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196U - 자동차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196U
KR19990007196U KR2019970020714U KR19970020714U KR19990007196U KR 19990007196 U KR19990007196 U KR 19990007196U KR 2019970020714 U KR2019970020714 U KR 2019970020714U KR 19970020714 U KR19970020714 U KR 19970020714U KR 19990007196 U KR19990007196 U KR 19990007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face
contact
pres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196U/ko
Publication of KR19990007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96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에어백이 부풀어 오르게 되면 형상이 단순히 평평하면서 볼록하고, 상기 에어백과 접촉되는 얼굴의 형상은 코가 제일많이 돌출되어 있어 에어백과 얼굴이 최초 접촉될 때 코가 제일먼저 에어백과 접촉되는 것이나 이는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코에 큰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을 형성함에 있어서 에어백(100)내부에 다수개의 지지끈(110)을 내설하여 탑승객의 얼굴(200)과 접촉되는 에어백(100)의 전면부(101)를 얼굴형상으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에어백(100)이 사람의 얼굴(200)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어 에어백(100)과 얼굴(200)의 최초 접촉시 에어백(100)이 얼굴(200)의 일정부위가 아닌 전체부위와 동시에 접촉되므로서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에어백(100)과 얼굴(200)접촉시 발생되는 2 차 부상을 방지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
본 고안은 운전자나 조수석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는 에어백의 형상을 사람의 얼굴형상과 같도록 하여 에어백이 부풀어 에어백과 얼굴과의 최초 접촉시 얼굴의 특정부분이 아닌 얼굴전체와 동시에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많게 하므로서 에어백에 의한 2 차부상을 방지토록 한 자동차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자동차의 안전성이 점점 강조되고 요구되는 요즘 각종 전자제어 시스템이 속속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자제어 연료분사장치 엔진,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장치인 ABS장치에 이어 차량 충돌사고시 사람의 생명을 구할수 있는 에어백(Air Bag)등이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의 에어백은 시트벨트(Seat Belt)가 차량 충돌사고시 운전자를 1 차적으로 구속하는 장치라고 한다면 에어백시스템은 시트벨트와 더불어 2 차적으로 운전자를 구속하는 장치로서 정면충돌 또는 정면과 30도 내의 측면충돌 발생시 충격 감지센서가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필요시 인플레이터(Inflator)에 전류를 흘러보내 내장된 화약을 점화시켜 무해성 고체화학물을 연소시켜 질소가스를 발생하므로서 작동되는데, 즉, 질소가스로서 에어백을 부풀려 핸들 중앙부위의 커버를 찢으면서 평창해 운전자의 머리 가슴 부위를 보호토록 하는 것인데 에어백의 부풀림은 약 0.03초 - 0.05초 라는 짧은순간에 이루어진다.
이렇게 운전자의 상해를 감소시킨후 바로 질소가스를 뒤쪽에 있는 2 개의 배출구멍을 통하여 배출시키고, 그 역할을 마치는 것으로서 즉, 차량충돌 - 인플레이터작동 - 질소가스 배출- 완료순으로 진행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0.1 초 이내이어야 한다.
상기의 에어백이 터지는 강도는 센서의 위치나 차종 등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보통 20 Km 이상 달리면서 고정된 단단한 물체와 충돌할 경우 터지고, 앞에서 달리는 차의 뒷부분과 추돌할 경우에는 시속 50 Km 에서 터지도록 되어있으며, 한 번터진 에어백은 재사용이 안돼 차에서 제거하여야 한다.
상기의 에어백은 운전석은 스티어링 휠에 조수석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패드에 설치되는 것이며 요즈음에는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같은 원리로 작동되어 차량의 충돌사고시 운전자나 조수석 승객의 생명을 지켜주는 중요한 장치인 에어백을 장착하는 차량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나 종래의 에어백 형상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에어백(10)이 부풀어서 탑승객의 얼굴(20)과 부딪치게 되는데, 종래 에어백(10) 형상은 단순히 평평하면서 볼록하고, 탑승객의 얼굴(20)에서 제일많이 돌출된 부분이 코(21)이기 때문에 에어백(10)이 부풀어지게 되면 최초에는 코(21)와 에어백(10)이 제일먼저 접촉되는 것이나 상기 코(21)와 에어백(10)의 접촉면적이 극히 적기 때문에 코(21)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충돌로 인한 1 차 부상 이외에 에어백(10)에 의한 2 차부상의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백의 형상을 사람의 얼굴형상 모양으로 오목하게 하여 충돌시 에어백이 터져 최초 순간 접촉을 얼굴의 일부분이 아닌 얼굴전체가 동시에 에어백과 접촉되게 하여 접촉면적을 크게 하므로서 에어백에 의한 2 차 부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어백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에어백 내부에 다수개의 지지끈을 내설하여 탑승객의 얼굴과 접촉되는 에어백의 전면부를 얼굴형상으로 성형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에어백 형상을 사람의 얼굴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에어백이 부풀어지게 되면 최초 접촉을 특정부위가 아닌 얼굴 전체와 동시에 접촉되므로 그만큼 접촉면적이 많아서 충격을 한층더 완화시키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다.
도 1 은 종래 에어백이 최초 접촉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a 는 본 고안의 에어백이 얼굴과 접촉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b 는 본 고안의 에어백이 얼굴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에어백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어백 101 : 전면부
110 : 지지끈 200 : 얼굴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별첨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에어백이 얼굴과 접촉되기 전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b 는 본 고안의 에어백이 얼굴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에어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에어백을 형성함에 있어서 에어백(100)내부에 다수개의 지지끈(110)을 내설하여 탑승객의 얼굴(200)과 접촉되는 에어백(100)의 전면부(101)를 얼굴(200)형상으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1)은 얼굴에서 제일많이 돌출된 코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감지센서(도면중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백(100)을 부풀리게 하여 탑승자의 얼굴(200)과 접촉되어 탑승자의 얼굴(200)부위가 전방 앞 유리창 등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에어백(100)은 성형시 내면에 다수개의 지지끈(110)을 이용하여 사람의 얼굴(200)과 같은 형상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에어백(100)이 부풀어 지게되면 에어백(100)의 전면부(101)와 탑승자의 얼굴(200)과 최초 접촉시 얼굴(200)의 일정부위와 먼저 접촉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전면부(101)와 얼굴(200)전체가 동시에 접촉되도록 하므로서 충격을 완하시킨 것이다.
좀더 상세히 언급하면 상기 에어백(100)의 전면부(101)를 사람의 얼굴(200) 형상으로 성형 하였기 때문에 즉, 얼굴(200)의 형상은 이마가 눈보다는 약간 나오고, 코는 제일많이 돌출되는 것과 같이 에어백(100)도 부풀었을 때 이마가 닿는 부분은 약간 들어가고 눈이 닿는 부분은 조금 코(201)가 접촉되는 부분은 많이 들어가도록 하여 에어백(100)과 얼굴(200)이 최초 접촉시 종래에는 에어백(10)의 형상이 평평하면서 볼록하기 때문에 얼굴(20)에서 제일많이 돌출된 부분인 코(21)와 제일먼저 접촉되어 코(21)에 큰 충격이 가해졌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코(201)와 접촉되는 에어백(100)부위를 코(201)가 안착될수 있도록 오목하게 성형 하였기 때문에 에어백(100)과 얼굴(200)이 접촉시 얼굴(200)에서 제일많이 돌출된 코(201)와 에어백(100)이 먼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얼굴(200)전체가 동시에 에어백(100)과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많게 하므로서 에어백(100)과 얼굴(200)의 접촉시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차량이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1 차부상이외에 에어백(100)과 얼굴(200)접촉시 알어나는 2 차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충돌시 탑승객의 생명을 보호할수 있도록 설치되는 에어백의 형상을 사람의 얼굴 형상과 같이 성형하여 에어백이 부풀어서 탑승객의 얼굴과 접촉시 최초의 접촉부위가 얼굴의 특정부위가 아닌 얼굴 전체와 동시에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크게하므로서 종전처럼 접촉면적이 작으므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에어백을 형성함에 있어서 에어백(100)내부에 다수개의 지지끈(110)을 내설하여 탑승객의 얼굴(200)과 접촉되는 에어백(100)의 전면부(101)를 얼굴형상으로 성형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KR2019970020714U 1997-07-31 1997-07-31 자동차용 에어백 KR199900071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14U KR19990007196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용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14U KR19990007196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용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96U true KR19990007196U (ko) 1999-02-25

Family

ID=6968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714U KR19990007196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용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1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776A1 (en) * 2020-01-09 2021-07-15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776A1 (en) * 2020-01-09 2021-07-15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7196U (ko) 자동차용 에어백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19990027023U (ko) 루프 에어백 구조
KR1003912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00197138B1 (ko) 차량 에어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00197240B1 (ko) 승용차 사고시 뒷좌석 보호장치
KR100337821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기폭 제어장치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KR200181831Y1 (ko) 자동차 조수석의 에어백 구조
KR19990028122A (ko) 자동차의 충돌시 무릎 보호장치
KR19980085609A (ko) 자동차 보조석 이중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9990026012U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에어백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90021804A (ko) 자동차용 에어 백의 초기 폭발압력 완화장치
KR20040028187A (ko) 자동차용 니이 에어백
KR19990002248U (ko) 자동차 에어백의 에어백쿠션 구조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90001645U (ko) 쿠션 가스실이 있는 자동차 에어백
KR19990004428U (ko)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쿠션 구조
KR19990004438U (ko) 에어백 쿠션의 테더 재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