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148U -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148U
KR20000018148U KR2019990003991U KR19990003991U KR20000018148U KR 20000018148 U KR20000018148 U KR 20000018148U KR 2019990003991 U KR2019990003991 U KR 2019990003991U KR 19990003991 U KR19990003991 U KR 19990003991U KR 20000018148 U KR20000018148 U KR 200000181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guide
seat belt
cov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규
Original Assignee
이영상
주식회사 듀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상, 주식회사 듀오테크 filed Critical 이영상
Priority to KR2019990003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148U/ko
Publication of KR20000018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48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의 일면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도록 장착된 가압돌기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운전자의 심폐기능과 복부(복근)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운전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170)의 일면에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을 가압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176)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Airbag cover to be attatched on seat belt}
본 고안은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의 일면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도록 장착된 가압돌기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운전자의 심폐기능과 복부(복근)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운전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자동차의 보급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기술적인 성능의 향상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충돌 사고시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로 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각종 안전장치의 개발이다. 최근 차량의 고출력화 및 고속화의 추세에 따라 과속으로 인한 대형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자동차에 장착되는 대표적인 안전장치를 살펴보면,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제동시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여 조향 휠의 조작을 가능케 하는 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과, 주행 상황이나 도로상태에 따라 전륜과 후륜에 장착된 4개의 속 업소버와, 에어 스프링의 내부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제공하는 전자 제어식 서스펜션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방범퍼 및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방범퍼와, 충돌사고 또는 자동차가 급정지할 경우 관성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계속 운동하려는 힘을 구속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전면유리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벨트와, 조향핸들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어 전방에서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점화수단이 폭발되고, 이 폭발에 따라 팽창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에어백으로 구분되어진다. 또한, 최근에는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가 관성의 법칙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순간과 에어백이 팽창되는 순간이 효율적으로 매치될 수 있도록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체에 연결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체가 안내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며,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이 고압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자동차의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0)가 구비되어지고, 이 충격감지센서(10)는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부분에 장착되어진다.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내장된 가스가 폭발되는 폭발수단(12)이 구비되어진다. 일측에 날개편(14)을 갖는 안내체(16)가 구비되어지고, 이 안내체(16)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안내체(16)의 일면은 시트벨트(18)와 접촉됨으로 시트벨트(18)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안내체(16)의 일측 내측에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이동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가이드공(2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이 안내체(16)의 타측 내측에는 내벽이 밀착된 제 2가이드공(22)이 형성되어진다.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제 2가이드공(2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진다.
일측에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예정된 형태로 팽창되는 에어백(24)이 봉착된 지지편(26)이 구비되어지고, 이 지지편(26)은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2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체(16)의 타측에 고정되어진다. 에어백(24)의 일면에는 에어백(24)으로 유입된 고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30)이 형성되어진다. 일측에 종방향으로 나사공(32)이 형성된 제 1고정체(34)가 구비되어지고, 이 제 1고정체(34)의 일측에는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편(36)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어진다. 이 체결편(36)의 내측에는 나사공(32)과 연통된 고압가스통로(38)가 형성되어진다. 내측에 안내체(16)의 일측과 접촉되는 안착홈(40)이 형성된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가 구비되어지고, 이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의 일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공(46)이 형성되어진다. 제 1지지체(42) 및 제 2지지체(44)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46)에 삽입고정되어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이 제 1가이드공(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체결볼트(48)가 구비되어진다. 내측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제 1절개부(50) 및 제 2절개부(52)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2고정체(54)가 구비되어지고, 이 제 2고정체(54)의 일측에는 제 1고정체(52)에 형성된 나사공(32)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56)이 형성되어진다. 제 2고정체(54)의 제 1절개부(50) 내경은 제 1고정체(34)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지고, 제 2고정체(54)의 제 2절개부(52) 내경은 제 1고정체(34)의 폭과 같게 형성되어진다.
일측에 제 2고정체(54)의 관통공(56)을 통하여 제 1고정체(34)의 나사공(32)에 치합되는 연결편(58)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연결체(60)가 구비되어지고, 이 연결체(60)의 내측에는 가이드공(62)이 형성되어진다. 일측이 연결체(60)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압호스(64)가 구비되어지고, 이 고압호스(64)의 타측은 폭발수단(12)에 고정되어진다. 내측에 제 1수용공간(66) 및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커버(70)가 구비되어지고, 이 커버(70)의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부분은 운전자의 복부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진다. 커버(70)의 제 1수용공간(66)은 안내체(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체(16)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커버(70)의 제 2수용공간(68)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는 고압가스에 의하여 에어백(24)이 팽창될 수 있도록 절취선(미도시)이 형성되어지고, 커버(70)의 일측에는 안내체(16), 지지편(26), 시트벨트(18)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자크(74)가 장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이 시트밸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전방에서 소정의 충격이 전달되면, 충격감지센서(10)가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충격감지센서(10)는 전달되는 충격량이 내장된 기준치 이하이면,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폭발수단(12)의 내장된 고압가스가 폭발한다. 충격감지센서(1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폭발된 고압가스는 고압호스(64), 연결체(60), 제 1고정체(34)를 통하여 안내체(16)로 공급된다. 즉, 연결체(60)의 가이드공(62)과 제 1고정체(34)의 고압가스통로(38)가 연통된 상태로 연결체(60)와 제 1고정체(34)가 결합됨과 동시에 고압가스통로(38)와 연통된 제 1고정체(34)의 체결편(36)이 지지체(42),(44)에 의하여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에 삽입고정되어 있음으로 충격감지센서(1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폭발된 고압가스는 용이하게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공급된다.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으로 이동된 압축된 고압가스는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을 따라 지지편(26)으로 이동된다. 이때, 내벽이 밀착된 제 2가이드공(22)이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를 갖는다.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이 연결되는 부분이 제 1가이드공(20)에서 제 2가이드공(22)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제 2가이드공(22)으로 이동된다.
폭발수단(12)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안내체(16)의 제 1가이드공(20)과 제 2가이드공(22)을 따라 지지편(26)으로 이동되면, 지지편(26)의 일측에 봉착된 에어백(24)이 예정된 형태로 팽창된다. 이때, 제 2수용공간(68)의 외측에는 형성된 절취선(미도시)이 커버(70)에서 이탈된 상태를 갖는다. 에어백(24)이 고압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에어백(24)의 내측으로 공급된 고압가스는 에어백(24)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공(30)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벨트에 장착된 에어백을 이용하여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가 관성의 법칙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순간과 에어백이 팽창되는 순간을 효율적으로 매치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에는 복부(복근)기능과 심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운전하는 상태에서 복부(복근)기능과 심폐기능을 강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의 일면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도록 장착된 가압돌기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운전자의 심폐기능과 복부(복근)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운전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체에 연결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체가 안내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이 고압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흐름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체에 연결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가 안내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커버에 내측 일면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등으로 이루어진 패드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충격감지센서 102 : 폭발수단
104 : 날개편 106 : 안내체
108 : 시트벨트 120 : 제 1가이드공
122 : 제 2가이드공 124 : 에어백
126 : 지지편 128 : 유지편
130 : 배출공 132 : 나사공
134 : 제 1고정체 136 : 체결편
138 : 고압가스통로 140 : 안착홈
142 : 제 1지지체 144 : 제 2지지체
146 : 체결공 148 : 체결볼트
150 : 제 1절개부 152 : 제 2절개부
154 : 제 2고정체 156 : 관통공
158 : 연결편 160 : 연결체
162 : 가이드공 164 : 고압호스
166 : 제 1수용공간 168 : 제 2수용공간
170 : 커버 174 : 자크
176 : 가압돌기 178 : 패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의 일면에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을 가압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압돌기의 중심부분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체에 연결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가 안내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체의 일측에 지지체 및 고정체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커버에 내측 일면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등으로 이루어진 패드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자동차의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충격감지센서는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부분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내장된 가스가 폭발되는 폭발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일측에 날개편(104)을 갖는 안내체(106)가 구비되고, 이 안내체(106)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안내체(106)의 일면은 시트벨트(108)와 접촉됨으로 시트벨트(108)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안내체(106)의 일측 내측에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이동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가이드공(12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체(106)의 타측 내측에는 내벽이 밀착된 제 2가이드공(122)이 형성된다. 제 1가이드공(120)과 제 2가이드공(122)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제 2가이드공(12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측에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예정된 형태로 팽창되는 에어백(124)이 봉착된 지지편(126)이 구비되고, 이 지지편(126)은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된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12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체(106)의 타측에 고정된다. 에어백(124)의 일면에는 에어백(124)으로 유입된 고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130)이 형성된다. 일측에 종방향으로 나사공(132)이 형성된 제 1고정체(134)가 구비되고, 이 제 1고정체(134)의 일측에는 안내체(106)의 제 1가이드공(120)으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편(136)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체결편(136)의 내측에는 나사공(132)과 연통된 고압가스통로(138)가 형성된다. 내측에 안내체(106)의 일측과 접촉되는 안착홈(140)이 형성된 제 1지지체(142) 및 제 2지지체(144)가 구비되고, 이 제 1지지체(142) 및 제 2지지체(144)의 일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공(146)이 형성된다. 제 1지지체(142) 및 제 2지지체(144)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146)에 삽입고정되어 제 1고정체(134)의 체결편(136)이 제 1가이드공(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체결볼트(148)가 구비된다. 내측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제 1절개부(150) 및 제 2절개부(152)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2고정체(154)가 구비되고, 이 제 2고정체(154)의 일측에는 제 1고정체(152)에 형성된 나사공(132)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156)이 형성된다. 제 2고정체(154)의 제 1절개부(150) 내경은 제 1고정체(134)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제 2고정체(154)의 제 2절개부(152) 내경은 제 1고정체(134)의 폭과 같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에 제 2고정체(154)의 관통공(156)을 통하여 제 1고정체(134)의 나사공(132)에 치합되는 연결편(158)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연결체(160)가 구비되고, 이 연결체(160)의 내측에는 가이드공(162)이 형성된다. 일측이 연결체(160)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압호스(164)가 구비되고, 이 고압호스(164)의 타측은 폭발수단(102)에 고정된다. 내측에 제 1수용공간(166) 및 제 2수용공간(168)이 형성된 커버(170)가 구비되고, 이 커버(170)의 제 2수용공간(168)이 형성된 부분은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170)의 제 1수용공간(166)은 안내체(10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체(106)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버(170)의 제 2수용공간(168)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는 고압가스에 의하여 에어백(124)이 팽창될 수 있도록 절취선(미도시)이 형성되고, 커버(170)의 일측에는 안내체(106), 지지편(126), 시트벨트(108)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자크(174)가 장착된다.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커버(170)의 제 2수용공간(168) 일면에는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을 가압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176)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되고, 이 가압돌기(176)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압돌기(176)의 중심부분에는 세라믹(Ceramics), 마그넷(Magnet), 맥반석 등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가압돌기(176)에 장착되는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은 가압돌기(17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커버(170)의 내측 일면에는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으로 이루어진 패드(178)가 부착되고, 이 패드(178)는 커버(170)의 내측 일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이 시트백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전방에서 소정의 충격이 전달되면, 충격감지센서가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충격감지센서는 전달되는 충격량이 내장된 기준치 이하이면,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폭발수단의 내장된 고압가스가 폭발한다. 충격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폭발된 고압가스는 고압호스(164), 연결체(160), 제 1고정체(134)를 통하여 안내체(106)로 공급된다. 즉, 연결체(160)의 가이드공(162)과 제 1고정체(134)의 고압가스통로(138)가 연통된 상태로 연결체(160)와 제 1고정체(134)가 결합됨과 동시에 고압가스통로(138)와 연통된 제 1고정체(134)의 체결편(136)이 지지체(142),(144)에 의하여 안내체(106)의 제 1가이드공(120)에 삽입고정되어 있음으로 충격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폭발된 고압가스는 용이하게 안내체(106)의 제 1가이드공(120)으로 공급된다. 안내체(106)의 제 1가이드공(120)으로 이동된 압축된 고압가스는 안내체(106)의 제 1가이드공(120)과 제 2가이드공(122)을 따라 지지편(126)으로 이동된다. 이때, 내벽이 밀착된 제 2가이드공(122)이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를 갖는다. 제 1가이드공(120)과 제 2가이드공(122)이 연결되는 부분이 제 1가이드공(120)에서 제 2가이드공(122)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용이하게 제 2가이드공(122)으로 이동된다.
폭발수단의 폭발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압가스가 안내체(106)의 제 1가이드공(120)과 제 2가이드공(122)을 따라 지지편(126)으로 이동되면, 지지편(126)의 일측에 봉착된 에어백(124)이 예정된 형태로 팽창된다. 이때, 제 2수용공간(168)의 외측에는 형성된 절취선(미도시)이 커버(170)에서 이탈된 상태를 갖는다. 에어백(124)이 고압가스에 의하여 예정된 형태로 팽창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에어백(124)의 내측으로 공급된 고압가스는 에어백(124)의 일면에 형성된 배출공(130)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170)의 제 2수용공간(168) 일면에 가압돌기(176)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되어 있음으로 운전자가 운전하는 상태에서 복부(복근)기능과 심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센터필러의 내측 하단에 장착된 리트랙터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시트벨트(108)에 커버(170)가 장착되어 있음으로 운전자가 시트벨트(108)를 착용하게되면, 가압돌기(176)가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을 가압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호흡을 함으로 운전자의 심폐기능과 복부(복근)기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76)와 커버(170)의 내측 일면에 부착된 패드(178)에 인체에 필요한 적외선을 제공하는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이 구비되어 있음으로 운전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170)를 제작시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커버(170)를 제작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는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의 일면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도록 장착된 가압돌기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되어 있음으로 운전자의 심폐기능과 복부(복근)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운전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에 밀착되는 커버(170)의 일면에 운전자의 복부(복근)부분을 가압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176)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176)의 중심부분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일면에 세라믹, 마그넷, 맥반석 등으로 이루어진 패드(17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178)가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KR2019990003991U 1999-03-13 1999-03-13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KR200000181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91U KR20000018148U (ko) 1999-03-13 1999-03-13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91U KR20000018148U (ko) 1999-03-13 1999-03-13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48U true KR20000018148U (ko) 2000-10-16

Family

ID=5476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91U KR20000018148U (ko) 1999-03-13 1999-03-13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1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3256B1 (en) Airbag cushion
CN1094101C (zh) 车辆安全防护系统
CN101070060B (zh) 可选择性展开的车辆气囊设备及其控制方法
KR20050005475A (ko) 에어백 시스템용 능동통기장치 및 방법
WO2003041995A3 (en) Rear tether retractor for an inflatable cushion
JPS6483436A (en) Inflation type restraining device
KR20000018148U (ko) 시트벨트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
US20050104341A1 (en) Occupant protecting device
KR100216918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의 인플레이터 하우징
KR19990077614A (ko) 시트벨트에장착되는에어백
KR100278475B1 (ko) 자동차용 에어시트
JPH11170948A (ja) 乗員拘束装置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EP1864869A1 (en) Airbag and airbag system
KR19990037595A (ko)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KR100471479B1 (ko) 에어백 쿠션의 볼륨 조절장치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20030063738A (ko) 자동차용 천장 에어백
KR20040025166A (ko) 헤드레스트의 에어백시스템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200141760Y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19990007196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011440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940007890Y1 (ko) 안전벨트부착식 에어백
KR19980064605U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