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653B1 -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653B1
KR100204653B1 KR1019960063082A KR19960063082A KR100204653B1 KR 100204653 B1 KR100204653 B1 KR 100204653B1 KR 1019960063082 A KR1019960063082 A KR 1019960063082A KR 19960063082 A KR19960063082 A KR 19960063082A KR 100204653 B1 KR100204653 B1 KR 10020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bin
chassis frame
mounting bracke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929A (ko
Inventor
남궁련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6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6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섀시 프레임이 변형되어 캐빈의 자세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용이하게 캐빈의 자세를 보정하여줄 수 있도록 해주며, 트럭의 섀시 프레임 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소정 높이의 측면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브래킷, 제1브래킷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게 대략 ㄷ자형태로 절곡되고 볼트 구멍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마운팅 러버가 설치되는 제2브래킷 및 장공을 통해 볼트 구멍에 결합되어 제2브래킷을 필요한 높이에서 고정하여 주는 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캐빈 마운틴 브래킷 구조에 관한 발명.

Description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본 발명은 캐빈 마운팅 브래킷(cabin mounting bracket)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의 섀시 프레임(chassis frame) 상에 설치되어 캐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주는 캐빈 마운틴 브래킷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에는 캐빈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곳으로 통상 섀시 프레임(chassis frame)에 설치되어 있는 캐빈 마운팅 브래킷 상에 탑재되어 있다.
제1도는 섀시 프레임 상에 설치된 종래의 캐빈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는 섀시 프레임(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섀시 프레임(10)은 트럭의 주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트럭의 캐빈(20)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 프레임(10)은 일측이 절곡되어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섀시 프레임(10)의 앞쪽 끝단에는 프론트 마운팅 브래킷(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론트 마운팅 브래킷(30)은 캐빈(20)의 전반부를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섀시 프레임(10)의 상면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프론트 마운팅 브래킷(30)의 상면에는 마운팅 러버(mounting rubber, 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운팅 러버(42)는 캐빈(20)과 프론트 마운팅 브래킷(30) 사이에서 캐빈(2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볼트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섀시 프레임(10)에는 프론트 마운팅 브래킷(30)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리어 마운팅 브래킷(rear mounting bracket, 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어 마운팅 브래킷(50)은 캐빈(20)의 후반부를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섀시 프레임(10)의 측면에 볼트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리어 마운팅 브래킷(50) 상면에는 마운팅 러버(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운팅 러버(44) 역시 캐빈(20)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 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 상태에서 섀시 프레임(10)의 전단부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섀시 프레임(10)은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쉽게 변형을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섀시 프레임(10)은 일측이 굴곡되게 제작되는 관계로 발생되는 스프링 백(spring back), 용접열변형 등으로 인해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얻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캐빈(20)의 자세가 불균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캐빈 마운팅 브래킷(30,50)은 섀시 프레임에 일정 높이로 고정되어 있어 위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캐빈(2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캐빈의 자세를 수정해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섀시 프레임이 변형되어 캐빈의 자세가 한 쪽으로 기울어 지더라도 용이하게 캐빈의 자세를 보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해주는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섀시 프레임 상에 설치된 종래의 캐빈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 캐빈 마운팅 브래킷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섀시 프레임 60 : 제1브래킷
62 : 제1브래킷 상면 64 : 제1브래킷 측면
66 : 플랜지 68 : 볼트 구멍
69 : 너트 70 : 제2브래킷
72 : 제2브래킷 상면 74 : 제2브래킷 측면
76 : 장공 80 : 마운팅 러버
82 : 구멍 90 : 볼트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럭의 섀시 프레임 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소정 높이의 측면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브래킷, 제1브래킷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게 대략 ㄷ자형태로 절곡되고 볼트 구멍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마운팅 러버가 설치되는 제2브래킷 및 장공을 통해 볼트 구멍에 결합되어 제2브래킷을 필요한 높이에서 고정하여 주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마운팅 브래킷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 캐빈 마운팅 브래킷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2, 제3도에는 섀시 프레임(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섀시 프레임(10) 상면에는 제1브래킷(60)이 설치되어 있다. 제1브래킷(60)은 대략 ㄷ자형태로 절곡되어 상면(62)과 양 측면(64)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면(64)의 하부 양 끝단은 바깥쪽으로 각각 절곡되어 플랜지(66)를 이루고 있다. 이 플랜지(66)는 섀시 프레임(10)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플랜지(66)와 섀시 프레임(10)의 결합은 용접을 이용하여도 되고 아니면 볼트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제1브래킷(60)의 양 측면(64) 소정 높이에는 볼트 구멍(68)이 2개씩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볼트 구멍(68)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너트(69)가 각각 용접부착되어 있다.
제1브래킷(60) 위쪽으로는 제2브래킷(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브래킷(70)은 제1브래킷(60)의 상면(62)과 측면(64)을 덮을 수 있게 대략 ㄷ자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이 제2브래킷(70) 측면(74)에는 제1브래킷(60)의 볼트 구멍(68)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장공(76)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76)은 필요에 따라 제2브래킷(7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브래킷(70)의 상면에는 마운팅 러버(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운팅 러버(80)는 캐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캐빈에 미치는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82)은 캐빈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공(76)에는 볼트(9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볼트(90)는 장공(76)을 통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 구멍(68)에 결합되어 제2브래킷(70)을 필요한 높이에서 고정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즉, 필요시 볼트(90)를 풀고 제2브래킷(70)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볼트(90)를 결합하여 제2브래킷(70)의 높낮이를 맞추면 된다. 그러면 섀시 프레임의 변형 등으로 인한 캐빈의 자세를 수정해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빈 마운팅 브래킷구조를 이용하면 필요에 따라 캐빈의 자세를 수정해줄 수 있어 섀시 프레임의 변형 등에 따른 문제점이 따르지 않는다.

Claims (1)

  1. 트럭의 섀시 프레임 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소정 높이의 측면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의 상면과 측면을 덮을 수 있게 대락 ㄷ자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볼트 구멍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마운팅 러버가 설치되는 제2브래킷; 및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볼트 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제2브래킷을 필요한 높이에서 고정하여 주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마운팅 브래킷구조.
KR1019960063082A 1996-12-09 1996-12-09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KR100204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082A KR100204653B1 (ko) 1996-12-09 1996-12-09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082A KR100204653B1 (ko) 1996-12-09 1996-12-09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929A KR19980044929A (ko) 1998-09-15
KR100204653B1 true KR100204653B1 (ko) 1999-06-15

Family

ID=1948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082A KR100204653B1 (ko) 1996-12-09 1996-12-09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517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랜스미션 장착 브래킷
KR100507105B1 (ko) * 2002-12-03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929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7654B1 (en) Front body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US5556133A (en) Automotive fuel tank mounting assembly
US7445076B2 (en) Drive motor mounting structure
GB2395931A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KR100204653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캐빈 마운팅 브래킷 구조
JPH10278647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の取付構造
US4168844A (en) Anti-rock installation for motor homes
KR100764485B1 (ko) 자동차용 서포트 빔
JP2003011680A (ja) ラジエータの支持構造
JPH08156845A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支持装置
JP3994515B2 (ja) ノンステップバスのフロア構造
KR100204651B1 (ko) 캐빈 마운팅 브래킷 설치구조
KR200156543Y1 (ko)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JP2513618Y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支持部構造
JP4098743B2 (ja) フロントバンパの取付構造
JP2844801B2 (ja) バンパの取付部構造
JP5477680B2 (ja) 車体の前部構造
JP264649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KR200236356Y1 (ko) 베어 섀시형 차량의 변형 방지 구조
JPH04126676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KR100369733B1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KR200147668Y1 (ko) 차량의 휠하우스 크랙 방지용 지지판
KR200158288Y1 (ko) 캡 오버형 트럭의 캡 보강구조
JPH0714005Y2 (ja) 車両の架装物取付装置
KR0139667B1 (ko) 캐빈 저면부의 플랩판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