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68A - 전자 사진용 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용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68A
KR19980064568A KR1019970073126A KR19970073126A KR19980064568A KR 19980064568 A KR19980064568 A KR 19980064568A KR 1019970073126 A KR1019970073126 A KR 1019970073126A KR 19970073126 A KR19970073126 A KR 19970073126A KR 19980064568 A KR19980064568 A KR 19980064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layer
formula
photosensitive memb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수시 이구치
요시마사 도미우치
카주야 아다치
마사히꼬 카사하라
Original Assignee
나까사또요시히꼬
후지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사또요시히꼬, 후지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사또요시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6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57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64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carbonat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공액이 안정되어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생산성이 높고, 감광층에 손상이나 균열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화상 특성이 양호하며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토너 분리가 양호하여 경제성이 뛰어난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광층은 수지 결합제로서 하기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한다:
상기 식에서,
1 및 m은 중합도(重合度)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전자 사진용 감광체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법의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에 이용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감광층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감광층에 이용되는 수지 결합제에 관한 것이다.
유기 광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유기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무공해, 저비용, 물질 선택의 자유도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감광체 특성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자주 제안 및 실용화되어 왔다.
유기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주로 유기 광전도성 화합물을 수지 결합제에 분산시킨 층으로 이루어지며, 전하 발생 물질을 수지에 분산시킨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물질을 수지에 분산시킨 전하 수송층을 적층한 적층형이나 전하발생물질 및 전하수송물질을 수지에 분산시킨 단층형이 있다.
이들 감광층에는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가 수지 결합제로서 널리 이용되며, 유기 광전도성 화합물과 수지 결합제를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도공액을 원통 형상의 전도성 기판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지 결합제로서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도공액을 제작할 때 유기 용제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을 이용하면 그 도공액은 수일내로 겔화되고, 그 도공액을 이용하여 코팅하면 균일하고 양호한 감광층을 형성할 수 없다.
형성된 감광층에는 용매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내부 변형력에 따른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큰 크랙은 그대로 화상 결함으로 나타나고, 작은 크랙은 특히 접촉 대전 방식의 대전 장치를 이용한 전자 사진 장치에 있어서는 대전 부재로부터 감광체의 전도층으로 전류가 누출되는 원인이 되기 쉽고 이로인해 화상결함이 나타난다.
형성된 감광층은 감광체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손상되기 쉽고, 손상된 부위에 토너가 점착되어 클리닝 불량의 원인이 되는 피막형성 현상이 발생하며, 고형의 흑색 화상 위에 하얀 반점 형상의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막이 깎이므로 감광체 수명도 무기계 감광체에 비해 짧다.
겔화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유기 용제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하여, 겔화에 필요한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지만, 이는 충분한 해결책이 아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1984-71057호, 일본특허공개공보 제1985-172044호에는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비스페놀Z형 폴리카보네이트는 크랙 방지 효과가 없으며, 이로 인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1986-62040호에는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와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1986-105550호에는 비스페놀 A형과 비스페놀 Z형의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어떠한 방법도 상기의 크랙 발생에 대한 충분한 해결책이라고 볼 수 없다.
막손상의 문제에 관해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1982-212453호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여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1988-65444호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가지는 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전자 사진 감광체는 (Ⅰ)표면에 대해 일체로 전하를 부여하는 대전, (Ⅱ)대전부에 대한 빛투사를 실시하는 노출광, (Ⅲ)대전과 노출광에 의해 형성된 정전잠상(靜電潛像)에 착색분말(토너)을 부착하므로써 가시화를 실시하는 현상, (Ⅳ) 토너상(像)을 종이 등의 최종기록매체에 대해 전이하는 전사, (Ⅴ)전사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융착시키는 정착과 같은 전자 사진 공정을 이용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에 사용되고 있다.
(Ⅰ)의 대전 공정에서는, 비접촉 방식중 하나인 코로트론(corotron)이나 스코로트론(scorotron)과 같은 코로나 방전에 의한 대전이 종래부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오존 발생량도 적은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롤러나 브러쉬에 의한 접촉대전도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롤러에 의한 접촉대전은 상기의 전류 누출을 발생시키기 쉽고, 브러쉬에 의한 대전은 감광체 표면에 손상을 입히기 쉽기 때문에 감광체의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Ⅲ)의 현상 공정에서는 절연성 액체내에 직경이 짧은 토너입자를 분산시킨 현상액을 사용하는 액체 현상법이나 건식 토너를 이용하는 현상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건식토너를 이용한 현상법에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이용한 2성분 현상법과 토너만으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이용한 1성분 현상법이 있고, 각각 토너층과 감광체를 접촉 및 비접촉 방식을 통해 이용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이중에서도, 자기 브러시를 이용하고 자성토너와 절연성 캐리어를 이용한 2성분 접촉현상법이나, 1성분 자성토너를 이용한 1성분 접촉 현상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비자성 토너를 이용한 1성분 접촉 현상법이나, 1성분 자성토너를 이용하고 AC 바이어스를 인가한 점핑(jumping)현상법이라 불리우는 현상법도 주류를 이루는 추세이다. 더욱이 최근에 와서는, 현상시에 클리닝을 동시에 실시하고, 클리닝 브레이드(cleaning blade) 등의 클리너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은 프린터도 제품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입자 직경이 짧고 구(球)형태인 중합토너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액체 현상용 토너나 중합토너 등과 같이 직경이 짧은 토너는, 고해상도화가 기대되지만, 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감광체와의 부착력이 증가하여, 피막이 형성되기 쉬워지거나, (Ⅳ)의 전사 공정에 있어서, 토너가 완전히 종이 등의 기록매체에 전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후의 클리닝 공정에서도 토너가 감광체상에 잔존하여, 화상결함으로써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사효율이 낮으면 토너 소비량이나 폐토너가 증가하는 원인도 되어, 환경문제로서도 대두되고 있으므로, 토너분리가 양호한 감광체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층에 이용되는 수지 결합제를 개량함으로써, 도공액이 안정되어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생산성이 높고, 감광층에 손상이나 균열이 발생하기 어려워 화상특성이 양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토너분리가 양호하여 경제성이 뛰어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관련된 감광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관련된 감광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관련된 감광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관련된 감광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관련된 감광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티탄일 프탈로시아닌의 CuKα선에 따른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도성 기판 2 : 하부피복층
3 : 전하 발생층 4 : 전하 수송층
5 : 표면보호층 6 : 감광층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기판상에 감광층을 가지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감광층이 하기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지 결합제로서 함유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식에서,
1 및 m은 중합도를 나타낸다.
감광층이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하기 화학식(2)의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하기 화학식(3)의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4)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수지 결합제로서 함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식에서,
n, o, r 및 s는 중합도를 나타낸다.
감광층은 전도성 기판상에 적층된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카르보닐디옥시기-O-CO-O-를 가지는 고분자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 또는 표면보호층에 사용된다. 전자 사진용 감광체가 적층형 감광층을 가질 때 폴리카보네이트는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층의 어느 한 층에서 수지 결합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로는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에,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화학식(2)의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화학식(3)의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화학식(4)의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다.
화학식(1), 화학식(2), 화학식(3), 화학식(4)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이들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와의 공중합체로 구성하여도 이용될 수 있다. 고분자의 말단기는 특정되지 않고, 수산기나 t-부티랄기 등 여러 기를 이용할 수 있다:
(1)
(2)
(3)
(4)
상기 식에서,
l, m, n, o, r 및 s는 중합도를 나타내고, l/(l + m)은 0.3보다 크고 0.8보다 작으며, r/(r + s)는 0.1보다 크고 0.9보다 작다.
도면에서 부호 (1)는 전도성 기판, (2)는 하부피복층, (3)은 전하발생층, (4)는 전하수송층, (5)는 표면보호층, (6)은 감광층이며 감광층은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층으로 분리된 기능분리형이나 혹은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물질을 함유하는 단층형이다.
전도성 기판(1)은 감광체의 전극으로서 역할과 동시에 다른 각 층의 지지체가 되며, 원통형상, 판형상, 필름현상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니켈 등의 금속 또는 유리, 수지 등의 위에 전도처리한 것일 수 있다.
하부피복층(2)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나 알마이트 등의 산화피막 등으로 이루어지고, 전도성 기판으로부터 감광층으로 불필요한 전하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표면의 결함 피복, 감광층의 접착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한다. 수지 결합제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수지,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멜라민수지, 실리콘수지, 폴리부티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결합제내에 금속산화물 미립자등을 함유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미립자로는 SiO2, TiO2, In2O3, ZrO2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부피복층의 막두께는 하부피복층의 배합 조성에 따르기도 하지만, 반복적으로 연속 사용하는 경우에는 잔류전위가 증대하는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전하발생층(3)은 유기광전도성 물질을 진공 증착하거나 또는 유기광전도성 물질의 입자를 수지 결합제내에 분산시킨 도액을 도포하여 형성되고, 빛을 수용하여 전하를 발생한다. 또한 전하발생효율과 발생된 전하의 전하수송층(4)에 대한 주입성이 중요하므로 전기장 의존성이 적고 낮은 전기장에서도 주입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발생층(3)은 전하발생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 막두께는 전하발생물질의 빛흡수 계수에 의해 결정되고 일반적으로는 5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μm이하이다. 전하발생층은 전하발생물질이 주가되고, 여기에 전하수송물질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하발생 물질로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아조 안료, 안토안트론 안료, 페릴렌 안료, 페리논 안료, 스콸란 안료, 티아필릴륨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안료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프탈로시아닌계 안료로는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동프탈로시아닌, 티타닐프탈로시아닌이 바람직하고, 또한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τ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ε형 동프탈로시아닌, β형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Y형 티타닐프탈로시아닌이나 CuKα를 이용한 X선 회절 스펙트럼의 브랙(Bragg)각(2θ)의 최대 피크가 9.6°인 티타닐프탈로시아닌(일본특허출원 제 1994-289363호에 개시)이 바람직하다.
수지 결합제로는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외에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밖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부티랄, 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페녹시 수지, 실리콘 수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 수송층(4)은 수지 결합제내에 전하수송물질을 분산시킨 도막이며, 어두운 곳에서는 절연체층으로서 감광체의 전하를 유지하고, 빛을 수용할 때는 전하발생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하를 수송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전하수송물질로서는, 히드라존화합물, 피라졸린화합물, 피라졸론화합물, 옥사디아졸화합물, 옥사졸화합물, 아릴아민화합물, 벤지딘화합물, 스틸벤화합물, 스티릴화합물, 및 폴리비닐 카르바졸 등과 같은 전하수송성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하기 화학식(11) 내지 (21)의 도시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전하수송층의 막두께는 실용적으로 유효한 표면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3 내지5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μm이다.
단층형 감광층은 수지 결합제내에 전하발생물질과 전하수송물질을 분산시킨 도막이며, 상기 전하발생층(3) 및 전하수송층(4)에 이용되는 물질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막두께는 실용적으로 유효한 표면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3 내지 5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μm이다.
이들 감광층내에는 감도의 향상이나 잔류전위의 감소, 또는 반복적인 사용시의 특성 변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전자 수용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전자 수용 물질로서는, 무수숙신산, 무수말레인산, 디브롬무수숙신산, 무수프탈산, 3-니트로무수프탈산, 4-니트로무수프탈산, 무수피로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무수트리멜리트산, 프탈이미드, 4-니트로프탈이미드,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트라시안옥시디메탄, 클로라닐, 브로마닐, o-니트로벤조산 등의 전자 친화력이 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감광층내에는 내환경성이나 유해한 빛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나 광안정제 등의 열화방지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화합물로는 토코페롤 등의 크로마놀 유도체 및 에테르화된 화합물, 에스테르화된 화합물, 폴리아릴알칸 화합물, 히드로퀴논 유도체, 디에테르화된 화합물,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티오에테르 화합물,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포스폰산 에스테르, 포스파이트, 페놀 화합물, 장애된 페놀 화합물, 직쇄(直鎖)아민 화합물, 고리형 아민 화합물, 장애된 아민 화합물 등이 포함된다.
또한 감광층내에는, 형성막의 평판성의 향상이나 윤활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오일이나 불소계 오일 등의 균염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표면보호층(5)은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표면보호층은 윤활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응력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며, 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질로 구성되고, 어두운 곳에서는 코로나 방전의 전하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전하발생층이 감응하는 빛을 투과하는 성능을 가지고, 광노출시에 빛을 투과하며, 전하발생층에 도달시키며, 발생된 전하를 주입하여 표면전하를 중화소멸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표면보호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하 발생물질의 빛흡수가 극대가 되는 파장영역에서, 가능한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보호층에는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외에 개질된 실리콘 수지로서, 아크릴 개질된 실리콘 수지, 에폭시 개질된 실리콘수지, 알키드 개질된 실리콘수지, 폴리에스테르 개질된 실리콘수지, 우레탄 개질된 실리콘수지 등, 및 하드 코팅(hard coating)제로 실리콘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SiO2, TiO2, In2O3, Zr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알콕시 화합물의 축합물과의 혼합물이 적합하다. 또한 보호층의 평탄성 및 윤활성의 향상을 위해 실리콘 오일이나 불소계 오일 등의 균염제를 함유할 수 있다.
표면보호층의 막두께는 반복적으로 연속사용하는 경우에 잔류전위가 증대되는 등의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전기 특성 평가용으로 드럼 감광체(30φ)를 제조하였다. 알루미늄소관(素官)상에 하기와 같이 조성된 하부피복층용 분산액에 침적 도포하고, 10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두께가 3μm인 하부피복층(2)을 형성하였다:
알콜 가용성 나일론(CM8000:도오레(주)) 5부
아미노실란처리된 산화티탄미립자 5부
메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혼합용제(6:4 90부
다음으로 하기와 같이 조성된 전하발생층용 분산액에 침적 도포하고, 10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두께가 0.3μm인 전하발생층(3)을 형성하였다:
티타닐프탈로시아닌 1부
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 수지(MR-110:일본제온(주) 1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98부
다음으로 하기와 같이 조성된 전하수송층용 용액에 침적 도포하여, 10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두께가 20μm인 전하수송층(4)을 형성하였다:
히드라존 화합물(화학식(14), CTC191:아난향료(주)) 9부
부타디엔 화합물(화학식(11), T405:아난향료(주)) 1부
폴리카보네이트수지(화학식(1)) 10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90부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5부와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펜라이트 K1300:제인화성(주)) 5부를 혼합하여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5부와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펜라이트 TS2050:제인화성(주)) 5부를 혼합하여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5부와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터프젯 BPPC-3:출광흥산(주)) 5부를 혼합하여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5부와 폴리카보네이트(APEC KUI-9371:바이엘(주)) 5부를 혼합하여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펜라이트 K1300:제인화성(주)) 10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펜라이트 TS2050: 제인화성(주)) 10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수지(터프젯 BPPC-3:출광흥산(주)) 10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 10부 대신에,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펜라이트 K1300:제인화성(주)) 7부와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펜라이트 TS2050:제인화성(주)) 3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감광체 제작에 사용한 전하수송층용 용액을 어둡고 온도 20℃, 습도 50%인 환경하에서 1개월간 방치하여, 전하수송층용 용액의 겔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감광체의 내구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감광체를 휴렛팩커드사에서 제조된 레이저 프린터 레이저 젯 4 플러스(Laser Jet 4 plus)에 장착하고, 인자율이 약 5%인 화상을 1만매 인쇄하고, 천매마다 전면흑화상과 전면 백화상을 인쇄하였다. 또한, ① 시각에 의한 감광체 표면 평가, ② 시각에 의한 화상 평가, ③ 1만매 화상출력을 실시한 후의 막균열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가 표 1에 나타난다.
시료 초기화상 강광체상피막형성 피막형성 원인에 의한 화상결함 1만매 이후막균열정도(㎛) CTL 액1개월 후의겔화
실시예 1 양호 없음 없음 3.2 없음
실시예 2 양호 없음 없음 3.6 없음
실시예 3 양호 없음 없음 3.1 없음
실시예 4 양호 없음 없음 3.5 없음
실시예 5 양호 없음 없음 3.1 없음
비교예 1 양호 2천매에서 발생 4천매에서 발생 5.1 겔화됨
비교예 2 양호 6천매에서 발생 8천매에서 발생 4.5 없음
비교예 3 양호 4천매에서 발생 6천매에서 발생 3.2 없음
비교예 4 양호 3천매에서 발생 5천매에서 발생 4.3 없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는 1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방치하여도 전하수송층용 용액(CTL액)이 겔화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감광체 표면에는 피막은 형성되지 않고, 또한 화상결함도 없다. 1만매를 화상출력한 이후의 막균열도 비교예에 비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광층이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지 결합제로서 함유하거나, 또는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화학식(2)의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화학식(3)의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 화학식(4)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지 결합제로서 함유하기 때문에, 도공액이 안정되어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생산성이 높고, 감광층에 손상이나 균열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화상 특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토너 분리가 양호하여 경제성도 우수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가 얻어진다.

Claims (3)

  1. 전도성 기판상에 감광층을 가지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감광층이 하기 화학식(1)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지 결합제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상기 식에서
    1 및 m은 중합도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감광층이 하기 화학식(2)의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하기 화학식(3)의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4)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어느 하나를 수지 결합제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2)
    (3)
    (4)
    상기 식에서,
    n, o, r 및 s는 중합도를 나타낸다.
  3. 제 1항에 있어서, 감광층이 전도성 기판상에 적층된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1019970073126A 1996-12-25 1997-12-24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199800645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45295A JPH10186686A (ja) 1996-12-25 1996-12-25 電子写真用感光体
JP1996-345295 1996-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68A true KR19980064568A (ko) 1998-10-07

Family

ID=1837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126A KR19980064568A (ko) 1996-12-25 1997-12-24 전자 사진용 감광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186686A (ko)
KR (1) KR19980064568A (ko)
CN (1) CN1186262A (ko)
DE (1) DE19754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1523A (en) * 1998-10-29 1999-1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s
TWI417687B (zh) * 2006-05-16 2013-12-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JP5453733B2 (ja) * 2007-06-07 2014-03-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640801B2 (ja) 2010-02-24 2014-12-17 三菱化学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子写真カートリッジ
US8697321B2 (en) 2010-05-31 2014-04-1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image-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cartridge
KR101402816B1 (ko) * 2012-02-16 2014-06-03 주식회사 파캔오피씨 전자사진 감광체의 전하 수송층 코팅액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전하 수송층 코팅액 및 이를 포함한 전자사진 감광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86686A (ja) 1998-07-14
DE19754605A1 (de) 1998-07-02
CN1186262A (zh) 199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3302B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photoreceptor
KR0151322B1 (ko) 전자사진 감광 부재, 이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장치 및 전자사진 장치 유닛
JP3246362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KR101686074B1 (ko) 전자사진 감광체, 그 제조방법 및 전자사진 장치
JP2007148380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3215821A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64568A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JP631183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3409540B2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3307861A (ja) 有機感光体、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65136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US5981125A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an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11130857A (ja) 新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
KR20080052498A (ko) 전자사진 감광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KR19990007362A (ko)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전자사진장치
JP2991150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1066805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1172934A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電子写真装置
US20040180279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367318B2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778914B2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062221A (ja) 単層型正帯電電子写真感光体
JP2006259296A (ja) 有機感光体、有機感光体の製造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1808815B1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JP2004126579A (ja) 画像形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