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806A -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0806A KR19980050806A KR1019960069651A KR19960069651A KR19980050806A KR 19980050806 A KR19980050806 A KR 19980050806A KR 1019960069651 A KR1019960069651 A KR 1019960069651A KR 19960069651 A KR19960069651 A KR 19960069651A KR 19980050806 A KR19980050806 A KR 19980050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reference clock
- output
- generation circuit
- de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HCUOEKSZWPGJIM-YBRHCDHNSA-N (e,2e)-2-hydroxyimino-6-methoxy-4-methyl-5-nitrohex-3-enamide Chemical compound COCC([N+]([O-])=O)\C(C)=C\C(=N/O)\C(N)=O HCUOEKSZWPGJIM-YBRHCDHNSA-N 0.000 description 9
- 101001109689 Homo sapiens Nuclear receptor subfamily 4 group A member 3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1000598778 Homo sapiens Protein OSCP1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1001067395 Mus musculus Phospholipid scrambl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2100022673 Nuclear receptor subfamily 4 group A member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79 wid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Landscapes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Memory System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6)
- 어드레스 입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각종 프리차지 신호 또는 활성화 신호의 기준이 되는 클럭을 발생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변화를 감지하여 발생된 각각의 신호를 논리합하는 논리합 수단과 상기 논리합 수단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받아 정해진 시간동안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수단과 상기 지연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논리합 수단의 출력전위를 풀업시키는 풀업수단 및 상기 논리합 수단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지연수단에 입력되는 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안정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합수단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프리차지 및 활성화 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버퍼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변화를 감지하여 발생된 각각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논리합 수단에 실제적인 검출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화 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에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피이드백기능을 수행하도록 래치하여 상기 논리합 수단의 출력단에 인가하는 래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버퍼의 기능을 갖는 신호 반전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에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 1 신호반전수단과 상기 제 1 신호반전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반전동작하여 상기 논리합수단의 출력단에 걸어주는 제 2 신호반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적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발생회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반전수단은 상기 버퍼링 수단에 비하여 높은 전류 구동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합수단은 와이어드 OR회로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드 OR회로는 상기 스위칭수단이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공통버스선에 연결되는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직렬로 연결된 다단의 인버터 게이트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온동작시 상기 논리합 수단의 출력전위를 풀업시키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어드레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메모리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리차지 신호또는 활성화 신호의 기준이 되는 클럭을 발생시키는 회로중 칩인에이블 신호를 갖는 SRAN에 적합한 기준 클럭 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변화를 감지하여 발생된 각각의 신호를 논리합하는 논리합 수단과,상기 논리합 수단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하고 지연된 신호와 상기 칩인에이블 신호를 부겅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지연수단과,상기 지연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온동작시 상기 논리합수단의 출력단을 소정 전압으로 풀업하는 풀업수단, 및상기 칩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지연수단에서 지연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연수단에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논리합수단의 출력단에 걸어주는 안정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되는 SRAN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논리합 수단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위상태를 입력받아 지연 출력하는 수단으로 직렬로 연결된 다단의 인버트 게이트를 사용하고, 상기 인버트 게이트들의 최종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칩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부정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낸드게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되는 SRAN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의 구성중 낸드 게이트에 입력되는 신호지연수단의 신호와 공통버스의 전위를 입력으로하여 부정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 1 부정 논리합 수단과,상기 제 1 부정 논리합 수단과 출력신호와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의 반전신호를 입력받아 부정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 2 부정 논리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되는 SRAN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합수단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프리차지 및 활성화 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버퍼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SRAN의 기준 클럭발생 회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논리합 수단은 제 1 PMOS 트랜지스터(MPA)와 제 1 NMOS 트랜지스터(NNA)의 각 게이트 단자가 공통으로 묶여 있으며 드레인 단자가 공통으로 묶여 있는 CMOS 인버터와,소정 크기의 구동전압을 소스단자에 입력받고 드레인 단자가 상기 CMOS 인버터 내부의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MPA)의 소스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MPB), 및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MPB)의 게이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공통으로 묶여 있으며 상기 CMOS 인버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공통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MNB)로 구성되어 상기 CMOS 인버터의 게이트 단자와 제 2 PMOS 트랜지스터(MPB)의 게이트 단자에 걸리는 신호를 부정 논리합 연산을 위한 입력신호로 사용하고 연산치를 출력하는 단자는 상기 CMOS 인버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공통 드레인 단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SRAN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9651A KR100246180B1 (ko) | 1996-12-21 | 1996-12-21 |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US08/956,105 US5940336A (en) | 1996-12-21 | 1997-10-24 | Reference clock generating circuit in memory to be asynchronously precharged and activated |
JP9353559A JP3032966B2 (ja) | 1996-12-21 | 1997-12-22 | 基準クロック発生回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9651A KR100246180B1 (ko) | 1996-12-21 | 1996-12-21 |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0806A true KR19980050806A (ko) | 1998-09-15 |
KR100246180B1 KR100246180B1 (ko) | 2000-03-15 |
Family
ID=1949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96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180B1 (ko) | 1996-12-21 | 1996-12-21 |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940336A (ko) |
JP (1) | JP3032966B2 (ko) |
KR (1) | KR10024618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2974B1 (ko) * | 1997-06-24 | 2004-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로우 디코더 |
KR100709451B1 (ko) * | 2000-11-16 | 2007-04-18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글로벌 판독 데이터 버스라인 프리챠지회로 |
KR100922696B1 (ko) * | 2008-01-23 | 2009-10-20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클럭 기반의 데이터 저장 장치와, 듀얼 펄스 생성 장치와,데이터 저장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9564B1 (ko) * | 1997-12-31 | 2001-10-27 | 박종섭 | 펄스드라이버 |
US6229735B1 (en) * | 2000-08-11 | 2001-05-08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Burst read mode word line boosting |
KR101033775B1 (ko) | 2010-02-18 | 2011-05-13 | 주식회사 티엘아이 |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내부 클락신호를 발생하는 내부 클락 발생회로 및 발생 방법 및 회로 |
KR102530347B1 (ko) * | 2018-01-08 | 2023-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55377A (en) * | 1980-06-30 | 1982-10-19 | Inmos Corporation | Asynchronously equillibrated and pre-charged static ram |
KR0167235B1 (ko) * | 1995-03-28 | 1999-02-01 | 문정환 | 메모리의 데이타 전송장치 |
US5598375A (en) * | 1995-06-23 | 1997-01-28 | Electronics Research & Service Organization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ynamic address decoder with non-overlap word-line enable |
US5604712A (en) * | 1995-09-13 | 1997-02-18 | Lsi Logic Corporation | Fast word line decoder for memory devices |
-
1996
- 1996-12-21 KR KR1019960069651A patent/KR10024618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10-24 US US08/956,105 patent/US5940336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2-22 JP JP9353559A patent/JP303296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2974B1 (ko) * | 1997-06-24 | 2004-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로우 디코더 |
KR100709451B1 (ko) * | 2000-11-16 | 2007-04-18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글로벌 판독 데이터 버스라인 프리챠지회로 |
KR100922696B1 (ko) * | 2008-01-23 | 2009-10-20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클럭 기반의 데이터 저장 장치와, 듀얼 펄스 생성 장치와,데이터 저장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940336A (en) | 1999-08-17 |
JPH10188568A (ja) | 1998-07-21 |
JP3032966B2 (ja) | 2000-04-17 |
KR100246180B1 (ko) | 2000-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15173A (en) | Data buffer circuit with delay circuit to increase the length of a switching transition period during data signal inversion | |
KR940008718B1 (ko) | 직류 전류를 제거한 데이타 출력버퍼 | |
KR100652253B1 (ko) | 입력버퍼 및 전압레벨 검출방법 | |
US6104643A (en) | Integrated circuit clock input buffer | |
GB2308698A (en) | High speed and low noise output buffer of a memory device | |
US5502672A (en) | Data output buffer control circuit | |
US6204703B1 (en) | Power on reset circuit with power noise immunity | |
GB2303007A (en) | Increasing speed of memory IP/OP buffer using post charge logic with different pulse widths for read and write data | |
KR20020092117A (ko) | 전원전압의 변동을 감지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 | |
KR100206921B1 (ko) | 출력버퍼회로 | |
US644564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lock with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same | |
JPH04167298A (ja) | センス増幅器および出力遷移を速くする方法 | |
KR100246180B1 (ko) | 비동기적으로 프리차지 및 활성화 되는 메모리의 기준 클럭 발생회로 | |
US6580285B2 (en) | Output buffer circuit with switching speed control circuit | |
JP2805466B2 (ja) | メモリのアドレス遷移検出回路 | |
US5594374A (en) | Data output buffer | |
US5638328A (en) | Data output buffers and methods having a clamp function | |
KR0167680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 | |
KR100233331B1 (ko) | 신호천이검출회로 | |
KR0179774B1 (ko) | 반도체 메모리의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 | |
KR100472728B1 (ko) | 반도체장치의어드레스천이검출회로 | |
US5565802A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differential amplifier operable at high speed | |
KR100197560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펄스발생 회로 | |
KR100480568B1 (ko) | 고전압검출부,및이를구비한반도체메모리장치와반도체메모리장치의모드구별방법 | |
KR0132369B1 (ko) | 반도체집적 장치의 데이타 입력버퍼 및 그 입력 버퍼링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