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711A - 훈제장치 - Google Patents

훈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711A
KR19980033711A KR1019980016760A KR19980016760A KR19980033711A KR 19980033711 A KR19980033711 A KR 19980033711A KR 1019980016760 A KR1019980016760 A KR 1019980016760A KR 19980016760 A KR19980016760 A KR 19980016760A KR 19980033711 A KR19980033711 A KR 1998003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supply
smoke
smok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춘
Original Assignee
신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수 filed Critical 신동수
Priority to KR101998001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711A/ko
Publication of KR1998003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711A/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의 압력, 온도 및 수증기에 의한 복합적인 열작용으로 구이재료를 조리하는 훈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훈제실내로 압력, 온도 및 수증기를 구이재료가 효과적으로 조리되는 최적의 상태로 조절되게 공급하되 훈제실내에서 순환공급되면서 구이재료에 골고루 작용하게 되므로 구이재료의 조리를 효과적으로 우수하게 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압력, 온도 및 수증기가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쉽게 구이재료를 조리할수 있게됨은 물론 훈제실내부의 소제도 용이하게 수행하게 되는 훈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훈제장치
본 발명은 일정의 압력, 온도 및 수증기에 의한 복합적인 열작용으로 구이재료를 조리하는 훈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압력, 온도 및 수증기를 구이재료를 조리하는데 최적의 상태로 자동 조절되게 공급하되 구이재료에 골고루 작용하도록 하여 제공하므로 구이재료의 조리를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으로게 행하게 되는 훈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리, 닭, 돈육, 쇠고기, 견육, 계육등과 같은 구이재료를 훈제 조리하는 재래식방법으로는 숫불구이나 진흙구이등이 알려진바 있는데, 이들은 단순히 구이재료를 숫불에 의해 익히거나 재료를 진흙에 감싼 상태로 장작불등에 구어 익히므로 구이재료의 지방이나 잡취를 흡수하여 고유의 맛을 내도록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방법은 구이재료에 가해지는 온도 및 압력과 재료의 수분상태에 의한 복합적인 작용을 조리시마다 일정하게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여 구이재료의 조리시마다 또한 그 조리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 맛의 차이가 다소 발생하게 되므로 소비자에게 일정한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재래식방법은 구이재료를 조리하는 과정이 숫불이나 장작불을 준비하는 불편함과 전문적인 음식솜씨가 요구되어 누구나 손쉽게 조리할수 없는 제약을 갖게 된다.
이러한 재래식방법이 갖는 문제를 개선하여 구이재료를 누구나 손쉽게 조리할수 있도록 하되 일정한 압력, 온도 및 수증기에 의한 조건으로 일정하게 구이재료를 조리하도록 제공하게 되는 훈제장치가 여러 가지 형태로 알려진바 있는데, 이는 특허공보 제97-3962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내압덮게를 구비하고 훈연재수납기구를 구비하는 구이통의 내부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출원, 가열히터 및 가열시 구이통내에 수증기를 발생시켜 압력을 높이는 밑물저수조를 구성하여서 상기 구이재료를 원적외선 방출원에 의해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함께 일정 가열히터에 의한 온도, 밑물저수조에 의한 수증기와 압력의 복합적인 열작용으로 구이재료의 조직수를 적당히 유지하면서 지방과 잡취를 제거하고 그 고유의 맛을 잃지 않게 함과 함께 누구나 손쉽게 일정한 상태로 조리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이통내에 구비된 훈연재수납기구로 필요에 따라 훈연재를 공급하여 구이통내의 열기에 의해 훈향이 발생되어 재료에 가향되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훈제장치는 상기 히터수단이 구이재료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구이재료를 직접가열하게 되므로 구이재료의 상부 부분에 비해 직접열을 받는 하부부분이 쉽게 타거나 끄을리게 되고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되지 않아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수 없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되고,
또한 상기 구이통내의 압력유지 및 재료의 수분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밑물저수조는 구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열히터에 의한 간접가열로 수증기를 발생하게 되므로 수증기를 발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압력을 발생하는데도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조리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됨은 물론 그 조리시간을 길게 소요하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구이통내의 온도조건과 압력 및 수증기의 조건을 충분히 효과적으로 제공할수 없게 되고 더욱이 구이재료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상기 조건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므로 그 신뢰성이 저하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이통은 내부의 온도와 압력 및 수증기의 조건, 저수조의 공급수등을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면서 조절하게 되므로 그 조리작업을 행하는데에 따른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통내에 구비된 훈연재수납기구는 단순히 구이통 일측에 구비되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이통내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을 경우 구이재료에 골고루 훈향할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중에는 이를 사용할수 없게 되어 그 효과를 충분히 구득할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훈제실내에 투입된 구이재료에 상기 압력, 온도 및 수증기를 구이재료가 효과적으로 조리되는 최적의 상태로 제공하되 구이재료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작용하도록 하므로 구이재료의 조리를 우수하게 행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력, 온도 및 수증기가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쉽게 구이재료를 조리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훈제실내로 일정의 온도, 압력 및 수증기를 공급하여 구이재료를 조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훈제실내에는 히팅수단을 측방에서 격판에 의해 훈제실내로 간접가열을 이루도록 구비하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내부온도를 검출하여 온도를 자동 조절하면서 가열하게 되고,
상기 훈제실의 하부에는 자동으로 급수조절되고 가열기구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하는 증류수발생수단과 연결된 훈연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수증기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며,
상기 훈제실의 일측상부에는 압력관이 연결되어 압력검출기에 의해 내부압력을 검출하여 일정압력을 초과시 자동으로 배출관을 개방하여 압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훈제장치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훈제장치를 보여주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훈제실내에 구비된 히팅수단을 보여주는 요부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증기공급수단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훈제실 12. 공급관 14. 압력관 18. 석쇄
20. 히터수단 22.온도검출기 25. 격판
30. 증류수발생수단 35. 가열기구 40.훈연수단
50. 압력검출기 52. 배출관 60. 세척수공급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훈제실(10)내로 일정의 온도, 압력 및 수증기를 공급하여 구이재료를 조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훈제실(10)내에는 외주에 통상의 법랑층을 형성한 히팅수단(20)(20)을 다수의 열원공급공(26)을 형성하는 격판(25)에 의해 훈제실내로 간접가열을 이루도록 각각 측방으로 구비하되 온도검출수단(22)에 의해 내부온도를 검출하여 예열단계에서는 40-50°정도, 구이단계에서는 100-200°정도로 가열하도록 자동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훈제실(10)의 하부에는 공급관(12)을 구비하여 급수관(5)과 연결되어 일정한 급수상태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급수조절되고 일측의 가열기구(35)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하는 증류수발생수단(30)과 이 증류수발생수단과 연결된 훈연수단(40)을 통해 공급되는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류수발생수단(30)내에는 급수의 수위가 최고한계 지점을 검출하는 제1검출구(31)와 최저한계 지점을 검출하는 제2검출구(32)와 리셋되는 한계지점을 검출하는 검출구(33)가 각각 높이를 달리 형성한 상태로 구비되어 급수관(5)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위가 제1검출구(31)에 검출되게 되면 솔레노이드(S1)에 의해 일방향체크밸브(CV1)가 폐쇄작동하여 급수를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고 다시 급수의 수위가 낮아져 제2검출구(32)에 검출되게 되면 솔레노이드(S1)에 의해 일방향체크밸브(CV1)가 개방작동하여 급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게 되며 급수의 수위가 더 낮아져 제3검출구(33)에 검출되게 되면 그 작동이 리셋되도록 자동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훈연수단(40)은 필요에 따라 상부의 뚜껑(45)을 개폐하면서 훈연재를 선택적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훈제실(10)의 일측상부에는 압력관(14)이 연결되어 압력검출기(50)에 의해 내부압력을 검출하여 0.5-0.7kg/㎠를 초과시 솔레노이드(S2)에 의해 배출관(52)의 일방향체크밸브(CV2)가 자동으로 개방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관(14)의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개폐작동할수 있는 보조배출관(5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훈제실(10)의 상부에는 외주연으로 다수의 노즐공(62)을 갖는 세척구(60)가 상기 급수관(5)과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작동하여 급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훈제실(10)의 하부에는 중앙에 세척수배출공(16)을 형성하되 그 바닥면이 배출공(16)으로 일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5는 훈제실(10)의 외벽면에 구비된 단열재, 17은 외주연이 통상의 법랑층을 형성하고 있는 석쇄(18)을 지지하는 가이드구, 38은 수증기발생수단(30)의 드레인밸브, 48은 훈연수단(40)의 드레인밸브, 53,54는 배출관(52)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압을 배출하는 연결관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관(5)에 급수호스를 연결하여 급수를 하게 되면 증류수발생수단(30)내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하여 증류발생수단(30)내의 급수의 수위가 최고한계를 검출하는 제1검출구(31)에 닿아 검출되면 솔레노이드(S1)에 의해 체크밸브(CV1)가 닫혀져 급수는 중단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훈제실(10)내의 온도 및 압력이 설정된 콘트롤러(미도시)를 온 작동하게 되면 훈제실의 측방으로 각각 구비된 히터수단(20)(20)에 의해 훈제실(10)내의 온도를 40-50℃로 예열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이재료(A)를 석쇄(18)에 얹어 가이드구(17)에 안내되는 상태로 훈제실(10)내에 공급한후 도어(3)를 밀폐되게 닫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콘트롤러(미도시)를 구이재료의 종류에 따라 조작하여 조리를 시작하게 되면 히터수단(20)(20)에 의해 훈제실(10)내부를 100-200℃로 가열하게 되는데 상기 히터수단(20)의 열기는 격판(25)의 열원공급공(26)을 통해 간접적으로 훈제실(10)내로 공급되어 순환되면서 구이재료(A)를 골고루 가열하게 된다.
이와동시에 상기 증류수발생수단(30)으로 공급된 급수가 가열기구(35)에 의해 가열되어 수증기를 발생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훈연수단(40)을 통해 훈제실(10)하부에 위치한 증류수공급관(12)을 통해 증류수가 공급되어 상승순환되면서 구이재료(A)에 골고루 그리고 신속하게 증류수를 공급하게 되고 이 증류수의 공급으로 내부의 압력이 0.5-0.7kg/㎠를 유지하며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훈제실(10)내에는 온도가 너무 높게 되면 재료가 타게 되고 너무낮게 되면 재료가 덜익게 되며 수증기압이 너무 높으면 재가가 찜처럼되고 너무 낮으면 재료의 조직수가 손실되여 건조해지거나 그 고유의 맛을 잃게 되므로 그 온도와 수증기압을 재료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는 온도검출구(22)에 검출된 온도에 의해 히터수단(20)의 가열작동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최적의 온도로 조절하게 되고, 압력관(14)내에서 압력검출기(50)에 검출된 압력에 의해 솔레노이드(S2)가 작동하여 체크밸브(CV2)을 개폐작동하므로 내부 압력이 외부로 자동 방출게 조절되어 최적의 압력상태로 조절하게 되므로 훈제실(10)내의 온도와 압력 및 수증기가 조리를 위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증류수발생수단(30)내의 급수가 증류수의 공급으로 그 수위가 감소되어 최저한계를 검출하는 제2검출구(32)에 검출되면 다시 솔레노이드(S1)에 의해 체크밸브(CV1)가 개방되어 급수관(5)을 통해 급수가 공급되어 제2검출구(32)의 수위까지 자동으로 보충되게 된다.
상기와같이 훈제실(10)내부는 그 열기와 증류수가 구이재료(A)에 전체적으로 고른 상태로 순환공급됨과 함께 구이재료(A)에 최적의 온도, 압력 및 증류수에 의한 복합적인 열작용을 가하게 되므로 그 조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히팅수단(20)과 석쇠(18)의 외주연에는 법랑층이 구비되어 구이재료의 조리과정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더 효과적인 맛을 내도록 조리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훈연수단(40)에 훈연재나 한약재를 필요에 따라 공급하게 되면 이 훈연수단을 통과하는 수중기에 의해 훈제실(10)내로 순환공급되면서 구이재료(A)를 골고루 가향되거나 한약재가 배이면서 그 고유의 맛을 효과적으로 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구이재료(A)의 조리가 완료되면 부저가 울리고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S2)에 의해 체크밸브(CV2)가 개방작동되어 훈제실(10)내의 열기와 수증기압이 압력관(14)과 배출관(52)을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훈제실(10)내의 온도와 압력이 저하되면 상기 도어(3)를 개방하여 석쇠(18)를 인출하므로 조리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같이 하여 구이재료(A)의 조리가 마무리되어 훈제실(10)내부를 소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급수관(5)과 연결된 연결관(6)의 밸브를 개방하므로 급수관(5)과 연결관(6)을 통해 세척수공급구(60)의 원주상에 형성된 노즐(62)로 세척수가 공급되어 훈제실(1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를 용이하게 자동 세척할수 있게 되고, 그 세척된 세척수는 훈제실(10)하부의 배출공(16)을 개방하여 용이하게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훈제장치는 훈제실내로 압력, 온도 및 수증기를 구이재료가 효과적으로 조리되는 최적의 상태로 조절되게 공급하되 훈제실내에서 순환공급되면서 구이재료에 골고루 작용하게 되므로 구이재료의 조리를 효과적으로 우수하게 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압력, 온도 및 수증기가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쉽게 구이재료를 조리할수 있게됨은 물론 훈제실내부의 소제도 용이하게 수행하게 되는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훈제실(10)내로 일정의 온도, 압력 및 수증기를 공급하여 구이재료를 조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훈제실(10)내에는 외주에 통상의 법랑층을 형성한 히팅수단(20)(20)을 다수의 열원공급공(26)을 형성하는 격판(25)을 통해 훈제실내로 간접가열을 이루도록 각각 측방으로 구비하되 온도검출수단(22)에 의해 내부온도를 검출하여 예열단계에서는 40-50°정도, 구이단계에서는 100-200°정도로 가열하도록 자동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훈제실(10)의 하부에는 공급관(12)을 구비하여 급수관(5)과 연결되어 일정한 급수상태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급수조절되고 일측의 가열기구(35)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하는 증류수발생수단(30)과 이 증류수발생수단과 연결된 훈연수단(40)을 통해 공급되는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훈제실(10)의 일측상부에는 압력관(14)이 연결되어 압력검출기(50)에 의해 내부압력을 검출하여 0.5-0.7kg/㎠를 초과시 솔레노이드(S2)에 의해 배출관(52)의 일방향체크밸브(CV2)가 자동으로 개방작동하도록 조절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발생수단(30)내에는 급수의 수위가 최고한계 지점을 검출하는 제1검출구(31)와 최저한계 지점을 검출하는 제2검출구(32)와 리셋되는 한계지점을 검출하는 검출구(33)가 각각 높이를 달리 형성한 상태로 구비되어 급수관(5)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수위가 제1검출구(31)에 검출되게 되면 솔레노이드(S1)에 의해 일방향체크밸브(CV1)가 폐쇄작동하여 급수를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고 다시 급수의 수위가 낮아져 제2검출구(32)에 검출되게 되면 솔레노이드(S1)에 의해 일방향체크밸브(CV1)가 개방작동하여 급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게 되며 급수의 수위가 더 낮아져 제3검출구(33)에 검출되게 되면 그 작동이 자동으로 리셋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제실(10)의 상부에는 외주연으로 다수의 노즐공(62)을 갖는 세척구(60)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급수를 공급하게 되고, 훈제실(10)의 하부에는 중앙에 세척수배출공(16)을 형성하되 그 바닥면이 배출공(16)으로 일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장치.
KR1019980016760A 1998-05-11 1998-05-11 훈제장치 KR19980033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60A KR19980033711A (ko) 1998-05-11 1998-05-11 훈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60A KR19980033711A (ko) 1998-05-11 1998-05-11 훈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711A true KR19980033711A (ko) 1998-07-25

Family

ID=6589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760A KR19980033711A (ko) 1998-05-11 1998-05-11 훈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7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77A (ko) * 2002-03-14 2003-09-19 박종찬 육가공용 훈제장치
KR101308518B1 (ko) * 2011-03-11 2013-09-17 오홍균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WO2014051206A1 (ko) * 2012-09-28 2014-04-03 Han Daehee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WO2014073724A1 (ko) * 2012-11-06 2014-05-15 Lee Hyun Woo 음식물 구이 장치
KR101397360B1 (ko) * 2013-12-24 2014-05-20 김용태 육류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가열방법
KR101416823B1 (ko) * 2012-09-28 2014-07-11 홍인표 스팀을 활용한 바베큐 오븐
KR20180079842A (ko) * 2017-01-03 2018-07-11 정병우 가공육의 훈제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77A (ko) * 2002-03-14 2003-09-19 박종찬 육가공용 훈제장치
KR101308518B1 (ko) * 2011-03-11 2013-09-17 오홍균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WO2014051206A1 (ko) * 2012-09-28 2014-04-03 Han Daehee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KR101416823B1 (ko) * 2012-09-28 2014-07-11 홍인표 스팀을 활용한 바베큐 오븐
WO2014073724A1 (ko) * 2012-11-06 2014-05-15 Lee Hyun Woo 음식물 구이 장치
KR101404122B1 (ko) * 2012-11-06 2014-06-10 이현우 음식물 구이 장치
CN104010554A (zh) * 2012-11-06 2014-08-27 李贤雨 食物烧烤装置
US20140373728A1 (en) * 2012-11-06 2014-12-25 Hyun Woo Lee Roaster
KR101397360B1 (ko) * 2013-12-24 2014-05-20 김용태 육류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가열방법
KR20180079842A (ko) * 2017-01-03 2018-07-11 정병우 가공육의 훈제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56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CN100476299C (zh) 加热烹调器
KR19980033711A (ko) 훈제장치
KR101312988B1 (ko) 훈제조리기
JPH11141881A (ja) 過熱蒸気を利用した加熱調理装置
JP2003144308A5 (ko)
JP2006023078A (ja) 過熱蒸気を利用した加熱調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229178B1 (ko) 훈제기
KR101308518B1 (ko)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JPH10185197A (ja) コンベクションオーブン
KR101004952B1 (ko) 훈제장치
KR200259785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101835805B1 (ko)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KR101541178B1 (ko) 스팀기능이 구비된 구이기
KR102313712B1 (ko) 스팀 발생장치를 갖는 에어 프라이어
KR200408068Y1 (ko) 훈제 구이기
KR200403697Y1 (ko) 원적외선 구이기
KR101311863B1 (ko)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1979811B1 (ko) 가공육의 훈제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35247A (ko) 원적외선 구이기
KR20140139242A (ko) 보조열원을 구비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KR100892052B1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장치
KR0134129B1 (ko) 돼지족발의 압력구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