779A1 (de) * 1986-12-20 1988-07-07 Philips Patentverwaltung Geraet zum aufnehmen und/oder wiedergeben von signalen auf informationsplatten mit einem lichtoptischen einschreibe- und/oder ausleseaggregat (auto-cd-spieler)
JPH0520759A (ja) * 1991-04-19 1993-01-29 Sony Corp デイスクドライブ装置
JP2897457B2 (ja) * 1991-06-10 1999-05-3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3107453B2 (ja) * 1992-04-27 2000-11-06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Md検知機構、mdシャッター開閉機構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cd/md両用ディスクプレーヤー
JP3106874B2 (ja) * 1993-09-29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円盤記録再生装置
JPH0855449A (ja) * 1994-08-11 1996-02-27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99230B2 (ja) 2005-09-28
EP0855708A1 (en) 1998-07-29
TW382121B (en) 2000-02-11
KR100258497B1 (ko) 2000-07-01
EP0855708B1 (en) 2002-05-02
JPH10208348A (ja) 1998-08-07
DE69805109D1 (de) 2002-06-06
DE69805109T2 (de)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834B2 (en) Disc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654582B2 (ja) デイスクプレ−ヤのオ−トチエンジヤ−装置
JP3667140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KR100258497B1 (ko) 디스크장치
KR100258232B1 (ko) 디스크장치
JP3540399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267586B1 (ko) 디스크장치
JPH11162068A (ja) ディスク装置
JPH04370563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JPH0438660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438676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51791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727171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3675654B2 (ja) ディスク装置
JPH0438662A (ja) チェンジャ方式ディスクプレーヤにおいて用いられるディスクキャリッジ
JP2990931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051006Y2 (ko)
JP2527225Y2 (ja) マガジン収納式ディスクプレーヤ
JP354355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991834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012345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6111447A (ja) 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17121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10188426A (ja) ディスク装置
JPH0714281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