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031U -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 Google Patents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031U
KR19980040031U KR2019960053106U KR19960053106U KR19980040031U KR 19980040031 U KR19980040031 U KR 19980040031U KR 2019960053106 U KR2019960053106 U KR 2019960053106U KR 19960053106 U KR19960053106 U KR 19960053106U KR 19980040031 U KR19980040031 U KR 199800400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torsion bar
transmission
side fram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학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3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031U/ko
Publication of KR19980040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03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복잡한 각종 브래킷들의 설치구조를 개선하므로써 전체적인 차체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또한 용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사이드 프레임에 대략 수직하게 연결되어 수평되게 배출되고 대략 ㄷ자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측면에 형성되어 토션 바를 취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홀과 일측 상면에 취부되어 트랜스미션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크로스 맴버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본 고안은 크로스 멤버(cross memb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에 트럭의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토션 바와 엔진에 연결된 트랜스미션을 취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에는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토션 바와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는 트랜스미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트럭에서 토션 바의 일측 끝단을 지지하여주고 또한 트랜스미션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브래킷을 사용한다. 이에 대해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크로스 멤버가 설치되어 있는 트럭 차체의 부분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 차체의 정면도이다. 제1, 제2도에는 현가장치의 토션 바(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토션 바(10)는 트럭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앞쪽 끝단은 현가장치의 어퍼 암(12)을 통해 바퀴(14)와 연결되어 있다. 이 토션 바(10)의 측면으로 엔진(20)과 트랜스미션(30)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도에는 사이드 프레임(4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40)은 트럭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트럭 차체의 길이 방향의 강성을 유지하는 부분이다. 이 사이드 프레임(40)에는 사이드 프레임(40)에 대략 수직하게 크로스 멤버(50)가 결합되어 있다. 이 크로스 멤버(50)는 트럭의 횡 방향으로 대략 수평되게 배치되어 트럭 차체의 횡강도를 유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50)는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다. 이 크로스 멤버(50)의 일측에는 트랜스미션 브래킷(62)이 결합되어 있다. 이 트랜스미션 브래킷(62) 상에 엔진(20)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미션(30)을 탑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64)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브래킷(62)과 사이드 프레임(40) 사이에 토션 바 브래킷(66)이 크로스 멤버(5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토션바 브래킷(66)에 토션 바(10)의 뒤쪽 끝단이 연결되어 있다. 즉, 토션 바 브래킷(66)은 단지 토션 바(10)의 뒤쪽 끝단을 지지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제1,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에는 현가장치용 토션 바와 트래스미션 마운팅을 위한 트랜스미션 브래킷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과 크로스 멤버에 용접되므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용접길이가 증가하여 용접변형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잡한 각종 브레킷들의 설치구조를 개선하므로써 전체적인 차체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또한 용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크로스 멤버가 설치되어 있는 트럭 차체의 부분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 차체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 멤버가 적용된 트럭 차체의 부분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차체의 우측면도,
제5도는 제3도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토션 바112 : 어퍼 암
114 : 바퀴120 : 엔진
130 : 트랜스미션140 : 사이드 프레임
150 : 크로스 멤버152 : 홀
164 :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167 : 볼트
168 : 너트
본 고안의 목적은 현가장치의 어퍼 암과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토션 바, 엔진과 연결된 트랜스미션 및 차체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체의 주요강성을 유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차량에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에 대략 수직하게 연결되어 수평되게 배치되고 대략 ㄷ자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측면에 형성되고 토션 바를 취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홀과 일측 상면에 취부되어 트랜스미션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멤버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 멤버가 적용된 트럭 차체의 부분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 차체의 우측면도, 제5도는 제3도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3, 제4도에는 사이드 프레임(14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140)은 트럭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의 종강도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이 사이드 프레임(140)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략 ㄷ자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 멤버(150)가 결합되어 있다. 이 크로스 멤버(150)는 사이드 프레임(140)에 대략 수직하게 연결되어 수평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멤버(150)는 차체의 횡강도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이 크로스 멤버(150)의 일측면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홀(1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152)에는 토션 바(110)의 뒤쪽 끝단이 삽입된 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이 토션 바(110)는 사이드 프레임(14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앞쪽 끝단은 현가장치의 어퍼 암(112)에 연결되어 있다. 어퍼 암(112)은 바퀴(114)와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150)의 일측 상면에는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164)이 직접 취부되어 있다. 이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164)에는 엔진(120)과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미션(130)이 탑재되어 있다. 이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164)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67)와 너트(168)를 통해 크로스 멤버(150) 상면에 취부되어 있다.
제3∼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 멤버가 적용된 트럭 차체는 종래의 것에 비해 그 구조가 훨씬 간단해졌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 멤버가 적용된 트럭 차체에서는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을 크로스 멤버에 직접 취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졌을 뿐만 아니라 용접되는 부분도 적어 용접열에 의한 사이드 프레임, 크로스 멤버 등 차체 주요 강성부재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현가장치의 어퍼 암과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토션 바, 엔진과 연결된 트랜스미션 및 차체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체의 주요강성을 유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차량에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대략 수직하게 연결되어 수평되게 배치되고 대략 ㄷ자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토션 바를 취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홀과 일측 상면에 취부되어 상기 트랜스미션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멤버.
KR2019960053106U 1996-12-20 1996-12-20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KR199800400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106U KR19980040031U (ko) 1996-12-20 1996-12-20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106U KR19980040031U (ko) 1996-12-20 1996-12-20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031U true KR19980040031U (ko) 1998-09-15

Family

ID=5399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106U KR19980040031U (ko) 1996-12-20 1996-12-20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03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076B2 (en) Drive motor mounting structure
US5374081A (en) Motor vehicle
US6517146B1 (en) Attachment of front quadrant to crossmember
KR19980040031U (ko) 토션 바와 트랜스미션이 취부되는 크로스 멤버
KR100569994B1 (ko)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JPH1178552A (ja) バス用燃料タンクの支持装置
KR100203513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장치
KR0131020B1 (ko) 자동차의 변속기를 고정시키는 구조
KR100204653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KR200228192Y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JPH04126676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JPH08258771A (ja) 風防の取付構造
KR0117830Y1 (ko) 버스의 후레임 보강구조
KR0115612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JPH0769260A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KR200146471Y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브래킷
KR20060062096A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의 마운팅 구조
KR0132968Y1 (ko) 자동차의 엔진 센터멤버 선단부 고정구조
KR0132841Y1 (ko) 버스의 사이드 레일 마운팅 구조
KR0123011B1 (ko) 자동차용 핸드브레이크의 케이블 고정용 브라켓트구조
JP2543198Y2 (ja) フューエルタンクの取付ブラケットの補強構造
KR100398207B1 (ko) 차량의 리어서스펜션 보강구조
KR970006845B1 (ko) 일체형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
KR19980040621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장착구조
KR10030581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암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