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169A - 토너보급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토너보급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169A
KR19980042169A KR1019970058557A KR19970058557A KR19980042169A KR 19980042169 A KR19980042169 A KR 19980042169A KR 1019970058557 A KR1019970058557 A KR 1019970058557A KR 19970058557 A KR19970058557 A KR 19970058557A KR 19980042169 A KR19980042169 A KR 1998004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toner
hook
toner supply
supply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로쿠가즈오
Original Assignee
미타요시히로
미타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요시히로, 미타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4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1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너카트리지는 교환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토너낙하구멍(56)폐색의 잊어버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셔터(60)가 토너낙하구멍(56)을 폐색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갈고리(64)의 걸어맞춤부는 외측으로 달아내어 있지 않다.
토너카트리지가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되면 셔터(60)의 우측파지부(62)가 걸어맞춤부(75)의 걸어맞춤측면벽부(77)에 맞닿고 셔터(60)가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서 토너낙하구멍(56)이 개방된다.
한편, 토너카트리지가 빼내지는 때에는 갈고리(64)의 걸어맞춤부가 측면벽에 형성된 복귀부(82)에 걸어맞추어져서 셔터(60)의 반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셔터(60)는 플랜지(55)에 대해서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서 토너낙하구멍(56)이 폐색된다.

Description

토너보급카트리지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장치,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토너보급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너보급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된 카트리지본체를 갖고 있고, 이 카트리지본체의 저면에는 토너낙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토너낙하구멍은 슬라이드식의 셔터(shutter)로 폐색되어 있다.
토너보급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구비된 호퍼(hopper)내의 토너가 남은 것이 적어진 경우에 교환된다.
카트리지본체를 호퍼상에 설치한 후, 토너낙하구멍을 폐색시키고 있는 셔터를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토너낙하구멍이 개방되어서 카트리지본체내의 토너가 토너낙하구멍으로부터 호퍼내로 낙하해서 현상장치에 토너가 보급된다.
토너카트리지의 교환에 있어서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이 끝난 토너보급카트리지를 빼낸 후, 새로운 토너보급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에 설치한다고 하는 조작과, 설치한 후에 셔터를 슬라이드시킨다고 하는 2가지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토너보급카트리지의 교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토너보급카트리지의 교환에 수고가 걸린다.
또, 사용이 끝난 토너보급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빼낼 때에 셔터에 의해 토너낙하구멍을 폐색시키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는 카트리지본체의 내벽 등에 부착해서 잔존하고 있는 토너가 낙하하여 주위에 산란해버린다고 하는 일이 생길 우려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고 토너보급카트리지의 교환작업이 간단하며, 또한 토너낙하구멍의 폐색을 잊어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토너보급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토너보급카트리지가 장착된 복사기의 내 부구성을 간략화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토너보급카트리지가 삽입 및 빼낼 때의 복사기의 사시도
도3은 토너보급카트리지 및 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토너보급카트리지를 길이방향으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했 을 때의 단면도
도5는 플랜지에 부착된 셔터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6(a)-6(d)는 토너보급카트리지를 교환할 때의 셔터등의 변위과정을 나타 내는 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31. 호퍼
32. 토너카트리지
33. 안내부
53. 카트리지본체
54. 접속부
55. 플랜지
56. 토너낙하구멍
57. 절단부
60. 셔터
62. 우측파지부
64. 갈고리
68. 걸어맞춤부
75. 걸어맞춤부
77. 셔터이동저지부
82. 복귀부
본 발명의 어떤 형태에서는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토너보급카트리지로서 내부에 토너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하면에 토너낙하구멍을 갖는 카트리지본체와 토너낙하구멍에 관련해서 부착되어 있고 토너낙하구멍을 폐색시키는 폐색위치및 토너낙하구멍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슬라이드가능한 셔터, 및 셔터에 구비된 갈고리를 갖고 그 갈고리는 셔터가 폐색위치에서는 걸어맞춤 불능상태이며, 셔터가 개방위치에서는 걸어맞춤이 가능한 상태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형태에서는 토너낙하구멍의 주위에는 수평방향으로 달아낸 플랜지(flange)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에 대해 셔터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플랜지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셔터가 폐색위치에서는 갈고리의 일부는 절단부에 끼워지고 갈고리의 다른부는 걸어맞춤 불능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다시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갈고리는 수지에 의해 셔터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카트리지본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다시 또 구비하고 안내부는 카트리지본체를 화상형성장치내에 삽입해서 소정위치에 설치할 때에 카트리지본체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셔터의 이동은 저지해서 셔터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위시키는 셔터이동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안내부는 다시 또 카트리지본체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빼내는 때에 걸어맞춤 가능상태로 된 갈고리에 걸어맞추어서 셔터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보급카트리지를 설치할 때에는 토너보급카트리지를 안내부에 따라 소정의 삽입방향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셔터가 개방위치로 변위된다.
따라서, 토너보급카트리지의 교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토너보급카트리지를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고 토너보급카트리지의 교환에 수고가 걸리지 않는다.
또 토너보급카트리지를 빼낼 때에는 토너보급카트리지를 반삽입방향으로 빼내는 것만으로 셔터가 자동적으로 폐색위치로 변위된다.
따라서, 셔터를 슬라이드시켜서 토너낙하구멍을 폐색시킨다고 하는 조작을 별도로 행할 필요가 없고 토너낙하구멍의 폐색을 잊어버린다고 하는 일도 없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토너보급카트리지가 장착된 복사기의 내부구성을 간략화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2는 토너보급카트리지가 삽입 및 일탈될 때의 복사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토너보급카트리지가 복사기에 장착된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토너보급카트리지는 복사기에 한정되지 않고 팩시밀리장치나 프린터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라도 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복사기본체(11)의 내부에는 원고를 조명주사시키기 위한 광학계(12)와 용지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계(13)와 용지공급접시(22)내에 수납된 용지를 화상형성계(13) 및 정착장치(23)를 통해서 배출접시(24)로 인도하는 용지반송계(14)를 구비하고 있다.
복사기본체(11)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원고를 탑재시키기 위한 투명한 원고탑재판(15)이 끼워져 있고 그 위쪽에는 원고탑재판(15)상의 원고를 누르기 위한 원고커버(16)가 부착되어 있다.
원고탑재판(15)의 아래쪽에는 광학계(12)가 구비되어 있다.
화상형성계(13)은 광학계(1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드럼상의 감광체(17)를 갖고 있다.
감광체(17)의 주위에는 감광체(17)의 회전방향에 따라 순차로 주대전기(18),현상장치(19), 전사대전기(20)및 크리닝장치(21)가 구비되어 있다.
감광체(17)는 광학계(12)에 의한 원고의 주사와 동기로 회전구동되고 주대전기(18)에 의해 일정하게 대전된 후, 광학계(12)로부터의 광에 의한 노출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감광체(17)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현상장치(19)에 의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토너상은 전사대전기(20)에 의해 용지공급접시(2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용지(도시생략)상에 전사된다.
전사된 토너상은 그 후, 정착장치(23)에 의해 용지상에 가열정착된다.
토너상이 가열정착된 용지는 배출접시(24)로 배출된다.
또 전사후의 감광체(17)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는 크리닝장치(21)에 의해 회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현상장치(19)에 구비된 호퍼(31)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카트리지(32)와, 예를들면 호퍼(31)의 상면에 형성되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삽입 빼냄을 안내하는 안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31)내의 토너가 나머지가 적어진 경우에는 사용이 끝난 토너보급카트리지를 빼내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새로운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호퍼(31)상에 설치해서 호퍼(31)에 토너를 보급한다.
도2를 참조하면 톤너보급카트리지(32)의 교환에 있어서는 복사기본체(11)의 전면(25)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폐커버(26)가 개방되어서 사용이 끝난 토너보급카트리지가 복사기본체(11)로부터 빼내진다.
다음에, 미리 준비한 새로운 토너보급카트리지(32)가 안내부(33)에 안내되면서 복사기본체(11)에 삽입된다.
그리고 개폐커버(26)이 당겨 일어나서 폐색되므로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도3은 토너보급카트리지(32) 및 안내부(33)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4는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길이방향으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해서 우선 토너보급카트리지(32)에 대해 설명한다.
토너보급카트리지(32)는 상부케이스(51)및 하부케이스(52)를 포함하는 긴형상의 카트리지본체(53)를 갖고 있고, 이 카트리지본체(53)의 내부에 보급용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토너카트리지본체(53)의 한쪽단말부부근의 하면에는 카트리지본체(53)내와 외부와 연달아 통하는 토너낙하구멍(56)이 형성된 접속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본체(53)는 상부케이스(51)과 하부케이스(52)가 일체로 형성된것이라도 된다.
접속부(54)의 하단에는 접속부(54)의 원주가장자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달아낸 플랜지(55)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55)에는 슬라이드에 의해 토너낙하구멍(56)을 개폐하는 셔터(60)가 부착되어 있다.
셔터(60)가 슬라이드되어서 토너낙하구멍(56)이 개방되면 카트리지본체(53)내의 토너가 토너낙하구멍(56)을 통해서 낙하한다.
다시 또, 카트리지본체(53)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너반송스파이랄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토너는 유동성이 나쁘고 카트리지본체(53)내의 토너는 한쪽단말에 형성된 토너낙하구멍(56)에 원활하게 인도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한 토너반송스파이랄이 구비되어 있고 토너반송스파이랄이 회전구동되므로서 카트리지본체(53)내의 토너가 토너낙하구멍(56)으로 향해서 강제적으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본체(53)내의 모든 토너가 확실히 토너낙하구멍(56)으로부터 낙하한다.
도5는 상기한 플랜지(55)에 부착된 셔터(60)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5에서는 셔터(60)에 의해 토너낙하구멍(56)이 폐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5를 참조해서 셔터(60)에 대해 설명한다.
셔터(60)는 플랜지(55)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므로서 도5에 나타내는 토너낙하구멍(56)을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토너낙하구멍(56)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도6(b)]참조]로 변위되는 것이다.
셔터(60)에는 플랜지(55)의 하면에 대향하는 평판부(61)와 토너카트리지(32)의 삽입방향 A에 관해서 평판부(61)의 우측단말변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단면이 역엘(L)자형상으로 형성된 우측파지부(62)와 평판부(61)의 좌측단말변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단면이 역엘(L)자형상으로 형성된 좌측파지부(63)가 포함되어 있다.
좌측파지부(63)의 화살표 A방향의 길이는 평판부(61)의 화살표A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갈고리(64)가 좌측파지부(63)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셔터(60)는 다시 또 토너보급카트리지(32)가 복사기본체(11)로부터 빼내는 때에 후술하는 복귀부(82)에 걸어 맞추어지는 갈고리(64)가 좌측파지부(63)의 한쪽에 구비되어 있다.
셔터(60)및 갈고리(64)는 수지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갈고리(64)에는 좌측파지부(63)에 고정된 고정부(65)와 고정부(65)로부터 화살표 A방향으로 향해서 뻗은 탄성변형 가능한 변형부(66)와 변형부(66)의 선단으로부터 플랜지(55)를 향해서(화살표 A에 대해서 우측방향)으로 뻗어 설치된 피안내부(67)와 변형부(66)의 선단으로부터 외측(화살표 A에 대해 좌측방향)으로 뻗어설치된 걸어맞춤부(68)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화살표 A방향에 대해서 플랜지(55)의 좌측선단부에는 절단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60)이 도5에 나타내는 폐색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는 갈고리(64)의 피안내부(67)의 선단부분이 상기한 절단부(57)에 들어가 있고 갈고리(64)의 변형부(66)는 변형되고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셔터(60)가 플랜지(55)에 대해서 화살표 C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피안내부(67)의 선단은 절단부(57)의 안내면(58)에 안내되어서 절단부(57)로부터 이탈하고 플랜지(55)의 좌측면에 맞닿는다.
이 때, 갈고리(64)의 변형부(66)는 화살표 B방향으로 휘고 갈고리(64)의 걸어맞춤부(68)는 외측으로 달아낸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3을 재차 참조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삽입 빼냄을 안내하는 안내부(33)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부(33)는 예를들면 호퍼(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33)는 호퍼(31)의 상면과 공용된 저면(71)과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삽입방향(도3에 2점사슬금으로 나타낸다)에 따라 저면(71)의 양측단말변으로부터 올라간 한쌍의 측면벽(72),(73)을 갖고 있다.
토너보급카트리지(32)는 측면벽(72),(73)에 의해 삽입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규제된 상태로 저면(71)에 따라 삽입 및 빼냄이 이루어진다.
저면(71)의 소정위치에는 호퍼(31)내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개방구(74)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개방구(74)는, 예를들면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급개방구(74)에 관련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장착시에 접속부(54)의 플랜지(55)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75)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5)에는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삽입방향에 관해서 공급개방구(74)의 좌우 양측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올라간 걸어맞춤측면벽(76),(77)과 공급개방구(74)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올라간 플랜지규제부(78)와 걸어맞춤측면벽(76),(77)및 플랜지규제부(78)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내측으로 향해서 뻗어설치된 탑재부(79),(80),(81)이 포함되어 있다.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삽입방향에 관해서 좌측의 측면벽(72)의 소정위치에는 측면벽(72)의 높이방향에 걸쳐서 볼록한 복귀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귀부(82)는 토너보급카트리지(32)가 빼내지는 때에 셔터(60)에 구비된 갈고리(64)의 걸어맞춤부(68)를 걸어맞추어서 셔터(60)가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반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6(a)내지 도6(d)는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교환할 때의 셔터(60)등의 변위과정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며, 특히 셔터(60)를 위로부터 본때의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삽입 및 빼내는 때의 동작을 포함해서 다시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6에 있어서 토너낙하구멍(56)에 사선이 쳐진 상태에서는 셔터(60)에 의해 토너낙하구멍(56)이 폐색되어 있고, 사선이없는 상태는 개방된 상태이다.
새로운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장착시에는 토너보급카트리지(32)는 안내부(33)에 안내되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때 셔터(60)는 토너낙하구멍(56)을 폐색시키는 위치에 있으므로 갈고리(64)의 피안내부(67)의 선단부분이 플랜지(55)의 절단부(57)에 들어가 있고 갈고리(64)의 걸어맞춤부(68)는 외측으로 뻗어나와 있지 않다(도6 a참조).
따라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삽입할 때에 걸어맞춤부(68)가 측면벽부(72)에 형성된 복귀부(82)에 걸어맞추어지는 일은 없다.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삽입이 진행되면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60)의 우측파지부(62)가 걸어맞춤부(75)의 걸어맞춤측면벽(77)에 맞닿고 셔터(60)가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플랜지(55)만이 걸어맞춤부(75)로 구획되는 공간내에 도입된다.
즉, 걸어맞춤측면벽(77)은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설치시에 셔터(60)의 삽입방향(화살표A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셔터(60)가 플랜지(55)에 대해서 반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서 토너낙하구멍(56)이 개방된다.
셔터(60)의 플랜지(55)에 대한 반삽입방향에의 슬라이드에 수반해서 갈고리(64)의 피안내부(67)의 선단은 절단부(57)의 안내면(58)에 안내되어서 절단부(57)로부터 이탈하고 플랜지(55)의 좌측면에 맞닿는다.
그러면 갈고리(64)의 변형부(66)가 휘고 갈고리(64)의 걸어맞춤부(68)는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 달아낸 상태로 된다.
걸어맞춤부(75)로 구획된 공간내에 도입된 플랜지부(55)의 선단면이 걸어맞춤부(75)의 플랜지규제부(78)에 맞닿은 상태에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설치가 완료된다.
토너보급카트리지(32)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탑재부(79),(80),(81)상에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하부용기(52)의 후방부가 탑재되어서 호퍼(31)의 상면에 형성된 공급개방구(74)(도3참조)의 위쪽에 토너낙하구멍(56)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본체(53)내의 토너는 개방된 토너낙하구멍(56)을 통해서 공급개방구(74)로 향해서 낙하하고 호퍼(31)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설치할 때에는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호퍼(31)(도3참조)의 상면에 형성된 안내부(33)에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삽입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셔터(60)가 개방되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로부터 호퍼(31)에 토너가 공급된다.
따라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복사기본체에 설치한다고 하는 조작과 설치한 후에 셔터를 슬라이드시켜서 토너낙하구멍을 개방한다고 하는 조작의 두가지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교환에 필요한 수고가 경감된다.
또 셔터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므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교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셔터(60)의 개방을 잊어버린다고 하는 장착착오를 일으킬 우려가 없다.
도6(c)를 참조해서 토너사용에 수반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의 카트리지본체(53)내의 토너가 없어지면 토너보급카트리지(32)는 안내부(33)에 따라서 빼내진다.
그러면, 도6(c)에 있어서 좌측으로 달아낸 갈고리(64)의 걸어맞춤부(68)가 측면벽(72)에 형성된 복귀부(82)에 걸어맞추어져서 셔터(60)의 반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또 토너보급카트리지(32)가 반삽입방향(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되면 플랜지(55)만이 반삽입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셔터(60)는 플랜지(55)에 대해서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서 토너낙하구멍(56)이 셔터(60)에 의해 폐색된다(도6 d참조).
이에 수반해서 갈고리(64)의 피안내부(67)의 선단은 플랜지부(55)의 좌측면에 따라 이동하고 플랜지(55)의 절단부(57)로 들어간다.
그러면 갈고리(64)의 변형부(66)의 휨이없어지고 갈고리(64)가 도6(a)에 나타내는 상태로 복귀하고 걸어맞춤부(68)와 복귀부(82)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된다.
즉, 셔터(60)에 의해 토너낙하구멍(56)이 폐색되면 걸어맞춤부(68)와 복귀부(82)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서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빼낼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면 토너보급카트리지(32)를 빼낼 때에 셔터를 슬라이드시켜서 토너낙하구멍을 폐색시킨다고 하는 조작을 별도로 행할 필요가 없고 토너낙하구멍의 폐색을 잊어버린다고 하는 일도 없다.
토너보급카트리지의 교환작업이 간단하며, 또한 토너낙하구멍의 폐색을 잊어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토너보급카트리지를 제공한다.

Claims (11)

  1.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토너보급카트리지로서, 내부에 토너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하면에 토너낙하구멍(56)을 갖는 카트리지본체(53)와, 토너낙하구멍(56)에 관련해서 부착되어 있고 토너낙하구멍(56)을 폐색시키는 폐색위치 및 토너낙하구멍(56)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60), 및 셔터(60)에 구비된 갈고리(64)를 갖고, 그 갈고리(64)는 셔터(60)가 폐색위치에서는 걸어맞춤 불능상태이며, 셔터(60)가 개방위치에서는 걸어맞춤 가능한 상태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토너낙하구멍(56)의 주위에는 수평방향으로 달아 낸 플랜지(55)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55)에 대해 셔터(6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55)에는 절단부(57)가 형성되어 있고, 셔터(60)가 폐색위치에서는 갈고리(64)의 일부는 절단부(57)에 끼워지고 갈고리(64)의 다른 부는 걸어맞춤 불능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셔터(60)가 개방위치에서는 갈고리(64)의 일부는 절단부(57)로부터 떨어져서 플랜지(55)의 측면에 안내되고, 갈고리(64)의 다른 부는 걸어맞춤 가능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갈고리(64)는 수지에 의해 셔터(6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6.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토너보급카트리지로서 내부에 토너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하면에 토너낙하구멍(56)을 갖는 카트리지본체(53)와 토너낙하구멍(56)에 관련해서 부착되어 있고 토너낙하구멍(56)을 폐색시키는 폐색위치 및 토너낙하구멍(56)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60), 및 셔터(60)에 구비된 갈고리(64)를 갖고 그 갈고리(64)는 셔터(60)가 폐색위치에서는 걸어맞춤 불능상태이며 셔터(60)가 개방위치에서는 걸어맞춤 가능한 상태로 변위하고, 카트리지본체(53)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33)를 다시 또 구비하고 안내부(33)는 카트리지본체(53)를 화상형성장치에 삽입해서 소정위치에 설치할 때에 카트리지본체(53)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셔터(60)의 이동은 저지해서 셔터(60)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위시키는 셔터이동저지부(7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안내부(33)는 다시 또 카트리지본체(53)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빼내는 때에 걸어맞춤 가능상태로 된 갈고리(64)에 걸어맞추어서 셔터(60)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8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토너낙하구멍(56)의 주위에는 수평방향으로 달아낸 플랜지(55)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55)에 대해 셔터(6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플랜지(55)에는 절단부(57)가 형성되어 있고 셔터(60)가 폐색위치에서는 갈고리(64)의 일부는 절단부(57)에 끼워지고 갈고리(64)의 다른 부는 걸어맞춤 불능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셔터(60)가 개방위치에서는 갈고리(64)의 일부는 절단부(57)로부터 떨어져서 플랜지(55)의 측면에 안내되고 갈고리(64)의 다른부는 걸어맞춤 가능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갈고리(64)는 수지에 의해 셔터(6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카트리지.
KR1019970058557A 1996-11-13 1997-11-06 토너보급카트리지 KR19980042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2165 1996-11-13
JP30216596A JP3267879B2 (ja) 1996-11-13 1996-11-13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169A true KR19980042169A (ko) 1998-08-17

Family

ID=1790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557A KR19980042169A (ko) 1996-11-13 1997-11-06 토너보급카트리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33691A (ko)
EP (1) EP0843233B1 (ko)
JP (1) JP3267879B2 (ko)
KR (1) KR19980042169A (ko)
CN (1) CN1109933C (ko)
AU (1) AU4368097A (ko)
DE (1) DE69717956T2 (ko)
ID (1) ID18874A (ko)
SG (1) SG53122A1 (ko)
TW (1) TW3963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8037B2 (en) 2004-09-17 2008-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 cartridge usable with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cluding a shut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4262B1 (en) * 1999-07-23 2001-11-06 Sharp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system and toner cartridge
JP4054521B2 (ja) * 1999-11-29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4573972B2 (ja) * 2000-09-01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20168B2 (ja) * 2002-12-24 2009-08-2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6030574A (ja) * 2004-07-15 2006-02-02 Toshib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脱着機構
CN2729764Y (zh) * 2004-09-30 2005-09-2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粉盒
EP1821157A3 (en) * 2006-02-20 2013-08-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oses cartridges are attachable
JP4378374B2 (ja) 2006-03-1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7310148A (ja) * 2006-05-18 2007-11-29 Toshib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103975B2 (ja) * 2007-03-22 2012-12-1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4458152B2 (ja) * 2007-11-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458153B2 (ja) 2007-11-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530029B2 (ja) 2007-11-18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525782B2 (ja) * 2008-03-24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17920B1 (ja) * 2008-03-27 2009-0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645703B2 (ja) * 2008-08-29 2011-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収容容器
US8213841B2 (en) 2008-08-29 2012-07-03 Fuji Xerox Co., Ltd. Container and device
JP5303439B2 (ja) 2008-12-26 2013-10-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4868B2 (ja) * 2009-02-23 2012-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収容容器、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80104B2 (en) 2009-03-19 2013-02-19 Fuji Xerox Co., Ltd. Replacement unit and image forming device
JP4793466B2 (ja) * 2009-03-19 2011-10-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00409B2 (ja) * 2009-03-24 2012-03-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96867B1 (ja) * 2009-05-15 2010-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81553B2 (ja) * 2009-09-25 2014-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664266B2 (ja) * 2010-03-10 2015-02-0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SG183417A1 (en) 2010-03-10 2012-09-27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CN201662687U (zh) * 2010-04-19 2010-12-01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供应盒
JP5660378B2 (ja) * 2011-01-20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4792B2 (ja) * 2011-11-25 2014-06-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5110219B1 (ja) * 2012-02-21 2012-1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35116B2 (ja) * 2012-03-15 2014-03-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粉体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粉体補給装置、および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
US9158269B2 (en) * 2013-09-03 2015-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table connection of a developer cartridge and toner cartridge
JP6942950B2 (ja) * 2016-09-29 2021-09-2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04303B2 (ja) * 2016-10-19 2019-11-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86938B2 (ja) * 2016-11-01 2019-10-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495908B (zh) * 2020-05-28 2023-06-23 东莞市合鼎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显像器自动清扫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2574A (ja) * 1986-07-25 1988-02-12 Nec Corp 電子写真系プリンタのトナ−補給装置
US4851873A (en) * 1986-11-28 1989-07-25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device
US4878091A (en) * 1987-09-17 1989-10-31 Konica Corporation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569654Y2 (ja) * 1989-09-22 1998-04-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3245172A (ja) * 1990-02-19 1991-10-31 Nippon Kentek Kaisha Ltd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容器を固定する装置
US5074344A (en) * 1990-10-22 1991-12-24 Eastman Kodak Company Toner container and latchable cover
US5614996A (en) *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US5737675A (en) * 1995-07-31 1998-04-07 Mita Industrial Co. Ltd. Toner supply device including toner cartridge and gu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8037B2 (en) 2004-09-17 2008-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 cartridge usable with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cluding a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7956D1 (de) 2003-01-30
JP3267879B2 (ja) 2002-03-25
US5933691A (en) 1999-08-03
SG53122A1 (en) 1998-09-28
AU4368097A (en) 1998-05-21
EP0843233A2 (en) 1998-05-20
TW396300B (en) 2000-07-01
CN1182898A (zh) 1998-05-27
DE69717956T2 (de) 2003-10-02
ID18874A (id) 1998-05-14
CN1109933C (zh) 2003-05-28
EP0843233A3 (en) 1998-06-17
JPH10142915A (ja) 1998-05-29
EP0843233B1 (en)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2169A (ko) 토너보급카트리지
JP4109177B2 (ja) 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シャッタ構造
JP4458152B2 (ja)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EP0985981B1 (en)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a toner falling aperture
JP4458153B2 (ja)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EP0235732B1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JP2009122559A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270891B2 (en) Developer stora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14251B2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40673B2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737675A (en) Toner supply device including toner cartridge and guide
JP2008134526A (ja) トナー補給機構、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676186B2 (en) Toner cartridge and mechanism of installing and removing the same
JP5640674B2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58472A (ja) トナー補給装置
EP2287676A2 (en) Image forming agent stor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59716B2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653931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217920B1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2103518A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159088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容器
JP7341772B2 (ja)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1131112A1 (zh) 碳粉供应盒
JP6302589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4516720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