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668A - 훈제기 - Google Patents

훈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668A
KR20120104668A KR1020110022203A KR20110022203A KR20120104668A KR 20120104668 A KR20120104668 A KR 20120104668A KR 1020110022203 A KR1020110022203 A KR 1020110022203A KR 20110022203 A KR20110022203 A KR 20110022203A KR 20120104668 A KR20120104668 A KR 2012010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meat
heat
roas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178B1 (ko
Inventor
엄재용
Original Assignee
엄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용 filed Critical 엄재용
Priority to KR102011002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17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햄, 소시지,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를 열과 연기를 통해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훈제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의 하부에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을 연료적치대 위에 넣고 가스연소기구로 태우는 연소실과, 상기 본체 내의 상부에 고기가 올려지는 다단식 선반이 설치되는 구이실과, 상기 다단식 선반에 올려진 고기로부터 연소열에 의해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낼 수 있게 상기 구이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름받이판과, 상기 연소실과 구이실의 전면 개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구이실의 연소열과 연기를 조절하여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내부의 천장면이 호형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 외벽면에 상기 연소실과 구이실이 통하도록 연도가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체 하부의 연소실에 가스연소기구로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을 넣고 태우면 고기에 불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본체 양측의 연도를 통해 연소열과 연기가 본체 상부의 구이실로 상승하여 구이실의 다단식 선반 위에 올려진 고기가 간접적인 연소열에 의하여 고기 내부의 기름기가 적당히 빠지도록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연기에 의하여 참나무 향이 고기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자연의 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훈제기{Smoking roaster}
본 발명은 햄, 소시지,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를 열과 연기를 통해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훈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하부의 연소실에 참나무 숯 또는 톱밥, 가스를 조합하여 태우면 고기에 불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본체 양측의 연도를 통해 참나무 숯과 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열과 참나무 톱밥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가 본체 상부의 구이실로 상승하여 구이실의 다단식 선반 위에 올려진 고기가 간접적인 연소열에 의하여 고기 내부의 기름기가 적당히 빠지도록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연기에 의하여 참나무 향이 고기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자연의 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훈연 방식의 훈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연소열과 연기를 통해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는 본체 하부에 설치된 연소실에서 참나무 장작이나 숯을 태우고, 그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과 연기가 본체 상부에 설치된 구이실의 고기가 올려진 선반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이실에 넣어둔 고기를 익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훈연용 나무 중에서 참나무는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어떤 고기에도 독특한 향을 심어주고, 맛나는 향이 스며들어 느끼하지 않고 식욕을 돋구며, 또한 화력이 좋아서 고온을 유지하여 골고루 맛이 들 때까지 익혀주고, 참나무가 연소하면서 원적외선이 나오므로 인체에 이로운 점이 있으며, 또한 다른 잡목과 달리 불꽃이 튀는 현상이 없으므로 태우면 화력이 오래가서 연료비가 절약되는 등의 이점이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결국, 참나무를 태워서 훈연함으로써 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그 맛과 향이 독특하며, 각 부위별 특성 있는 여러 가지 맛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훈연 방식의 훈제기는 연소실의 직상부에 마련되는 구이실에 넣어둔 고기에 연소열이 직접 작용하게 되므로 고기의 바깥부위가 먼저 익게 되고 고기의 안쪽부위는 서서히 익게 되어 전체적으로 구이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바깥쪽 부위가 타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무엇보다도 구이실의 선반에 올려진 고기가 선반 설치위치에 따라 부위별로 익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고기의 고유 맛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실에서 참나무 장작이나 숯을 넣고 태우면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 기름이 연소실의 장작불 위 또는 구이실의 기름받이판 위에 떨어지게 된다. 기름받이판 위에 떨어진 기름은 연소열에 의해 다시 타면서 타는 냄새와 함께 검은 그을음이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에 기름이 타는 냄새가 흡수되고 아울러 고기에 그을음이 흡착되어 고기가 마치 시커멓게 탄 것과 같이 됨으로써 훈제된 고기에 타는 기름냄새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기의 맛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기름받이판 위에 떨어진 고기 기름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고기의 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기름받이판에 물을 담아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훈제기를 이용한 훈연요리공정이 염지→건조→훈연→가열 순이므로 상기 건조 및 훈연공정에서는 물이 필요치 않으며, 가열공정에서는 연소열에 의해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소진되는 양만큼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구이실의 개폐도어를 수시로 열어야 하므로 상기 개폐도어를 열 때마다 구이실 내부의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특히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에 구이실의 온도가 급격히 강하하는 등으로 인하여 결국 고기를 굽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연료비가 증가하게 되어 훈제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에 고기가 넣어지는 훈연실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는 별도로 연기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연도를 통해 연기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를 상기 본체의 훈연실로 공급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가 있으나, 이는 별도로 설치되는 연기발생장치에 의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대형 훈제기에만 사용되는 실정이고, 다양한 종류의 훈제 제품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본체와 연기발생장치를 분리하여 장소를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체 하부에 형성되는 연소실에 가스연소기구로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을 넣고 태우면 고기에 불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연소열과 연기가 본체 상부의 구이실로 원활하게 상승하여 이동하도록 연소실 내부의 천장면을 호형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본체의 양측 외벽면에 연도를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구이실의 다단식 선반 위에 올려진 고기를 간접적인 연소열에 의해 골고루 구워지도록 하고, 연기에 의해 참나무 향이 고기 내부까지 스며들게 하여 고기의 맛과 자연의 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실과 구이실 사이에 열차단공간부를 형성하여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 기름이 구이실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름받이판 위에 떨어지더라도 기름받이판 위에 떨어진 기름이 연소실의 직접적인 연소열에 의해 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기의 고유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훈제기는, 본체 내의 하부에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을 연료적치대 위에 넣고 가스연소기구로 태우는 연소실과, 상기 본체 내의 상부에 고기가 올려지는 다단식 선반이 설치되는 구이실과, 상기 다단식 선반에 올려진 고기로부터 연소열에 의해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낼 수 있게 상기 구이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름받이판과, 상기 연소실과 구이실의 전면 개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구이실의 연소열과 연기를 조절하여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내부의 천장면이 호형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 외벽면에 상기 연소실과 구이실이 통하도록 연도가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도는 연소실 상부의 양측 벽면에 장방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출통로와 연결되어 본체의 양측 외벽면에 호형으로 외향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통로와,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어 구이실 하부의 양측 벽면에 장방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입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실과 구이실 사이에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구이실로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기에 의하면,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참나무 숯과 가스연소에 의한 연소열과 참나무 톱밥의 연소에 의한 연기가 구이실의 다단식 선반 위에 올려진 고기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본체의 양측 외벽면에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 연도를 통하여 상승되는 간접적인 연소열에 의해 고기가 골고루 구워지도록 하고, 연기에 의해 참나무 향이 고기 내부까지 스며들게 하므로 고기의 맛과 자연의 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실과 구이실 사이에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구이실로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 기름이 구이실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름받이판 위에 떨어지더라도 기름받이판 위에 떨어진 기름이 연소실의 직접적인 연소열에 의해 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고기의 고유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차단공간부에 의해 구이실에 설치되는 기름받이판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폐도어를 열 때마다 불필요하게 구이실 내부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고기를 굽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연료비를 절감하게 되어 훈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차량으로 운반이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부를 나타낸 일부절개 측면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훈제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부를 나타낸 일부절개 측면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훈제기(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내의 하부에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을 넣고 태우기 위한 연료적치대(111)가 설치되어 있는 연소실(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구이 할 때 연소실(110)과 구이실(12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판으로 이중벽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소실(110)에 설치된 연료적치대(111)는 참나무 숯이나 톱밥을 넣고 태울 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석쇠형태 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평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료적치대(111)는 세척이나 청소를 쉽게 하기 위해 연소실(110)의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료적치대(111)의 하방의 연소실(110) 바닥면에는 상기 연료적치대(111)에 넣어서 올려지는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을 태우기 위한 가스연소기구(115)가 수용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스연소기구(115)는 본체(100)의 외부에서 조절밸브(도시생략)를 조작하여 점화 및 가스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소실(110)에 고정 설치된 가스연소기구(115)에 본체(100)의 외부에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배관(116)이 연소실(11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본체(100)의 일측 벽면에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구(117)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110)에 설치된 상기 연료적치대(111)의 좌,우측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물통(11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 내의 상부에 고기를 올려놓고 상기 연소실(110)로부터 유입되는 연소열과 연기에 의해 고기를 구울 수 있는 다단식 선반(121)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이실(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이실(120)에 설치되어 있는 다단식 선반(121)은 햄, 소시지,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연소열에 의해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고기 기름이 구이실(120)의 바닥면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석쇠형태 또는 철망형태로 제작되며, 세척이나 청소를 쉽게 하기 위해 구이실(120)의 전면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단식 선반(121)에 올려진 고기로부터 연소열에 의해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낼 수 있게 상기 구이실(120)의 바닥면에 기름받이판(13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름받이판(130)은 장방형의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받이판(130)에 고기 기름이 채워지면 상기 구이실(120)의 전면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 즉 훈제기(A)의 외부로 기름받이판(130)을 빼내어 기름수거통(도시생략)으로 고기의 기름을 수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름받이판(130)이 구이실(120)의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실(120)의 바닥면과 일체로 기름받이부(130a)부를 형성하고, 본체(100)의 일측 벽면에 고기기름 배출공(135)을 형성한 후 고기기름 배출밸브(136)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의 전면 개방부에 일방향으로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개폐도어(140)(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도어(140)(150)는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이 연소되는 과정과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연소실(110)과 구이실(12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과 연기 및 고기 냄새가 본체(100)의 전면 개방부와 개폐도어(140)(150)의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밀폐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상기 구이실(120)의 연소열과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160)에는 구이실(120)의 연소열과 연기를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161)가 설치된다.
상기 연소실(110) 내부의 천장면(112)은 호형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 외벽면에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이 통하도록 연도(170)가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도(170)는 연소실(110) 상부의 양측 벽면에 유출통로(171)가 장방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통로(171)와 연결되어 본체(100)의 양측 외벽면에 연결통로(172)가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통로(172)와 연결되어 구이실(120) 하부의 양측 벽면에 장방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입통로(17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 사이에는 상기 연소실(11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구이실(120)로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단공간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훈제기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이실(120)의 전면 개방부로부터 개폐도어(150)를 열고 구이실(120)의 다단식 선반(121)에 구이를 하고자 하는 햄, 소시지,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를 올려놓고 개폐도어(150)를 닫은 후 연소실(110)의 가스연소기구(115)를 점화하여 가스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열을 연도(170)를 통해 상기 구이실(120)로 공급하여 고기를 건조한다. 상기와 같이 연소열을 공급하여 구이실(120)의 고기가 건조되면 연소실(110)의 전면 개방부로부터 개폐도어(140)를 열고 연료적치대(111) 위에 참나무 톱밥을 용기(도시생략) 등에 담아 넣은 다음 개폐도어(140)를 닫고 가스연소기구(115)를 이용하여 가스불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여 참나무 톱밥이 담긴 용기에 열을 가하게 된다. 이때, 참나무 톱밥에 가해지는 열이 약하므로 불은 붙지 않고 태워지기만 하게 되어 참나무 향의 연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소실(110)에서 참나무 톱밥에 의해 발생된 연기를 연도(170)를 통해 상기 구이실(120)로 공급하여 참나무 향이 고기 내부에까지 스며들도록 연기를 공급시켜서 훈연한 다음 상기 연소실(110)의 전면 개방부로부터 개폐도어(140)를 열고 연료적치대(111) 위에 참나무 숯을 넣은 후 가스연소기구(115)를 이용하여 참나무 숯을 점화하여 태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소실(110)에서 가스연소기구(115)로 참나무 숯을 점화하여 태울 때 발생하는 연소열과 상기 가스연소기구(115)의 가스연소에 의한 연소열을 연도(170)를 통해 구이실(120)로 공급함으로써, 구이실(120)의 다단식 선반(121)에 올려진 고기를 훈연 방식으로 구울 수 있게 된다. 이때, 참나무 숯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연소열은 온도가 일정하지 않고 온도를 조절하기 어려우므로 가스연소기구(115)로 공급되는 가스를 보조연료로 사용하여 구이실(120)에 공급되는 연소열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구이실(1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훈제기(A)는 연소실(110)에서 참나무 숯을 태워서 발생하는 연소열과 가스연소기구(115)의 가스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열 및 참나무 톱밥을 태워서 발생하는 참나무 향의 연기는 양측 연도(170)의 유출통로(171)와 연결통로(172)를 통하여 이동하여 구이실(120)의 유입통로(173)를 통해 구이실(120)의 내부로 상승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실(110)로부터 구이실(120)로 이동되는 연소열과 연기는 호형으로 형성된 연소실(110)의 천장면(112)과 연도(170)에 의해 구이실(120)로 원활하게 상승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관통 형성된 상기 유출통로(171)와 유입통로(173)에 의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연소열과 연기를 집중시켜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이실(120)로 이동되는 연소열과 연기는 구이실(120)의 내부의 좌,우측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한꺼번에 많은 양을 집중시켜서 이동하게 되는 간접적인 연소열과 참나무 향의 연기에 의해 다단식 선반(121)에 올려진 햄, 소시지,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에 골고루 전달되어 고기가 불에 타지 않고 고기 내부의 기름기가 적당히 빠지도록 구워지게 되고, 연기에 의해 참나무 향이 고기 내부까지 스며들게 되어 고기의 맛과 자연의 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연소실(110)에 설치된 연료적치대(111)에 물이 담겨진 물통(113)을 올려놓으면 연소열에 의해 훈증이 되어 연소열과 연기와 함께 구이실(120)로 이동하게 되므로 고기의 질을 한결 부드럽게 할 수 있고, 상기 구이실(120)에서 고기가 구워지는 상태를 개폐도어(150)를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고기가 탈 염려가 없으며, 또한 구이실(120)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기가 구워지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주 문을 열고 닫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구이실(120) 내부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고기가 구워지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연료비를 절감하게 되어 훈제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 사이에 열차단공간부(18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소실(11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상기 구이실(120)로 직접 작용하지 않고 간접적인 연소열로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구이실(120)의 다단식 선반(121)에 올려진 고기의 바깥쪽 부위가 탈 염려가 없게 된다.
상기 구이실(12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름받이판(130)은 연소열에 의해 다단식 선반(121)에 올려진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내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름받이부(130a)를 구이실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연소열에 의해 다단식 선반(121)에 올려진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내어 쉽게 고기기름 배출밸브(136)을 통하여 기름수거통(도시생략)으로 기름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름받이판(130)과 기름받이부(130a)에 연소열에 의해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은 연소실(11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직접 작용하게 되어 타게 되는 것을 상기 열차단공간부(180)에 의해 차단하게 되므로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연소열로부터 고기의 기름이 타게 될 염려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실(120)에서 이동되는 연소열과 연기는 고기가 구워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배출구(160)의 조절밸브(161)에 의해 연소열과 연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체 110 : 연소실
111 : 연료적치대 112 : 천장면
113 : 물통 115 : 가스연소기구
116 : 가스배관 117 : 공기유입구
120 : 구이실 121 : 선반
130 : 기름받이판 130a : 기름받이부
135 : 고기기름 배출공 136 : 고기기름 배출밸브
140, 150 : 개폐도어 160 : 배출구
161 : 조절밸브 170 : 연도
171 : 유출통로 172 : 연결통로
173 : 유입통로 180 : 열차단공간부
A : 훈제기

Claims (3)

  1. 본체(100) 내의 하부에 참나무 숯 또는 톱밥을 연료적치대(111) 위에 넣고 가스연소기구(115)로 태우는 연소실(110)과, 상기 본체(100) 내의 상부에 고기가 올려지는 다단식 선반(121)이 설치되는 구이실(120)과, 상기 다단식 선반(121)에 올려진 고기로부터 연소열에 의해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낼 수 있게 상기 구이실(1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름받이판(130)과,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의 전면 개방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140)(15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상기 구이실(120)의 연소열과 연기를 조절하여 배출하는 배출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훈연 방식의 훈제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0) 내부의 천장면(112)이 호형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 외벽면에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이 통하도록 연도(170)가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170)는 연소실(110) 상부의 양측 벽면에 장방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출통로(171)와, 상기 유출통로(171)와 연결되어 본체(100)의 양측 외벽면에 호형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통로(172)와, 상기 연결통로(172)와 연결되어 구이실(120) 하부의 양측 벽면에 장방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입통로(1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0)과 구이실(120) 사이에 상기 연소실(11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구이실(120)로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공간부(1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기.
KR1020110022203A 2011-03-14 2011-03-14 훈제기 KR10122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03A KR101229178B1 (ko) 2011-03-14 2011-03-14 훈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03A KR101229178B1 (ko) 2011-03-14 2011-03-14 훈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68A true KR20120104668A (ko) 2012-09-24
KR101229178B1 KR101229178B1 (ko) 2013-02-01

Family

ID=4711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03A KR101229178B1 (ko) 2011-03-14 2011-03-14 훈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1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1844A (zh) * 2021-09-24 2021-12-28 山东德创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红木炖红毛山羊的配方及工艺装置
CN114308965A (zh) * 2021-12-24 2022-04-12 张长合 一种熏腊肠用草木燃烧设备及其生产加工方法
KR20220051932A (ko) * 2020-10-20 2022-04-27 강신호 훈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2729B (zh) * 2018-06-29 2022-01-04 湛江市裕金裕食品有限公司 腊肉的高效熏制设备
KR102586626B1 (ko) 2023-05-19 2023-10-06 최석재 다용도 훈제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210Y1 (ko) * 2001-03-13 2001-10-08 서병준 훈제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932A (ko) * 2020-10-20 2022-04-27 강신호 훈연장치
CN113841844A (zh) * 2021-09-24 2021-12-28 山东德创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红木炖红毛山羊的配方及工艺装置
CN114308965A (zh) * 2021-12-24 2022-04-12 张长合 一种熏腊肠用草木燃烧设备及其生产加工方法
CN114308965B (zh) * 2021-12-24 2023-12-19 城口县泽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熏腊肠用草木燃烧设备及其生产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178B1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4724A (en) Capsule for use in a stove
KR101009196B1 (ko) 참숯 훈연-원적외선 오븐
US7451691B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KR101229178B1 (ko) 훈제기
KR20140000826A (ko) 고체연료를 이용한 훈제용 화덕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CN114286639A (zh) 多用途烹饪装置
KR101010425B1 (ko) 훈연고기구이기
CN104633715A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CN205455628U (zh) 一种熏烤箱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20090074898A (ko) 습식 바비큐 구이기
KR20160144724A (ko) 고기구이용 화덕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102489688B1 (ko) 훈제구이기
KR101613401B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CN204438207U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KR101179272B1 (ko) 훈연기
KR102324938B1 (ko) 훈제 조리 장치
KR20080002970U (ko)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170543Y1 (ko) 구이기 구조
KR100909282B1 (ko) 바비큐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