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834U -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834U
KR19980044834U KR2019960057971U KR19960057971U KR19980044834U KR 19980044834 U KR19980044834 U KR 19980044834U KR 2019960057971 U KR2019960057971 U KR 2019960057971U KR 19960057971 U KR19960057971 U KR 19960057971U KR 19980044834 U KR19980044834 U KR 199800448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hock absorber
large vehicle
mounting structur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익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7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834U/ko
Publication of KR19980044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83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차에 완충재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대형차 범퍼하단에 완충재를 설치하여 승용차와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고,대형차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범퍼와,상기 범퍼하단에 고정볼트에 의해 설치된 연결부재와,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킬수 있는 완충재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본 고안은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대형차 범퍼하단에 완충재를 설치하여 승용차와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고, 대형차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대형차는 도 1 과같이 차체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장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2)로 구성한다.
차량의 충돌사고에서 대형차와 소형 승용차가 충돌하면,특히 버스나 트럭,승합차는 바퀴가 크고,차체가 지면과 높아서 소형 승용차가 대형차 밑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승용차도 차체에 충격을 흡수할수 있는 임팩트 빔과 범퍼에 의해 충돌시 충격을 흡수 하지만, 승용차 차체가 낮아서 차 윗부분이 대형차 범퍼와 부딪쳐 찌그려지므로 사람의 생명을 위협 할수 있어 대형사고를 일으킬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형차의 범퍼하단에 승용차의 범퍼와 높이를 ㅁ추어 완충재를 설치함으로써,승용차와 충돌시 충격을 완화 시키고,승용차가 대형차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따른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착용상태도로서.(가)는 착용상태정면도. (나)착용상태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프레임102:범퍼
103:볼트104:연결부재
105:완충재
본 고안의 대형차의 완충체 장착 구조는 도 2 및 도 3 과같이 차체 프레임(101)에 장착된 범퍼(102)와,상기 범퍼(102)하단에 고정볼트(103)에 의해 설치된 연결부재(104)와,상기 연결부재(104)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킬수 있는 완충재(105)로 구성한다.
본 고안은 도 3 (가)와 같이 대형차 차정면 프레임(101)에 장착된 범퍼(102)하단에 승용차 범퍼와 같은 높이로 맞추어 고정볼트(103)에 의해 설치된 연결부재(104)와,상기 연결부재(104)에 형성된 완충재(105)를 설치하여,충돌시 승용차가 대형차 밑으로 들어가서 승용차의 윗부분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 하고,대형차에 설치된 완충재(105)와 승용차의 범퍼가 서로 충돌하므로 충격을 완화 시킨다.
그리고 도 3 (나)와 같이 차후방 프레임(101)하단에도 완충재(105)를 설치하여 승용차가 후방에서 충돌하여도 충격을 흡수한다.
대형차의 범퍼하단에 완충재를 설치함으로써,승용차와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고,대형차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대형사고를 방지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 프레임(101)에 장착된 범퍼(102)와,
    상기 범퍼(102)하단에 고정볼트(103)에 의해 설치된 연결부재(104)와,
    상기 연결부재(104)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킬수 있는 완충재(10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KR2019960057971U 1996-12-27 1996-12-27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KR199800448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971U KR19980044834U (ko) 1996-12-27 1996-12-27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971U KR19980044834U (ko) 1996-12-27 1996-12-27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834U true KR19980044834U (ko) 1998-09-25

Family

ID=5399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971U KR19980044834U (ko) 1996-12-27 1996-12-27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8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84B1 (ko) * 2007-12-27 2009-06-15 신도산업 주식회사 트럭장착용 충격흡수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84B1 (ko) * 2007-12-27 2009-06-15 신도산업 주식회사 트럭장착용 충격흡수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4834U (ko) 대형차의 완충재 장착 구조
KR19990019567A (ko) 자동차 프론트 프레임의 충격흡수구조
KR20050015333A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0128691B1 (ko) 자동차용 보조 앞 범퍼의 브라켓트 취부구조
KR0177257B1 (ko) 차량의 론지튜디널 프레임과 휠하우스의 어셈블리 보강구조
KR890005280Y1 (ko) 자동차 프레임구조
KR0130381Y1 (ko) 승합 자동차용 샤시 프레임 구조
KR200141341Y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KR19980044684U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KR0175240B1 (ko) 강성 보강의 자동차용 임팩트 빔
KR0115986Y1 (ko) 자동차용 후방범퍼페셔 취부구조
KR100376763B1 (ko) 자동차용 리어 가드
KR970002543Y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151619Y1 (ko) 차량의 범퍼스테이구조
KR200162921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200144492Y1 (ko) 충격 흡수력 향상을 위한 자동차용 범퍼
KR0119205Y1 (ko) 자동차의 범퍼스테이구조
KR100193664B1 (ko) 자동차용 범퍼
KR012572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19980049862U (ko) 차량 범퍼용 알루미늄 빔
KR19980012783U (ko) 자동차 범퍼의 보강체 구조
KR19980016979U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구조
KR19980061025U (ko) 차량의 전방프레임 충격흡수구조
KR19980033264U (ko) 자동차 라디에타 서포트멤버 결합구조
KR19980016517A (ko) 자동차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