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614A - 시트벨트에장착되는에어백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에장착되는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614A
KR19990077614A KR1019990007243A KR19990007243A KR19990077614A KR 19990077614 A KR19990077614 A KR 19990077614A KR 1019990007243 A KR1019990007243 A KR 1019990007243A KR 19990007243 A KR19990007243 A KR 19990007243A KR 19990077614 A KR19990077614 A KR 1999007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irbag
hole
fixing body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규
Original Assignee
신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규 filed Critical 신승규
Publication of KR1999007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14A/ko
Priority to KR10-2000-001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107B1/ko
Priority to KR10-2000-0010929A priority patent/KR100367106B1/ko
Priority to KR1020000010930A priority patent/KR20000062756A/ko
Priority to KR10-2000-0010928A priority patent/KR100367105B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원활하게 에어백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어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0)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내장된 가스가 폭발되는 폭발수단(12)과, 일측에 날개편(14)이 형성되고, 일측 내측에 상기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이동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가이드공(2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타측 내측에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만 외측으로 팽창되는 제 2가이드공(22)이 형성된 안내체(16)와, 내측 양측에 팽창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유지편(28)이 수직방향으로 봉착되고, 일면에 유입된 고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30)이 형성되어 상기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예정된 형태로 팽창되는 에어백(24)과, 일측이 상기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2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체(16)의 타측에 고정되고, 일면에 에어백이 봉착된 지지편(26)과, 일측에 종방향으로 나사공(32)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편(36)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체결편(36)의 내측에 나사공(32)과 연통된 고압가스통로(38)가 형성된 제 1고정체(34)와, 내측에 안내체(16)의 일측과 접촉되는 안착홈(40)이 형성되고, 일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공(46)이 형성된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와, 상기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46)에 삽입고정되어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이 제 1가이드공(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체결볼트(48)와, 내측에 상기 제 1고정체(34)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 1절개부(50) 및 제 1고정체(34)의 폭과 같게 형성된 제 2절개부(5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 1고정체(52)에 형성된 나사공(32)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56)이 형성된 제 2고정체(54)와, 일측에 상기 제 2고정체(54)의 관통공(56)을 통하여 제 1고정체(34)의 나사공(32)에 치합되는 연결편(58)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내측에 가이드공(62)이 형성된 연결체(60)와, 일측이 상기 연결체(60)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폭발수단(64)에 고정되는 고압호스(64)와, 내측에 제 1수용공간(66) 및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되고, 이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 고압가스에 의하여 에어백(24)이 팽창될 수 있도록 절취선(72)이 형성되며, 일측에 안내체(16), 지지편(26), 시트벨트(18)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자크(74)가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Airbag to be attatched on seat belt}
본 발명은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원활하게 에어백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어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자동차의 보급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기술적인 성능의 향상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충돌 사고시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로 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각종 안전장치의 개발이다. 최근 차량의 고출력화 및 고속화의 추세에 따라 과속으로 인한 대형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자동차에 장착되는 대표적인 안전장치를 살펴보면,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제동시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여 조향 휠의 조작을 가능케 하는 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과, 주행 상황이나 도로상태에 따라 전륜과 후륜에 장착된 4개의 속 업소버와, 에어 스프링의 내부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제공하는 전자 제어식 서스펜션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방범퍼 및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방범퍼와, 충돌사고 또는 자동차가 급정지할 경우 관성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계속 운동하려는 힘을 구속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전면유리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벨트와, 조향핸들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어 전방에서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점화수단이 폭발되고, 이 폭발에 따라 팽창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에어백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에어백은 에어백과 운전자의 사이가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음으로 에어백의 폭발과 운전자가 관성의 법칙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이 효율적으로 매치되지 않음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없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에어백의 폭발과 운전자가 관성의 법칙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이 효율적으로 매치될 수 있도록 제안한 발명을 1998년 3월 19일자로 출원하였다. 1998년 3월 19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98-9433호는 운전자가 관성의 법칙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에 복부와 접촉되는 시트벨트에서 에어백이 팽창됨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출원된 발명은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이동되는 격리패드가 에어백과 연결되는 부분까지 밀착되어 있음으로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에어백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이에 따라 에어백의 팽창되는 시간이 늦쳐짐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선출원된 특허출원 98-9433호 나타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원활하게 에어백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어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체와 시트벨트가 커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제 2수용공간을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제 1수용공간을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에 연결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안내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이 고압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에 운전자의 머리부분이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충격감지센서 12 : 폭발수단
14 : 날개편 16 : 안내체
18 : 시트벨트 20 : 제 1가이드공
22 : 제 2가이드공 24 : 에어백
26 : 지지편 28 : 유지편
30 : 배출공 32 : 나사공
34 : 제 1고정체 36 : 체결편
38 : 고압가스통로 40 : 안착홈
42 : 제 1지지체 44 : 제 2지지체
46 : 체결공 48 : 체결볼트
50 : 제 1절개부 52 : 제 2절개부
54 : 제 2고정체 56 : 관통공
58 : 연결편 60 : 연결체
62 : 가이드공 64 : 고압호스
66 : 제 1수용공간 68 : 제 2수용공간
70 : 커버 72 : 절취선
74 : 자크 76 : 수용공간
78 : 제 1패드 80 : 제 2패드
82 : 수직결합홈 84 : 가압돌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내장된 가스가 폭발되는 폭발수단과, 일측에 날개편이 형성되고, 일측 내측에 상기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이동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가이드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타측 내측에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만 외측으로 팽창되는 제 2가이드공이 형성된 안내체와, 내측 양측에 팽창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유지편이 수직방향으로 봉착되고, 일면에 유입된 고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예정된 형태로 팽창되는 에어백과, 일측이 상기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체의 타측에 고정되고, 일면에 에어백이 봉착된 지지편과, 일측에 종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안내체의 제 1가이드공으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편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체결편의 내측에 나사공과 연통된 고압가스통로가 형성된 제 1고정체와, 내측에 안내체의 일측과 접촉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일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1지지체 및 제 2지지체와, 상기 제 1지지체 및 제 2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고정되어 제 1고정체의 체결편이 제 1가이드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체결볼트와, 내측에 상기 제 1고정체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 1절개부 및 제 1고정체의 폭과 같게 형성된 제 2절개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 1고정체에 형성된 나사공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 2고정체와, 일측에 상기 제 2고정체의 관통공을 통하여 제 1고정체의 나사공에 치합되는 연결편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내측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연결체와, 일측이 상기 연결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폭발수단에 고정되는 고압호스와, 내측에 제 1수용공간 및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 고압가스에 의하여 에어백이 팽창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며, 일측에 안내체, 지지편, 시트벨트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자크가 장착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의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된 부분이 운전자의 복부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 1가이드공과 제 2가이드공이 연결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 상기 시트벨트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 1패드와, 상기 일측면에 시트벨트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수직결합홈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 2패드와, 내측벽에 상기 제 2패드의 타측면에 형성된 수직결합홈에 선택적으로 밀착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가 돌출구성된 제 2고정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체와 시트벨트가 커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제 2수용공간을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제 1수용공간을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에 연결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안내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이 고압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에 운전자의 머리부분이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자동차의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0)가 구비되고, 이 충격감지센서(10)는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부분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내장된 가스가 폭발되는 폭발수단(12)이 구비된다. 일측에 날개편(14)을 갖는 안내체(16)가 구비되고, 이 안내체(16)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안내체(16)의 일면은 시트벨트(18)와 접촉됨으로 시트벨트(18)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안내체(16)의 일측 내측에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이동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가이드공(2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체(16)의 타측 내측에는 내벽이 밀착된 제 2가이드공(22)이 형성된다.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제 2가이드공(2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측에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예정된 형태로 팽창되는 에어백(24)이 봉착된 지지편(26)이 구비되고, 이 지지편(26)은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2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체(16)의 타측에 고정된다. 에어백(24)의 내측 양측에 에어백(24)이 팽창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유지편(28)이 수직방향으로 봉착되고, 이 에어백(24)의 일면에는 에어백(24)으로 유입된 고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30)이 형성된다. 일측에 종방향으로 나사공(32)이 형성된 제 1고정체(34)가 구비되고, 이 제 1고정체(34)의 일측에는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편(36)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체결편(36)의 내측에는 나사공(32)과 연통된 고압가스통로(38)가 형성된다. 내측에 안내체(16)의 일측과 접촉되는 안착홈(40)이 형성된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가 구비되고, 이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의 일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공(46)이 형성된다.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46)에 삽입고정되어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이 제 1가이드공(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체결볼트(48)가 구비된다. 내측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제 1절개부(50) 및 제 2절개부(52)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2고정체(54)가 구비되고, 이 제 2고정체(54)의 일측에는 제 1고정체(52)에 형성된 나사공(32)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56)이 형성된다. 제 2고정체(54)의 제 1절개부(50) 내경은 제 1고정체(34)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제 2고정체(54)의 제 2절개부(52) 내경은 제 1고정체(34)의 폭과 같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에 제 2고정체(54)의 관통공(56)을 통하여 제 1고정체(34)의 나사공(32)에 치합되는 연결편(58)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연결체(60)가 구비되고, 이 연결체(60)의 내측에는 가이드공(62)이 형성된다. 일측이 연결체(60)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압호스(64)가 구비되고, 이 고압호스(64)의 타측은 폭발수단(12)에 고정된다. 내측에 제 1수용공간(66) 및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커버(70)가 구비되고, 이 커버(70)의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부분은 운전자의 복부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70)의 제 1수용공간(66)은 안내체(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체(16)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버(70)의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는 고압가스에 의하여 에어백(24)이 팽창될 수 있도록 절취선(72)이 형성되고, 커버(70)의 일측에는 안내체(16), 지지편(26), 시트벨트(18)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자크(74)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이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상태 및 작동되는 상태와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에어백을 시트벨트에 장착할 경우, 일측에 장착된 자크(74)를 이용하여 커버(70)의 수용공간(66),(68)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커버(70)의 수용공간(66),(68)에 안내체(16)와 지지편(26)을 삽입한다. 커버(70)의 제 1수용공간(66)에 안내체(16)가 삽입되고, 커버(70)의 제 2수용공간(68)에는 에어백(24)이 절첩된 지지편(26)이 삽입된다. 이때, 안내체(16)의 일측에 형성된 날개편(14)이 커버(7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안내체(16) 및 지지편(26)이 커버(70)의 수용공간(66),(68)으로 삽입되면, 시트벨트(18)의 일면이 안내체(16)와 지지편(26)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시트벨트(18)를 커버(70)의 수용공간(66),(68)으로 이동시킨다. 시트벨트(18)의 일면이 안내체(16)와 지지편(26)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시트벨트(18)가 커버(70)의 수용공간(66),(68)으로 이동되면, 자크(74)를 이용하여 커버(70)의 수용공간(66),(68)을 폐쇄시킨다. 커버(70)의 수용공간(66),(68)이 폐쇄됨에 따라 커버(70)가 시트벨트(18)에 고정되는 것이다. 시트벨트(18)에 커버(70)가 고정되면, 커버(70)의 일측으로 돌출구성된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을 삽입한다.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이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삽입되면, 내측에 형성된 안착홈(40)이 안내체(16)의 일측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도록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를 안내체(16)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의 일면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공(46)이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일면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공(46)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가 안내체(16)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되면, 체결볼트(48)를 이용하여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를 결합한다. 이때, 체결볼트(48)의 자유단은 제 1지지체(42)의 체결공(46)을 통하여 제 2지지체(44)의 체결공(46)에 치합된 상태를 갖는다. 체결볼트(48)에 의하여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가 안내체(16)의 일측에 고정되면, 제 2고정체(54)를 제 1고정체(34)의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 2고정체(54)를 하부로 가압한다. 제 2고정체(54)의 내측에는 제 1고정체(34)의 폭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 2절개부(5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제 2고정체(54)를 제 1고정체(34)의 하부로 가압하면, 제 1고정체(34)가 제 2고정체(54)의 제 2절개부(52)로 삽입된다. 이때, 제 1고정체(34)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32)과 제 2고정체(54)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6)이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제 1고정체(34)와 제 2고정체(54)의 결합으로 인하여 나사공(32)과 관통공(56)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연결체(60)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연결편(58)을 나사공(32)과 관통공(56)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연결체(60)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연결편(58)이 제 1고정체(34) 및 제 2고정체(54)의 나사공(32)과 관통공(56)에 대응되게 위치되면, 소정의 토오크를 이용하여 연결체(60)를 회전시켜 연결체(60)를 제 1고정체(34) 및 제 2고정체(54)에 고정시킨다. 연결체(60)의 연결편(58)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연결체(60)의 연결편(58)을 제 1고정체(34)의 나사공(32)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체(60)를 소정의 토오크를 회전시키면, 나사결합에 의하여 연결체(60)의 연결편(58)이 제 1고정체(34)의 나사공(32)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제 1고정체(34)의 고압가스통로(38)와 연결체(60)의 가이드공(62)이 연통된 상태를 갖는다. 나사결합으로 인하여 연결체(60)의 연결편(58)이 제 1고정체(34) 및 제 2고정체(54)에 고정되면, 시트벨트(18)의 일측을 제 2고정체(54)의 제 1절개부(52)로 삽입한다. 이때, 시트벨트(18)의 일측은 제 2고정체(54)의 제 1절개부(50)를 통하여 제 2고정체(5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 시트벨트(18)의 일측이 제 1절개부(50)를 통하여 제 2고정체(54)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면, 시트벨트(18)의 일측을 센터필러(미도시)의 내측에 장착된 리트렉터(미도시)에 고정한다. 시트벨트(18)의 일측이 센터필러의 내측에 장착된 리트렉터에 고정되면, 고압호스(64)를 이용하여 연결체(60)와 폭발수단(12)을 연결한다. 이때, 고압호스(64)의 일측은 연결체(60)의 하단에 고정되고, 고압호스(64)의 타측은 폭발수단(1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이 시트백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전방에서 소정의 충격이 전달되면, 충격감지센서(10)가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충격감지센서(10)는 전달되는 충격량이 내장된 기준치 이하이면,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폭발수단(12)의 내장된 고압가스가 폭발한다. 충격감지센서(1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폭발된 고압가스는 고압호스(64), 연결체(60), 제 1고정체(34)를 통하여 안내체(16)로 공급된다. 즉, 연결체(60)의 가이드공(62)과 제 1고정체(34)의 고압가스통로(38)가 연통된 상태로 연결체(60)와 제 1고정체(34)가 결합됨과 동시에 고압가스통로(38)와 연통된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이 지지체(42),(44)에 의하여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에 삽입고정되어 있음으로 충격감지센서(1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폭발된 고압가스는 용이하게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공급된다.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이동된 압축된 고압가스는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을 따라 지지편(26)으로 이동된다. 이때, 내벽이 밀착된 제 2가이드공(22)이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를 갖는다.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이 연결되는 부분이 제 1가이드공(20)에서 제 2가이드공(22)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제 2가이드공(22)으로 이동된다.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을 따라 지지편(26)으로 이동되면, 지지편(26)의 일측에 봉착된 에어백(24)이 예정된 형태로 팽창된다. 이때, 제 2수용공간(68)의 외측에는 형성된 절취선(72)이 커버(70)에서 이탈된 상태를 갖는다. 에어백(24)의 내측 양측에 에어백(24)이 팽창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유지편(28)이 수직방향으로 봉착되어 있음으로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에어백(24)으로 공급되면, 에어백(24)의 양측이 중심부분보다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를 갖는다. 에어백(24)이 고압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에어백(24)의 내측으로 공급된 고압가스는 에어백(24)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공(30)으로 배출된다.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를 에어백(24)으로 안내하는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 및 제 2가이드공(22)으로 형성되고, 이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이 연결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폭발수단(12)에 의하여 폭발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24)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에어백(24)으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공급됨으로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에어백(24)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에 에어백(24)이 예정된 형태로 팽창됨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지편(28)에 의하여 에어백(24)의 양측이 중심부분보다 외측으로 팽창됨으로 운전자가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때 에어백(24)의 중심부분에 접촉됨으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설명하면, 일측면에 시트벨트(18)가 삽입되는 수용공간(76)을 갖는 제 1패드(78) 및 제 2패드(80)가 구비되고, 이 제 2패드(80)의 타측면에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수직결합홈(82)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제 1패드(78) 및 제 2패드(8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 2고정체(54)의 내측벽에 제 2패드(80)의 타측면에 형성된 수직결합홈(82)에 선택적으로 밀착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84)가 돌출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드(78),(80)는 먼저, 시트벨트(18)의 양측면에 제 1패드(78) 및 제 2패드(8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착수단이나 열융착을 이용하여 제 1패드(78)와 제 2패드(80)를 고정시킨다. 이때, 시트벨트(18)는 제 1패드(78) 및 제 2패드(80)의 수용공간(76)에 위치된 상태를 갖는다. 접착수단이나 열융착에 의하여 시트벨트(18)가 패드(78),(80)에 고정되면, 제 2고정체(54)의 제 1절개부(50)로 패드(78),(80)를 삽입시킨다. 이때, 제 1패드(78)의 일면이 안내체(16)의 일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 2패드(80)의 일측이 커버(70)의 내측 일면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 패드(78),(80)가 제 2고정체(54)의 제 1절개부(50)로 삽입되면, 운전자가 에어백(24)이 팽창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2고정체(54)의 내측벽에 돌출구성된 가압돌기(84)가 제 2패드(80)의 일측 부분에 형성된 수직결합홈(82)에 삽입되도록 패드(78),(80)와 시트벨트(18)를 이동시키면, 시트벨트(18)가 리트렉터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고정됨으로 운전자의 체형이 평균체형보다 클 경우에도 커버(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고정체(54)의 내측벽에 돌출구성된 가압돌기(84)가 제 2패드(80)의 타측 부분에 형성된 수직결합홈(82)에 삽입되도록 패드(78),(80)와 시트벨트(18)를 이동시키면, 시트벨트(18)가 리트렉터로 권취된 상태로 고정됨으로 운전자의 체형이 평균체형보다 작을 경우에도 커버(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안내체(16)의 일측에 커버(70)의 제 2수용공간(68)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패드(78),(80)와 제 2고정체(54)가 장착되어 있음으로 운전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커버(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커버(70)의 이동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관게없이 에어백(24)이 조향핸들과 운전자의 얼굴부분의 사이에서 팽창됨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를 용이하게 에어백으로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제 1가이드공과 제 2가이드공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에어백의 양측이 중심부분보다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에어백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유지편이 봉착되어 있음으로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를 원활하게 에어백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소망하는 에어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자동차의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0)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내장된 가스가 폭발되는 폭발수단(12)과,
    일측에 날개편(14)이 형성되고, 일측 내측에 상기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이동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가이드공(2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타측 내측에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만 외측으로 팽창되는 제 2가이드공(22)이 형성된 안내체(16)와,
    내측 양측에 팽창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유지편(28)이 수직방향으로 봉착되고, 일면에 유입된 고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30)이 형성되어 상기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예정된 형태로 팽창되는 에어백(24)과,
    일측이 상기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2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체(16)의 타측에 고정되고, 일면에 에어백이 봉착된 지지편(26)과,
    일측에 종방향으로 나사공(32)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편(36)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체결편(36)의 내측에 나사공(32)과 연통된 고압가스통로(38)가 형성된 제 1고정체(34)와,
    내측에 안내체(16)의 일측과 접촉되는 안착홈(40)이 형성되고, 일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공(46)이 형성된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와,
    상기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46)에 삽입고정되어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이 제 1가이드공(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체결볼트(48)와,
    내측에 상기 제 1고정체(34)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 1절개부(50) 및 제 1고정체(34)의 폭과 같게 형성된 제 2절개부(5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 1고정체(52)에 형성된 나사공(32)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56)이 형성된 제 2고정체(54)와,
    일측에 상기 제 2고정체(54)의 관통공(56)을 통하여 제 1고정체(34)의 나사공(32)에 치합되는 연결편(58)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내측에 가이드공(62)이 형성된 연결체(60)와,
    일측이 상기 연결체(60)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폭발수단(64)에 고정되는 고압호스(64)와,
    내측에 제 1수용공간(66) 및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되고, 이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 고압가스에 의하여 에어백(24)이 팽창될 수 있도록 절취선(72)이 형성되며, 일측에 안내체(16), 지지편(26), 시트벨트(18)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자크(74)가 장착된 커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의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부분이 운전자의 복부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이 연결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4. 제 1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상기 시트벨트(18)가 삽입되는 수용공간(76)이 형성된 제 1패드(78)와,
    상기 일측면에 시트벨트(18)가 삽입되는 수용공간(76)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수직결합홈(82)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 2패드(80)와,
    내측벽에 상기 제 2패드(80)의 타측면에 형성된 수직결합홈(82)에 선택적으로 밀착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84)가 돌출구성된 제 2고정체(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KR1019990007243A 1998-03-19 1999-03-05 시트벨트에장착되는에어백 KR19990077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931A KR100367107B1 (ko) 1999-03-05 2000-03-04 벨트장착형 에어백장치
KR10-2000-0010929A KR100367106B1 (ko) 1999-03-05 2000-03-04 벨트장착형 에어백
KR1020000010930A KR20000062756A (ko) 1999-03-05 2000-03-04 벨트장착형 에어백장치
KR10-2000-0010928A KR100367105B1 (ko) 1999-03-05 2000-03-04 벨트장착형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433A KR19980025210A (ko) 1998-03-19 1998-03-19 안전벨트에 설치되는 에어백 장치
KR1019980009433 1998-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14A true KR19990077614A (ko) 1999-10-25

Family

ID=547813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433A KR19980025210A (ko) 1998-03-19 1998-03-19 안전벨트에 설치되는 에어백 장치
KR1019990007243A KR19990077614A (ko) 1998-03-19 1999-03-05 시트벨트에장착되는에어백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433A KR19980025210A (ko) 1998-03-19 1998-03-19 안전벨트에 설치되는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252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011A (zh) * 2018-09-25 2018-12-18 昆山正工模具有限公司 一种智能腰带启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10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945B2 (en) Active 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6971671B2 (en) Active 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7063350B2 (en) Dual chamber side airbag apparatus and method
EP1358091B1 (en) Bumper airbag and system
US7025376B2 (en) One piece cushion for personal airbag
US20110309605A1 (en) Airbag and airbag device
EP1693256A1 (en) Airbag cushion
US20050087998A1 (en) Bumper airbag and system
US6224088B1 (en) Infl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extending adjacent a windshield
US5984355A (en) Steering column angle
US6464252B1 (en) Vehicular impact protection device
KR19990077614A (ko) 시트벨트에장착되는에어백
KR20000018148U (ko)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KR19990037595A (ko)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20040025166A (ko) 헤드레스트의 에어백시스템
KR10030592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200144273Y1 (ko) 조수석 에어백장치의 커버
KR011440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20030063738A (ko) 자동차용 천장 에어백
KR20030026468A (ko) 자동차용 테더 및 벤트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9990029267U (ko)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KR19980064605U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