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595A -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595A
KR19990037595A KR1019980056433A KR19980056433A KR19990037595A KR 19990037595 A KR19990037595 A KR 19990037595A KR 1019980056433 A KR1019980056433 A KR 1019980056433A KR 19980056433 A KR19980056433 A KR 19980056433A KR 19990037595 A KR19990037595 A KR 1999003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utout
injector
fram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규
Original Assignee
신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규 filed Critical 신승규
Priority to KR101998005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595A/ko
Publication of KR1999003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595A/ko
Priority to AU63709/99A priority patent/AU6370999A/en
Priority to KR1019990046960A priority patent/KR20000047559A/ko
Priority to PCT/KR1999/000643 priority patent/WO2000037288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33Arrangements for non-electric triggering of inf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등에 의하여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에어백의 폭발로 인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되는 수용공간(10)이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분에 제 1절개부(14)가 형성되며, 이 제 1절개부(14)에 소정의 내경을 갖는 안내공(1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나사공(20)이 형성되며, 상단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22)의 하단부분에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연통된 이동통로(2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 가이드홈(22)과 연통되는 힌지공(26)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 하단 부분에 제 2절개부(28)가 형성되며, 이 제 2절개부(28)에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동일축상을 갖는 대직경부(30a), 중직경부(30b), 소직경부(30c)로 이루어진 결합공(30)이 형성되고, 이 제 2절개부(28)에 형성된 결합공(30)의 하단은 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10)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결합공(30)의 중직경부(30b) 내주면에 수나사(34)가 형성된 몸체(12)와, 상기 제 2절개부(28)에 형성된 결합공(30)과 연통되도록 몸체(12)의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배출관(36)과, 상기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된 수용공간(10) 및 제 2절개부(28)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30)과 연통되도록 제 1배출관(36)이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배출관(38)과,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면 각 모서리부분에 구멍(4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날개편(44)이 상부로 돌출구성되며, 이 관통공(42)과 날개편(44)의 사이에 안착홈(48)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볼트(50)에 의하여 상기 제 1절개부(14)의 상단에 고정되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의 상단에 돌출구성된 날개편(44)과 날개편(44)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름운동되고, 상면에 일측이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슬롯(54)이 형성된 기동프레임(52)과, 상기 프레임(40)에 형성된 안착홈(48)에 삽입고정되어 기동프레임(52)이 프레임(40)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판베어링(56)과, 상기 몸체(1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20)에 삽입되어 기동프레임(52)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58)과, 상기 몸체(1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20)에 치합되어 압축코일스프링(58)이 기동프레임(52)에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조종나사(60)와, 상기 몸체(12)의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작동추(62)와, 상단에 상기 기동프레임(52)에 형성된 슬롯(54)의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편(64)이 형성되고, 하단에 작동추(62)의 상단을 타격하는 타격판(66)을 갖는 주축키(68)와, 상기 프레임(40)과 주축키(68)의 사이에 개재되어 주축키(68)를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동력스프링(70)과, 상기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연통된 이동통로(24)에 삽입되어 작동추(62)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볼(72)과, 상단이 힌지핀(74)에 의하여 상기 몸체(12)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공(2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 반구형을 형상을 갖는 밀착부(78)가 형성된 레버(76)와, 상기 결합공(30)에 형성된 수나사(34)에 치합되는 암나사(80)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84)이 형성되며, 상단에 가이드공(84)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홈(86)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에 분사기(8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부(88)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연결부(88)의 외주면에 배출공(9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분사기(82)와, 상기 분사기(82)의 중심부분에 분사기(82)에 형성된 가이드공(84)과 동일 내경을 갖는 관통공(92)이 형성되고, 하단에 분사기(82)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86)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편(96)이 돌출구성된 제 1팩킹(94)과, 상기 결합공(30)의 대직경(30a)과 분사기(82)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2팩킹(98)과, 상기 분사기(82)에 형성된 가이드공(84)과 같은 내경을 갖는 관통공(99)이 형성되고, 하단에 지지편(102)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볼 고정패드(100)와,내측에 상기 볼 고정패드(100)의 지지편(102) 외주면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결합공(30)의 중직경부(30b)와 볼 고정패드(100)의 사이에 개재된 제 3팩킹(104)과, 하단이 상기 결합공(30)의 소직경부(30c)를 통하여 수용공간(10)과 제 2배출관(38)이 연통된 부분에 밀착고정되고, 외주면에 수개의 구멍(108)이 형성된 볼 스톱퍼(106)와, 상기 볼 스톱퍼(106)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볼(110)과, 하단에 상기 가이드공(8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축(114)이 하부로 돌출구성되고, 이 연결축(114)의 하단에 자유단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누름편(116)이 구비되며, 작동추(62)의 이동에 따라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 하부로 이동되는 타격핀(112)과, 상기 제 1배출관(36)에 나사결합되고, 일측에 제 1배출관(36)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된 질소가스를 에어백으로 이송시키는 고압호스(120)가 고정된 연결관(118)과, 상기 제 2배출관(38)에 나사결합되고, 중심부분에 관통공(12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나사(122)와, 상기 가압나사(122)와 제 2배출관(38)의 사이에 개재되는 몸체(12)의 수용공간(10)에 저장된 압축된 질소가스가 외부의 온도에 의하여 기준압력 이상으로 팽창하였을 때 파손되는 박판(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파 등에 의하여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에어백의 폭발로 인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자동차의 보급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기술적인 성능의 향상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충돌 사고시에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로 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각종 안전장치의 개발이다. 특히, 최근 차량의 고출력화 및 고속화의 추세에 따라 과속에 의한 대형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자동차에 장착되는 대표적인 안전장치를 살펴보면,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제동시에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여 조향 휠의 조작을 가능케 하는 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과, 주행 상황이나 도로 상태에 따라 전·후륜에 장착된 4개의 쇽 업소버와, 에어 스프링의 내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제공하는 전자 제어식 서스펜션(electronic control suspension)과, 조향핸들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어 전방에서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점화수단이 폭발되고, 이 폭발에 따라 팽창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에어백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방범퍼 및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방범퍼와, 충돌사고 또는 자동차가 급정지 할 경우 관성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계속 운동하려는 힘을 구속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전면유리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벨트로 구분되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에어백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에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2)가 다수개 장착되어진다. 조향핸들(4)의 일측에 충격감지센서(2)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폭발하여 압축가스를 발생하는 점화수단(6)이 구비되어지고, 이 점화수단(6)의 일측에는 점화수단(6)이 폭발됨에 따라 팽창되는 에어백(8)이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이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면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2)가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게된다. 충격감지센서(2)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점화수단(6)이 폭발되고, 이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가스는 에어백(8)내로 공급되어진다.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가스가 에어백(8)내로 공급됨에 따라 에어백(8)이 팽창되어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을 이용하여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에어백은 많은 회로들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전자파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에어백이 오동작되어 운전자가 부상당하는 경우가 종종발생하였다. 특히, 운전석과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이 여성이거나 어린아이일 경우 목부위에 치명적인 상해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자파 등에 의하여 에어백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에어백의 폭발로 인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에어백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가 힌지핀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질소가스가 분사기의 가이드공을 통하여 제 1배출관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용공간 12 : 몸체
14 : 제 1절개부 18 : 안내공
20 : 나사공 22 : 가이드홈
24 : 이동통로 28 : 제 2절개부
36 : 제 1배출관 38 : 제 2배출관
40 : 프레임 44 : 날개편
52 : 기동프레임 56 : 판베어링
58 : 압축코일스프링 60 : 조종나사
62 : 작동추 68 : 주축키
70 : 동력스프링 72 : 볼
76 : 레버 82 : 분사기
84 : 가이드공 88 : 연결부
90 : 배출공 100 : 볼 고정패드
106 : 볼 스톱퍼 110 : 고정볼
112 : 타격핀 114 : 연결축
116 : 연결관 118 : 연결관
120 : 고압호스 122 : 가압낙사
1124 : 관통공 126 : 박판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분에 제 1절개부가 형성되며, 이 제 1절개부에 소정의 내경을 갖는 안내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단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의 하단부분에 제 1절개부에 형성된 안내공과 연통된 이동통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힌지공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 하단 부분에 제 2절개부가 형성되며, 이 제 2절개부에 제 1절개부에 형성된 안내공과 동일축상을 갖는 대직경부, 중직경부, 소직경부로 이루어진 결합공이 형성되고, 이 제 2절개부에 형성된 결합공의 하단은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결합공의 중직경부 내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제 2절개부에 형성된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몸체의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배출관과, 상기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된 수용공간 및 제 2절개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제 1배출관이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배출관과,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 각 모서리부분에 구멍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날개편이 상부로 돌출구성되며, 이 관통공과 날개편의 사이에 안착홈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볼트에 의하여 상기 제 1절개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돌출구성된 날개편과 날개편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름운동되고, 상면에 일측이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슬롯이 형성된 기동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고정되어 기동프레임이 프레임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판베어링과,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에 삽입되어 기동프레임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에 치합되어 압축코일스프링이 기동프레임에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조종나사와, 상기 몸체의 제 1절개부에 형성된 안내공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작동추와, 상단에 상기 기동프레임에 형성된 슬롯의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하단에 작동추의 상단을 타격하는 타격판을 갖는 주축키와, 상기 프레임과 주축키의 사이에 개재되어 주축키를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동력스프링과, 상기 제 1절개부에 형성된 안내공과 연통된 이동통로에 삽입되어 작동추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볼과, 상단이 힌지핀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 반구형을 형상을 갖는 밀착부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결합공에 형성된 수나사에 치합되는 암나사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단에 가이드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에 분사기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연결부의 외주면에 배출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분사기와, 상기 분사기의 중심부분에 분사기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동일 내경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분사기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편이 돌출구성된 제 1팩킹과, 상기 결합공의 대직경과 분사기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2팩킹과, 상기 분사기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같은 내경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지지편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볼 고정패드와, 내측에 상기 볼 고정패드의 지지편 외주면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결합공의 중직경부와 볼 고정패드의 사이에 개재된 제 3팩킹과, 하단이 상기 결합공의 소직경부를 통하여 수용공간과 제 2배출관이 연통된 부분에 밀착고정되고, 외주면에 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볼 스톱퍼와, 상기 볼 스톱퍼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볼과, 하단에 상기 가이드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축이 하부로 돌출구성되고, 이 연결축의 하단에 자유단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누름편이 구비되며, 작동추의 이동에 따라 분사기의 가이드공 하부로 이동되는 타격핀과, 상기 제 1배출관에 나사결합되고, 일측에 제 1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된 질소가스를 에어백으로 이송시키는 고압호스가 고정된 연결관과, 상기 제 2배출관에 나사결합되고, 중심부분에 관통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나사와, 상기 가압나사와 제 2배출관의 사이에 개재되는 몸체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압축된 질소가스가 외부의 온도에 의하여 기준압력 이상으로 팽창하였을 때 파손되는 박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가 힌지핀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질소가스가 분사기의 가이드공을 통하여 제 1배출관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되는 수용공간(10)을 갖는 몸체(12)가 구비된다. 몸체(12)의 상단 중심부분에 제 1절개부(14)가 형성되고, 이 제 1절개부(14)의 상면 각모서리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볼트구멍(16)이 형성된다. 제 1절개부(14)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안내공(1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몸체(12)의 상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나사공(20)이 형성되고, 몸체(12)의 상단 타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2)의 하단부분에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연통된 이동통로(2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12)의 상단 일측에는 가이드홈(22)과 연통되는 힌지공(26)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몸체(12)의 일측 하단 부분에 제 2절개부(28)가 형성되고, 이 제 2절개부(28)에는 대직경부(30a), 중직경부(30b), 소직경부(30c)를 갖는 결합공(30)이 형성된다. 제 2절개부(28)에 형성된 결합공(30)의 하단은 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10)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결합공(30)의 중직경부(30b) 내주면에는 수나사(34)가 형성된다. 제 2절개부(28)에 형성된 결합공(30)은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동일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몸체(12)의 하단 일측에 압축된 질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배출관(36) 및 제 2배출관(38)이 형성된다. 제 1배출관(36)은 제 2절개부(28)에 형성된 결합공(30)과 연통되도록 몸체(12)의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배출관(38)은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된 수용공간(10) 및 제 2절개부(28)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30)과 연통되도록 제 1배출관(36)이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몸체(12)의 제 1절개부(14)에 안착되는 프레임(40)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40)의 중심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공(42)이 형성된다. 프레임(40)의 양측에 날개편(44)이 상부로 돌출구성되고, 이 날개편(44)의 상면 각 모서리부분에는 구멍(4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40)에 형성된 관통공(42)과 날개편(44)의 사이에는 안착홈(48)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40)에 형성된 구멍(46)과 제 1절개부(14)의 볼트구멍(16)에 삽입되어 프레임(40)을 몸체(12)에 고정하는 체결볼트(50)가 구비된다. 프레임(40)의 상단에 돌출구성된 날개편(44)과 날개편(44)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기동프레임(52)이 구비되고, 이 기동프레임(52)의 상면에는 일측이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슬롯(54)이 형성된다. 프레임(40)에 형성된 안착홈(48)에 삽입고정되어 기동프레임(52)이 프레임(40)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판베어링(56)이 구비된다.
몸체(1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20)에 삽입되어 기동프레임(52)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58)이 구비된다. 몸체(1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20)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조종나사(60)가 구비되고, 이 조종나사(60)는 압축코일스프링(58)이 기동프레임(52)에 가압된는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몸체(12)의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작동추(62)가 구비되고, 이 작동추(62)는 외부에서 일정량의 충격이 전달되면 안내공(18)의 하부로 이동된다. 상단에 기동프레임(52)에 형성된 슬롯(54)의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편(64)이 형성되고, 하단에 작동추(62)의 상단을 타격하는 타격판(66)을 갖는 주축키(68)가 구비된다. 프레임(40)과 주축키(68)의 사이에 개재되어 주축키(68)를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동력스프링(70)이 구비된다.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연통된 이동통로(24)에 삽입되어 작동추(62)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볼(72)이 구비된다. 상단이 힌지핀(74)에 의하여 몸체(12)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공(2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76)가 구비되고, 이 레버(76)의 하단에는 반구형을 형상을 갖는 밀착부(78)가 형성된다. 결합공(30)에 형성된 수나사(34)에 치합되는 암나사(80)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분사기(82)가 구비되고, 이 분사기(82)의 중심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84)이 형성된다. 분사기(82)의 상단에 가이드공(84)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홈(86)이 형성된다. 분사기(82)의 하단부분에 분사기(8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부(88)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연결부(88)의 외주면에는 배출공(9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중심부분에 분사기(82)에 형성된 가이드공(84)과 동일 내경을 갖는 관통공(92)이 형성된 제 1팩킹(94)이 구비되고, 이 제 1팩킹(94)의 하단에는 분사기(82)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86)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편(96)이 돌출구성된다. 결합공(30)의 대직경(30a)과 분사기(82)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2팩킹(98)이 구비된다.
분사기(82)에 형성된 가이드공(84)과 같은 내경을 갖는 관통공(99)이 형성된 볼 고정패드(100)가 구비되고, 이 볼 고정패드(100)의 하단에는 지지편(102)이 하부로 돌출구성된다. 내측에 볼 고정패드(100)의 지지편(102) 외주면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 3팩킹(104)이 구비되고, 이 제 3팩킹(104)은 결합공(30)의 중직경부(30b)와 볼 고정패드(100)의 사이에 개재된다. 하단이 결합공(30)의 소직경부(30c)를 통하여 수용공간(10)과 제 2배출관(38)이 연통된 부분에 밀착고정되는 볼 스톱퍼(106)가 구비되고, 이 볼 스톱퍼(106)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구멍(108)이 형성된다. 볼 스톱퍼(106)에서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볼(110)이 구비된다. 제 1팩킹(94), 제 2팩킹(98), 제 3팩킹(104)은 외부의 공기가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질소가스가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단이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타격핀(112)이 구비되고, 이 타격핀(112)의 하단에는 가이드공(8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축(114)이 하부로 돌출구성된다. 이 연결축(114)의 하단에는 자유단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누름편(116)이 구비된다. 제 1배출관(36)에 나사결합되는 연결관(118)이 구비되고, 이 연결관(118)의 일측에는 제 1배출관(36)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된 질소가스를 에어백(미도시)으로 이송시키는 고압호스(120)가 고정된다. 제 2배출관(38)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나사(122)가 구비되고, 이 가압나사(122)의 중심부분에는 관통공(124)이 형성된다. 가압나사(122)와 제 2배출관(38)의 사이에 개재되는 박판(126)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장치이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외부에서 소정의 충격이 몸체(12)의 상부로 전달되면, 충격은 몸체(12)를 통하여 몸체(12)의 안내공(18)에 구비된 작동추(62)로 전달된다. 충격이 안내공(18)에 구비된 작동추(62)로 전달되면,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작동추(62)는 안내공(18)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추(62)의 하단에 레버(76)에 의하여 볼(72)이 밀착되어 있음으로 작동추(62)로 전달되는 충격이 볼(72)이 작동추(62)의 하단에 밀착된 힘보다 작을 경우에는 작동추(62)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으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작동추(62)에 밀착된 볼(72)의 힘보다 클 경우에는 작동추(62)가 하부로 이동된다. 충격에 의하여 작동추(62)가 안내공(18)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 작동추(62)의 하단에 밀착된 볼(72)이 이동통로(24)를 따라 몸체(12)의 외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레버(76)가 힌지핀(7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된다. 이때, 작동추(62)은 안내공(18)을 따라 타격핀(112)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갖는다.
작동추(62)의 이동에 따라 레버(76)가 힌지핀(7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프레임(40)의 날개편(44) 사이에 개재된 기동프레임(52)이 판베어링(56)의 상단에서 구름운동을 하면서 나사공(20)이 형성된 부분으로 이동된다. 즉, 레버(76)의 상단부분이 기동프레임(52)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음으로 레버(76)가 작동추(62)에 의하여 회전되면, 기동프레임(52)이 판베어링(56)을 따라 나사공(20)이 형성된 부분으로 구름운동하게된다. 기동프레임(52)이 레버(76)에 의하여 일측으로 구름운동되면, 프레임(40)의 관통공(42)을 통하여 기동프레임(52)의 슬롯(54) 일측에 고정된 주축키(68)의 걸림편(64)이 슬롯(54)의 일측에서 이탈된다. 이때, 나사공(20)에 개재된 압축코일스프링(58)은 압축된 상태를 갖는다. 기동프레임(52)의 구름운동으로 인하여 주축키(68)의 걸림편(64)이 기동프레임(52)의 슬롯(54)에서 이탈되면, 프레임(40)과 작동추(62)의 사이에 개재된 동력스프링(70)의 탄성에 의하여 주축키(68)의 타격판(66)이 타격핀(112)의 상단에 안착된 작동추(62)의 상단을 타격한다.
동력스프링(70)의 탄성에 의하여 주축키(68)의 타격판(66)이 작동추(62)의 상단을 타격하면, 타격에 의하여 타격핀(112)이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타격판(66)의 타격으로 인하여 타격핀(112)이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 몸체(12)의 수용공간(10)에 저장된 압축된 질소가스가 제 1배출관(36)을 통하여 에어백(미도시)으로 이송된다. 타격판(66)의 타격으로 인하여 타격핀(112)이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 타격핀(112)의 하단에 구비된 누름편(116)이 고정볼(110)을 가압한 상태로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누름편(116)과 타격핀(112)을 연결하는 연결축(114)이 볼 스톱퍼(106)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갖는다. 즉, 타격판(66)의 타격으로 인하여 타격핀(112)이 타격되면, 몸체(12)의 내측에 저장된 압축된 질소가스가 볼 스톱퍼(106)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108)과 연결축(114)의 공간부를 통하여 제 1배출관(36)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질소가스는 제 1배출관(36)에 나사결합된 연결관(118) 및 고압호스(120)를 통하여 에어백으로 이송된다.
타격핀(112)과 누름편(116)을 연결하는 연결축(114)의 외경은 타격핀(11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연결축(114)이 볼 스톱퍼(106)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몸체(12)의 수용공간(10)에 압축된 질소가스가 볼 스톱퍼(106)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108)과 연결축(114)의 공간부를 통하여 제 1배출관(36)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압축된 질소가스가 제 1배출관(36)에 나사결합된 연결관(118) 및 고압호스(120)를 통하여 에어백으로 이송되면, 에어백은 압축된 질소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됨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12)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압축된 질소가스가 외부의 온도에 의하여 기준압력 이상으로 팽창하게되면, 그 팽창된 압력에 의하여 고정볼(110)이 볼 고정패드(100)의 관통공(99) 하단에 밀착됨과 동시에 압축된 질소가스는 가압나사(122)의 관통공(1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가압나사(122)에 의하여 제 2배출관(38)의 일측에 밀착고정된 박판(126)은 파손된 상태를 갖는다.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량에 따라 압축된 질소가스가 에어백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온도상승에 의하여 기준압력 이상으로 팽창된 질소가스를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어백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장치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량에 따라 압축된 질소가스가 에어백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온도상승에 의하여 기준압력 이상으로 팽창된 질소가스를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어백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에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되는 수용공간(10)이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분에 제 1절개부(14)가 형성되며, 이 제 1절개부(14)에 소정의 내경을 갖는 안내공(1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나사공(20)이 형성되며, 상단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22)의 하단부분에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연통된 이동통로(2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 가이드홈(22)과 연통되는 힌지공(26)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 하단 부분에 제 2절개부(28)가 형성되며, 이 제 2절개부(28)에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동일축상을 갖는 대직경부(30a), 중직경부(30b), 소직경부(30c)로 이루어진 결합공(30)이 형성되고, 이 제 2절개부(28)에 형성된 결합공(30)의 하단은 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10)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결합공(30)의 중직경부(30b) 내주면에 수나사(34)가 형성된 몸체(12)와,
    상기 제 2절개부(28)에 형성된 결합공(30)과 연통되도록 몸체(12)의 하단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배출관(36)과,
    상기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된 수용공간(10) 및 제 2절개부(28)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30)과 연통되도록 제 1배출관(36)이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배출관(38)과,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면 각 모서리부분에 구멍(4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날개편(44)이 상부로 돌출구성되며, 이 관통공(42)과 날개편(44)의 사이에 안착홈(48)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볼트(50)에 의하여 상기 제 1절개부(14)의 상단에 고정되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의 상단에 돌출구성된 날개편(44)과 날개편(44)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름운동되고, 상면에 일측이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슬롯(54)이 형성된 기동프레임(52)과,
    상기 프레임(40)에 형성된 안착홈(48)에 삽입고정되어 기동프레임(52)이 프레임(40)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판베어링(56)과,
    상기 몸체(1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20)에 삽입되어 기동프레임(52)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58)과,
    상기 몸체(1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20)에 치합되어 압축코일스프링(58)이 기동프레임(52)에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조종나사(60)와,
    상기 몸체(12)의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작동추(62)와,
    상단에 상기 기동프레임(52)에 형성된 슬롯(54)의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편(64)이 형성되고, 하단에 작동추(62)의 상단을 타격하는 타격판(66)을 갖는 주축키(68)와,
    상기 프레임(40)과 주축키(68)의 사이에 개재되어 주축키(68)를 하부로 탄성지지하는 동력스프링(70)과,
    상기 제 1절개부(14)에 형성된 안내공(18)과 연통된 이동통로(24)에 삽입되어 작동추(62)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볼(72)과,
    상단이 힌지핀(74)에 의하여 상기 몸체(12)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공(2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 반구형을 형상을 갖는 밀착부(78)가 형성된 레버(76)와,
    상기 결합공(30)에 형성된 수나사(34)에 치합되는 암나사(80)가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84)이 형성되며, 상단에 가이드공(84)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결합홈(86)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에 분사기(8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부(88)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연결부(88)의 외주면에 배출공(9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분사기(82)와,
    상기 분사기(82)의 중심부분에 분사기(82)에 형성된 가이드공(84)과 동일 내경을 갖는 관통공(92)이 형성되고, 하단에 분사기(82)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86)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편(96)이 돌출구성된 제 1팩킹(94)과,
    상기 결합공(30)의 대직경(30a)과 분사기(82)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2팩킹(98)과,
    상기 분사기(82)에 형성된 가이드공(84)과 같은 내경을 갖는 관통공(99)이 형성되고, 하단에 지지편(102)이 하부로 돌출구성된 볼 고정패드(100)와,
    내측에 상기 볼 고정패드(100)의 지지편(102) 외주면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결합공(30)의 중직경부(30b)와 볼 고정패드(100)의 사이에 개재된 제 3팩킹(104)과,
    하단이 상기 결합공(30)의 소직경부(30c)를 통하여 수용공간(10)과 제 2배출관(38)이 연통된 부분에 밀착고정되고, 외주면에 수개의 구멍(108)이 형성된 볼 스톱퍼(106)와,
    상기 볼 스톱퍼(106)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볼(110)과,
    하단에 상기 가이드공(8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결축(114)이 하부로 돌출구성되고, 이 연결축(114)의 하단에 자유단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누름편(116)이 구비되며, 작동추(62)의 이동에 따라 분사기(82)의 가이드공(84) 하부로 이동되는 타격핀(112)과,
    상기 제 1배출관(36)에 나사결합되고, 일측에 제 1배출관(36)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된 질소가스를 에어백으로 이송시키는 고압호스(120)가 고정된 연결관(118)과,
    상기 제 2배출관(38)에 나사결합되고, 중심부분에 관통공(12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나사(122)와,
    상기 가압나사(122)와 제 2배출관(38)의 사이에 개재되는 몸체(12)의 수용공간(10)에 저장된 압축된 질소가스가 외부의 온도에 의하여 기준압력 이상으로 팽창하였을 때 파손되는 박판(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KR1019980056433A 1998-12-19 1998-12-19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KR19990037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33A KR19990037595A (ko) 1998-12-19 1998-12-19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AU63709/99A AU6370999A (en) 1998-12-19 1999-10-27 Air bag triggering device
KR1019990046960A KR20000047559A (ko) 1998-12-19 1999-10-27 차량용 에어백 작동장치
PCT/KR1999/000643 WO2000037288A1 (en) 1998-12-19 1999-10-27 Air bag trigge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33A KR19990037595A (ko) 1998-12-19 1998-12-19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595A true KR19990037595A (ko) 1999-05-25

Family

ID=1956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433A KR19990037595A (ko) 1998-12-19 1998-12-19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90037595A (ko)
AU (1) AU6370999A (ko)
WO (1) WO20000372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035A (ko) * 1999-07-24 2001-02-15 이영상 차량용 기계식 에어백작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5324B (en) * 1991-06-14 1995-08-09 Breed Automotive Tech An improved mechanical crash sensor
CA2082330A1 (en) * 1991-11-09 1993-05-10 Hang Sup Ohm Air bag type of passenger protectors for protecting passengers from being injured in a vehicle collision
KR940019528A (ko) * 1993-02-15 1994-09-14 노대성 자동차용 에어백 작동방법 및 작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035A (ko) * 1999-07-24 2001-02-15 이영상 차량용 기계식 에어백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7288A1 (en) 2000-06-29
AU6370999A (en)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6656A1 (en) Airbag cushion
US20040174003A1 (en) One piece cushion for personal airbag
US6464252B1 (en) Vehicular impact protection device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KR19990037595A (ko)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US6886853B2 (en) Air bag system for protecting the knees of a driver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0116919Y1 (ko) 차량 충돌시 뒤로 젖혀지는 자동차용 시트(a seat for motor turning back when motor run into other)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0030592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KR19990077614A (ko) 시트벨트에장착되는에어백
KR100210422B1 (ko) 차량의 에어백연계 시트벨트 텐션 조절장치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19980064605U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100292111B1 (ko) 조수석에어백모듈의엔드캡
KR19990007196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512856B1 (ko) 자동차용 2단 운전석 에어백
KR100224224B1 (ko) 에어 백의 가스압력 조절장치
KR19980085609A (ko) 자동차 보조석 이중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47407A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90029267U (ko)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KR19980049064A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의 가스배출조절장치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KR19990005034A (ko) 에어백의 백 구조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