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981Y1 -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6981Y1 KR0126981Y1 KR2019940017191U KR19940017191U KR0126981Y1 KR 0126981 Y1 KR0126981 Y1 KR 0126981Y1 KR 2019940017191 U KR2019940017191 U KR 2019940017191U KR 19940017191 U KR19940017191 U KR 19940017191U KR 0126981 Y1 KR0126981 Y1 KR 01269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door
- cylinder
- closing devic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외부의 고의성 조작에 의해서 연료 주입구 하우징의 도어가 용이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료 주입구 하우징(10)은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도어(11)와, 상기 도어(11)의 일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걸림편(121)을 포함하고 있는 도어 잠김장치(12)와 상기 도어(11)의 개폐작동을 실행시키는 도어 개폐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부착되는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후면부는 닫혀져 있는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의 내부에서 진퇴작동을 하는 피스톤(13)가 상기 피스톤(13)의 후단부와 상기 실린더(15)의 후면부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스톤(13)의 외측 표면상에는 벽감부(132)가 형성되고 내측 표면상에는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실린더(15)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공형 부재(16)와 상기 중공형 부재(16)의 내부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2 피스톤(161)과 상기 제 2 피스톤(162)이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 2 피스톤을 지지시켜 주는 스프링(162)으로 구성된 걸림 부재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 주입구 하우징 13 : 제 1 피스톤
16 : 중공형 부재 132 : 벽감부
133 : 돌출부 161 : 제 2 피스톤
162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 주입구 하우징의 도어가 외부의 고의성 조작에 의해서 용이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연료 주입구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주입구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며 닫혀있는 상태의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도어 잠김장치 및 상기 주입구 하우징의 벽부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걸림작용을 하는 캐치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는 도어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캐치 브라켓의 한 단부는 스프링등의 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캐치 브라켓을 걸림상태로 유지시키고, 다른 단부는 걸림작용을 하는 내측부분이 안내작용을 하는 외측부분보다 더욱 연장되어 있는 경사형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캐치 브라켓의 표면은 매끄러운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때,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연료 주입구 하우징의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일정한 힘을 작동시키면, 상기 도어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캐치 브라켓의 외측부분에 접촉하게 된 후 상기 캐치 브라켓의 단부의 경사형표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캐치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수되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완전히 닫혀 있지 못하므로, 상기 도어에 힘을 계속적으로 작용시키면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캐치 브라켓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행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캐치 브라켓은 한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다시 돌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캐치 브라켓의 내측부분의 걸림작용에 의해서 잠금상태로 되며 상기 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캐치 브라켓의 내측부분에 의한 걸림작용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키이등을 사용하여서 상기 도어 잠김장치의 잠김상태를 해제시키거나, 또는 솔레노이드 오프너와 같은 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캐치 브라켓의 단부를 회수시킴으로서, 닫혀 있는 상태의 도어는 용이하게 개방된다.
그러나,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더라도 상기 도어와 차체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틈새를 통하여 카드 또는 얇은 판재등과 같은 박판을 삽입시키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박판의 단부는 상기 캐치 브라켓의 매끄러운 표면위을 활주하여서 상기 캐치 브라켓의 단부의 경사면을 따라 활주하게 되어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박판에 계속적으로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 박판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캐치 브라켓은 해제상태로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도어는 개방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고의성 조작에 의해서 도어가 용이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연료 주입구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료 주입구 하우징용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부착되는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후면부는 닫혀져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료 주입구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진퇴작동을 하는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1 피스톤의 후단부와 상기 실린더의 후면부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외측 표면상에는 벽감부가 형성되고 내측 표면상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피스톤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돌출부와 접촉되어서 상기 피스톤의 진퇴작동을 제한적으로 방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공형 부재와 상기 중공형 부재의 내부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피스톤을 지지시켜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걸림 부재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연료 주입구 하우징(10)은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도어(11)와, 상기 도어(11)의 일부분에 장착되어있고, 걸림편(121)을 포함하고 있는 도어 잠김장치(12)와 상기 도어(11)의 개폐작동을 실행시키는 도어 개폐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부착되는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의 내부에서 진퇴작동을 하는 피스톤(13)과 상기 피스톤(13)의 후단부(134)와 상기 실린더(15)의 후면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스톤(13)의 외측 표면상에는 벽감부(132)가 형성되고 내측 표면상에는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피스톤(13)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돌출부(133)와 접촉되어서 상기 피스톤(13)의 진퇴작동을 제한적으로 방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1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공형 부재(16)와 상기 중공형 부재(16)의 내부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요철형상의 제 2 피스톤(161)과 상기 제 2 피스톤(161)이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 2 피스톤(161)을 지지시켜 주는 스프링(162)으로 구성된 걸림 부재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부재(16)의 개방 단부의 내경은 상기 요철형상의 제 2 피스톤(161)의 단부만이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형 부재(16)의 내경보다는 작다.
따라서, 연료 주입구 하우징(10)의 도어(11)가 닫혀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걸림장치(12)의 걸림편(121)이 상기 제 1 피스톤 (13)의 내측부분과 접촉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닫혀져 있는 도어(11)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오프너 또는 키이등을 사용하여서 상기 걸림편(121)과 제 1 피스톤(13)과의 접촉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즉,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솔레노이드 오프너를 작동시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피스톤(13)은 상기 실린더(15)내에서 상기 스프링(14)의 탄성을 극복하여 후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편(121)과 제 1 피스톤(13)과의 접촉상태는 해제되므로 상기 도어(11)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11)를 고의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상기 도어(11)의 단부와 차체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하여 카드 또는 얇은 판재등과 같은 박판(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삽입시키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박판의 단부는 상기 제 1 피스톤(13)의 외측 표면상에 형성된 벽감부(132)로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박판에 의해 상기 제 1 피스톤(132)은 후퇴하지 않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11)는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박판의 단부가 상기 제 1 피스톤(13)의 외측 표면상에 형성된 벽감부(132)로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 1 피스톤(13)의 전단부(131)의 경사면을 따라서 활주하게 되어서 종래와 같이, 상기 제 1 피스톤(13)에 상기 박판의 탄력이 작용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피스톤(13)이 후퇴하게 되어도, 상기 제 1 피스톤(13)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돌출부(133)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 2 피스톤(161)과 접촉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피스톤(13)은 소정 거리만을 후퇴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편(121)과 제 1 피스톤(13)과의 접촉상태는 해제되지 않게 되어서 상기 도어(11)는 개방되지 않는다.
Claims (2)
-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도어(11)와, 상기 도어(11)의 일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걸림편(121)을 포함하고 있는 도어 잠김장치(12)와 상기 도어(11)의 개폐작동을 실행시키는 도어 개폐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연료 주입구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부착되는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후면부는 닫혀져 있는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의 내부에서 진퇴작동을 하는 제 1 피스톤(13)과 상기 제 1 피스톤(13)의 후단부와 상기 실린더(15)의 후면부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스톤(13)의 외측 표면상에는 벽감부(132)가 형성되고 내측 표면상에는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구 하우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실린더(15)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공형 부재(16)와 상기 중공형 부재(16)의 내부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2 피스톤(161)과 상기 제 2 피스톤(161)이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 2 피스톤(161)을 지지시켜 주는 스프링(162)으로 구성된 걸림 부재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구 하우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7191U KR0126981Y1 (ko) | 1994-07-12 | 1994-07-12 |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7191U KR0126981Y1 (ko) | 1994-07-12 | 1994-07-12 |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4482U KR960004482U (ko) | 1996-02-14 |
KR0126981Y1 true KR0126981Y1 (ko) | 1998-10-01 |
Family
ID=1938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17191U KR0126981Y1 (ko) | 1994-07-12 | 1994-07-12 |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698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789B1 (ko) * | 2002-07-12 | 2005-03-1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자동문 개폐용 실린더 |
-
1994
- 1994-07-12 KR KR2019940017191U patent/KR01269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789B1 (ko) * | 2002-07-12 | 2005-03-1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자동문 개폐용 실린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4482U (ko) | 1996-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21612A (en) | Initially open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 |
KR102318075B1 (ko) |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 |
GB2325270A (en) | Automotive door latch | |
KR100325731B1 (ko) | 차량 슬라이딩도어의 안전록 장치 | |
US20030075944A1 (en) | Receptacle assembly with a case pivotally mounted in a housing shell | |
KR0126981Y1 (ko) |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 |
KR0131801Y1 (ko) |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 |
KR20100134474A (ko) |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 |
KR100257687B1 (ko) | 자동차의 연료필러도어 개폐장치 | |
KR200248462Y1 (ko) |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 |
JP3880846B2 (ja) | 車両テールゲートのラッチ装置 | |
KR0173753B1 (ko) | 연료주입 도어의 잠금장치 | |
KR200158812Y1 (ko) | 돌출되지 않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 |
KR100475940B1 (ko) | 연료필러도어의 유동 방지를 위한 개선된 캐처 어셈블리구조 | |
KR200265576Y1 (ko) | 차량의 연료탱크리드의 개폐장치 | |
JP3677349B2 (ja) | 扉の補助錠 | |
KR950008595Y1 (ko) | 자동차 도어스위치 장착구조 | |
KR200148201Y1 (ko) |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 |
KR0116023Y1 (ko) | 자동차 후드엠블램을 이용한 후드개폐장치 | |
KR100423283B1 (ko) | 픽업차량의 게이트 캐취구조 | |
KR0121663Y1 (ko) | 도난 방지용 자동차 도어 핸들 | |
KR0119328Y1 (ko) | 자동차 후드엠블렘을 이용한 후드개폐 장치 | |
KR0130895Y1 (ko) | 자동차용연료주입구 자동개폐장치 | |
KR960008354Y1 (ko) | 랙의 안정된 이동이 용이한 자동차용 도어록 | |
KR970006045Y1 (ko) | 도난방지용 자동차 도어 내측핸들의 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71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