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805B1 -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 Google Patents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805B1
KR101835805B1 KR1020170074477A KR20170074477A KR101835805B1 KR 101835805 B1 KR101835805 B1 KR 101835805B1 KR 1020170074477 A KR1020170074477 A KR 1020170074477A KR 20170074477 A KR20170074477 A KR 20170074477A KR 101835805 B1 KR101835805 B1 KR 10183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moke
convection oven
heater rod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
Original Assignee
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철 filed Critical 허철
Priority to KR102017007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23B4/052Smoke generators ; Smok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벡션 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벡션 오븐의 조리실 내부에 훈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조리에 앞서 또는 조리 과정에서 훈연을 통한 가열 및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오븐의 예열 시간의 단축 및 조리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컨벡션 오븐을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함에 있어, 가열조리는 물론, 훈연조리 또는 가열과 훈연을 병행한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조리 및 조리되는 음식의 맛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구조적인 간소화를 이루면서도 훈연의 적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훈연수단의 효율성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 with smoke function}
본 발명은 컨벡션 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컨벡션 오븐의 내부에 훈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컨벡션 오븐을 사용함에 있어 가열조리 또는 훈연조리 또는 가열과 훈연의 병행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컨벡션 오븐의 기능 향상 및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 컨벡션 오븐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고, 스팀량에 의해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 이른바 콤비형 오븐으로 제공되어 음식물이 건조되는 현상을 막아주고, 대량의 다단계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의 증발을 차단하여 요리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주는 복합적인 기능의 오븐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스팀 컨벡션 오븐의 구성은 크게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가 조리실의 일측에 조립되고, 이 스팀발생장치는 직수관로를 통해 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한 후 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과 연통된 스팀배출관을 통해 조리실에 공급되도록 해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또, 스팀 컨벡션 오븐의 조리실에는, 별도의 히터와 컨벡션 팬 장치가 설치되어 스팀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된 증기를 한층 더 가열하거나, 직수관로의 물을 히터에 분사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오븐 내부로 공급되게 하여 조리실 내부가 최적의 습도상태에서 강제 순환하는 방식을 갖게 하였다.
이때, 상기 오븐 내부의 조리실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과 컨벡션 팬 장치가 위치된 공간을 구획하는 블로어 가이드판이 구비되어, 조리실에서 요리하는 음식물의 찌꺼기가 컨벡션 팬 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위치되는 스팀 컨벡션 오븐의 다른 일측에는 물탱크와 히터, 전원부, 기판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되며, 외면으로 조리실 내 온도 및 습도 등을 제어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전장부를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벡션 오븐은 단순히 가열 조리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그 기능상의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른 조리상의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6934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컨벡션 오븐의 조리실 내부에 훈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조리에 앞서 또는 조리 과정에서 훈연을 통한 가열 및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오븐의 예열 시간의 단축 및 조리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컨벡션 오븐을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함에 있어, 가열조리는 물론, 훈연조리 또는 가열과 훈연을 병행한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조리 및 조리되는 음식의 맛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구조적인 간소화를 이루면서도 훈연의 적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훈연수단의 효율성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스팀발생부와 히터부와 순환팬이 구성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의 조리실이 형성되어 열풍 순환과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가능한 컨벡션 오븐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 일측에 훈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훈연수단은,
조리실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돌출 되도록 양측의 수직부와 상부의 수평부를 이루는 하부 개방형 "ㄷ"형 봉 형태를 이루며, 단부는 바닥부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히터봉;
바닥부에 거치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에 히터봉이 수용되고, 상부 내측에는 거치턱이 형성된 받침부;
받침부의 거치턱에 거치 설치되며, 내부에는 훈연제가 충전되는 훈연공간을 이루도록 상부로 개방되고, 둘레에는 연기의 배출이 가능한 다수의 훈연통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히터 인출공이 형성되어 히터봉의 상부가 인출되는 훈연몸체; 및
훈연몸체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은, 오븐의 조리실 내부 일측에 훈연수단이 형성된 것인바, 오븐을 사용함에 있어 훈연기능을 동시에 적용시 오븐 내부의 예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리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컨벡션 오븐을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시, 가열에 의한 조리는 물론, 선택적으로 훈연만을 이용한 훈제 조리 또는 가열과 훈연을 병행한 조리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훈연을 위한 다양한 펠릿이나 톱밥 등의 훈연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인바, 조리되는 음식의 다양한 맛과 향의 가미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간단은 구조를 이루면서도 훈연의 기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훈연수단의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소화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훈연수단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1)은, 통상의 컨벡션 오븐과 같이 스팀발생부와 히터부와 순환팬 등(도면중 미도시함)이 구성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의 조리실(10)이 형성되어 열풍 순환과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1)은, 조리실(10)의 내부 일측에 훈연이 가능하게 하는 훈연수단(10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되어 조리 과정에서 훈연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훈연수단(100)은, 히터봉(110)과, 받침부(120)와, 훈연몸체(130)와, 덮개(140)로 구성된다.
먼저 히터봉(110)은, 훈연수단(100)을 구성함에 있어 훈연을 위한 훈연제를 태울수 있는 열기를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조리실(10)의 바닥부(11)에 구성된다.
이때, 히터봉(110)은 양측의 수직부(111)와 상부에서 양측 수직부(111)를 연결하는 수평부(112)로 된 하부 개방형 "ㄷ" 형 봉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측의 수직부(111)가 조리실(10)의 바닥부(11)에 고정되되, 그 고정시에는 단부가 바닥부(11)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컨벡션 오븐의 전원 수단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의 수평부(112)는 양측의 수직부(111)를 통해 바닥부(11)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20)는, 훈연수단(10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히터봉(110)의 보호와 하기하는 훈연몸체(130)의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부 및 하부로 관통되는 직사각형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조리실(10) 바닥부(11)에 거치 설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받침부(120)의 상부 내측에는 하기하는 훈연몸체(130)의 거치 설치가 가능하도록 거치턱(121)이 돌출되게 구성된다.
한편, 받침부(120)에 의해 보호되는 히터봉(110)은 수평부(112)가 거치턱(121)의 상부로 돌출되는 위치에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훈연몸체(130)는, 상부로 개방되어 내부에는 훈연제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훈연공간(131)을 이루는 직사각형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하단이 상기 받침부(120)의 거치턱(121)에 거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훈연몸체(130)에 충전되는 훈연제로는 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히터봉(110)을 통해 열분해가 가능한 통상의 펠릿이나 압축된 톱밥 등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훈연몸체(130)에는 그 둘레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훈연통공(132)(132')이 구성되어 훈연제가 타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연기를 조리실(10)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훈연몸체(130)의 중앙에는 상기 히터봉(110)의 수평부(112)가 인출되도록 히터 인출공(133)이 구성된다.
즉, 훈연몸체(130)는 상기 받침부(120)의 상부에서 거치턱(121)에 거치되게 구성되며, 그 내부의 훈연공간(131)에는 훈연제가 충전되고, 그 충전된 훈연제는 히터봉(110)의 가열에 의해 타들어 가면서 연기를 발생 및 훈연통공(132)(132')을 통해 조리실(10)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상기 덮개(140)는, 훈연몸체(130)의 개방된 훈연공간(131)의 상부를 덮어 그 훈연공간(131)의 폐쇄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훈연제가 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재의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훈연몸체(130)의 바닥부에는 히터 인출공(133)의 주변으로 다수의 재 배출공(134)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여 그 재 배출공(134)을 통해 훈연제 재가 받침부(120)로 배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20)에는 배출되는 훈연제 재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재 수거수단(150)이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재 수거수단(150)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먼저 재 수거수단(15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받침부(120)의 내부에 삽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재받이(15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재받이(151)는 그 중앙에 히터봉(110)이 관통되는 히터봉 관통공(152)이 형성되어 받침부(120) 내부에 장착시 히터봉(110)과의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받침부(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재받이(151)는 삽탈 사용이 가능하도록 거치턱(121)의 내측 보다는 좁은 폭을 이루고 훈연몸체(130)에 형성되는 재 배출공(134) 보다는 큰 폭을 이루게 구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재 수거수단(150)을 재받이(151)로 구성시에는 훈연수단(100)을 사용후, 그 재받이(151) 만을 탈거 하여 재의 배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탈거형은 받침부(120)의 탈거 없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재 수거수단(150)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받침부(120)와 일체 구성되는 재 트레이(15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재 트레이(151')는 받침부(120)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하게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돌출시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상단 중앙에는 히터봉(110)이 관통되는 히터봉 관통공(152')이 형성되어 히터봉(110)과의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재 수거수단(150)을 재 트레이(151')로 구성시에는 훈연수단(100)을 사용후, 받침부(120)를 제거 및 재의 배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일체형은 훈연수단(100)의 구조적인 간소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훈제 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훈연제의 소화가 가능하게 하는 소화덮개(16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소화덮개(160)는 훈연몸체(130)를 덮고 있는 덮개(140)를 제거한 상태에서 그 훈연몸체(130)와 받침부(120) 전체를 덮어 훈연몸체(130)의 훈연통공(132)(132')으로 공기의 소통이 차단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1)은 조리 과정에서 열풍 및 스팀을 이용한 조리는 물론, 훈연을 위한 훈연 조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이때 훈연의 조리는 열풍 및 스팀과는 별도로 선택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컨벡션 오븐(1)을 사용함에 있어, 훈연 조리를 위해서는 훈연수단(100)을 통해 가능한 것으로, 먼저 그 훈연수단(100)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살펴보면,
도 9의 도시와 같이 먼저, 받침부(120)의 상부에는 거치턱(121)에 훈연몸체(130)가 거치 장착되는 것으로, 이때 훈연몸체(130)의 내부 즉, 훈연공간(131)에는 훈연제(20)가 충전되고 그 훈연몸체(130)의 개방된 상부는 덮개(140)를 덮어 마감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 훈연수단(100)에 적용되는 훈연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목재와 같이 연기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면 가능하되, 그 연기는 인체에 무해한 연기를 발생시키는 훈연제를 적용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육류 등의 훈연 조리를 위해서는 연기를 발생 및 조리실(10)의 내부에 연기를 공급하여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훈제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받침부(120)에 보호된 히터봉(110)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히터봉(11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그 히터봉(110)의 상부 즉, 수평부(112)는 훈연몸체(130)의 내측으로 인출되어 훈연제와 간섭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가열시 훈연제(20)를 열분해하여 연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발생된 연기는 훈연몸체(130)의 둘레에 형성된 훈연통공(132)(132')을 통해 조리실(10)의 내부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며, 이에 컨벡션 오븐(1)의 순환팬 작동에 의해 순환 및 육류(30)에 훈연을 가해 훈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훈연 조리가 완료시 히터봉(110)의 작동을 중단한 상태에서도 타고 있는 훈연제로부터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훈연몸체(130)로부터 덮개(140)를 제거한 상태에서 소화덮개(160)를 이용하여 훈연몸체(130)와 받침부(120)를 동시에 덮어 공기와의 소통을 차단하여 타고있는 훈연제의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1)은 훈연수단(1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훈연제가 타고나면 훈연제 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인바, 그 훈연제 재의 용이한 수거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재 수거수단(150)에 의해 가능하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재 수거수단(150)을 재받이(151)로 적용시에는 훈연몸체(130)의 재 배출공(134)을 통해 낙하되는 훈연제 재는 재받이(151)에 수거되는 것인바, 재를 배출시에는 재받이(151) 만을 받침부(120)로부터 탈거 제거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탈거형은 받침부(120)의 탈거 없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재 수거수단(150)을 재 트레이(151')로 적용시에는 훈연몸체(130)의 재 배출공(134)을 통해 낙하되는 훈연제 재 트레이(151')에 수거되는 것인바, 재를 배출시에는 받침부(120)를 탈거 및 재의 배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일체형은 훈연수단(100)의 구조적인 간소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은, 통상의 열풍 및 스팀을 이용한 조리는 물론, 필요에 따라 훈연수단을 통한 훈제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컨벡션 오븐의 기능이 한층 향상되고,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훈연수단을 적용하게 되면 오븐을 예열함에 있어 조리실 내부의 예열 시간의 단축을 가져옴과 동시에 조리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훈연제를 적용함에 있어, 향을 발생시키는 펠릿이나 압축톱밥 등을 적용시에는 조리되는 음식의 다양한 맛과 향의 가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훈연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컨벡션 오븐에 훈연수단 적용에 따른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10 : 조리실 11 : 바닥부
100 : 훈연수단 110 : 히터봉
111 : 수직부 112 : 수평부
120 : 받침부 121 : 거치턱
130 : 훈연몸체 131 : 훈연공간
132,132' : 훈연통공 133 : 히터 인출공
134 : 재 배출공 140 : 덮개
150 : 재 수거수단 151 : 재받이
151' : 재 트레이 152,152' : 히터봉 관통공
160 : 소화덮개

Claims (4)

  1. 스팀발생부와 히터부와 순환팬이 구성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의 조리실(10)이 형성되고, 조리실(10) 내부 일측에 훈연수단(100)이 구비되어 열풍 순환과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가능한 컨벡션 오븐에 있어서,
    훈연수단(100)은,
    조리실(10)의 바닥부(11)에서 상부로 돌출 되도록 양측에 수직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111)의 상부에는 수직부(111)를 연결하고, 바닥부(11)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수평부(112)를 이루는 하부 개방형 "ㄷ"형 봉 형태를 이루며, 양측 단부는 바닥부(11)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히터봉(110);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바닥부(11)에 거치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에 히터봉(110)이 수용되고, 상부 내측에는 거치턱(121)이 돌출 형성된 받침부(120);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받침부(120)의 거치턱(121)에 거치 설치되며, 내부에는 훈연제가 충전되는 훈연공간(131)을 이루도록 상부로 개방되고, 둘레에는 연기의 배출이 가능한 다수의 훈연통공(132)(132')이 형성되며, 바닥부 중앙에는 히터 인출공(133)이 형성되어 히터봉(110)의 상부가 인출되어 충전된 훈연제는 히터봉(110)의 가열에 의해 타들어 가면서 연기를 발생 및 훈연통공(132)(132')을 통해 조리실(10)로 공급하고, 상기 바닥부 히터 인출공(133)의 주변에는 타고남은 훈연제의 재가 배출되는 다수의 재 배출공(134)이 형성된 훈연몸체(130);
    훈연몸체(130)의 개방된 운영공간(131)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덮개(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2.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부(120)에는,
    훈연몸체(130)로부터 배출되는 재의 수거가 가능한 재 수거수단(15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중앙에 받침부(120) 내부에 장착시 히터봉(110)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히터봉(110)이 통과되는 히터봉 관통공(152)이 형성되어 받침부(120)의 내부에 삽탈 가능한 상부 개방형 재받이(15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훈제 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훈연제의 소화가 가능하도록 훈연몸체(130)를 덮고 있는 덮개(140)를 제거한 상태에서 훈연몸체(130)와 받침부(120)를 덮어 훈연몸체(130)의 훈연통공(132)(132')으로 공기의 소통을 차단하는 소화덮개(16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KR1020170074477A 2017-06-13 2017-06-13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KR10183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477A KR101835805B1 (ko) 2017-06-13 2017-06-13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477A KR101835805B1 (ko) 2017-06-13 2017-06-13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805B1 true KR101835805B1 (ko) 2018-03-07

Family

ID=6168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477A KR101835805B1 (ko) 2017-06-13 2017-06-13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369B1 (ko) 2022-03-21 2022-12-09 허민석 조립식 컨벡션 오븐
KR102591798B1 (ko) * 2023-03-29 2023-10-20 허철 컨벡션 오븐에 설치되는 훈연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4934A1 (en) * 2004-03-16 2005-09-22 Robertson Michael L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EP2009356A1 (en) 2007-06-26 2008-12-31 Ching-Hsiang Wang Ofen with smoke generator
KR101168363B1 (ko) * 2012-01-11 2012-07-24 주식회사 효신테크 훈연기가 설치된 콤비 스팀 오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4934A1 (en) * 2004-03-16 2005-09-22 Robertson Michael L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EP2009356A1 (en) 2007-06-26 2008-12-31 Ching-Hsiang Wang Ofen with smoke generator
KR101168363B1 (ko) * 2012-01-11 2012-07-24 주식회사 효신테크 훈연기가 설치된 콤비 스팀 오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369B1 (ko) 2022-03-21 2022-12-09 허민석 조립식 컨벡션 오븐
KR102591798B1 (ko) * 2023-03-29 2023-10-20 허철 컨벡션 오븐에 설치되는 훈연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436A (en) Smoking and baking apparatus
KR200445472Y1 (ko) 초벌 훈연구이기
CA2911721C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CA3102207C (en) Indirect air flow system
KR101835805B1 (ko)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KR101910103B1 (ko) 회전형 구이장치
KR200463877Y1 (ko) 숯불을 이용한 훈제기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100794233B1 (ko) 직화구이기
KR20120104668A (ko) 훈제기
CN105212777B (zh) 烧烤装置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101541178B1 (ko) 스팀기능이 구비된 구이기
KR101999062B1 (ko) 고기구이장치
KR101871419B1 (ko) 구이용 육류의 잡냄새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1813854B1 (ko) 직화구이기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KR100719234B1 (ko) 고기구이장치
KR100256784B1 (ko) 가금류 통구이 장치
JP2018192243A (ja) 加熱調理器
KR100909282B1 (ko) 바비큐 조리장치
KR20180079842A (ko) 가공육의 훈제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