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733B1 -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733B1
KR100369733B1 KR10-2000-0076428A KR20000076428A KR100369733B1 KR 100369733 B1 KR100369733 B1 KR 100369733B1 KR 20000076428 A KR20000076428 A KR 20000076428A KR 100369733 B1 KR100369733 B1 KR 10036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member assembly
mounting support
sub
subfram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815A (ko
Inventor
윤주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7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서브프레임을 지지해주는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강성 및 체결성을 보강하여 전/후 및 측면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원활하게 분산해주므로서 현가성능 및 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의 서브프레임마운팅부는 제1멤버어셈블리와 제2메메버어셈블리에 착설시키기 위하여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와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이용한다. 상기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의 내측에 서브프레임마운팅부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프레임마운팅부의 상측면과 제2멤버어셈블리에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가 위치되도록 한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제2멤버어셈블리, 보조플레이트, 서브프레임마운팅부,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일체로 체결시킴으로서 서브프레임마운팅부에 인가되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Mounting structure of sub-frame of car}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서브프레임을 지지해주는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강성 및 체결성을 보강하여 전/후 및 측면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원활하게 분산해주므로서 현가성능 및 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차체(Body) 및 섀시(Chassis)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다수개의 부재들이 각기 적절하게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서브프레임(sub-frame)은 전방차체의 하부에서 각 모서리부위가 차체의 좌/우측 사이드멤버(side member)와 크로스멤버(cross member)상에 다수개의 부위로 결합되어 엔진룸 내로 탑재되는 엔진과 변속기 등의 주요 부품들을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즉, 전방차체의 좌/우측 사이드멤버와 크로스멤버에 장착되는 서브프레임은 전/후방측 가로부재와 좌/우측 세로부재가 각기 결합되어 개략적으로 "井"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이의 상부에 엔진룸의 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부품들을 고정되게 장착시켜 이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전면의 두곳이 라디에이터 로우 멤버에 지지되고, 후면의 두곳은 대쉬 로우패널에 지지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서브 프레임의 전면 사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A-A 확대 단면도로서,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구조를 설명하면, 서브프레임 지지부(20)는 제1멤버 어셈블리(member assembly)(10) 및 제2멤버 어셈블리(12)가 용접되고, 상기 제2멤버 어셈블리(12)에는 보강재(reinforcement assembly)(14) 및 서브프레임 마운팅지지부(16)가 용접되며, 상기 서브프레임 마운팅지지부(16)에는 서브프레임 마운팅 플레이트 어셈블리(18)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하 방향의 하중에는 어느 정도의 내구한도를 가지나, 전/후 및 측면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인가되면 서브프레임 마운팅지지부(16)가 단지 서브프레임 마운팅 플레이트 어셈블리(18)의 위치를 조정해주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서브프레임에 유동성이 발생하게 되고 서브프레임의 유동성이 점점 커지게 되면 서브프레임을 지지해주는 지지력이 약해져 서브프레임 지지부가 파열되거나 현가의 성능이 저하되고 조향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서브프레임을 지지해주는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강성 및 체결성을 보강하여 전/후 및 측면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원활하게 분산해주므로서 현가성능 및 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서브 프레임의 전면 사이드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A-A 확대 단면도로서,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A-A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서브프레임 지지부 60 : 대쉬패널
70 : 제1멤버어셈블리 72 : 제2멤버어셈블리
74 : 보강재어셈블리 76 :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78 :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80 : 보조플레이트
82 : 서브프레임마운팅부 84 : 볼트
86 : 너트 88 : CO2아크용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결홈을 갖는 대쉬패널의 상면에 용접되어 착설되는 제1멤버어셈블리; 상기 제1멤버어셈블리의 상면에 용접되어 착설되는 제2멤버어셈블리; 상기 제2멤버어셈블리의 상면에 용접되어 착설되는 보강재어셈블리; 상기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및 제2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착설되는 보조플레이트;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상면에 착설되며,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서 내측에 서브프레임마운팅부가 내설되는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상기 제2멤버어셈블리에 양측단이 용접에 의해 착설되고, 중심부는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에 밀착되는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상기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제2멤버어셈블리, 보조플레이트, 서브프레임마운팅부,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결합되어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제2멤버어셈블리, 보조플레이트, 서브프레임마운팅부,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일체로 체결시키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서브프레임마운팅부는 제1멤버어셈블리와 제2메메버어셈블리에 착설시키기 위하여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와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이용한다. 상기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의 내측에 서브프레임마운팅부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프레임마운팅부의 상측면과 제2멤버어셈블리에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가 위치되도록 한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제2멤버어셈블리, 보조플레이트, 서브프레임마운팅부,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일체로 체결시킴으로서 서브프레임마운팅부에 인가되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A-A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브프레임 지지부(50)는 차량의 대쉬패널(60)에 착설되고, 상기 대쉬패널(60)의 상면에는 제1멤버어셈블리(70)가 용접에 의해 착설되고, 상기 제1멤버어셈블리(70)의 상면에는 제2멤버어셈블리(72)가 용접에 의해 착설된다. 상기 제2멤버어셈블리(72)의 후단 상면에는 보강재어셈블리(74)가 용접에 의해 착설되고, 상기 대쉬패널(60), 제1멤버어셈블리(70) 및 제2멤버어셈블리(72)에 구비되는 체결홈의 상면에는 보조플레이트(80)가 착설된다. 상기 보조플레이트(80)의 상면에는 내측에 서브프레임마운팅부(82)가 내설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6)가 착설된다. 상기 제2멤버어셈블리(72)에는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6)의 양측단이 용접에 의해 착설되고, 상기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의 중심부는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6)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의 일측부가 제2멤버어셈블리(72)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착설되므로 제1멤버어셈블리(72), 제2멤버어셈블리(72)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는 삼겹으로 용접(T)된다. 또한, 상기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의 다른 측단의 하면에 보강재어셈블리(74)의 끝단이 삽입(S)되도록 상호 체결된다.
상기 대쉬패널(60), 제1멤버어셈블리(70), 제2멤버어셈블리(72), 보조플레이트(80), 서브프레임마운팅부(82),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6)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에 구비되는 체결홈에는 볼트(84) 및 너트(86)가 결합되어 대쉬패널(60), 제1멤버어셈블리(70), 제2멤버어셈블리(72), 보조플레이트(80), 서브프레임마운팅부(82),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6)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를 일체로 체결시키게 된다. 상기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6)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가 맞닿는 부위에는 CO2아크용접(88)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너트(86)와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가 맞닿는 부위는 CO2아크용접(8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6)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78)에 의해 서브프레임마운팅부(82)가 고정되고, 볼트(84) 및 너트(86)에 의해 결합되므로 하중을 분산시켜 대쉬패널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현가성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마운팅부는 제1멤버어셈블리와 제2메메버어셈블리에 착설시키기 위하여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와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이용한다. 상기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의 내측에 서브프레임마운팅부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프레임마운팅부의 상측면과 제2멤버어셈블리에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가 위치되도록 한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제2멤버어셈블리, 보조플레이트, 서브프레임마운팅부,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일체로 체결시킴으로서 서브프레임마운팅부에 인가되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킬수 있다.

Claims (1)

  1. 체결홈을 갖는 대쉬패널의 상면에 용접되어 착설되는 제1멤버어셈블리; 상기 제1멤버어셈블리의 상면에 용접되어 착설되는 제2멤버어셈블리; 상기 제2멤버어셈블리의 상면에 용접되어 착설되는 보강재어셈블리; 상기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및 제2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착설되는 보조플레이트;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상면에 착설되며,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서 내측에 서브프레임마운팅부가 내설되는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상기 제2멤버어셈블리에 양측단이 용접에 의해 착설되고, 중심부는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에 밀착되는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상기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제2멤버어셈블리, 보조플레이트, 서브프레임마운팅부,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결합되어 대쉬패널, 제1멤버어셈블리, 제2멤버어셈블리, 보조플레이트, 서브프레임마운팅부, 제1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 및 제2서브프레임마운팅지지부를 일체로 체결시키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KR10-2000-0076428A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KR10036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28A KR100369733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28A KR100369733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15A KR20020047815A (ko) 2002-06-22
KR100369733B1 true KR100369733B1 (ko) 2003-01-30

Family

ID=2768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28A KR100369733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053B1 (ko) * 2008-10-17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053B1 (ko) * 2008-10-17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15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890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2004155219A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US8020925B2 (en) Front structure of cab-over type vehicle
JPH0476826B2 (ko)
GB2395931A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4069605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00369733B1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지지부의 마운팅 구조
JP3039094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取付部構造
JPH04300792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2003276535A (ja) プロテクタ部材の取付構造
JP2002308151A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のキャブフロア構造
KR100539434B1 (ko) 부분 정비성을 갖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KR200156543Y1 (ko)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JP2000016343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969160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部構造
KR100258621B1 (ko) 리어 범퍼 취부 구조
KR200260747Y1 (ko) 버스의 엔진 지지구조
KR100258620B1 (ko) 프런트 범퍼 취부 구조
JPH11245845A (ja) キャブオーバ型トラックのキャブ構造
KR100369126B1 (ko)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KR200251526Y1 (ko) 프레임 장착 자동차용 바디 마운팅 구조
KR100204651B1 (ko) 캐빈 마운팅 브래킷 설치구조
KR0139667B1 (ko) 캐빈 저면부의 플랩판 취부구조
KR200236356Y1 (ko) 베어 섀시형 차량의 변형 방지 구조
KR910002797Y1 (ko) 자동차의 전부(前部) 차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