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673A -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673A
KR19980042673A KR1019970062128A KR19970062128A KR19980042673A KR 19980042673 A KR19980042673 A KR 19980042673A KR 1019970062128 A KR1019970062128 A KR 1019970062128A KR 19970062128 A KR19970062128 A KR 19970062128A KR 19980042673 A KR19980042673 A KR 19980042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low rate
electric motor
hydraulic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1095B1 (ko
Inventor
기누가와히데키
고미야마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구마모토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고베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마모토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고베세이코쇼 filed Critical 구마모토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4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2Component parts
    • E02F3/26Safety or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배터리구동 유압 굴착기는 배터리로 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 그리고 유압펌프로 부터의 작동오일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오일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차 게이지는 오일탱크로 복귀시키도록 유압 액추에이터내로 공급되지 않는 작동오일을 결합하기 위한 주 공급라인에 구비되어 있다. 압력차 게이지에 의해 검출된 유량에 반비례하여 동력이 전기모터에 공급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본 발명은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기력으로 구동되는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장착된 배터리로 부터 전기력으로 구동되는 배터리구동 유압 굴착기는 일본 실개평 4-5384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압 굴착기에서, 배터리로부터의 동력은 전기모터를 구동하는데, 이것은 차례로 유압펌프를 구동한다. 유압펌프는 붐, 아암 그리고 버킷으로 구성되는 작업부착부를 구동한다. 유압펌프는 유압모터를 구동하여 유압 굴착기는 전후진한다.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는 구동원으로서 가솔린 엔진, 디젤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내연기관타입의 유압 굴착기와 비교하여 소음 및 배기가스가 낮다. 그러므로,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는 빌딩이 밀집한 도시에서 작업하기에 적합하다.
종래의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에서 하나의 작업 부착부가 작동중에 멈출지라도, 다른 작업 부착부가 가끔 작동된다. 그러므로, 유압펌프는 작동개시로부터 작동완료까지의 기간동안 계속 구동된다. 따라서, 유압펌프가 한번 구동되면, 모든 작업 부착부가 작동중에 어떤 작동이유로 멈출지라도, 유압펌프는 계속 구동된다. 더욱이, 유압펌프의 방출량은 통상 일정하게 설정된다. 또한, 단지 작업 부착부의 일부분만이 작동되는 경우에, 그리고 작동이 불연속인 경우에 유압펌프는 작동되는데, 배터리의 동력이 낭비적으로 소비되어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모든 작동레버가 중립위치에 있고, 동력 스위치가 턴 오프 된 상태를 고려한다. 하지만,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작동레버의 중립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있는데, 코스트 증가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단가가 낮은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굴착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굴착기의 구동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과 압력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전기모터의 회전수와 압력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는 배터리, 배터리로 부터의 동력에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 유압펌프로 부터 방출된 오일을 작동시키므로서 구동되는 복수이 액추에이터, 그리고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레버,로 구성되어있다.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오일은 공급라인에 의해 액추에이터내로 이송된다. 공급라인에 의해 액추에이터내로 이송되지 않는 작동오일은 결합되어 리턴라인에 의해 오일탱크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는 리턴라인에서 작동오일의 유량을 검출하기위한 유량 검출수단, 그리고 유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유량에 반비례하여 전기모터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작동 레버의 작동량이 작을때, 전기모터에 공급되는 동력의 양은 감소되고, 배터리의 소비를 최소로 억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모든 작동레버가 중립위치에 설정되어 있을때 얻어진 유량이 유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될때, 배터리로 부터 전기모터로의 동력 공급이 멈추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모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모든 작동레버가 중립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잉여 작동오일이 최대유량으로 되어 제어수단은 모든 작업부착부가 그들의 작동을 맘추도록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전기모터로의 동력공급을 중단한다. 그러므로, 작업부착부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동력소비는 존재하지 않아서 낭비적인 동력소모를 억제하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모든 작동레버가 중립위치에 설정될때 얻어진 유량이 유량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상태가 소정의 시간 계속될때, 배터리로부터 전기모터로의 동력공급은 멈춘다. 이러한 경우에,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의 불균일로 인하여 모든 작동 레버가 중립위치로 복귀하지 않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전기모터로의 동력공급이 멈추도록 실수적인 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로부터 전기모터로의 동력공급이 멈춘 상태에서 스위치회로가 턴 온 되는 스위치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작동 레버가 중립위치로 복귀하여 전기모터로의 동력공급을 차단한 상태에 있을때 스위치회로는 턴 온되어 배터리로 부터의 동력이 다시 전기모터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작동을 재시동하기 쉽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도 1은 소형 유압 굴착기를 도시하고 있다. 굴착기(1)는 운전자가 작동을 위해 탑승하는 상부몸체(11), 상부몸체(11)의 바닥에 구비된 한쌍의 크로울러(12), 그리고 상부몸체(11)의 전방으로 굴곡가능하게 구비되고 그리고 액추에이터(14)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작업부착부(13)로 구성되어 있다. 크로울러(12)는 베이스 베드(12a)의 양쪽에 구비되어 있다. 상부몸체(11)는 베이스 베드(12a)의 중앙에서 기립한 수직사프트(12c)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 베드(12a)는 수직사프트(12c) 주위에 상부몸체(11)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전환 액추에이터(11a)로 구비되어 있다. 상부몸체(11)는 액추에이터(11a)의 구동에 의해 크로울러(1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크로울러(12)는 베이스 베드(12a)에 구비된 유압모터(12b)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굴착기(1)는 크로울러(12)에 의해 방향을 바꾸고 전 후진 될 수 있다.
작업 부착부(13)는 상부몸체(11)의 전방끝에 구비된 수평샤프트(11b)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1아암(13a)과, 제 1아암(13a)의 말단에서 굴곡가능하게 구비된 제 2아암(13b)과, 제 2아암(13b)의 말단에 굴곡가능하게 구비된 버킷(13c)으로 구비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4)는 수평샤프트(11b)주위에서 제 1아암(13a)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부끝 액추에이터(14a)와, 수평샤프트(11c)주위에서 제 2아암(13b)을 회전시키기 위한 중간 액추에이터(14b)와, 수평샤프트(11d)주위에서 버킷(13c)을 회전시키기 위한 말단 끝 액추에이터(14c)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2)는 상부몸체(11)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배터리(2)로부터 전기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3)와 전기모터(3)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4)는 상부몸체(11)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베이스 베드(12a)와 상부몸체(11)의 내부에는 유압펌프(4)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오일압력을 액추에이터(11a,14), 유압모터(12b)그리고 유압 시스템의 작동방향을 전환하고 작동오일을 멈추는 기능을 하는 복수의 전환밸브에 이송하기 위한 순환 파이프라인으로 구비되어 있다. 설명을 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11a,14) 그리고 유압모터(12b) 모두를 유압 액추에이터라 부른다.
운전자가 앉아서 굴착기(1)를 운전하는 운전자 시트(15)는 상부몸체(11)의 후방(도 1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부몸체(11)의 전방에 운전자 시트(15)에 대향하여 배열된 작동베드(16)가 서 있다. 작동 베드(16)에 복수의 작동수단(5)이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있다. 이들 작동수단(5)을 작동시키므로서, 액추에이터(11a,14)와 유압모터(12b)에 작동오일의 공급을 차단 또는 공급은 대응하는 전환밸브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액추에이터(11a,14)그리고 유압모터(12b)는 구동되거나 멈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굴착기의 구동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굴착기(1)의 구동시스템(6)은 유압시스템(61)과 전기시스템(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시스템(61)은 유압펌프(4), 유압펌프(4)와 동축으로 협력하는 파일롯 펌프(41), 작동수단(5), 방향전환밸브(56), 그리고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펌프(4)는 오일탱크(613)로 부터 펌핑된 작동오일에 의해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 파일롯펌프(41)는 오일탱크(613)로부터 펌핑된 파일롯 오일에 의해 방향전환밸브(56)를 작동시킨다.
작동수단(5)은 유압모터(12b)에 대응하는 제 1작동레버(51), 방향전환 액추에이터(11a)에 대응하는 제 2작동레버(52), 기부 끝 액추에이터(14a)에 대응하는 제 3작동레버(53), 중간 액추에이터(14b)에 대응하는 제 4작동레버(54), 그리고 말단 끝 액추에이터(14c)에 대응하는 제 5작동레버(55)로 구성되어 있다. 방향전환밸브(56)는 제 1작동레버(51)에 대응하는 제 1전환밸브(561), 제 2작동레버(52)에 대응하는 제 2전환밸브(562), 제 3작동레버(53)에 대응하는 제 3전환밸브(563), 제 4작동레버(54)에 대응하는 제 4전환밸브(564), 그리고 제 5작동레버(55)에 대응하는 제 5전환밸브(565)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펌프(4)와 방향전환밸브(56)사이에는 주공급라인(610)과 주공급라인(610)으로 부터 각각 갈라진 그리고 제 1 내지 제 5 전환밸브(561 내지 565)에 연결된 5개의 공급라인(61a)으로 구비되어 있다. 전환밸브(561 내지 565)와 유압모터사이에 오일라인(61b)이 구비되어 있다.
유압펌프(4)로 부터 방출된 작동오일은 전환밸브(전환밸브(561 내지 565)중의 하나)를 통해서 흐른다. 이것에 의해 전환밸브(561 내지 565)에 대응하는 유압모터(12b), 액추에이터(11a), 기부끝 액추에이터(14a), 중간 액추에이터(14b)그리고 말단 끝 액추에이터(14c)는 소정의 방향으로 작동되고 그리고 폐쇄된 전환밸브에 대응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는 멈춘다.
전환밸브(561 내지 565)는 작동오일을 복귀시키기 위한 복수의 리턴라인(61c)으로 구비되는데 이것에 의해 유압 액추에이터는 주 리턴라인(611)을 통해서 오일탱크(613)로 작동된다. 더욱이, 작동오일을 복구시키기 위한 복수의 드레인라인(61d)으로 구비되는데, 이것은 주 드레인라인(612)을 통해서 오일탱크(613)로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드레인라인(61d)은 오리피스(61f)로 구비되어 있다. 오리피스(61f)의 전후에서 압력차를 측정하므로서, 주 드레인라인(612)을 통해서 오일탱크(613)로 복귀하는 작동오일의 유량이 검출된다.
파일롯 라인(61e)은 파일롯 펌프(41)와 작동레버(51 내지 55)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파일롯펌프(41)로부터 방출된 파일롯오일은 파일롯라인(61e)을 통해 작동되는 작동레버에 대응하는 전환밸브(전환밸브(561 내지 565)중 하나)에 공급된다. 작동되는 작동레버에 대응하는 전환밸브는 파일롯오일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 액추에이터중 하나를 작동시킨다.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작동레버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므로서 멈춘다.
전기시스템(62)은 배터리(2)와 전기모터(3)가 직렬로 연결되는 루프회로(63)와 루프회로(63)의 DC펄스를 제어하기위한 제어회로(64)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회로(64)는 유압시스템(61)으로 복귀하는 작동오일(잉여작동오일)의 오리피스(61f)전후 사이에 압력차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차 게이지(65), 압력차 게이지(65)의 검출결과를 근거로 전기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66), 그리고 제어수단(6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초퍼회로(67)와 스위치회로(68)로 구비되어 있다.
압력차 게이지(65)는 오리피스(61f)의 상류와 하류사이의 압력차를 측정한다. 소정의 신호가 측정의 결과를 근거로 제어수단(66)으로 부터 초퍼회로(67)로 출력된다. 도 3은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과 오리피스(61f)의 상류 및 하류의 압력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은 압력차가 증가할 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다소)은 압력차를 검출하므로서 식별될 수 있다. 잉여 작동오일이 작을때, 작업을 위해 유압모터(12b)에 이송되는 작동오일의 양은 많은 반면, 잉여 작동오일이 많을때, 유압모터(12b)에서 작업되는 작동오일의 양은 작아진다.
루프회로(63)는 키 스위치(63a)로 구비되어 있다. 루프회로(63)는 트랜지스터(63b)로 더 구비되어 있다. 트랜지스터(63b)의 베이스 단자는 초퍼회로(67)에 연결되어 있다. 키 스위치(63a)는 굴착기(1)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기전에 턴 온 된다. 키 스위치(63a)가 턴 온될때, 굴착기(1)는 작동가능한 상태에 위치된다. 키 스위치(63a)는 작동동안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작동의 종료에 따라 턴 오프된다.
초퍼회로(67)는 일정한 기간동안 DC전류입력을 계속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초퍼회로(67)는 제어수단(66)으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펄스폭을 갖춘 펄스를 출력한다. 펄스폭에 대응하는 전기동력은 전기모터(3)에 공급되어 전기모터(3)의 회전수는 펄스폭과 비례한다.
스위치회로(68)는 제어수단(66)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루프회로(63)를 개폐한다. 스위치회로(68)는 운전자에 의해 작동동안에 턴 온 및 오프되는 푸시 온 타입 스타트 스위치(68a)로 구비되어 있다. 스타트 스위치(68a)는 스위치회로(68)가 턴 오프될지라도 제어수단(66)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루프회로(63)를 개폐한다.
제어수단(66)은 압력차 게이지(65)로 부터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초퍼회로(67)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리고 오리피스(61f)전후의 압력차에 반비례하는 회전수로 전기모터(3)를 구동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수단(66)은 초퍼회로(67)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초퍼회로(67)로 부터 트랜지스터(63b)까지 펄스 신호출력의 펄스폭은 오리피스(61f)전후의 압력차에 반비례한다.
도 4는 전기모터(3)의 회전수와 압력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력차가 클때(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이 클때) 즉,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펌프(4)로부터 방출되는 작동오일의 양이 작을때, 전기모터(3)의 회전수는 감소된다. 역으로, 압력차가 클때(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이 클때) 즉,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펌프(4)로부터 방출되는 작동오일의 양이 클때, 전기모터(3)의 회전수는 증가한다.
스타트 스위치(68a)가 턴 온 되어 작동수단(5)을 작동시킬때, 이에 따라 유압 액추에이터는 소정의 작동을 수행하고 그후 모든 작동레버(51 내지 55)는 일정한 이유로 중립위치로 복귀되고 작동오일은 모든 전환밸브(561 내지 565)로부터 오일라인(61b)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압펌프(4)로부터 방출되는 모든 작동오일은 잉여 작동오일로서 주 드레인라인(612)을 통해 오일탱크(613)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력차 게이지(65)에 의해 검출신호를 제어수단(66)에 입력하는 것이 검출되어 스위치오프 제어신호는 제어수단(66)으로 부터 스위치회로(68)로 출력되어 전기모터(3)로의 전류의 공급을 차단한다. 모든 작동레버(51 내지 55)가 작동중에 복귀될때, 유압펌프(4)의 구동은 배터리(2)의 낭비적인 동력소비를 방지하기위해 전기모터(3)에 동력공급을 멈추므로서 불연속된다.
작동의 시작에서 먼저 키 스위치(63a)(도 2)는 턴 온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66)은 제어를 시작한다. 먼저, 제어신호는 초퍼회로(67)에 출력되어 전기모터(3)는 최소 회전수로 구동된다. 하지만, 이상태에서, 스위치회로(68)는 오프상태이고, 배터리(2)로부터의 동력은 전기모터(3)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이 실제로 시작될때, 스타트 스위치(68a)는 턴 온되어 루프회로(63)를 여자한다. 전기모터(3)는 그 튜티비가 현재의 제어에서 최소치로 설정되는 초퍼회로(67)로부터 펄스신호에 의해 최소 회전수로 회전한다. 그후, 작동수단(5)은 작동되고 이에 따라 굴착기(1)는 제어수단(66)의 제어를 근거로 작동된다.
전기모터(3)가 최소회전수로 구동되고 작동수단(5)이 작동되지 않을때, 유압펌프(4)는 최소의 회전수로 구동되고 이로서 야기된 작동오일의 방출량은 최소로 된다. 하지만, 작동수단(5)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전환밸브(561 내지 565)로 공급되는 작동오일은 액추에이터(14), 방향전환 액추에이터(11a) 그리고 유압모터(12b)에 공급되지 않으며 모두 오일탱크(613)에 복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오리피스(61f)를 통과하는 작동오일의 유량은 유압펌프(4)가 최소방출량으로 구동될지라도 최대유량(기준유량)이 된다. 따라서, 모든 작동레버(51 내지 55)가 중립위치에 설정되는 상태에서,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대로 된다. 제어신호는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을 검출하는 압력차 게이지(65)로부터 검출신호에 의해 제어수단(66)으로부터 초퍼회로(67)까지 출력된다. 트랜지스터(63b)는 초퍼회로(67)로부터 최소 튜티비의 펄스신호에 의해 턴 온 및 오프되어 전기모터(3)는 최소회전수로 구동을 계속한다.
그리고, 제 1작동레버(51)가 작동될때, 유압펌프(4)로부터 방출되는 작동오일은 개방된 제 1전환밸브(561)를 통과하고 그리고 유압모터(12b)에 공급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향전환밸브(56)로부터 주 드레인라인(612)에 복귀되는 잉여 작동오일의 양은 유압모터(12b)에 공급된 양만큼 기준유량보다 작다. 감소된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은 압력차 게이지(65)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신호는 제어수단(66)내로 입력된다. 제어수단(66)은 그 튜티비가 감소된 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제어신호를 초퍼회로(67)에 출력한다. 전기모터(3)에 동력의 공급은 제어수단(66)의 제어신호에서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전기모터(3)의 회전수와 유압펌프(4)의 방출량은 증가한다.
그리고, 유압모터(12b)가 작동되는 상태에서(즉, 제 1작동레버(51)가 작동위치에 설정되는 상태에서) 제 2작동레버(52)가 작동위치로 작동될때, 유압펌프(4)로 부터의 작동오일은 유압모터(12b)에 부가하여 방향전환 액추에이터(11a)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잉여 작동오일은 더 줄어들고, 그리고 유압펌프(4)의 방출량은 더 증가한다. 따라서, 유압모터(12b)와 방향전환 액추에이터(11a)양자에 적합한 방출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압펌프(4)의 작동오일의 방출량은 유압모터(12b)등의 작동수에 따라서 증감하고, 작동되는 작동레버(51 내지 55)에 대응하는 모든 유압액추에이터는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부가하여, 유압펌프(4)가 항상 작동오일의 필요하고 충분한 양을 방출하므로, 낭비적인 동력소비는 확실히 억제될 수 있어서 배터리(2)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모든 작동 레버(51 내지 55)가 중립위치로 복귀할때, 작동오일은 전환밸브(561 내지 565)로부터 오일라인(61b)까지 전달되지 않고, 잉여 작동오일로서, 유압펌프(4)로 부터 방출되는 모든 작동오일이 주 드레인라인(612)을 통과하고 그리고 오일탱크(613)로 복귀한다. 이것은 압력차 게이지(65)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신호는 제어수단(66)내에 입력된다. 제어수단(66)은 검출신호를 근거로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를 스위치회로(68)에 출력하여 전류는 루프회로(63)내로 흐르지 않아서 전기모터(3)에 동력의 공급을 멈춘다. 전기모터(3)는 동력공급을 멈추므로서 낭비적인 배터리(2)의 동력소비를 방지한다. 작동오일(5)이 재 작동될때, 스타트 스위치(68a)는 그전에 온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오일의 유량, 즉 유압펌프(4)의 작동오일의 방출량은 유압 액추에이터로 공급되지 않는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에 의해 검출된다. 전기모터(3)의 회전수는 제어되어 유압액추에이터의 작동수에 따른 작동오일의 방출량이 얻어진다. 모든 작동레버(51 내지 55)는 중립위치로 복귀하여 모든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멈추어 전기모터(3)로의 동력공급을 멈춘다.
그러므로, 모든 작업 부착부가 작동의 기간동안에 작동을 불연속하는 경우라도, 낭비적인 동력 소비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유압펌프(4)는 전기모터(3)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오일의 순환을 유지한다. 따라서, 배터리(2)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1회의 충전 기간에서 작동량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아래 내용을 포함한다.
(1) 상기한 실시예에서 루프 회로(63)가 스위치회로(68)로 구비된 반면, 스위치회로(68)는 본 발명에 필요치 않다. 스위치회로(68)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모든 작동레버(51 내지 55)가 중립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유압펌프(4)로 부터 방출된 작동오일은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지 않고, 이 모두는 잉여 작동오일인데, 이것은 오일탱크(613)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잉여 작동오일의 최대 유량은 압력차 게이지(65)에 의해 검출되고, 전기모터(3)의 회전수는 제어수단(66)에 의해 최소화된다. 따라서, 배터리(2)의 동력 소비는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유압펌프(4)가 항상 구동되므로, 작동레버(51 내지 55)중의 하나가 작동을 다시 시작할때, 스타트 스위치(68a)를 턴 온 하지 않고 작동레버(51 내지 55)를 작동시키므로서 작동은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성은 강화될 수 있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이 설정치를 초과할때, 스위치오프 제어신호는 제어수단(66)으로부터 스위치회로(68)로 출력된다. 대신에, 타이머가 제어수단(66)의 내부에 구비되어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타임을 측정한다. 시간측정치가 소정의 시간을 초과할때, 스위치회로(68)는 스위치오프 될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의 불균일로 인하여 모든 작동레버(61 내지 55)가 중립위치로 복귀되지 않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전기모터(3)에 동력공급과 같은 실수적인 제어가 멈추어진다.
(3) 상기한 실시예에서 작동레버(51 내지 55)가 작동위치로 설정되는 상태에서 유압모터(12b)등에 작동오일의 공급량은 일정하게 설정된다. 하지만, 전환밸브(561 내지 565)의 개방도는 작동레버(51 내지 55)의 작동위치에서 작동량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속도는 작동레버(51 내지 55)의 작동량에 따라서 변한다.
(4) 상기한 실시예에서,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은 오리피스(61f)의 전후사이에서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차 게이지(65)의 검출치를 근거로 검출된다. 잉여 작동오일의 유량을 직접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압력차 미터(65)대신에 채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배터리;
    배터리로 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
    유압펌프로 부터 방출된 오일을 작동시키므로서 구동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레버;
    상기 유압펌프의 구동에 의해 작동 오일을 액추에이터내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라인;
    작동오일을 오일탱크에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라인에 의해 액추에이터내로 이송되지 않는 작동오일과 결합하기 위한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에서 작동오일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검출수단; 그리고
    상기 유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유량에 반비례하여 전기모터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모든 작동 레버가 중립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얻어진 유량이 상기 유량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될때, 배터리로 부터 전기모터로 동력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모든 작동레버가 중립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얻어진 유량이 상기 유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될때 배터리로부터 전기모터로 동력공급을 멈추고 소정시간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있는데, 스위치회로는 배터리로부터 전기모터로 동력공급에 멈춘상태에서 배터리로부터 전기모터로 동력공급을 시작하도록 턴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검출수단은 리턴라인에 구비된 오리피스와,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차 게이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크로울러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모터, 상부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전환 액추에이터, 그리고 작업부착부를 움직이기 위한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KR1019970062128A 1996-11-22 1997-11-22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KR100241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2325 1996-11-22
JP8312325A JPH10152865A (ja) 1996-11-22 1996-11-22 バッテリ駆動の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673A true KR19980042673A (ko) 1998-08-17
KR100241095B1 KR100241095B1 (ko) 2000-02-01

Family

ID=1802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128A KR100241095B1 (ko) 1996-11-22 1997-11-22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13811A (ko)
EP (1) EP0844337B1 (ko)
JP (1) JPH10152865A (ko)
KR (1) KR100241095B1 (ko)
DE (1) DE6972037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35B1 (ko) * 2008-02-12 2008-05-20 에스씨종합건설(주) 전동 굴삭기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8A (ja) * 1996-06-13 1998-01-06 Yutani Heavy Ind Ltd バッテリ駆動の作業機械
JPH11343642A (ja) * 1998-06-01 1999-12-14 Kobe Steel Ltd バッテリー駆動式作業機械
JP3877901B2 (ja) * 1999-03-31 2007-02-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4284335B2 (ja) * 2006-06-01 2009-06-24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
JP2008121659A (ja) * 2006-10-20 2008-05-2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
US20140026548A1 (en) * 2011-04-15 2014-01-3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Method and a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s in a working machine
US9580966B2 (en) * 2011-08-24 2017-02-28 Lake Shore Systems, Inc. All electric powered mobile jumbo drill machine
WO2015005514A1 (ko) * 2013-07-11 2015-01-15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압식 비상정지장치
US9484602B1 (en) 2013-08-22 2016-11-01 OSC Manufacturing & Equipment Services, Inc. Light tower having a battery housing
EP3037293B1 (de) * 2014-12-22 2017-08-09 Sennebogen Maschinenfabrik GmbH Selbstfahrende Arbeitsmaschine
WO2016110726A1 (en) * 2015-01-07 2016-07-14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n excavator and excavator comprising a control unit implementing such a control method
US10749224B2 (en) 2015-08-17 2020-08-18 OSC Manufacturing & Equipment Services, Inc. Rechargeable battery power system having a battery with multiple uses
JP6889579B2 (ja) * 2017-03-15 2021-06-1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11946225B2 (en) 2021-05-28 2024-04-02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s for controlling electrically-powered hydraulic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6367C2 (de) * 1977-06-10 1984-12-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Stromentnahme aus einer elektrischen Batterie
US4334408A (en) * 1979-09-19 1982-06-15 Joy Manufacturing Company Pneumatic and hydraulic power control of drill
DE3321484A1 (de) * 1983-06-14 1984-12-20 Linde Ag, 6200 Wiesbaden Hydraulische anlage mit zwei verbrauchern hydraulischer energie
DE3602510A1 (de) * 1986-01-28 1987-07-30 Steinbock Gmbh Hydraulisches hubwerk
JPH0453846A (ja) * 1990-06-20 1992-02-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粉末ゴム組成物
JP3290735B2 (ja) * 1993-03-05 2002-06-10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ウ
GB2276596B (en) * 1993-03-22 1996-10-09 Crown Gabelstapler Gmbh Steering systems for forklift trucks
JPH0719207A (ja) * 1993-07-02 1995-01-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機械の駆動制御装置
JP2992434B2 (ja) * 1993-12-02 1999-12-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JPH0812298A (ja) * 1994-07-05 1996-01-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ッテリ式産業車両における荷役制御装置
JPH08219117A (ja) * 1995-02-08 1996-08-2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用機械の制御装置
US5588474A (en) * 1995-06-07 1996-12-31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Feed rate control system for stump cutters
JP3113562B2 (ja) * 1995-12-01 2000-12-04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電気機器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35B1 (ko) * 2008-02-12 2008-05-20 에스씨종합건설(주) 전동 굴삭기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4337B1 (en) 2003-04-02
DE69720375D1 (de) 2003-05-08
US5913811A (en) 1999-06-22
JPH10152865A (ja) 1998-06-09
KR100241095B1 (ko) 2000-02-01
EP0844337A1 (en) 1998-05-27
DE69720375T2 (de)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095B1 (ko) 배터리 구동 유압 굴착기
JPH0586635A (ja) 油圧掘削機における作業油量切換制御装置
KR100206511B1 (ko) 배터리 구동의 작업기계
CN101981259A (zh) 混合动力建筑机械的控制装置
KR100206512B1 (ko) 배터리 구동의 유압 쇼벨
EP0997584A2 (en) Engine speed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06242110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2008057468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3582679B2 (ja) 油圧ショベルの旋回油圧回路
JP3607529B2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JP5489511B2 (ja) 建設機械
WO2021054125A1 (ja) 作業機械
JP3533052B2 (ja) バッテリ駆動の作業機械
CN112334669B (zh) 工程机械
JP3708224B2 (ja) バッテリ駆動の作業機械
JP2003294005A (ja) 油圧制御装置
JPH10159133A (ja) バッテリ駆動作業機械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0129728A (ja) 油圧走行式作業車両
JP3992611B2 (ja) バックホウの油圧回路構造
JP3686476B2 (ja) バッテリ駆動の作業機械
JPH10281112A (ja) 流体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10006516Y1 (ko) 크롤러굴삭기의 주행장치
JPH0932043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2005163698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H06257186A (ja) バックホ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