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05U -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05U
KR19980064605U KR2019970009304U KR19970009304U KR19980064605U KR 19980064605 U KR19980064605 U KR 19980064605U KR 2019970009304 U KR2019970009304 U KR 2019970009304U KR 19970009304 U KR19970009304 U KR 19970009304U KR 19980064605 U KR19980064605 U KR 199800646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terminal
side airbag
plate
terminal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09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605U/ko
Publication of KR19980064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05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패널이 차체에 결합되는 충격 또는 미세한 충격에 의하여 사이드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망하는 사이드 에어백의 기능을 충실히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외측패널(42)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극을 갖는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돌출구성된 플레이트(54)와, 임팩트 빔(60)의 일측에 상기 도어외측패널(42)의 변형에 따라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극을 갖는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와, 도어내측패널(44)의 일측에 상기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임팩트 빔(60)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에 접촉됨에 따라 폭발하여 압축가스를 발생하는 점화수단(70)과, 상기 점화수단(70)의 일측에 점화수단(70)이 폭발됨에 따라 팽창되는 사이드 에어백(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패널이 차체에 결합되는 충격 또는 미세한 충격에 의하여 사이드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망하는 사이드 에어백의 기능을 충실히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자동차의 보급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기술적인 성능의 향상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충돌 사고시에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로 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각종 안전장치의 개발이다. 특히, 최근 차량의 고출력화 및 고속화에 추세에 따라 과속에 의한 대형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자동차에 장착되는 대표적인 안전장치를 살펴보면,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제동시에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여 조향 휠의 조작을 가능케 하는 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과, 주행 상황이나 도로 상태에 따라 전·후륜에 장착된 4개의 쇽 업소버와, 에어 스프링의 내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제공하는 전자 제어식 서스펜션(electronic control suspension)과, 조향핸들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어 전방에서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점화수단이 폭발되고, 이 폭발에 따라 에어백이 팽창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에어백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방범퍼 및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방범퍼와, 충돌사고 또는 자동차가 급정지 할 경우 관성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계속 운동하려는 힘을 구속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전면유리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벨트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충격감지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도어패널(12)과 센터지지패널(14)의 하단부분에는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6)가 장착된다. 도어패널(12)의 일측에 충격감지센서(16)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폭발하여 압축가스를 발생하는 점화수단(18)이 구비되고, 이 점화수단(18)의 일측에는 점화수단(18)이 폭발됨에 따라 팽창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20)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이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주행도중 또는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패널(12) 및 센터지지패널(14)에 충격이 전달되면 충격감지센서(16)가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출력한다. 충격감지센서(16)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점화수단(18)이 폭발되고, 이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가스는 사이드 에어백(20)내로 공급된다.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가스가 사이드 에어백(20)내로 공급됨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20)이 팽창되어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 에어백은 도어패널이 차체에 결합되는 충격 또는 미세한 충격에 의하여 사이드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어린아이들이 탑승한 상태에서 사이드 에어백이 오동작될 경우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되는 충격에 의하여 어린아이들이 부상당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패널이 차체에 결합되는 충격 또는 미세한 충격에 의하여 사이드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망하는 사이드 에어백의 기능을 충실히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충격감지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도어 42 : 도어외측패널
44 : 도어내측패널 50 : 제 1접속단자
52 : 제 2접속단자 54 : 플레이트
60 : 임팩트 빔 62 : 제 3접속단자
64 : 제 4접속단자 70 : 점화수단
72 : 사이드 에어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외측패널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극을 갖는 제 1접속단자 및 제 2접속단자가 돌출구성된 플레이트와, 임팩트 빔의 일측에 상기 도어외측패널의 변형에 따라 플레이트의 제 1접속단자 및 제 2접속단자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극을 갖는 제 3접속단자 및 제 4접속단자와, 도어내측패널의 일측에 상기 플레이트의 제 1접속단자 및 제 2접속단자가 임팩트 빔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 및 제 4접속단자에 접촉됨에 따라 폭발하여 압축가스를 발생하는 점화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의 일측에 점화수단이 폭발됨에 따라 팽창되는 사이드 에어백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점화수단이 플레이트의 제 1접속단자 및 제 2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가 임팩트 빔에 장착된 접속단자에 접촉되지 않으면 폭발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설명하면, 도어(40)는 도어외측패널(42)과 도어내측패널(44)로 구성되고, 이 도어외측패널(42)의 일측에는 +극을 갖는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돌출구성된 플레이트(54)가 고정된다. 플레이트(54)가 도어외측패널(42)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도어외측패널(42)과 도어내측패널(44)의 사이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도어(40)가 승객룸으로 칩임되는 것을 제한하는 임팩트 빔(60)이 설치되고, 이 임팩트 빔(60)의 일측에는 -극을 갖는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가 장착된다.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가 임팩트 빔(60)에 장착되는 위치는 충격에 의하여 도어외측패널(42)이 변형시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도어내측패널(44)의 일측에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임팩트 빔(60)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에 접촉됨에 따라 폭발하여 압축가스를 발생하는 점화수단(70)이 구비되고, 이 점화수단(70)은 플레이트(54)의 접속단자(50),(52)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50),(52)가 임팩트 빔(60)에 장착된 접속단자(62),(64)에 접촉되지 않으면 폭발하지 않는다. 점화수단(70)의 일측에 점화수단(70)이 폭발됨에 따라 팽창되는 사이드 에어백(7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이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주행도중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도어(40)에 충격이 전달되면 도어외측패널(42)과 임팩트 빔(60)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승객룸으로 변형된다. 충격에 의하여 도어외측패널(42)이 승객룸으로 변형시 도어외측패널(42)의 일측에 고정된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임팩트 빔(60)의 일측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에 접촉되면 도어내측패널(44)의 일측에 구비된 점화수단(70)이 폭발된다.
점화수단(70)이 폭발됨에 따라 압축가스가 사이드 에어백(72)으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72)이 승객룸으로 팽창되어 외부의 충격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즉, 도어(40)에 충격이 전달되면 도어외측패널(42) 및 도어내측패널(44)과 도어외측패널(42)과 도어내측패널(44)의 사이에 설치된 임팩트 빔(60)이 도어(40)가 승객룸으로 칩임되는 것을 제한하며, 도어외측패널(42)이 승객룸으로 칩임되는 도중 도어외측패널(42)의 일측에 고정된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임팩트 빔(60)에 일측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에 접촉되면 사이드 에어백(72)이 팽창되어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한다.
도어외측패널(42)이 승객룸으로 칩임되는 도중 도어외측패널(42)의 일측에 고정된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50),(52)가 임팩트 빔(60)에 장착된 접속단자(62),(64)에 접촉되지 않으면 사이드 에어백(72)은 팽창되지 않는다.
도어외측패널(42)의 일측에 고정된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임팩트 빔(60)의 일측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에 접촉됨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72)이 팽창됨으로 도어(40)가 차체에 결합되는 충격 또는 미세한 충격에 의하여 사이드 에어백(72)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은 도어외측패널의 일측에 고정된 플레이트의 제 1접속단자 및 제 2접속단자가 임팩트 빔의 일측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 및 제 4접속단자에 접촉됨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구성하여 도어가 차체에 결합되는 충격 또는 미세한 충격에 의하여 사이드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도어외측패널(42)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극을 갖는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돌출구성된 플레이트(54)와,
    임팩트 빔(60)의 일측에 상기 도어외측패널(42)의 변형에 따라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극을 갖는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와,
    도어내측패널(44)의 일측에 상기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가 임팩트 빔(60)에 장착된 제 3접속단자(62) 및 제 4접속단자(64)에 접촉됨에 따라 폭발하여 압축가스를 발생하는 점화수단(70)과,
    상기 점화수단(70)의 일측에 점화수단(70)이 폭발됨에 따라 팽창되는 사이드 에어백(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70)이 플레이트(54)의 제 1접속단자(50) 및 제 2접속단자(52) 중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50),(52)가 임팩트 빔(60)에 장착된 접속단자(62),(64)에 접촉되지 않으면 폭발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2019970009304U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199800646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04U KR19980064605U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04U KR19980064605U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05U true KR19980064605U (ko) 1998-11-25

Family

ID=6967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304U KR19980064605U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6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30399A (ja) 車両の衝突センサ取付構造
KR19980064605U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JP338381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作動制御装置
JPH0635830Y2 (ja) 車両の衝突センサー取付構造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00428898B1 (ko) 자동차 충돌 충격 흡수 장치
KR0164346B1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9980054039U (ko) 범퍼내의 에어백장치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19980018233U (ko) 자동차용 에어 백 장착구조
KR100189014B1 (ko) 자동차용 에어 범퍼
KR19990037595A (ko)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KR19980046868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100292111B1 (ko) 조수석에어백모듈의엔드캡
KR200223058Y1 (ko) 자동차의 완충장치
KR100224224B1 (ko) 에어 백의 가스압력 조절장치
KR200143795Y1 (ko) 차량 전복시 프리텐셔너 구동 장치
KR19990029267U (ko)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KR19990020217A (ko) 자동차용 에어 백
KR100193077B1 (ko)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19990017854U (ko) 트럭과의 충돌을 대비한 승용차의 에어백 시스템
KR19980060282A (ko) 에어백 작동용 탑승자 위치 감지장치
KR19980050981A (ko) 자동차 후방충돌시 프런트시트의 완충장치
KR19990000436U (ko) 에어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