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105B1 - 치솔 - Google Patents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105B1
KR0180105B1 KR1019960001774A KR19960001774A KR0180105B1 KR 0180105 B1 KR0180105 B1 KR 0180105B1 KR 1019960001774 A KR1019960001774 A KR 1019960001774A KR 19960001774 A KR19960001774 A KR 19960001774A KR 0180105 B1 KR0180105 B1 KR 018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ead
teeth
handle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623A (ko
Inventor
이재봉
Original Assignee
이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봉 filed Critical 이재봉
Priority to KR101996000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105B1/ko
Publication of KR970058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솔모, 치솔모가 심어져 있는 헤드, 헤드 반대쪽의 손잡이 및 헤드와 손잡이를 연결해 주는 목부로 이루어져 있는 치솔에 있어서, 치솔모가 헤드의 중심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중간 부분이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종방향 제1, 제3, 제6 및 제9단위 모속은 치솔모 보다 2.5∼3mm 정도, 종방향 제2단위 모속은 1mm 정도 길게 되어있어 브러싱면이 전체적으로 제2대구치, 제1대구치 및 제2소구치의 정면 형상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고, 손잡이, 손잡이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헤드, 헤드를 손잡이에 연결해 주는 목부 및 헤드에 심어져 있는 치솔모로 구성되어있는 치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솔
제1a도는 종래의 치솔이 치아에 접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 개략도.
제1b도는 제1a도의 측면 개략도.
제2도는 종방향 브러싱면이
(a)평선 또는 직선형,
(b)오목형,
(c) 블록형,
(d) 타래형,
(e) 경사형,
(f)파상형인 종래의 치솔를 예시하는 개략 측면도.
제3도는 횡방향 브러싱면이
(a) 직선형,
(b) 오목형,
(c)볼록형인 종래의 치솔를 예시하는 개략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솔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솔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솔에 짧은 치솔모가 식모된 상태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솔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1, 101 : 치솔 3, 53, 107 : 치솔모
5, 55, 105 : 헤드 7, 57, 103 : 손잡이
9, 59, 106 : 목부 11, 75 : 공간부
13, 73, 109 : 브러싱면
15, 61-1∼69-2, 111-1∼119-2 : 단위 모속(毛束)
17, 77 : 식모면 19, 79 : 짧은 모속
본 발명은 잇몸병(치주질환) 예방용 치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닦는 방법에 따라, 또한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보다 많은 치솔모가 치아에 접촉하여 치솔모의 유효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써 치아와 잇몸 사이,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를 보다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치솔에 관한 것이다.
생애를 통해 건강의 유지, 증진은 식생활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고령자의 경우 맛있는 음식을 먹는것이 더 없는 즐거움의 하나이다. 다라서 가능한 많은 치아를 오랫동안 보존하는 것이 쾌적한 식생활, 나아가 더 좋은 삶을 영유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요건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치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치아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자 하는 관심 및 노력의 부족으로 인해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며, 따라서 치아를 발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일이 많았다.
치아를 발치하는 원인으로 젊은 시기에는 충치가 제일 큰 원인이지만 중년 이후로는 치주질환이 가장 큰 원인이 된다(구강위생잡지 No. 45, p. 190, 1995, Professional tooth cleansing과 치아의 보존).
충치나 치주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구강내에 남아있는 프라그(plaque)인데 이를 제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에서도 치솔질이 가장 효과적이며 간편한 방법이다. 이와 같이 치솔에 의해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이닦는 방법, 치솔의 형태, 치솔모의 재질, 길이, 직경, 모속수, 배열, 기타 등등의 여러가지가 있다.
이러한 요인 중 치솔의 형태에 있어서, 종래의 치솔은 제1a도에 (a)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솔모의 형태가 이를 닦기 위한 목적만으로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정 작용이 쉽게 일어나 실질적으로는 치아를 닦을 필요가 적은 치아의 풍융부(豊隆部) 즉 볼록하게 돌출한 정면 및 후면 부위 또는 교합부(咬合部) 즉 저작에 사용되는 상면 부위의 표면이 주로 닦이도록 되어 있어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 사이에 낀 음식물 프라그는 제거하기 어려웠다. 왜냐하면, 치솔을 이용해 이를 닦는 동작이 입안 공간을 이루는 해부학적 특징들 즉, 치아, 턱뼈의 둥근 곡선(lingual arch), 아래턱뼈(mandibular ramus), 뺨 및 입술들이 이루는 공간에 의해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치주과 의사들에 의하면 치솔의 헤드가 작고 둥근 치솔모를 가진 나일론 치솔이 잇몸을 상하지 않고 잇몸 사이의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었으며(Gipson, J.A. and wade, A. B. : plaque removal by the bass and roll brushing technique, J. Penidontol 48; 456, 1977), 또다른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치솔모의 많고 적은 것은 프라그 제거에는 별 차이가 없다고 하며(World Workshop on Periodontics-oral health care for the prevention, Ann Arbor, MI, 1966), 부드러운 강모가 프라그 제거에는 더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었다(Bergenholt 3, A., and others : The plaque removing ability of various tooth brushes.)
그러나, 이러한 치솔에 의해 치솔질을 하더라도 모든 치아 표면이 골고루 잘 닦이는 것은 아니다.
치솔질을 하는 방식은 크게 전후로 닦는 방법과 상하로 닦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에 익숙한 전후로 닦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나 상하로 닦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치솔(301)로 안쪽 어금니(201, 202, 203)를 닦을때는 치솔 목부(303)가 앞니(206) 맨끝 부분과 접촉되어 치솔(301)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어금니(201, 202, 203)의 풍융부(207) 즉 혀쪽으로 제일 튀어나온 부위가 치솔모(305)와 접촉하여 극소수의 치솔모(305)만 치아에 접촉하므로써 치아와 치아사이, 치아와 잇몸사이의 깊은 부위는 닦을 수가 없었다.
치아의 안쪽을 닦는 동작은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307)를 앞니(206)앞에서 잡고 앞니(206)의 끝부분에 치솔의 목부(303)가 접촉되며, 치솔모(305)가 울퉁불퉁한 치아면을 접촉하는 순간 상하, 전후 운동을 하여 치아를 닦으며 반대편을 닦을때는 손목을 틀어 치솔을 뒤집어 사용하기 때문에 치솔 목부(303)의 폭경만큼 치아 안쪽을 닦을때는 공간부로 작용하여 이 부위로는 치솔질이 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앞니, 송곳니, 작은 어금니, 큰 어금니 순으로 잘 닦이며, 특히 바깥쪽 치아면(buccal surface) 보다는 안쪽 치아면(lingual surface), 앞쪽 치아면(mesial surface)보다는 뒤쪽 치아면(distal surface)이 닦기 어려우며, 특히 치아와 치아 사이 그리고 치아와 잇몸 사이가 치솔질하기 어려우며 실제로 아래 어금니 안쪽이 프라그를 제거하기 가장 어렵다고 한다(Bergen holt, A., Gustafsson, L.B., Segerlund, N., et. al. : Role of bushing technique and tooth brush design in plaque removal, Scand. J. Dent. Res. 92:3441984).
따라서, 이와 같이 치솔질이 곤란한 부위에 남아있는 프라그 또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도구로서 이쑤시개, 명주실(floss slik), 워터피크(water pick), 치간치솔(proxabrush), 고무 팁(rubber tip)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그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대부분 경우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 사이에 남아있는 프라그 및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게 되어 치주질환에 감염되므로서 결국에는 이를 빼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었다.
따라서 음식물을 씹는다든지 혀, 볼의 움직임에 의해 프라그가 제거되는 자정작용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부위를 주로 닦게 되는 치솔 보다는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부위, 특히 아래 어금니의 혀쪽 부분의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치솔이 요구되어져 왔던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들어 모든 치아를 골고루 치솔질하여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치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여러 가지 치솔의 개발이 시도되어져 왔다.
그 예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솔의 측면에서 보아 오목형(concave type), 볼록형(convex type), 타래형(tuft type), 경사형(rolling type) 및 파상형(tuft end type)의 치솔모를 갖는 치솔이 있다.
이들 중 오목형 치솔모(제2b도)의 경우 앞니, 어금니의 뺨쪽(협면, buccal surface)을 닦는데는 효과적이지만 혀쪽(설면, lingual surface)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볼록형 치솔모(제2c도)는 오목형과 마찬가지로 어금니의 뺨쪽을 닦는데는 적합하나 혀쪽은 닦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타래형 치솔모(제2d도)는 일부 치아 사이를 닦는 데는 적합하지만 치면 전체를 닦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경사형 치솔모(제2e도)는 치솔모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모길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어금니 및 독립된 치아를 닦거나 유아용으로서만 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끝으로, 파상형 치솔모(제2f도)는 위에서 언급한 오목형과 볼록형을 조합한 것으로서, 요철혼합형이라고도 하며 치면에의 도달성이 불규칙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주로 충치예방을 위해 개발된 치솔들은 치아의 일부 치면을 닦는데는 적합하나 치주질환이 주원인이 되는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에 있는 프라그를 제거하는데는 부적합하며, 타래형의 경우 일부 치아 사이의 청소에는 적합할 수도 있으나 모속 사이의 간격이 어금니의 측면 치열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어금니의 치아 사이를 닦는데 부적절하였다.
이에 따라, 20세 이상의 성인 75 내지 100%가 치주 질환을 앓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솔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치주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부분(sulcuar area)과 치아 사이(interproximal area)의 음식 찌꺼기 및 프라그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프라그는 안쪽 어금니로 갈수록 심해지며 뺨쪽 보다는 혀쪽이 더 심하고, 윗니 보다는 아랫니가 더 심하다. 실제 대구치(사랑니)의 혀쪽이 가장 심하며 따라서 성인의 10% 정도만이 사랑니를 제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치아 사이와 그리고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부분, 특히 아래 어금니의 혀쪽 부분의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치솔의 개발이 요구되어졌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개발되어진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개발된 치솔에는 제3도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치솔 정면에서 보아 직선형, 오목형 및 볼록형의 치솔모를 갖는 치솔이 있다.
제3도(a)로 표시된 치솔은 헤드 밑면(head base)에 수직인 치솔모와 바깥쪽으로 뻗어나간 치솔모로 구성되며, 수직인 치솔모는 이의 표면을 닦고 바깥쪽으로 뻗어나간 치솔모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프라그(sulcular plaque)를 제거하도록 되어있다. 제3도(b)로 도시된 바와 같은 오목형은 콜리스 커브(Collis Curve)라는 오목한 형태의 치솔모(Collis씨가 개발한 치솔)를 가지며(c)로 도시된 바와 같은 볼록형은 중간 부분이 종방향으로 솟아올라 45˚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치솔들은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을 제거하는 효과가 개선된 것은 사실이나 충분하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치아와 치아사이는 깊숙히 들어가 있으며, 치아는 둥그런 형태를 하고 치아마다 그 크기가 달라 위와 같은 치솔이 어금니에 실제로 닿는 부분은 어금니들 사이에서 제일 혀쪽으로 튀어나온 2점에 지나지 않아 힘을 주어 닦게 될 때 치아가 파이거나 치솔이 쉽게 망가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다시말해 아랫니 및 잇몸의 구조상 치솔이 전후로 수평운동할 때 치솔모의 선단이 안쪽으로 제일 튀어나온 제1대구치(202)와 제2대구치(201) 2점에서 접촉하여 소구치(203, 204) 부위가 닦이지 않거나, 제1대구치(202)와 소구치(203, 204)가 접촉하여 제2대구치(201)가 닦이지 않게되어 치아와 치아 사이가 전혀 닦이지 않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치솔이 가지고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강내 치열의 형태나 복잡한 구강 구조를 고려하여 개발된 이닦는 방법 즉 전후로 닦는 방법(scrubbing method)과 상하로 닦는 방법(rolling method)에 알맞은 형태의 치솔모를 구비하고 있어 종래의 치솔모로는 기대할 수 없는 탁월한 프라그 및 음식찌꺼기 제거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솔모, 치솔모가 심어져 있는 헤드, 헤드 반대쪽의 손잡이 및 헤드와 손잡이를 연결해 주는 목부로 이루어져 있는 치솔에 있어서, 치솔모로는 헤드의 중심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중간 부분이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치솔을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솔모, 치솔모가 심어져 있는 헤드, 헤드 반대쪽의 손잡이 및 헤드와 손잡이를 연결해 주는 목부로 이루어져 있는 치솔에 있어서, 종방향 제1, 제3, 제6 및 제9단위 모속은 치솔모 보다 2.5∼3mm 정도, 종방향 제2단위 모속은 1mm정도 길게 되어있어 브러싱면이 전체적으로 제2대구치, 제1대구치 및 제2소구치의 정면 형상과 일치하도록 되어있는 치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 손잡이 양단에 구비된 한쌍의 헤드, 헤드를 손잡이에 연결해 주는 목부 및 헤드에 심어져 있는 치솔모로 구성되어 있는 치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의 제1실시예는 제4도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치솔(1)의 식모를 잇몸의 형태나 치아의 크기에 따라 치솔모(3)의 중앙에 폭1.5∼5mm 만큼을 제일 긴 부위 보다 5mm이상 짧게 배열하거나 식모를 하지 않음으로써 치솔 목부(9)와 앞니(206) 맨 끝부분이 접촉하여 잇몸부위의 치아를 닦는데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공간부(11)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치솔모(3)가 공간부(11)를 중심으로하여 상하 2부분으로 분할 배열되므로 이등분된 한쪽 치솔모 부분은 잇몸과 치아 사이를 닦을 수 있도록, 나머지 다른쪽 치솔모 부분은 치아의 교합면을 닦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치솔 목부(9)가 중절치(206)의 선단에 접촉하여 그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치솔모(3)가 어금니(201, 202, 203) 끝에 닿아 전후방 운동을 할 때 치솔 목부(9)의 형태를 따라 움직여 치솔 목부(9)의 폭경만큼 잇몸부위를 닦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제1b도에 각도(θ)로 나타내어진 치열의 배열 각도에 따른 만곡(curve of Spee)에 의해 닦이지 않는 부위가 더욱 증가하더라도 공간부(11)의 형성에 의해 치아와 잇몸 사이가 보다 확실하게 닦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치솔모(3)의 브러싱면(13) 횡방향 단면 형상을 원호 모양이 되도록 커팅함으로써 치아와 잇몸 사이의 깊은 부위를 닦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치솔(1)의 헤드(5)가 중간부분부터 헤드 선단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이 되도록하여 제1a도에서와 같이 치솔(1)을 치아 후면이나 정면에 수평하게 대고 앞뒤로 닦을 때 치솔 헤드(5) 및 브러싱면(13)의 측면 곡률과 위에서 언급한 만곡의 곡률이 일치되도록 한다.
공간부(11)의 바닥면에는 치솔모(3)가 심어져있지 않거나 보통 치솔모(3)의 단위 모속(15) 절반 정도되는 길이의 짧은 모속(19)이 심어져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치솔(1)에 의하면 치솔의 목부(9)가 굵을 경우 어금니(201, 202, 203)에서는 치아의 씹는 면에 대해 45˚로 접촉시켜 치아의 안쪽 후면과 씹는면, 바깥쪽 정면과 씹는면을 동시에 닦도록 하였으며, 앞니(206)의 경우에는 이 공간부(11)에 치아를 평행하게 넣어 안쪽과 바깥쪽을 동시에 닦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환자의 구강에 따라 그 치솔의 크기를 구분하여 공간부(11)의 폭을 아래 표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치솔 헤드(5)의 폭에 따라 합계가 4.5, 5mm일 때는 2줄 식모, 6, 7mm일때는 3줄 식모, 8mm일 때는 5또는 4줄 식모, 9, 10, 11mm일때는 4줄 식모를 하며, 3줄 및 4줄 식모시 중앙 부위는 외부 식모보다 짧게 한다.
다음에, 제5도 내지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하로 닦는 사람을 위한 치료용 치솔(51)로서, 치솔 목부(59)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 치솔모(53)를 식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간부분에 공간부(75)를 형성한다. 이 공간부(75)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솔모가 전혀 심어져있지 않거나, 제8 및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보통 치솔모(53)의 절반 정도되는 길이의 짧은 모속(79)이 식모될 수도 있다.
치솔모(53)의 단위 모속을 배열하는데 있어서, 4줄 식모를 하는 경우 종방향 제1, 제3, 제6 및 제9단위 모속(61-1,61-2,63-2,66-1,66-2,69-1,69-2)을 치솔모(53)보다 2.5∼3mm 정도 길게 형성하고, 종방향 제2단위 모속(62-1,62-2)은 1mm 정도 길게 형성하고, 브러싱면(73)이 전체적으로 제2대구치, 제1대구치 및 제2소구치(201, 202, 203)의 외형에 맞는 디자인을 갖도록 치솔모(53)의 선단을 커팅한다. 이러한 디자인을 갖는 치솔(51)로 이를 닦게 되면 제1, 제3, 제6 및 제9단위 모속(61-1,61-2,63-1,63-2,66-1,66-2,69-1,69-2)이 각각 제1b도의 치아와 잇몸이 접촉하는 제1, 제3, 제6 및 제9 접촉점(211, 213, 216, 219)과 접촉하여 치솔(51)과 치아 및 잇몸이 정확하게 들어맞은 상태에서 상하로 이를 닦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잇몸이 내려앉은 퇴축상태에 따라 헤드(55)의 폭을 4.5, 6, 7.5mm로 넓힐 수 있다.
이 치솔(51)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헤드 앞부분이 만곡(curve of spee)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유선형으로 되어있으며 제9단위 모속(69-1,69-2)의 횡방향 폭을 약 3mm로하여 공간부(75)의 횡방향 폭 보다 약간 좁게 유지함으로써 치솔을 얼굴면에 수직하게 세워 앞니(206)의 후면을 닦을 때 보다 용이하게 치솔질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그러나, 퇴축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헤드(55)의 폭을 증대시켜 퇴축에 의해 치아 선단으로 부터 잇몸과 만나는 지점까지 확대된 치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해야 효과적으로 상하 치솔질을 할 수 있게 되는데, 구강 구조로 인해 헤드(55)의 폭을 무한정 넓히는 것은 곤란하므로 제10도 및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치솔(101)은 제2실시예의 치솔(51) 헤드(55)를 축선을 중심으로 이등분한 한 쌍의 헤드(105)를 손잡이(103) 양단에 형성하여 치솔(51)의 치솔모(53) 배열과 동일하게 치솔모(107)를 심어 구성한다.
따라서 치솔(10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치솔(51)의 절반에 해당하는 단위 모속수를 갖는 한쌍의 헤드(105)가 손잡이(103) 양단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치솔(5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치솔(51, 101)은 본 명세서에서는 4줄 식모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치솔모의 식모열 수에 상관없이 즉, 2줄, 3줄 또는 5줄 식모 치솔에 있어서도 각각의 브러싱면(73, 109)이 어금니(201,202,203)의 치형과 정합되는 형태라면 어느 경우에든 적용될 수 있다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을 대량생산하여 시판하는 경우 남녀노소에 따라 어금니(201,202,203)를 포함한 전체 치아의 크기가 달라진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예컨대 대중소로 구분하는 등 치솔의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의 세정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비교적 치열이 고르고 결손 치아가 없는 19 내지 22세의 오른손잡이 성인 남녀 50명을 실험대상자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솔과 종래의 치솔을 이용하여 상하로 닦는 치솔방법을 통해 치아를 닦도록 교습하고, 식사 직후에 0.5% 식용색소수용액(食用色素水溶液)(적색3호 F.D.C.red No.3)을 치면에 도포한 다음 구강검사를 하고, 퀴글리(Quigley)와 헤인(Hein)이 창안한 치면세균막 평점기준에 따라 부착 치면세균막을 평점하여 치면세균막 평점기록용지에 그 결과를 기록한다.
이어서, 실험대상 치솔을 실험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상하로 닦는 방법에 의해 동일 치면을 10회씩 행정으로 닦게 하였다. 계속해서 치면세균막 착색제인 에리스로신수용액을 치면에 다시 도포하여 잔류 치면세균막을 착색한 후 구강검사를 하고 동일한 치면세균막 평점기준에 따라 부착 치면세균막을 평점하여, 치면세균막 평점기록용지에다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치솔질 전과 치솔질 후의 치면세균막지수를 실험대상 치솔 별로 산출하여, 이를 비교 검토해 본 결과, 치면세균막 평점기준을
0점 : 치면세균막이 전혀 부착되지 않은 치면
1점 : 치경부에 반점과 같이 약간 부착된 치면
2점 : 치경부에 환형으로 부착된 넓이가 1mm 미만의 치면세균막
3점 : 치경부측 3분의 1미만에 해당하는 치면에만 환형으로 부착된 넓이가 1mm 이상의 치면세균막
4점 : 치경부측 3분의 2미만에 해당하는 치면에 부착된 치면세균막
5점 : 치경부측 3분의 2이상의 치면에 까지 부착된 치면세균막
이라고 하면 치솔질전 치면세균막의 평균 평점은 2.73±0.57이며, 종래의 일반적인 치솔을 이용하여 치솔질을 한 후에는 1.76±0.68인 반면에, 본 발명의 치솔을 이용하여 치솔질을 한 경우에는 0.88±0.82의 평균 평점이 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치솔모에 어금니 씹는면의 튀어나온 모서리 부위만큼 공간부를 형성하여 45˚각도로 치솔질을 할 때 치아의 씹는면 및 치아의 정면과 치아 잇몸 사이를 동시에 닦을 수 있으며, 어금니 모서리 부위와 치솔모의 접촉에 의한 저항이 감소되어 치솔질이 용이해지고 치솔 수명도 연장된다.
또한, 치솔의 식모 위치와 형태를 조절하여 치솔의 선단이 제2대구치의 끝 부분에 접촉되는 등 치솔모의 브러싱면 형태가 치아 형태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작하여 치아에 보다 많은 치솔모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어금니의 프라그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와 치아사이 그리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음식찌꺼기 및 프라그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여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은 이러한 치아 세정 효과를 갖도록 아래 어금니 안쪽 후면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나, 아래 어금니 바깥쪽, 위 어금니등 다른 부위는 이를 닦는데 제한하는 요소가 없으며, 또한 치아 형태가 비슷한 점이 많으므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치솔은 또한 치아의 크기, 잇몸질환의 정도에 따라 치솔의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치아 크기의 평균치를 내어 대, 중, 소 3가지로, 잇몸질환의 정도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여 약 12종류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치아 크기 및 치주질환 정도의 개인차이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하여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8)

  1. 치솔모(53), 상기 치솔모(53)가 심어져 있는 헤드(55), 상기 헤드(55) 반대쪽의 손잡이(57) 및 상기 헤드(55)와 상기 손잡이(57)를 연결해 주는 목부(59)로 이루어져 있는 치솔(51)에 있어서, 종방향 제1, 제3, 제6 및 제 9단위 모속(61-1, 61-2,63-1,63-2,66-1,66-2,69-1,69-2)은 상기 치솔모(53)보다 2.5∼3mm, 종방향 제2단위 모속(62-1,62-2)은 1mm 길게 되어 있어 브러싱면(73)이 전체적으로 제2대구치, 제1대구치 및 제2소치(201,202,203)의 정면(207) 형상과 일치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치솔모(53)는 상기 헤드(55)의 중심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중간 부분이 공간부(75)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솔모(53)는 브러싱면(77)의 횡방향 단면 형상이 원호 모양을 이루도록 커팅되어 상기 헤드(55)의 중심선으로 부터 횡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치솔모(53)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55)의 평면 형상은 상기 헤드(55)의 폭이 상기 헤드(55) 중간부분부터 상기 목부(59) 반대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선형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위 모속(69-1,69-2)은 횡방향 배열 폭이 상기 공간부(75)의 폭 보다 작아 상기 공간부(75) 안족에 심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5. 제1, 2, 3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75)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상기 헤드(55)의 식모면(77)에는 상기 치솔모(53)가 심어져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6. 손잡이(103), 상기 손잡이(103)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헤드(105), 상기 헤드(105)를 상기 손잡이(103)에 연결해 주는 목부(106) 및 상기 헤드(105)에 심어져 있는 치솔모(107)로 구성되어있는 치솔에 있어서, 상기 치솔모(107)의 종방향 제1, 제3, 제6 및 제9 단위 모속(111-1,111-2,113-1,113-2,116-1,116-2,119-1,119-2)은 상기 치솔모(107) 보다 2.5∼3mm, 종방향 제2단위 모속(112-1,112-2)은 1mm 길게 되어있어 브러싱면(109)이 전체적으로 제2대구치, 제1대구치 및 제2소구치(201,202,203)의 정면(207) 형상과 일치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솔모(107) 브러싱면(109)의 횡방향 단면 형상이 원호 모양을 이루도록 커팅되어 상기 손잡이(103)의 중심선으로부터 횡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치솔모(107)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5)의 평면 형상은 상기 헤드(105)의 폭이 상기 헤드(105) 중간부분부터 상기 목부(106) 반대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한쪽변이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KR1019960001774A 1996-01-27 1996-01-27 치솔 KR018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774A KR0180105B1 (ko) 1996-01-27 1996-01-27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774A KR0180105B1 (ko) 1996-01-27 1996-01-27 치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23A KR970058623A (ko) 1997-08-12
KR0180105B1 true KR0180105B1 (ko) 1999-02-01

Family

ID=1945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774A KR0180105B1 (ko) 1996-01-27 1996-01-27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1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23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227B1 (en) Orthodontic toothbrush
US5544383A (en) Toothbrush
US3934298A (en) Toothbrush
US4399582A (en) Modular interproximal toothbrush system
US4800608A (en) Toothbrush
US4010509A (en) Double sulcus toothbrush
US6035476A (en) Brushhead for a toothbrush
US5655249A (en) Toothbrush with concave brushing surface
AU632050B2 (en) Toothbrush for cleaning interstices
US4524478A (en) Toothbrush
US4679273A (en) Dental appliance for cleansing the gingival one third areas of the teeth as well as the sulcular and the embrasure regions thereof
US6493897B2 (en) Orthodontic toothbrush
US4051571A (en) Toothbrush
Kumar et al. Tooth brush and brushing technique
US5065470A (en) Toothbrush
US4625357A (en) Toothbrush
Van der Weijden et al. Mechanical plaque removal in step‐1 of care
US20210196037A1 (en) Toothbrush head for improved plaque removal
Bastiaan The cleaning efficiency of different toothbrushes in children
US5930861A (en) Gingival stimulator
US6283751B1 (en) Anatomical interproximal dental stimulator
KR0180105B1 (ko) 치솔
EP0130252B1 (en) Modular interproximal toothbrushes
JP4198740B1 (ja) 歯ブラシ
KR101444003B1 (ko) 치은열구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