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096A - 치솔 - Google Patents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096A
KR19980040096A KR1019960059223A KR19960059223A KR19980040096A KR 19980040096 A KR19980040096 A KR 19980040096A KR 1019960059223 A KR1019960059223 A KR 1019960059223A KR 19960059223 A KR19960059223 A KR 19960059223A KR 19980040096 A KR19980040096 A KR 1998004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oothbrush
width
wide
conve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437B1 (ko
Inventor
가즈미 오이시
아쓰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네다 히로오
산스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다 히로오, 산스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다 히로오
Publication of KR1998004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05Varied length brist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면, 치간, 치경의 모든 부위에 부착 혹은 퇴적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치솔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치솔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모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속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을 식모대의 길이방향으로 광폭으로 하고 그 모속의 선단부의 형상을 점 모양, 선 모양 또는 면 모양의 정상부를 향하여 수렴시킨다.

Description

치솔
본 발명은, 치면(齒面), 치간(齒間), 치경(齒頸)의 모든 부위에 부착 또는 퇴적(退積)한 치석(齒石)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치솔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치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공지의 치솔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모부(植毛部)(a)를 구성하는 모속(b)은 원형으로서 그 직경은 1.6∼2.0㎜이며, 각 모속간에는 일정한 간격(c)이 있다. 또한 모속의 끝 형상은 일직선이던가 아니면 한 방향으로 비스듬히 자른 형상이 대부분이다. 종래의 치솔이 이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은 모속을 심는 방법에 그 원인이 있다.
모속의 심기는 우선 식모(植毛) 구멍을 갖는 식모대(植毛臺)를 사출성형한 뒤에 일정한 크기의 모속에 평선(平線; anchor)이라고 하는 작은 금속편을 대고 눌러 이 모속을 U자형으로 꺽으면서 평선과 함께 식모 구멍으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평선 양단을 식모 구멍의 벽 일부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고정하고, 그 후에 가지런하지 않은 털 끝을 절단함으로써 털 끝을 가지런히 한다.
종래의 치솔은 모속을 고정하기 위하여 평선 단부를 식모 구멍의 벽으로 들여보내므로 식모대의 기계적인 강도(强度)의 열화(劣化)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식모 구멍은 일정 치수이하의 크기일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식모 구멍 상호간의 간격은 일정이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또 털을 자르는 것은 모속 고정후에 밀집된 식모 내부의 각 모속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커팅(cutting)은 곤란하고, 이 때문에 작업면을 식모대 기면(基面)과 평행한 평평한 것으로 하거나, 또는 한 방향으로 경사한 면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 치솔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우선 식모부 전체에 있어서 간격(c)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28, 도 29와 같이 치면(A)과 모속(b)와의 접촉이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각 모속은 원형이고 방향성이 없으며 또한 그 직경은 1.6∼2.0㎜ 정도이므로 모속 전체로서의 강성(剛性)이 떨어지고, 치면을 닦는 효과가 나쁘고 또한 오래 쓸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치솔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63-99527호로 공개된 치솔이 있다. 이 치솔은 식모대에 심어지는 모속중에 적어도 하나를 식모대의 전폭(全幅) 또는 전 길이에 걸쳐서 연속하는 광폭(廣幅)의 모속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속과 치면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과 아울러 밀집한 필라멘트(filaments)에 의한 상호 지지효과를 높이게 되어 식모의 강성을 크게하고 이렇게 하여 치면에 대한 치석 제거효과를 높이고 모속을 오래 견디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광폭의 모속과 통상의 모속의 강성차(剛性差)를 이용함으로써 치면에 접촉하여 굽어지는 원형 모속에 인접하는 고강성의 광폭 모순을 치경부나 치간부(齒間部)에 접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들 깊은 부위에 퇴적한 치석을 닦아 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식모대의 전폭 또는 전 길이에 걸치는 광폭의 모속을 형성함으로써 치석 제거효과와 내구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지만, 치아 사이나 치경에 대한 치석 제거효과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즉 이 치솔에서는 인접하는 원형의 모속이 굽음으로 인하여 고강성의 광폭 모속이 치경내에 삽입되기 쉽다고 하지만 도 29, 도 30과 같이 치간(B)이나 치경(C)은 상상 이상으로 깊고 또한 좁게 되어 있으므로 광폭 모속을 그 길이 방향을 치열에 맞추어 치간(B)이나 치경(C)에 삽입했다 하더라도 그 털 끝을 치간이나 치경의 가장 깊은 곳에 도달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이 치솔에서는 광폭 모속이 식모대의 전폭 또는 전 길이 및 하나의 치아의 폭을 넘는 범위에서 필라멘트가 연속되는 상태로 밀집하고 있으므로 삽입 가능한 허용 개수 이상의 필라멘트가 치간(B)에 과잉하게 들어가는 경향이 있고, 이 때문에 진입한 필라멘트는 치간 입구에서 밀리는 상태로 되어 필라멘트의 끝이 치간 깊은 곳에 도달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치솔은 광폭의 모속이 식모대의 전폭 또는 전 길이에 걸쳐 있으므로 광폭 모속의 강성이 약간 크게 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광폭 모속이 식모대의 전 길이에 걸치는 때에는 치열 표면의 기복(起伏)에 면하여 탄성변형할 수 있는 적당한 유연성을 잃고 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겨 여러 치면을 동시에 닦는 효과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 치솔은 광폭 모속이 분할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기성(通氣性)이 나쁘고 건조시키기 어렵고 식모부에 부착된 음식 찌꺼기의 제거도 곤란하므로 내측의 모속이 더러워지기 쉬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예로서, 일본국 실개소62-102432호, 실개소62-106522호, 미국 등록의장(USD) 제332873호에 있어서, 치간의 청소성 개선을 고려하여 산(山)모양의 치솔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치솔에서는 2개의 모속으로 하나의 산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식모 구멍 상호간의 간격이 일정 이상으로 되고 모속간의 간격도 비교적 크게되므로 치면과의 접촉 면적은 종래의 일반 치솔과는 그렇게 다르지 않고 충분한 치석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광폭 모속에 의한 치면 닦기 효과를 답습하면서 광폭 모속이 치경이나 치간에 도달하는 효율을 높여 이들 부위에 퇴적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치면, 치경부, 치간부의 모두에 대하여 치석 제거효과를 갖고 치솔질의 효율이 좋은 치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광폭 모속이 최적 배치를 제안함으로써 복수의 치열을 동시에 닦는 효과를 희생시키지 않고 상기 각 부위에 대한 치석 제거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균형잡힌 치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 끝에 식모부를 형성하는 치솔에 있어서, 식모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속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을 식모대의 길이방향으로 광폭(廣幅)으로 하고 그 모속의 선단부(先端部)의 형상을 점 모양, 선 모양 또는 면 모양의 정상부를 향하여 수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렴 형상은, 예를 들어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을 정상부를 향하여 수렴시킨 형상, 소위 지붕 형상을 상정하고 있다.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하는 수렴부의 형상 및 치수는, 청소대상인 치간폭, 치간 깊이 등에 의하여 그 적정범위가 규정된다. 일반적으로 수렴부의 치수범위는 정상부 치수가 가로(w)가 0㎜보다 크고 8㎜이하, 두께(d)가 0㎜보다 크고 3㎜이하이며, 수렴부의 기부 치수가 가로(W) 3∼10㎜, 두께(D) 1∼3㎜이며 또한 수렴부의 높이(h)가 0.5∼4㎜의 범위이다.
선단측을 수렴시킨 광폭 모속은 식모부의 가장 바깥에 식모대의 외형을 따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폭 모속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다른 모속의 필라멘트보다도 가늘게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치솔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식모대의 길이방향에 광폭의 모속으로서 그 끝에 점 모양, 선 모양 또는 면 모양의 정상부를 향하여 수렴하는 수렴부를 형성한 광폭 모속을 식모대 폭방향 양측에 식모대의 외형을 따라 여러 속(束)씩 배치함과 아울러, 그 수렴부의 정상부 치수를, 가로(w)가 0㎜보다 크고 8㎜ 이하, 두께(d)가 0㎜ 보다 크고 3㎜ 이하로 하고, 수렴부의 기부 치수를 가로(W) 3∼10㎜, 두께(D) 1∼3㎜ 이며 또한 수렴부의 높이(h)가 0.5∼4㎜의 범위로 함과 아울러 상기 광폭 모속으로 둘러쌓이는 식모대 폭방향 중간에 기부 직경 1.6∼2.0㎜의 원형 모속을 식모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속 형성하는 치솔을 들 수 있다. 상기 각 수치의 범위에서 정상부 치수의 가로 및 세로 하한은 「0㎜보다 크게」라는 의미는 각각의 방향에서 정점에 하나의 필라멘트만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식모대의 선단부에 둥근 선세부를 형성하고, 이 선세부에 기부 면적이 4.0∼10.0㎟의 모속을 선세부의 맨 끝을 하나의 정점으로 하는 3각형의 꼭지점에 3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되는 수렴부의 형상으로서 예를 들어 모속의 외주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한 점을 향하여 수렴하는 대략 반구 모양의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솔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상기 치솔의 식모부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치솔의 식모부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치솔의 식모부의 측면도,
도 5는 상기 치솔의 식모부의 종단면도,
도 6(a), (b), (c)는 털 끝 정형방법(整形方法 )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광폭 모속의 사시도,
도 8(a)는 치아의 폭과 두께에 관한 설명도,
도 8(b)는 치아의 높이에 관한 설명도,
도 9(a)는 치아의 폭 및 치간폭(齒間幅)과 광폭 모속의 수렴부와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b)는 치간에 수렴부를 놓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치면에 식모부가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1은 치간에 식모부가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도 12는 치면에 광폭 모속의 수렴부가 들어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도 13은 치경에 광폭 모속의 수렴부가 들어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4(a), (b), (c)는 식모부의 끝에 심는 모속의 태양을 바꾼 식모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5는 모든 모속을 광폭 모속으로 한 식모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6은 단지 끝이 둥근 식모대에 광폭 모속을 심은 식모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7(a), (b), (c)는 다른 실시예,
도 18은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되는 수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
도 19는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되는 수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
도 20은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되는 수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
도 21은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되는 수렴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
도 22는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하는 수렴부의 변형예의 측면도,
도 23(a)∼(g)는 광폭 모속 기부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치솔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폭 모속의 끝에 대략 반구형의 수렴부를 형성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5는 동 실시예의 광폭 모속의 끝에 대략 반구형의 수렴부를 형성한 치솔의 식모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평면도,
도 26(a), (b), (c)는 대략 반구형의 수렴부를 형성한 털 끝 정형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종래의 치솔의 식모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28은 종래의 치솔의 식모부가 치면에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29는 종래의 치솔의 식모부가 치면에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도 30은 종래의 치솔의 모속이 치경에 들어가기 힘든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식모부(植毛部), b : 모속(毛束), c : 간격, A : 치면(齒面), B : 치간(齒間), C : 치경(齒頸), 1 : 손잡이, 2 : 식모부, 3 : 식모대, 3a : 본체부, 3b : 선세부(先細部), 4 : 모속군(毛束群), 5 : 광폭 모속(廣幅 毛束), 5' : 광폭 모속, 5a : 수렴부(收斂部), 6 : 원형 모속(圓形 毛束), 7 : 큰 면적의 모속, 8 : 원형 모속, 9 : 모속, 11 : 모속, 12 : 클램프(clamp), 13 : 정형로드(整形 rod)
종래의 원형 모속 대신에 광폭 모속을 배치하는 곳에 종래의 원형 모속 사이에 존재하였던 큰 간격이 없고, 광폭 모속은 치면 전면에 동시 접촉하기 때문에 치면의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또 모속 선단부가 수렴하고 있으므로 모속 선단부를 치간이나 치경 등에 용이하게 도달하게 하고 이들 부분에 퇴적한 치석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광폭 모속을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수는 원형 모속에 비하여 많고, 이들 다수의 필라멘트가 서로 지지하기 때문에 모속 전체로서의 털 허리가 강하여 오래 쓸 수 있다. 그리고 광폭 모속 끝에 형성된 수렴부의 끝은 치경부나 치간부 등의 속까지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또 광폭 모속은 복수의 치경부에 동시에 접촉하기 때문에 치경부에 퇴적한 치석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와 같이 청소대상인 치아의 크기와의 관계에서 수렴부의 정상부의 치수 및 높이를 특정범위로 규정한 경우, 본 치솔을 사용하여 스크러빙 등에 의한 치솔질을 하면 치간에 수렴부의 정상부가 무리없이 진입하여 그 털 끝이 치간의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한다.
또 수렴부의 기부 치수에 의하여 규정된 범위내에 밀집한 필라멘트가 압력을 받은 상태로 치간에 집입하여 치간 벽에 필라멘트가 강력하게 스라이딩하여 치간내에 퇴적한 치석을 제거한다.
수렴부를 형성한 광폭 모속을 식모대의 외형을 따라 식모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한 경우, 치경부에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광폭 모속을 접촉시킬 수 있다.
광폭 모속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를 다른 모속의 필라멘트보다도 가늘게 한 경우에 부드러운 감촉의 털 허리가 강한 모속이 되기 때문에 잇몸에 과다한 자극을 주는 것을 억제하고 우수한 치석 제거효과가 있다.
또 광폭 모속의 끝에 대략 반구 모양의 수렴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구면이 잇몸에 접촉하여 잇몸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상처를 주지 않고 가압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마싸지 효과도 있고, 치간 유두부에 대한 우수한 청소효과도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손잡이(1)의 끝에 식모부(2)를 형성한 본 발명의 치솔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식모부(2)의 사시도, 도 3은 필라멘트의 묘사(描寫)를 생략한 정면도, 도 4는 측면도, 도 5는 식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 종단면도이다. 식모부(2)는 식모대(3)에 식모군(4)을 세워 심어서 구성되어 있다. 식모대(3)는 본체부(3a)와 이 본체부(3a)에 연속하여 끝쪽으로 형성된 둥그런 선세부(3b)로 구성되어 있다.
식모군(4)는 본체부(3a)의 폭방향으로 3열로 배치되고 폭방향의 외측열에는 식모대(3)의 길이 방향으로 광폭이고 그 모속 선단부를 수렴시킨 광폭 모속(5, 5, ...)이 식모대(3)의 외형상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폭 모속(5)을 식모대(3)에 심는 것은 종래와 같이 평선을 사용하여 모속을 식모 구멍에 넣는 것이 아니라, 선단부를 경사시킨 복수의 경사면을 정상을 향하여 수렴시킨 형상, 소위 지붕 모양으로 정형(整形)한 모속을 식모대 성형용의 금형(金型)에 놓고 금형내에서 사출한 합성수지로 모속 기부를 식모대(3)와 일체화(一體化)함으로써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방법에 의하여 식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어지는 모속의 기단면(基端面)과 이 모속을 심는 식모대 상면을 함께 용융시켜 두고 모속을 식모대 상면에 융착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모속의 선단부의 정형은, 예를 들어 도 6(a), (b), (c)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①우선 상하 운동함으로써 모속(11)의 전후 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클램프(12)를 길이 방향 도중에 설치한 통내에 모속(11)을 수용하는 공정(도 6(a)).
②클램프(12)에 의한 모속(11)의 구속을 해제함과 아울러 정형 예정의 털 끝의 형상과 상보(相輔)의 형상을 이루는 선단형상을 갖는 정형 로드(13)를 털 끝에 대고 모속 선단부를 지붕 모양으로 정형하는 공정(도 6(b)).
③클램프(12)를 위로 움직여 모속(11)을 구속함과 아울러 커터(14)에 의하여 기단부를 커팅하여 모속 기단부를 정렬하는 공정(도 6(b)).
로 구성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폭 모속(5)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곳에는 기부 직경이 1.6∼2.0㎜의 원형 모속(6)을 복수개 배치하고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원형 모속(6)은 식모대 폭방향 중앙에 1열만 형성하고 있으나, 원형 모속은 복수열 형성하여도 좋다.
식모대의 선세부(3b)에는 기부의 면적이 4.0∼10.0㎟인 큰 면적의 모속(7, 7, 7)을 선세부의 맨 끝을 하나의 정점으로 하는 3각형 꼭지점 위치에 3점 배치하고 있다. 도면의 예에서 큰 면적의 모속(7, 7, 7)은 계란 모양이나, 원형이라도 좋다.
상세한 광폭 모속(5)은 도 7에 나타내고 있다. 광폭 모속(5)은 장타원형의 식모기부(植毛基部) 형상을 갖고, 모속 선단부는 지붕 모양의 입체구조를하고 있다. 이 수렴부(5a)는 필라멘트의 길이를 내측으로 갈수록 길게 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수렴부(5a)의 기부 치수 및 형상은 상기 식모기부의 치수 및 형상과 같고, 각 필라멘트는 곧게 세워져 있다. 도시하지 않은 필라멘트를 모속 중심을 향하여 경사시켜도 좋다.
수렴부(5a)의 치수인 정상부의 가로(w), 세로(d) 및 수렴부(5a)의 높이(h)는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치아 치수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열방향의 치아의 폭(w'), 이것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을 치아의 두께(d'), 또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경(齒莖)으로부터 노출되는 치아의 길이를 치아의 높이(h')로 정의할 때에 이들 높이(h'), 폭(w'), 두께(d')에 의하여 표현되는 영구치 치관부(齒冠部)의 평균 치수는 등전항태랑(藤田恒太郞)씨의 저서 「치아의 해부항(齒の解剖學)」(金原出版株式會社)에 의하면 표 1과 같다. 이에 의하면 높이(h'), 폭(w'), 두께(d') 각각의 전체 평균은 h' = 8.5㎜, w' = 8.3㎜, d' = 8.9㎜ 이다.
[표 1]
(단, 전치 평균은 절치, 견치를 대상으로 하고, 어금니평균은 소구치, 대구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치간폭(齒間幅)은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접하는 치아의 중심간 거리와 같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치아의 크기는 거의 같다고 가정하면 인접 치아의 중심간 거리는 치아의 폭(w')과 거의 같다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결국 치간폭은 w'로 표현할 수 있다.
또 치간 깊이는 최대로 치아의 두께(d')의 반(d'/2)이라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치간 깊이는 d'/2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간폭(w') 및 치간 깊이(d'/2)를 고려하면 수렴부(5a)의 정상부의 가로(w), 세로(d), 높이(h) 및 수렴부(5a)의 기부의 가로(W)는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수렴부(5a)의 정상부의 치수는, 가로(w)는 0㎜보다 크고 8㎜ 이하, 치간폭(w')이 가장 작은 치아를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0㎜ 보다 크고 5㎜ 이하, 세로(d)는 0㎜ 보다 크고 3㎜ 이하, 치간부나 치경부에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고 1㎜ 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 치간폭(w')의 평균치는 8.3㎜ 이므로 수렴부(5a)의 가로(w)가 8㎜ 이내라면 도 9(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렴부(5a)를 무리없이 치간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수렴부(5a)의 높이(h)는 0.5∼4㎜의 범위이다. 치간 깊이(d'/2)보다도 다소 낮게한다. 이것은 치간부에 수렴부(5a)를 진입시켜서 치석제거 효과외에 수렴부(5a)에 계속하는 필라멘트의 밀집부분을 치간에 밀어 넣는 것을 노리는 것으로서, 안이 깊은 치간에 대하여 수렴부(5a)에 계속하는 필라멘트의 밀집부분을 밀어 넣음으로써 넣어진 필라멘트가 치간 내벽을 강력히 닿는 것을 이용하여 치간 내벽에 퇴적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필라멘트의 진입에 의한 슬라이딩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수렴부(5a)의 기부 치수의 가로(w)는 치간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상한은 10㎜ 정도로서 치간폭(w')이 가장 작은 치아를 고려하면 제일 바람직하게는 6㎜가 좋다. 가로를 넘으면 필라멘트가 서로 방해가 되므로 수렴부(5a)에 후속하는 필라멘트의 밀집부의 진입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가로(w)를 6㎜ 이하로 하면 모든 치아에 무리없이 진입시킬 수 있다. 또 필라멘트 밀집부의 진입에 의한 슬라이딩 작용은 모든 치아에 대하여 필요한 것은 아니고, 안이 얕은 치간등에는 불필요하므로 이와 같은 치간에 있어서는 가로(w)는 3㎜ 이상이라면 현실적으로 문제가 없다. 가로(w)의 하한을 3㎜로 한 것은 3㎜ 미만에서는 모속의 두께가 너무 얇게 되므로 치간이나 치경에 대한 접촉 면적이 감속하여 청소 효과가 떨어짐과 아울러 털의 허리도 약해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수렴부(5a)의 기부 치수의 가로(W)는 3∼10㎜의 범위로 설정한다. 또 가로(w)가 3∼10㎜의 범위라면 각 광폭 모속(5)은 치열 표면의 기복을 따라 적당하게 탄성 변형한다.
수렴부(5a)의 정상부의 가로(w) 및 두께(d)의 하한은 「0㎜보다 크게」라고 하였으나, 이것은 정상부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에서 필라멘트 하나만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상정한 표현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 모양 또는 선 모양의 정상부를 갖는 것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정상부가 점 모양으로 하고 있으면 치간이나 치경에의 삽입성이 양호한 반면 면압(面壓)이 낮으므로 대상 부위를 강력하게 청소하는 효과(이하, 청소효과라고 한다)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 두께(d)를 0㎜에 가깝게 한 선모양의 정상부는 치경에의 삽입성은 좋으나, 점 모양의 정상부와 마찬가지로 청소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두께(d)는 치경에의 삽입성이 저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상한은 3㎜ 정도이다.
또 수렴부(5a)의 기부의 두께(D)는 매우 작게 되면 두께 방향에서의 털의 허리가 충분하지 않고, 한편 3㎜를 넘으면 털의 허리가 너무 강하게 되고, 폭방향으로 3열 이상의 모속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상기 치수 범위내라면 통상 사용되는 8mil(단, 1 mil = 00254㎜)의 나이론 필라멘트를 사용하면서 치면에 부착된 치석을 제거할 수 있고 잇몸에 상처를 주지않고 칫솔질을 할 수 있다.
광폭 모속(5)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원형 모속(6)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보다도 가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폭 모속(5)은 그 식모 개수가 많으므로 가는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모속 전체의 강성은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잇몸에 부드러운 감촉을 유지하면서 치면에 부착된 치석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광폭 모속(5)은 도 1 ∼ 도 4에 나타낸 것에서는 가로(w) 4.6㎜, 두께(d) 1.6㎜로 설정하고 이것을 식모대 길이 방향으로 3속 배열하고 있다. 식모대 길이방향에서의 광폭 모속(5)의 수는 3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기부 치수의 광폭 모속(5)에서는 3속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치솔은 특히 스크러빙(scrubbing)법에 의한 치솔질에 적합하다. 스크러빙법이라 함은 치열의 배열방향과 손잡이의 길이방향을 일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모속 치솔면을 치면에 대고 모속을 치열방향으로 미세하게 왕복운동시키는 치솔질이다. 이 치솔질을 채용할 때에 가장 우수한 치면 청소효과나 치석 제거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치솔은 식모부(2)의 본체부(3a)에 광폭 모속(5)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모속간의 간격이 적고, 이 때문에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면(A)에 다수의 모속이 동시에 접촉하여 효율적인 치면 청소가 이루어진다. 또 광폭 모속(5)의 끝에 형성되어 있는 수렴부(5a)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간으로 들어가고 그 털 끝은 치간 안쪽까지 도달하여 치간내에 퇴적한 치석을 제거한다. 같은 효과는 치경에 대하여도 발휘될 수 있어, 수렴부(5a)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경(C)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크러빙법을 채용하지 않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폭 모속(5)의 가로방향을 치축(齒軸)에 일치시켜 솔질하는 경우에도 치간(B)의 속까지 털 끝을 도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폭 모속(5)은 서로 지지하는 필라멘트의 수가 많기 때문에 광폭 모속(5) 전체로서의 털 허리는 강하고 치석 제거효과도 매우 높다. 또 모속은 광폭이기는 하지만 그 폭은 식모대의 전 길이에 걸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광폭 모속을 식모대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광폭 모속(5)은 치열을 따라 적당하게 탄성변형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광폭 모속간의 간격을 통하여 통기를 할 수 있으므로 식모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식모대 선단부에는 큰 면적의 모속이 3점 배치되어 있는 밀모부(密毛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밀모부를 사용하여 치간이나 치경 또한 구치부(臼齒部) 교합면(occlusal surface) 등의 깊은 위치에 퇴적한 치석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상기 치솔이 식모대 선세부(3b)에 심는 모속의 태양을 변화시킨 경우로서, 도 14(a)는 선세부(3b)에 통상의 크기를 갖는 원형 모속(6)을 배치한 경우, 도 14(b)는 하나의 매우 큰 원형 모속(8)을 형성한 경우, 도 14(c)는 그 하나의 모속을 식모대 외형을 대략 닮은 모속(9)로 한 경우이다. 이들은 모두 식모대 본체부(3a)에 세워 심어진 광폭 모속(5)에 의한 치석 제거효과외에 이들 선세부(3b)에 세워 심어진 모속에 의한 치석 제거효과가 있다. 특히 도 14(b), 도 14(c)에 있어서 하나의 모속이 매우 크고 그 허리가 매우 강하므로 그 치석 제거효과는 크다. 또 이 큰 면적의 모속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광폭 모속(5)을 구성하는 필라멘트와 마찬가지로 가늘어 잇몸에 부드러운 접촉감을 유지하면서 치석을 제거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5는 식모대 본체부(3a)를 구성하는 모속의 전부를 광폭 모속(5)으로 한 경우이다.
도 16은 식모대의 형상을 끝을 가늘게 하지 않고 둥그렇게 한 경우이다. 이 경우, 구강내 깊고 좁은 부위에 식모대 선단부를 대는 것은 어렵지만 광폭 모속(5)에 의한 치석 제거효과에는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도 17(a)는 식모대 폭방향으로 3열의 모속을 형성한 경우, 도 17(b)는 광폭 모속(5)을 식모대 길이방향으로 4속 배치한 경우, 도 17(c)은 광폭 모속(5)을 식모대 길이방향으로 2속 배치한 경우이다.
광폭 모속(5)의 선단측에 형성하는 수렴부의 형상으로서는 여러 가지를 채용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선(線) 모양의 정상부를 갖는 것(도 18), 점 모양의 정상부를 갖는 것(도 19), 이 점 모양 정상부가 광폭 모속(5)의 길이 방향의 한 쪽으로 치우친 것(도20),정상부를 2개 갖는 것(도 21) 등이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 도식하지는 않았으나 일정한 면적의 정상면을 갖는 것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수렴부는 광폭 모속(5)의 두께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나,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광폭 모속(5)의 기부 형상도 임의로 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3(a) ∼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기부 형상은 매우 참신한 것으로서 의장적으로도 참신한 맛이 있다. 이와 같은 모속 선단부 및 기부 형상을 갖는 각종 광폭 모속은, 예를 들어 상기한 털 끝의 정형수법 및 사출성형시에 동시에 일체화하는 식모 수법을 채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수렴부는 정상부를 향하여 감에 따라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정상부에 이를 때까지 거의 같은 각도이나, 이 각도는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 도 25(a), (b), (c)가 이러한 예이다, 여기서는 광폭 모속(5')의 끝에 형성되는 수렴부의 형상을 모속의 외주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한 점을 향하여 수렴하는 대략 반구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수렴부를 형성하는 경우, 구면이 잇몸에 접촉하여 잇몸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상처를 주지 않고 가압(加壓)하기 때문에 우수한 마싸지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치간 유두부(乳頭部; papillar)에 대한 우수한 청소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대략 반구 형상의 수렴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한 다른 수렴부의 형성방법과 같으며, 예를 들어 도 26(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반구 형상의 수렴부에 대하여 상보형상을 이루는 선단 형상을 갖는 정형로드(13a)를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솔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석 제거효과에 대하여 비교실험을 하였다.
시험은 도 1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치솔과 도 27로 나타낸 종래의 치솔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에는 본 발명 치솔로서 가로(w) = 2.4㎜, 두께(d) = 0.5㎜, 가로(W) = 4.6㎜, 두께(D) = 1.6㎜, 수령부 높이(h) = 1.0㎜로 하고, 또한 직경 2㎜의 원형 모속(6)을 직렬로 6개 배열하고(도 3 참조), 6.3㎟의 기부 면적을 갖는 모속(7)을 3개 갖는 것(도3 참조)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치솔로서는, 모속의 전부가 직경이 1.9㎜의 원형 모속으로서 그 모속의 끝이 직선으로 잘리고 또한 식모대 형상도 끝이 가늘지 않고 단지 둥그렇게 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은 구강 위생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고 생각되는 치의대생 30명을 대상으로 하고, ①중절치(中切齒), ②제1소구치, ③제1대구치, ④제2대구치를 대상으로 하고 하나의 치아에 대하여 볼·입술측 근원심우각부(近遠心隅角部) 2점, 볼·입술측 중앙부 1점, 혀·구개(口盖)측 근원심우각부 2점, 혀·구개측 중앙부 1점의 합계 6점의 치석 부착량을 측정하고, 다음의 식으로 각 부위 또는 치종별의 치석 제거량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치석 제거량 = 대조 치솔의 치석 부착량 - 본 발명 치솔 또는 종래 치솔의 치석 부착량」
시험방법은, 30명의 피시험자를 15명식 2그룹으로 나누어 준비기간으로서 대조 치솔을 3일간 사용하게 하고, 다음에 실험기간으로 본 발명 치솔 혹은 종래의 치솔을 4일간 사용하게 하였다. 준비기간과 실험기간의 최종일에 치석 부착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다시 준비기간으로서 대조 치솔을 3일간 사용하게 하고, 다음에 실험기간으로서 처음과는 다른 치솔을 4일간 사용하게 하여 준비기간과 실험기간의 최종일에 치석 부착량을 측정하였다. 치석 부착량의 측정은 치석을 치석 염색액으로 염색시킨 뒤에 각 부분을 프로프(porb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프로브는 치축과 평행으로 치면에 닿게 하고 치경부로부터의 치식의 높이를 0.5㎜ 단위로 측정하였다.
또 치솔질 및 치솔질 회수에 대하여는 특별히 정하지 않았으나, 치마제(齒磨劑)는 약효제가 없는 저연마성(底硏磨性) 치마제를 시험기간중에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표 2]
[표 3]
표 2,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치솔은 종래의 치솔에 비하여 모든 부위에 있어서 치석 제거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의 치솔은 광폭 모속이 식모부의 주요부에 위치하고 식모대 주요부의 길이방향의 간격을 줄이기 때문에 모속이 동시에 접촉하는 치면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치면의 청소가 가능하다. 또 모속 선단부가 수렴하고 있으므로 모속 선단부를 치간이나 치경 등에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어서 치면, 치간, 치경 등 구강내의 모든 부분에 퇴적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광폭 모속을 구성하는 다수의 필라멘트가 서로 지지하기 때문에 광폭 모속 전체로서의 털 허리가 강하고, 치면에 부착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오래 쓸 수 있다.
청구항 2와 같이 수렴부의 각 치수를 특정범위로 규정한 경우, 치간나 치경부에 수렴부의 정상부가 무리없이 진입하여 그 털 끝이 이들 부위의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하므로, 이들 각 부위의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효과는 스크러빙법에 의한 솔질을 하였을 때 특히 현저하다.
청구항 3과 같이, 식모대의 외형을 따라 식모부의 가장 바깥쪽에 광폭 모속을 배치한 경우는 식모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광폭 모속의 전체가 확실히 치면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와 같이, 광폭 모속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를 다른 모속의 필라멘트보다도 가늘게 한 경우에, 잇몸에 부드러운 접촉감을 유지하면서 모속 전체로서의 털 허리가 유지되기 때문에 잇몸에 상처를 주는 일없이 우수한 치석 제거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5와 같이, 특정 치수 범위의 수렴부를 갖는 광폭 모속을 식모대 폭방향 양측에 식모대의 외형을 따라 복수 속씩 배치함과 아울러 식모대 폭방향에서 상기 광폭 모속에 둘러싸이는 곳에 기부 직경이 1.6 ∼ 2.0㎜의 원형 모속을 식모대 길이방향에 복수 속 형성하는 경우, 치면에 부착한 치석이나 치간 및 치경부에 퇴적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치열 표면의 돌기를 따라 탄성변형하는 적당한 유연성도 갖춘 균형감이 있는 좋은 치솔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과 같이, 식모대의 선단부에 둥근 선세부를 형성하고, 이 선세부에 기부 면적이 4.0 ∼ 10.0㎟인 큰 면적의 모속을 선세부의 맨 끝을 하나의 정점으로 하는 3각형의 꼭지점에 3점 배치하는 경우, 이 선세부는 깊숙한 입속까지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부분에 식모된 큰 지름의 모속의 강한 허리에 의하여 치간이나 치경의 들어간 부분, 또한 구치부 교합면에 퇴적한 치석을 제거할 수 있다.
또 광폭 모속의 끝에 대략 반구 모양의 수렴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구면이 잇몸에 접촉하여 잇몸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상처를 주지 않고 가압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마싸지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치간 유두부에 대한 우수한 청소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7)

  1. 손잡이 끝에 식모부를 형성하는 치솔에 있어서, 식모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속(毛束)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을 식모대 길이방향으로 광폭(廣幅)으로 하고 그 모속의 선단부(先端部)의 형상을 점 모양, 선 모양 또는 면 모양의 정상부를 향하여 수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광폭 모속의 끝에 형성하는 수렴부의 정상부 치수가 가로(w)가 0㎜보다 크고 8㎜ 이하, 두께(d)가 0㎜보다 크고 3㎜ 이하이며, 수렴부의 기부 치수가 가로(W) 3∼10㎜, 두께(D) 1∼3㎜이며 수렴부의 높이(h)가 0.5∼4㎜의 범위인 치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렴부를 형성한 광폭 모속을 식모부의 가장 바깥에 식모대의 외형을 따라 배치하는 치솔.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폭 모속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를 다른 모속의 필라멘트보다도 가늘게 하는 치솔.
  5. 손잡이 끝에 식모부를 형성한 치솔에 있어서, 식모대의 길이방향에 광폭의 모속으로서 그 끝에 점 모양, 선 모양 또는 면 모양의 정상부를 향하여 수렴하는 수렴부를 형성한 광폭 모속을 식모대 폭방향 양측에 식모대의 외형을 따라 여러 속(束)씩 배치함과 아울러, 그 수렴부의 정상부 치수를, 가로(w)가 0㎜보다 크고 8㎜ 이하, 두께(d)가 0㎜보다 크고 3㎜ 이하로 하고, 수렴부의 기부 치수를 가로(W) 3∼10㎜, 두께(D) 1∼3㎜이며 또한 수렴부의 높이(h)가 0.5∼4㎜의 범위로 함과 아울러 상기 광폭 모속으로 둘러싸이는 식모대 폭방향 중간에 기부 직경 1.6∼2.0㎜의 원형 모속을 식모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속 형성하는 치솔.
  6. 제 5 항에 있어서, 식모대의 선단부에 둥근 선세부를 형성하고, 이 선세부에 기부 면적이 4.0∼10.0㎟의 모속을 선세부의 맨 끝을 하나의 정점으로 하는 3각형의 꼭지점에 3점 배치하는 치솔.
  7. 제 1 항에 있어서, 광폭 모속의 끝에, 모속의 외주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한 점을 향하여 수렴하는 대략 반구 모양의 수렴부를 형성한 치솔.
KR1019960059223A 1995-12-01 1996-11-29 치솔 KR100403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13890 1995-12-01
JP31389095A JP3528378B2 (ja) 1995-12-01 1995-12-01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096A true KR19980040096A (ko) 1998-08-17
KR100403437B1 KR100403437B1 (ko) 2004-02-05

Family

ID=1804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223A KR100403437B1 (ko) 1995-12-01 1996-11-29 치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99353A (ko)
JP (1) JP3528378B2 (ko)
KR (1) KR100403437B1 (ko)
CN (1) CN1105531C (ko)
CA (1) CA2191783C (ko)
HK (1) HK1000694A1 (ko)
MY (1) MY116396A (ko)
SG (1) SG52869A1 (ko)
TW (1) TW3196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91797B1 (pl) * 1997-11-12 2006-07-31 Gilette Canada Inc Szczoteczka do zębów
USD422143S (en) * 1999-01-25 2000-04-04 Gillette Canada Inc. Set of bristles for a toothbrush
US8276231B2 (en) 1999-06-11 2012-10-02 Gavney Jr James A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6571417B1 (en) 1999-06-11 2003-06-03 James Albert Gavney, Jr. Dentition cleaning device and system
US7975339B2 (en) 1999-06-11 2011-07-12 Gavney Jr James A Aquatic scrubber
US6319332B1 (en) 1999-06-11 2001-11-20 James Albert Gavney, Jr. Squeegee device and system
US7877833B2 (en) 1999-06-11 2011-02-01 Gavney Jr James A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7743448B2 (en) 1999-06-11 2010-06-29 Gavney Jr James A Device and system with moving squeegee fields
US6859969B2 (en) 1999-06-11 2005-03-01 James A. Gavney, Jr. Multi-directional wiping element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7181799B2 (en) 1999-06-11 2007-02-27 Eegee, Llc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7814603B2 (en) 1999-06-11 2010-10-19 Gavney Jr James A Powered toothbrush with polishing elements
DE20023178U1 (de) 1999-09-17 2003-03-13 Unilever Nv Zahnbürste
US6276021B1 (en) * 1999-10-08 2001-08-21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having a bristle pattern providing enhanced cleaning
US6370726B1 (en) * 2000-02-11 2002-04-16 Lata R Kini Dynamic toothbrush
US6865767B1 (en) 2000-06-05 2005-03-15 James A. Gavney, Jr. Device with multi-structural contact elements
US20020138926A1 (en) * 2001-04-02 2002-10-03 Braun Gmbh Electric toothbrush head
KR100427548B1 (ko) * 2001-05-08 2004-04-27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칫솔모가 교차식모된 테이퍼링형 칫솔 및 그 제조방법
JP4688344B2 (ja) * 2001-05-24 2011-05-25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4570293B2 (ja) * 2001-08-24 2010-10-27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GB0123939D0 (en) * 2001-10-05 2001-11-28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Toothbrush
DE10164336A1 (de) 2001-12-28 2003-07-17 Trisa Holding Ag Triengen Zahnbürs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Zahnbürste
AUPS214502A0 (en) * 2002-05-06 2002-06-06 Uscom Pty Ltd Blood flow oxygen measurement
KR20040017533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량형 칫솔
US7975343B2 (en) 2002-09-20 2011-07-1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7089621B2 (en) 2002-09-20 2006-08-1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ATE508659T1 (de) * 2002-09-27 2011-05-15 Colgate Palmolive Co Zahnbürste
US8141194B2 (en) 2002-11-09 2012-03-27 Gavney Jr James A Absorbent structures with integrated contact elements
DE10259723A1 (de) 2002-12-19 2004-07-01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934284B2 (en) 2003-02-11 2011-05-03 Braun Gmbh Toothbrushes
US7941886B2 (en) 2003-09-19 2011-05-17 Braun Gmbh Toothbrushes
KR100577105B1 (ko) * 2004-03-16 2006-05-08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기능성 칫솔
JP4816037B2 (ja) * 2005-12-02 2011-11-1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US8631534B2 (en) * 2006-06-08 2014-01-21 Dr. Fresh, Llc Toothbrush
US20070283517A1 (en) * 2006-06-08 2007-12-13 Stephen John Blanchard Toothbrush head
US20090007357A1 (en) * 2007-05-07 2009-01-08 The Gillette Company Oral Hygiene Implements
US8776302B2 (en) * 2008-08-29 2014-07-1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104132B2 (en) * 2008-09-26 2012-01-31 Fm Brush Company, Inc. Applicator brush
US20110030160A1 (en) * 2009-08-06 2011-02-10 Mcneil-Ppc, Inc. Bristle configuration
US20110099739A1 (en) * 2009-11-05 2011-05-05 Edward Whillock Interchangeable tooth brush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moting oral health
JP5132712B2 (ja) * 2010-04-26 2013-01-30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EP2582265B9 (en) 2010-06-17 2019-11-0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Bristle configuration
EP2420157B1 (de) * 2010-08-18 2016-03-30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mit Borstenfeldgestaltung
KR101218711B1 (ko) * 2011-06-28 2013-01-09 주현명 칫솔
PL2810583T3 (pl) 2013-06-06 2018-11-30 Procter & Gamble Głowica narzędzia do pielęgnacji jamy ustnej
USD765983S1 (en) 2013-12-16 2016-09-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D764805S1 (en) 2013-12-16 2016-08-30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D764175S1 (en) 2013-12-16 2016-08-2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D765984S1 (en) 2013-12-16 2016-09-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D760499S1 (en) 2013-12-16 2016-07-0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D753922S1 (en) 2013-12-16 2016-04-19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D765986S1 (en) 2013-12-16 2016-09-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D765985S1 (en) 2013-12-16 2016-09-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10888201B2 (en) 2014-11-11 2021-01-12 ZeroBrush,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oral care agents
US10869541B2 (en) * 2014-11-11 2020-12-22 ZeroBrush,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ustomized dental care
US20210315676A1 (en) * 2014-11-11 2021-10-14 ZeroBrush, Inc. Methods of Designing and Fabricating Customized Dental Care for Particular Users
US11058523B2 (en) * 2014-11-11 2021-07-13 ZeroBrush, Inc. Methods of designing and fabricating customized dental care for particular users
MX2017007626A (es) 2014-12-23 2017-09-18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EP3574799B1 (en) 2014-12-23 2021-03-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223658B1 (en) 2014-12-23 2022-09-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BR112017012630A2 (pt) 2014-12-23 2018-04-24 Colgate-Palmolive Company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tendo cabo com múltiplos componentes
BR112017010946A2 (pt) 2014-12-23 2018-07-03 Colgate Palmolive Co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com cabo de múltiplos componentes
USD780457S1 (en) 2014-12-23 2017-03-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MX2017007842A (es) 2014-12-23 2017-09-19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con un mango de componentes multiples.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U2014414812B2 (en) 2014-12-23 2018-07-1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622853B1 (en) 2014-12-23 2021-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113197418A (zh) 2014-12-23 2021-08-03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器具
US10743646B2 (en) 2014-12-23 2020-08-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445205B1 (de) 2016-04-20 2022-02-09 Trisa Holding AG Bürstenprodukt
EP3272310B1 (en) 2016-07-22 2020-06-17 Braun GmbH Brush head and electric toothbrush
US10709533B2 (en) 2017-12-12 2020-07-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handle and refill head thereof
US10631964B2 (en) 2017-12-12 2020-04-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900480S1 (en) 2018-08-01 2020-11-03 Fm Brush Co., Inc. Angled chisel brush
USD891784S1 (en) 2018-12-18 2020-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handle
JP2021007555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21007557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21007556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USD960582S1 (en) 2020-12-10 2022-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refill head
USD1026470S1 (en) 2022-03-08 2024-05-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24573S1 (en) 2022-03-08 2024-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26473S1 (en) 2023-12-19 2024-05-14 Zhiqing Zhang Toilet brush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A (en) * 1838-03-28 Mode of
US1981657A (en) * 1934-03-26 1934-11-20 Romie H Miller Toothbrush
US2209173A (en) * 1936-12-22 1940-07-23 Russell Allie Young Toothbrush
US2305461A (en) * 1938-12-09 1942-12-15 Spyra Paul Toothbrush
US3263258A (en) * 1965-04-01 1966-08-02 Lever Brothers Ltd Toothbrush
DE3528596A1 (de) * 1985-08-09 1987-02-19 Braun Ag Zahnbuerste
JPH026821Y2 (ko) * 1985-12-23 1990-02-19
US4672706A (en) * 1985-12-27 1987-06-16 Stratford Laboratories Toothbrush
JPS6399527U (ko) * 1986-12-16 1988-06-28
DE4496455T1 (de) * 1993-09-02 1996-11-14 Lingner & Fischer Gmbh Borstenanordnung für eine Zahnbürsten
US5628082A (en) * 1995-03-22 1997-05-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improved effica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52869A1 (en) 1998-09-28
CN1105531C (zh) 2003-04-16
JP3528378B2 (ja) 2004-05-17
CN1153624A (zh) 1997-07-09
KR100403437B1 (ko) 2004-02-05
US5799353A (en) 1998-09-01
MY116396A (en) 2004-01-31
JPH09149815A (ja) 1997-06-10
CA2191783C (en) 2005-06-21
CA2191783A1 (en) 1997-06-02
HK1000694A1 (en) 2003-12-12
TW319683B (ko) 1997-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0096A (ko) 치솔
US11659922B2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US11571060B2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AU2015349915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5926897A (en) Toothbrush having bristles for interproximal cleaning
JP2003525648A (ja) 歯刷子用の改良された刷子ヘッド
JPH04226646A (ja) 歯周用装置
KR100659953B1 (ko) 칫솔
JP3583346B2 (ja) 歯ブラシ
JP6071386B2 (ja) 歯ブラシ
JP3143239U (ja) 歯ブラシ
JP3585811B2 (ja) 歯ブラシ
JP4173881B2 (ja) 歯ブラシ
JP3943780B2 (ja) 歯ブラシ
JPH11169232A (ja) 歯ブラシ
JP3025943B2 (ja) 歯ブラシ
JPH09234114A (ja) 歯ブラシ
JPS6331639Y2 (ko)
JP2003079432A (ja) 歯ブラシ
JP2014000156A (ja) 歯ブラシ
JP2002345556A (ja) 歯ブラシ
KR0180105B1 (ko) 치솔
JP2548396Y2 (ja) 歯ブラシ
KR100252808B1 (ko) 칫솔모의 높이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규칙적인 요철이 되는 칫솔의 제조방법
JPH03300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