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564A -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564A
KR19980059564A KR1019960078907A KR19960078907A KR19980059564A KR 19980059564 A KR19980059564 A KR 19980059564A KR 1019960078907 A KR1019960078907 A KR 1019960078907A KR 19960078907 A KR19960078907 A KR 19960078907A KR 19980059564 A KR19980059564 A KR 19980059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lead
opening
ope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봉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564A/ko
Publication of KR1998005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564A/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리어 펜더(1)에 형성된 홈부의 일측부에 일측이 힌지연결된 필러 리드(3)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홈부에 끼워진 필러 박스(2)의 측벽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로킹편(8), 상기 로킹편(8)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오프너(9), 상기 오프너(9)를 작동시키도록 운전석에 마련된 노브, 상기 필러 리드(3)의 타측에 대향되는 리어 펜더(1)에 설치되고, 필러 리드(3)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로킹 브래키트(10) 및 상기 로킹 브래키트(10)내에 설치되어, 필러 리드(3)의 타측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코일 스프링(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가 주입되는 주입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필러 리드를 개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가 주입되는 주입구에는 캡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리어 펜더에 설치된 필러 리드를 개방하므로써, 캡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종래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펜더(1)에 형성된 홈부에 필러 박스(2)가 삽입되어 있고, 이 필러 박스(2)의 내벽에 연료탱크에 연결된 필러 파이프(미도시)가 설치되어, 연료 주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연료 주입구에는 필러 캡(미도시)이 체결되어 있으며, 필러 박스(2)의 일측에는 필러 리드(3)가 힌지 브래키트(4)에 연결되어, 회동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힌지 브래키트(4)는 필러 박스(2)의 일측벽에 체결된 볼트(5)에 와이어(6)로 연결되어, 이 와이어(6)의 길이에 한해서 필러 리드(3)의 개방량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러 리드(3)는 힌지 브래키트(4)에 설치된 판 스프링(7)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를 받고 있다.
또한, 필러 리드(5)의 타측은 필러 박스(2)의 타측벽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로킹편(8)에 고정되어 있고, 이 로킹편(8)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오프너(9)가 로킹편(8)에 연결되어 있다. 오프너(9)는 운전석에 마련된 노브에 연결되어서, 운전석에서 노브를 당기면 오프너(9)가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운전석의 노브를 당기면 오프너(9)가 로킹편(8)를 작동시키게 되므로써, 필러 리드(3)의 로킹이 해제되어 판 스프링(7)에 의해 필러 리드(5)가 힌지 브래키트(4)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그런 다음, 손으로 필러 캡을 돌려서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킨 후, 연료를 연료 주입구를 통해 주입하면, 필러 파이프를 통해 연료가 연료탱크로 주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는, 판 스프링(7)을 이용해서 필러 리드(3)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7)은 대부분 닫혀 있게 되는 필러 리드(3)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있게 되어 탄성력이 점차 저하된다. 따라서, 장시간이 경과한 후, 오프너(9)를 작동시켜 필러 리드(3)의 로킹을 해제시켜도, 판 스프링(7)이 필러 리드(3)를 미는 힘이 약하므로, 필러 리드(3)는 거의 개방되지 않고 리어 펜더(1)와 동일평면 상태로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필러 리드(3)와 리어 펜더(1)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면, 운전자는 필러 리드(3)가 닫혀진 상태인 것으로 착각하여, 필러 리드(3)가 개방된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가 있고, 따라서 필러 캡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주행중에 연료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러 리드를 개방시키는 수단을 변경하여, 필러 리드의 개방시와 폐쇄시를 확연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필러 리드의 개방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관계로 연료 유출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 리드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펜더 2 : 필러 박스
3 : 필러 리드 8 : 로킹편
9 : 오프너 10 : 로킹 브래키트
11 : 코일 스프링 31 : 수용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어 펜더에 형성된 홈부의 일측부에 일측이 힌지연결된 필러 리드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홈부에 끼워진 필러 박스의 측벽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로킹편, 상기 로킹편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오프너, 상기 오프너를 작동시키도록 운전석에 마련된 노브, 상기 필러 리드의 타측에 대향되는 리어 펜더에 설치되고, 필러 리드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로킹 브래키트 및 상기 로킹 브래키트내에 설치되어, 필러 리드의 타측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리어 펜더에 설치된 브래키트내에 필러 리드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므로써, 종래의 판 스프링보다 신장력이 우수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필러 리드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필러 리드의 개방시와 폐쇄시를 확연하게 구분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 리드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펜더(1)에 형성된 홈부에 필러 박스(2)가 끼워지고, 이 필러 박스(2)의 개구된 정면에 필러 리드(3)가 설치된다. 필러 리드(3)의 일측은 리어 펜더(1)에 설치된 힌지 브래키트(4)에 연결되어 회동개폐되고, 또한 필러 박스(2)의 일측벽에 체결된 볼트(5)에 와이어(6)로 연결되어, 개도량이 와이어(6)의 길이에 의해서 제한받게 된다.
필러 리드(3)의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필러 리드(3)를 로킹시키는 로킹편(8)이 필러 박스(2)의 타측벽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로킹편(8)은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마련된 노브에 의해 작동되는 오프너(9)에 연결되어, 전진 및 후퇴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필러 리드(3)의 로킹상태가 해제되면, 필러 리드(3)를 어느 정도 개방시키는 수단이 마련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시한다. 즉, 필러 리드(3)의 타측 내면과 대향되는 리어 펜더(1)에 로킹 브래키트(10)가 설치되고, 이 로킹 브래키트(10)는 필러 리드(3)의 타측면을 향하는 정면이 개구된 형상이다. 필러 리드(3)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1)이 로킹 브래키트(10)에 설치되고, 필러 리드(3)의 타측 내면에는 코일 스프링(11) 및 로킹 브래키트(10)가 수용되는 수용홈(31)이 형성된다. 즉, 수용홈(31)의 저벽에 의해 코일 스프링(11)이 접촉되면서 신축되어진다. 특히, 주의할 점은, 리어 펜더(1)에서 돌출되는 로킹 브래키트(10)의 길이가 필러 리드(3)의 회전동작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짧아야 된다는 점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필러 리드(3)가 닫혀 있을 때는, 로킹편(8)이 필러 리드(3)의 타측 홈에 삽입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11)은 필러 리드(3)의 수용홈(31) 저벽에 의해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석의 노브를 당겨 오프너(9)를 작동시키면, 로킹편(8)이 후퇴되어 필러 리드(3)의 로킹이 해제된다. 필러 리드(3)는 신장되는 코일 스프링(11)에 의해 젖혀져서 개방된다. 이때, 필러 리드(3)의 개방량은 와이어(6)의 길이에 의해서 제한된다.
연료를 주입하고 필러 리드(3)를 손으로 밀면, 수용홈(31)의 저벽에 의해 코일 스프링(11)이 눌려지면서, 로킹편(8)이 다시 필러 리드(3)의 홈내로 진입하게 되어, 초기 상태와 같이 필러 리드(3)가 로킹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판 스프링 대신에 탄성력이 우수한 코일 스프링(11)을 채용하므로써, 필러 리드(3)의 개방시와 폐쇄시를 확연하게 구분할 수가 있게 되어, 필러 리드(3)의 개방을 인식하지 못하고 주행하다가 연료가 유출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리어 펜더에 형성된 홈부의 일측부에 일측이 힌지연결된 필러 리드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홈부에 끼워진 필러 박스의 측벽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로킹편, 상기 로킹편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오프너, 상기 오프너를 작동시키도록 운전석에 마련된 노브, 상기 필러 리드의 타측에 대향되는 리어 펜더에 설치되고, 필러 리드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로킹 브래키트 및 상기 로킹 브래키트내에 설치되어, 필러 리드의 타측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KR1019960078907A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KR19980059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907A KR19980059564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907A KR19980059564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564A true KR19980059564A (ko) 1998-10-07

Family

ID=6642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907A KR19980059564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5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09B1 (ko) * 2013-12-26 2015-04-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연료 도어의 잠금 및 팝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09B1 (ko) * 2013-12-26 2015-04-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연료 도어의 잠금 및 팝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355B1 (ko) 연료필러도어의 개폐장치
KR19980059564A (ko)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KR19980042138U (ko)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KR101371272B1 (ko) 틸팅 슬라이딩 타입 연료도어 구조
KR0113842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0137525Y1 (ko) 자동차의 필러 리드 로킹장치
KR200242541Y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개폐 장치
KR19980050513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개폐장치
KR100534361B1 (ko) 차량의 필러 도어 개폐구조
KR100475940B1 (ko) 연료필러도어의 유동 방지를 위한 개선된 캐처 어셈블리구조
KR100392012B1 (ko) 자동차용 주유구 도어의 잠금장치
KR19990026269U (ko)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KR100527785B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KR0124272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KR0126981Y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KR200264668Y1 (ko) 자동차의 퓨얼 필러 도어 구조
KR10023382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릴리즈 핸들의 도난 방지 장치
KR0131792Y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케이블의 고정브라켓
KR0139428Y1 (ko) 연료필러 캡 고정장치
KR960007934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개폐장치
KR0133840Y1 (ko) 자동차의트림링장착구조
KR19980035910U (ko) 연료휠러도어 개폐장치
KR0120246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KR0120242Y1 (ko) 자동차의 연료 휠러 캡 분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