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893U -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893U
KR19980033893U KR2019960046820U KR19960046820U KR19980033893U KR 19980033893 U KR19980033893 U KR 19980033893U KR 2019960046820 U KR2019960046820 U KR 2019960046820U KR 19960046820 U KR19960046820 U KR 19960046820U KR 19980033893 U KR19980033893 U KR 199800338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ster
seat back
frame
pair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6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893U/ko
Publication of KR19980033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89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60N2/23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by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는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18)에 힌지(16)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볼스터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볼스터 프레임(14)과; 양단부에서 일정길이만큼 나사산(26)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터 프레임(14)에 용접된 너트(38)에 맞물리도록 양단부에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볼스터 프레임(14)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중앙부에 종동기어(34)가 설치된 종동축(36)과; 일단부에는 상기 종동기어(34)와 맞물리는 원동기어(28)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시트백(22) 외부로 돌출되어 널링이 형성된 조절 다이얼 레버(12)가 장착된 원동축(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 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백의 측면 돌출부로 형성되는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the bolster of a seat back)에 관한 것이다.
시트에 형성된 볼스터는 차량의 급회전 혹은 좌우 선회시 운전자의 중심이 좌우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 백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데, 일반적인 시트는 시트 백의 메인 프레임에 약간의 돌기부를 부가 설치한 일체형으로 된 시트 백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볼스터를 구비한 시트는 기준체형으로 제작되고, 볼스터와 시트백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볼스터의 양을 조절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볼스터 양이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지 않아 차량의 급회전시에는 운전자가 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행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쌍의 볼스터 프레임을 시트 백에 내장시켜 운전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볼스터 양을 조절하므로써 탑승자가 시트와의 밀착성이 개선되므로 안전운행에 커다란 도움을 주는 볼스터 양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시트, 12:조절 다이얼 레버, 14:볼스터 프레임, 16:힌지, 18:장착 브래킷, 20:헤드 레스트, 22:시트 백, 24:스토퍼, 26:나사산, 28:원동기어, 30:시트 쿠션, 32:원동축, 34:종동기어, 36:종동축, 38:너트
본 고안에 의해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 장치는, 일단부가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볼스터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볼스터 프레임과; 양단부에서 일정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터 프레임에 용접된 너트에 맞물리도록 양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볼스터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중앙부에 종동기어가 설치된 종동축과; 일단부에는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원동기어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시트백 외부로 돌출되어 널링이 형성된 조절 다이얼 레버가 장착된 원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특징에 따라,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후 본인의 체형에 알맞도록 상기 다이얼 레버를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원동기어에 맞물린 상기 종동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대향한 한 쌍의 볼스터 프레임은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되므로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조절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차량용 시트(10)는 시트 쿠션(30)과, 상기 시트쿠션(30)과 단부가 연결된 시트 백(22), 및 상기 시트백(22)의 상부에 장착되는 헤드 레스트(20)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 백(22)에 내장되는 볼스터 양 조절 장치는 볼스터 프레임(14)과, 상기 볼스터 프레임(14)의 폭을 조절하는 종동축(36), 및 상기 종동축을 구동시키는 원동축(32)을 포함한다.
상기 볼스터 프레임(14)은 일단부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18)에 힌지(16)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볼스터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시트백(22)의 양 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종동축(36)은 양단부에서 일정길이만큼 나사산(26)이 형성되어 도 2 에서 처럼 상기 볼스터 프레임(14)에 용접된 너트(38)에 맞물리도록 양단부에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볼스터 프레임(14)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중앙부에는 종동기어(34)가 설치된다. 상기 원동축(32)은 일단부에 상기 종동기어(34)와 맞물리는 원동기어(28)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시트백(22) 외부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으로 널링이 형성된 조절 다이얼 레버(1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36)과 상기 종동기어(34)의 체결과, 상기 원동축(32)과 상기 원동기어(28) 및 상기 조절 다이얼 레버(12)의 체결은 도 3 에서 처럼 돌기와 홈부를 형성시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탑승자가 상기 시트(10)에 착석한후 본인의 체형에 알맞도록 상기 다이얼 레버(1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원동기어(28)에 맞물린 상기 종동기어(34)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축(36)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38)와 상기 나사산(26)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대향한 한 쌍의 볼스터 프레임(14)은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조절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에 따라,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임의대로 볼스터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탑승자와 시트와의 밀착감을 향상시켜 안락한 운전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급 회전시에도 탑승자의 몸이 한쪽으로 편향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안전 운행에 최대의 효과가 부여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일단부는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볼스터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볼스터 프레임과; 양단부에서 일정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터 프레임에 용접된 너트에 맞물리도록 양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볼스터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중앙부에 종동기어가 설치된 종동축과; 일단부에는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원동기어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시트백 외부로 돌출되어 널링이 형성된 조절 다이얼 레버가 장착된 원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 장치.
KR2019960046820U 1996-12-09 1996-12-09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KR199800338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820U KR19980033893U (ko) 1996-12-09 1996-12-09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820U KR19980033893U (ko) 1996-12-09 1996-12-09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893U true KR19980033893U (ko) 1998-09-05

Family

ID=5398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820U KR19980033893U (ko) 1996-12-09 1996-12-09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8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06B1 (ko) * 2002-07-03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쿠션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06B1 (ko) * 2002-07-03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쿠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3893U (ko) 차량용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KR100444674B1 (ko) 자동차용 코너링 적응형 시트
KR100187146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JPH066080U (ja) 中折れシートバックにおける角度調整装置の ストッパ構造
KR012522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0127545B1 (ko) 자동차의 아암레스트
KR970002178Y1 (ko) 시트의 돌출량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대 장치
KR0148656B1 (ko) 자동차 시트백 볼스터 조절 장치
KR200154689Y1 (ko) 차량용헤드레스트위치조절장치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KR19980022602A (ko)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KR19980014035U (ko) 차량의 시트백의 허리 지지장치
KR19980013438U (ko) 차량의 시트 백의 허리 지지장치
KR19980031782A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전, 후 조절장치
KR0139444B1 (ko) 시트 백의 볼스터 양 조절장치
KR0114636Y1 (ko) 시트용 룸바서포트구조
KR960007632Y1 (ko) 자동차형 시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307909Y1 (ko) 머리받침의 하단부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머리받침대 프레임의 구조
KR0115886Y1 (ko) 차량용 아암레스트의 구조
JPH08182571A (ja) 可倒調整型ヘッド・レストレイント
KR200149824Y1 (ko) 자동차 시트용 보조요대
KR0122221Y1 (ko) 승용차용 시트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