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269U -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269U
KR19990026269U KR2019970038803U KR19970038803U KR19990026269U KR 19990026269 U KR19990026269 U KR 19990026269U KR 2019970038803 U KR2019970038803 U KR 2019970038803U KR 19970038803 U KR19970038803 U KR 19970038803U KR 19990026269 U KR19990026269 U KR 199900262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ler
filler door
vehicle
fuel
ca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복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8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269U/ko
Publication of KR19990026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269U/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는 연료필러(1)의 일측 차체에 마운팅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내에 위치되어 일방향 소정각 회전하도록 힌지축(33)에 의해 고정되며 연료필러도어(10)의 걸림후크(14)가 걸리도록 원주면에 다수의 걸림턱(32')이 형성된 곡면형의 래칫플레이트(32)와, 상기 힌지축(33)에 탄지되어 래칫플레이트(32)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34)와, 상기 케이스(31)내에 설치되어 래칫플레이트(32) 일측에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탄성부재(35)의 지지력을 받으며 후방측에 필러도어오픈레버와 케이블(25)로 연결되는 캐치슬라이드체(3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는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부품의 간소화로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본 고안은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이 연료탱크와 연료파이프로 연결되어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연료필터와, 상기 연료필터와 연결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기화기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료탱크는 연료를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도록 연료주입구가 형성된 소정의 연료관이 연결되며, 상기 연료주입구는 필러캡에 의해 밀폐를 이루고, 상기 연료주입구 및 필러캡은 차량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연료필러내에 위치된다.
도 1은 연료필러도어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연료필러도어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연료필러(1)를 선택적으로 차폐시키는 연료필러도어(10)와, 이 연료필러도어(10)에 선택적으로 록킹력을 수행하는 캐치어셈블리(2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료필러(1)는 필러캡(미도시)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미도시)가 위치되며, 상기 연료주입구(미도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연료필러도어(10)가 설치된다.
상기의 연료필러도어(10)는 연료필러(1)의 일측에 힌지(11)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료필러도어(10)는 힌지(11)와 차체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부재(12)가 탄지되며, 이 탄성부재(12)는 연료필러도어(10)를 개방되도록 소정의 탄성지지력을 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연료필러도어(10)는 캐치어셈블리(20)에 의해 연료필러(1)에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캐치어셈블리(20)는 차실에 위치된 필러도어오픈레버(미도시)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연동하여 록킹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의 연료필러도어(10)는 일단이 연료필러(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에 걸림후크(14)가 형성된 플랜지(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캐치어셈블리(20)는 플랜지(13)의 걸림후크(14)에 선택적인 고정력을 수행한다.
상기 캐치어셈블리(20)는 연료필러(1)의 일측 차체패널에 마운팅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내에 위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며 후방측에 필러도어오픈레버(미도시)와 케이블(25)로 연결되고 선단부가 플랜지(13)의 걸림후크(14)에 접촉되는 길이재의 고정핀(23)과, 상기 고정핀(23)의 후방측에 탄지되어 고정핀(23)을 걸림후크(14)측으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탄성지지력을 가하는 탄성체(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는 전후면이 클립(22) 및 부싱(22')에 의해 차폐되며, 고정핀(23)과 케이블(25)홀이 통과되는 소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캐치어셈블리(20)는 운전자가 차실측에 제공된 필러도어오픈레버(미도시)를 조작하면, 이 조작력에 의해 케이블(25)이 당겨지게 되어 고정핀(23)이 케이스(21)내로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23)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를 이루던 연료필러도어(10)는 힌지(11)측에 탄지된 탄성부재(12)에 의해 개방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 캐치어셈블리(20)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조립작업시 작업공정의 증가로 인한 작업성 저하와,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는 연료필러의 일측 차체에 마운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위치되어 일방향 소정각 회전하도록 힌지축에 의해 고정되며 연료필러도어의 걸림후크가 걸리도록 원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곡면형의 래칫플레이트와, 상기 힌지축에 탄지되어 래칫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래칫플레이트 일측에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탄성부재의 지지력을 받으며 후방측에 필러도어오픈레버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캐치슬라이드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연료필러도어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료필러도어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필러 10 : 연료필러도어
11 : 힌지 12 : 탄성부재
13 : 플랜지 14 : 걸림후크
25 : 케이블 30 : 캐치어셈블리
31 : 케이스 32 : 래칫플레이트
32' : 걸림턱 33 : 힌지축
34 : 스프링부재 35 : 탄성부재
36 : 캐치슬라이드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연료필러도어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연료필러(1)와, 이 연료필러(1)에 힌지(11)설치되어 개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연료필러도어(10)와, 상기 연료필러도어(10)에 록킹력을 수행 및 해제시키는 캐치어셈블리(3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료필러(1)는 필러캡(미도시)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미도시)가 위치되며, 상기의 연료필러(1)를 차폐시켜 연료주입구(미도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연료필러(1)의 일측에 힌지(11) 결합되는 연료필러도어(10)가 설치된다.
상기 연료필러도어(10)는 일단이 상기 연료필러(1)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에 걸림후크(14)가 형성된 플랜지(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연료필러도어(10)는 캐치어셈블리(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캐치어셈블리(30)는 차실에 제공되는 필러도어오픈레버(미도시)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연동하여 록킹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의 캐치어셈블리(30)는 연료필러(1)의 일측 차체에 마운팅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내에 위치되어 일방향 소정각 회전하도록 힌지축(33)에 의해 고정되며, 연료필러도어(10)의 걸림후크(14)가 걸리도록 원주면에 다수의 걸림턱(32')이 형성된 곡면형의 래칫플레이트(32)와, 상기 힌지축(33)에 탄지되어 래칫플레이트(32)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34)와, 상기 케이스(31)내에 설치되어 래칫플레이트(32) 일측에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탄성부재(35)의 지지력을 받으며 후방측에 필러도어오픈레버(미도시)와 케이블(25)로 연결되는 캐치슬라이드체(3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실측에 제공되는 필러도어오픈레버를 조작하면, 이 조작력에 연동하여 케이블(25)이 필러도어오픈레버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케이블(25)에 연결된 캐치어셈블리(30)의 캐치슬라이드체(36)가 후퇴하게 되어 래칫플레이트(32)와의 접촉력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플레이트(32)는 힌지축(33)에 탄지된 스프링부재(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일방향 회전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연료필러(1)의 걸림후크(14)를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지지력으로 밀어내어 개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캐치슬라이드체(36)는 필러도어오픈레버의 조작이 해제되면 일측에 탄지된 탄성부재(35)에 의해 위치복귀를 이루어 래칫플레이트(32)에 접촉되어 소정의 지지력을 가한다.
또한, 상기의 연료필러도어(10)를 연료필러(1)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연료필러도어(10)는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히게 된다.
즉, 상기 연료필러도어(10)의 걸림후크(14) 선단부는 래칫플레이트(32)의 걸림턱(32') 일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후방측으로 계속 진행되어 걸림턱(32')의 다른 측면에 접촉하여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캐치슬라이드체(36)로부터 소정의 지지력을 받는 래칫플레이트(32)는 위치 고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연료필러도어(10)의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는 구조의 단순화를 꾀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부품의 간소화로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연료필러(1)의 일측 차체에 마운팅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내에 위치되어 일방향 소정각 회전하도록 힌지축(33)에 의해 고정되며 연료필러도어(10)의 걸림후크(14)가 걸리도록 원주면에 다수의 걸림턱(32')이 형성된 곡면형의 래칫플레이트(32)와;
    상기 힌지축(33)에 탄지되어 래칫플레이트(32)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34)와;
    상기 케이스(31)내에 설치되어 래칫플레이트(32) 일측에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탄성부재(35)의 지지력을 받으며 후방측에 필러도어오픈레버와 케이블(25)로 연결되는 캐치슬라이드체(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KR2019970038803U 1997-12-19 1997-12-19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KR199900262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03U KR19990026269U (ko) 1997-12-19 1997-12-19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03U KR19990026269U (ko) 1997-12-19 1997-12-19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269U true KR19990026269U (ko) 1999-07-15

Family

ID=6967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803U KR19990026269U (ko) 1997-12-19 1997-12-19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2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27B1 (ko) * 2008-10-13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캐치의 마운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27B1 (ko) * 2008-10-13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캐치의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6269U (ko)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KR10038037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다단계 개방구조
KR200155979Y1 (ko) 체결이 용이한 자동차 후드 해제 레버
KR0113842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100412546B1 (ko)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JP3820857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支持構造
KR19980059564A (ko)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KR200242541Y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개폐 장치
KR19980036509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덮개를 탄지하는 댐퍼
KR0183356B1 (ko) 자동차의 후드 록킹장치
KR19980027196U (ko) 차량용 퓨얼리드 오프너
KR200158007Y1 (ko) 연료 충진 도어 스프링
KR100534361B1 (ko) 차량의 필러 도어 개폐구조
KR100418670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의 덮개구조
KR0137001Y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도어 개폐구조
KR0160036B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외측핸들의 복귀스프링 장착구조
KR100475940B1 (ko) 연료필러도어의 유동 방지를 위한 개선된 캐처 어셈블리구조
KR100228079B1 (ko)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KR200156991Y1 (ko) 왜건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닫힘 방지장치
JPH0440376Y2 (ko)
KR19980050513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개폐장치
KR0139654Y1 (ko) 자동차용 후드 레버의 취부구조
KR0126156Y1 (ko) 자동차 체크 링크 결합구조
JP2000248814A (ja) 器具の扉開閉装置
KR960003981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