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784B1 - 가금류 통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가금류 통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784B1
KR100256784B1 KR1019970015342A KR19970015342A KR100256784B1 KR 100256784 B1 KR100256784 B1 KR 100256784B1 KR 1019970015342 A KR1019970015342 A KR 1019970015342A KR 19970015342 A KR19970015342 A KR 19970015342A KR 100256784 B1 KR100256784 B1 KR 10025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ry
gas
roasting
combustion
roas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989A (ko
Inventor
전길상
Original Assignee
전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길상 filed Critical 전길상
Priority to KR101997001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78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가금(家禽)류 즉,통닭,통오리,통칠면도등을 훈연구이,참구이 및 삼계구이로 가공할 수 있는 다목적 훈연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가공된 가금류의 육골즙이 유출됨을 차단하면서 피하의 고형 지방을 점진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동시에 표피를 태우지 않으면서 몸체내 육질의 온도를 95。C-99。C로 유지시키면서 고기맛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금류 훈연 구이장치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구이실(10)내에 가스가 분출 연소되는 연소노즐(22)을 설치하며 이 연소노즐(22)은 가스공급관(30)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공급관(20)은 가스 봄베(29)로부터 1차,2차,3차 개폐밸브(23,24,25)와 자동 개폐기(28)를 거쳐 연결되며,여기에 점화관(27)을 상기 가스공급관(30)에서 분기시켜 조절밸브(26)를 사이에 두고 설치하고, 구이실(10)바닥이 일정하게 경사진 경사바닥(50)을 이루고 그 후방은 고형지방을 모아두기 위한 집유구(51)에 연결되며, 이와같은 경사바닥(50)의 저면은 공냉공간(33)을 이루되 전방의 공기통로(32)로서 고열 경사바닥(50)을 식히도록 하며, 구이실(10)전방에는 가스불꽃으로 가열구이중인 가금류에 훈연하기 위한 훈연발생기(40)가 설합식으로 상기 구이실(10)과 연통하여 설치된 가금류 훈연 구이장치를 제공하게 되며,이로써 가스와 목재 훈연가공이 가능한 대형 가금류 구이설비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가금류 통구이 장치
본 발명은 가금(家禽)류 즉,통닭,통오리,통칠면도등을 통구이,참구이 및 삼계구이로 가공할 수 있는 다목적 통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가공된 가금류의 육골즙이 유출됨을 차단하면서 피하의 고형 지방을 점진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동시에 표피를 태우지 않으면서 몸체내 육질의 온도를 95。C-99。C로 유지시키면서 고기맛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가금류 통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금류중 특히 닭고기를 구이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그 하나의 예로는 가열렌지내에서회전 가능한 꼬챙이에 닭을 고정한 뒤 전기히터 혹은 가스 히터로서 회전 가열하면서 지방질을 제거하는 구이방법이 알려져 있고, 고압솥에서 튀김 기름과 함께 튀기어 내는 방법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닭고기 구이방법중 닭을 통째로 구이함에 있어서는 배부위를 갈라 굽거나 부위별로 굽거나 튀기게 되어 지방질 및 육즙이 대부분 제거되어 닭고기의 살에 육즙이 남아 있지 못하여 닭고기 맛이 건조하고 양념맛에 의존하는 방식이었다.
이와같은 닭고기 구이에 있어서 동원되는 장치등에서 가장 보편화되는 것은 압력솥에서의 고압가공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끓는 고압솥에서 튀겨지는 닭고기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튀김기름이 고기살속에 많이 잔존하게 되는단점이 있고, 가열렌지를 통한 장시간 굽는 방식에서는 필요한 경우에만 한 마리씩 굽게되어 구이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므로, 여러마리를 미리 구워놓은 뒤 그대로 냉장 보관하였다가 다시 가열하여 시식하게 되므로 지바이 제거된 닭고기를 반복 가열하여 살속에 배인 육즙이 대부분 배출되어 닭고기가 건조되고 맛도 떨어지며 특히 많은 량을 장시간 보관하므로때때로 부패하게 되는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장시간의 보관이 가능한 구이설비가 필요로 되며 동시에 대량 구워낼 수 있으면서 지방질의 제거가 가능하고, 육즙의 배출이 극력 억제되는 닭고기 통구이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아울러 모든 가금류의 가공에서도 특유의 고기맛을 살릴 수 있는 광범위 가금류 통 구이장치도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닭고기등의 가금류 구이가 짧은 시간에 대량 구워짐과 아울러 구이중 훈연이이루어지도록 하여 방부제 없이도 장시간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가열 불꽃을 세밀하게 조절하여 지방제거와 육즙의차단이 구이중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금류 구이 설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금류의 훈연 구이시 가스화염과 목재 연소시의 연기를 동시에 적절히 가하여 표면부분을 통하여 목재연소시의 연기는 물론 가스 불꽃이 동시에 가금류의 내부까지 깊숙히 열이 전달되어 모든 동물류 구이에서 비교적 많이 알려진목재 구이방법이 갖는 장점을 살리고 지나치게 오랫동안 구어지지 않도록 가스불을 병행하므로서 시간을 줄이고 목재 훈연구조를 결합하여 맛을 살리면서 방부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게 하는 가금류 통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본 발명 가금류 통 구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스연소 및 공급구조를 나타내는 가스공급라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가공후 가금류의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고형 지방 집유구와 공냉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가금류를 매어달기 위한 망체의 하부 집속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가금류를 담은 상태에서 걸고리로서 매어달은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가스공급,온도조절 및 시간조절을 하기 위한 가스공급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이실, 11 :훈연공간,
12 :배출구, 13 :도어,
14 : 개폐로드, 15 : 지지바,
16 : 걸림턱, 17 : 지지바,
20 : 가스공급관, 21 : 연소공,
22 : 연소노즐, 23,24,25 : 제 1,2,3개폐밸브,
26 : 조절밸브, 26 : 점화밸브,
27 : 점화관, 28 : 자동개폐기,
31 : 에어혼합기, 32 : 공기통로,
33 : 공냉공간, 34,35,36 : 제 1,2,3,에어조절구,
40 : 훈연(燻煙)발생기, 50 : 경사바닥,
51 : 집유구, 52 : 통기공,
60 : 전원제어수단, 61 : 전원제어라인,
70 : 온도조절기, 71 : 검출수단,
80 : 타이머, 90 : 망체.틸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열 및 훈연공간을 형성하고, 가열후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정면이 밀폐식 도어를 갖춘 구이실을 통하여 후가공 가금류를 훈연 구이하기 위한 가금류 통 구이장치에 있어서,상기 구이실의 하방 양측에 병설되어 수개의 연소공을 통하여 가스가 연소되도록 하는 가스연소수단;상기 가스연소수단에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 봄베로부터 수개의 개폐밸브를 거쳐 연결된 가스공급관; 상기 가스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로서 상기 연소관의 가스공의 분출 가스를 점화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된 점화수단; 상기 구이실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량을 조절하는 에어조절수단; 상기 구이실 내측 상부에 훈연 가금류를 매어달기 위하여 양측으로 상하단에 걸쳐 설치된 수개의 지지바; 상기 구이실내에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온도로서 상기 가스공급관에 설치된 조절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이실내부 온도에 따라 가스연소량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 상기 온도조절수단 및 타이머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구이실의 연소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공급관의 가스공급이 개폐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온도조절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타이머를 포함하여 가금류 훈연구이가 가능해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구이실의 바닥은 경사바닥을 이루고 이 경사바닥 하방은 구이실 외부의 집유구로 연통시켜 가열후 고형 지방을집유되게 하고 경사바닥의 저부는 공기 냉각이 가능하도록 공냉구조를 형성하여 고형 지방을 포함한 배출 액체가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배유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금류를 가열하여 구워내는 동안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이실하부 중앙으로 삽탈식 훈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이실내에서 가열되는 후가공의 가금류의 표면을 통한 깊숙한 가열 및목재 훈연의 침투가 가능하도록 섬유사를 종횡으로 제직하여 하단이 집속되고 상단이 개방된 주머니형의 망체로서 가금류에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는 가금류 훈연 구이장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훈연장치의 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략 밀폐된 공간을 확보한 구이실과, 가스연소수단과, 가스를 공급제어하는 가스공급관과, 점화수단과, 가스화염의 조절용 에어조절수단과, 구이 가금류를 매어달기 위한 현가수단과,온도조절수단과,전원공급수단과,시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가스연소 및 공급구조를 나타내는 가스공급라인 구성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 도 2와,본 발명 구이후가금류의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면 도 3과, 본 발명 잔유액체 배출구와 공냉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에 의하면,
상기 구이실(10)은 가열 및 훈연공간(11)을 형성하고, 가열후 가스를 조절 배출시키기 위하여 개폐로드(14)를 설치한 배출구(12)를 상기 구이실(10)의 상부에서 내외 연통의 구조로 설치하며, 정면에는 밀폐식 도어(13)를 갖춘다.
이와같은 구이실(10)의 내벽에는 가금류를 매어달기 위한 지지바(15)를 재치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걸림턱(16)을 설치하며, 상기 구이실(10)의 도어 양측으로는 수개의 연소공(21)을 형성하여 가스가 분출 연소되는 연소노즐(22)을 설치하며이 연소노즐(22)은 구이실(10)벽을 뚫고 설치되는 가스공급관(20)의 선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가스공급관(20)은 상기 연소노즐(22)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 봄베(29)로부터 1차,2차,3차 개폐밸브(23,24,25)와 자동 개폐기(28)를 거쳐 연결되며,여기에 상기 호롱불 점화관(27)을 상기 가스공급관(20)에서 분기시켜 조절밸브(26)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점화방법은 조절밸브(26)을 열어 미세하게 분출되는 가스에 호롱불 점화관(27)을 통하여 접촉불꽃을 튀겨 점화를 하게 되며,점화가 되면 이 점화불꽃을 강하게 조절밸브(26)로 조절하여 상기 연소노즐(22)의 연소공(21)을 통한 분출 가스에 2차적 점화가 되어 본격적인 구이실의 가스연소에 의한 가열이 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이실(10)바닥이 일정하게 경사진 경사바닥(50)을 이루고 그 후방은 고형지방등의 배출액체를 모아두기 위한집유구(51)에 연결되며, 이와같은 경사바닥(50)의 저면은 공냉공간(33)을 이루되 전방의 공기통로(32)와 통기공(52)를 통하여 고열 경사바닥(50)을 식히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절수단은 상기와 같은 경사바닥(50) 냉각구조외에 상기 가스공급관(20)의 말단부에서 3차 개폐밸브(25)를 거친 뒤 연소관(2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와 에어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에어 혼합기(31)와, 상기 구이실(10) 전방 하부에서 상기 경사바닥(50)의 상부로 구이실(10)과 연통되는 제 1에어조절구(34)와, 상기한 경사바닥(50)의 공냉공간(33)에 연통하는 제 2,제 3에어조절구(35)(36)로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구이실(10)전방에는 가스불꽃으로 가열구이중인 가금류에 목재로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훈연발생기(40)가 설합식으로 상기 구이실(10)과 연통하여 설치된다. 이 훈연발생기(40)는 방부 효과가 크고 맛에 영향을 주는참나무를 주원료로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 가스공급,온도조절 및 시간조절을 나타내는 가스공급 계통을 나타내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구이실(10)내에 검출수단(71)을 구비하고 이 검출수단(71)으로부터 검출된 온도는 전원제어라인(61)을 통하여 전원제어수단(60)에서 온도조절기(70)가 정한 온도와 비교한 뒤 과열상태로 판단되면 차단신호를 출력하여 온도조절 신호라인(72)를 통하여 상기 가스공급관(20)에 설치된 자동개폐기(28)에 차단신호를 인가하도록 하는 구조로 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제어수단(60)에는 상기 온도조절기(70)와 더불어 가열시간을 콘트롤하기 위하여 타이머(80)을 설치하고일정시간 마다 상기 전원제어수단(60)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한 전원제어라인(61)과 온도조절기(70) 및 온도조절 신호라인(72)를 통하여 자동 개폐기(28)에 가스 공급 및 차단신호를 자동 인가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는 본 발명 가금류를 매어달기 위한 망체(90)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가금류를 담은 상태에서 걸고리(17)에 꿰어 지지바(15)에 매어달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상기 구이실(10)내에서 지방질 제거와 훈연 가공되는 닭을 신축성이 뛰어난 섬유사를 종횡으로 제직하여 하단이 집속되고 상단이 개방된 주머니형의 망체(90)로서 싼 뒤 상기 지지바(15)에 걸어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신축성의 종횡 섬유사가 닭의 표피를 압착하게 되어 섬유사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섬유사의 탄성으로 그 표피가 노출되고 섬유사가 접촉된 부분은 압착되어 표피속으로 밀려들어가 구워지므로 표피가 일정한 무늬를 형성하면서 섬유사를 통하여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살속으로의 훈연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망체(90)에 털과 목부분등이 처리되고 염수등으로 1차 가공된 생닭을 싼 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구이실(10)의 지지바(15)에 다수개 걸어 놓은 뒤 가스공급관(20)의 1,2,3차 개폐밸브(23,24,25)를 열어 가스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전원제어수단(60),온도조절기(70)및 타이머(80)에 소정의 시간과 온도를 설정하고점화밸브(26)를 열고 호롱불 점화관(27)을 착화시킨 뒤 도어(13)를 닫는다. 점화된 1차 불꽃은 연소노즐(22)의 분출중인연소공(21)의 가스에 2차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도어(13)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이후 일정온도로 가열된 구이실(10)내부는 검출수단(71)을 통하여 구이실내 온도가 전원제어라인(61)을 통하여 전원제어수단(60)으로 전달되어 온도조절기(70)에서 정한 온도를 비교한 뒤 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소정의 출력신호를 전원출력신호라인(72)에 전달하여 자동개폐기(28)에서 일시 차단하도록 하여 연소노즐(22)을 통한 가스 연소를 정지시켜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구이실내 온도가 떨어지면 이를 같은 과정으로 전원제어수단(60)에서 공급신호를 출력하여 자동개폐기(28)가 열려가스 공급이 이루어지게 콘트롤하면서 구이실(10)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타이머(80)를 통한 가열시간을 전원제어수단(60)에서 콘트롤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한 온도로 연속 가열되게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연속 가열중인 구이실에는 경사바닥(50)에 떨어지는 고형 지방등의 액체가 흘러 집유구(51)에 수집되며 동시에구이실(10)의 고열로서 가열되는 경사바닥(50)은 공냉공간(33)으로 유입되는 공기로 냉각시키면서 에어조절구(35)(36)와유입로(32)를 통하여 공기 순환이 이루어져 경사바닥(50)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스불꽃으로 가열구이중인 닭고기에 목재 연기로 훈연하도록 하기 위한 훈연발생기(40)가 설합식으로 상기 구이실(10)과 연통하여 설치되므로 이 훈연발생기(40)를 통한 참나무 연기로서 가열 중인 닭고기에 침투시켜 맛의 향상과 함께 닭고기의 방부효과를 주게 되어 장시간의 상온 보관에서도 부패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통 구이장치를 수개 연속적으로 설치하므로서 대형 구이설비를 갖춘 자동구이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닭고기등의 가금류 구이가 짧은 시간에 대량 구워짐과 아울러 가열 불꽃을 세밀하게 조절하여 지방제거와 육즙의 차단을 고열로 굽는 중에 가능하도록 하는 가금류 구이 설비를 제공하고, 가금류의 훈연 구이시 가스화염과목재 연소시의 훈연이 동시에 적절히 이루어져 목재연소시의 훈연은 물론 가스 불꽃이 동시에 가금류의 내부까지 깊숙히열이 전달되어 모든 동물류 구이에서 비교적 많이 알려진 훈연방법이 갖는 장점을 살리고 지나치게 오랫동안 구어지지 않도록 가스불을 병행하므로서 신속성을 개선하고 훈연 구이로서 맛과 방부제 효과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가금류 훈연 구이장비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닭고기 구이장치들이 갖는 구워진 닭고기의 보관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장시간의 보관이 가능해지고 동시에대량 구워낼 수 있으면서 지방질의 제거와 함께 육즙의 배출이 극력 억제되며,모든 가금류의 가공에서도 특유의 고기맛을살릴 수 있는 가스와 목재 가열이 혼합된 통 구이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구이공간과, 배출구와 에어유입구를 구비하며, 내측 상부에 가금류를 매어달기 위한 지지바와 걸림턱을 갖추고,밀폐식 도어로서 개폐되는 구이실로 이루어지는 가금류 통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실의 하방 양측에 병설되어 수개의 연소공을 통하여 가스가 연소되도록 하는 가스연소노즐과, 상기 가스연소노즐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 봄베로부터 가스자동개폐기와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가스연소수단, 상기 연소노즐의 연소공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공급관에서 분기된 점화밸브와 점화관을 구비한 점화수단, 상기 구이실내에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온도로서 상기 가스공급관에 설치된 자동개폐기에 가스 공급의 개폐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이실내부온도에 따라 가스연소량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 상기 구이실의 연소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공급관의 가스공급을 개폐하도록 상기 온도조절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타이머장치 및 상기 온도조절수단 및 타이머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서 되는 가금류 통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이실의 바닥은 구이실 외부의 집유구로 연통시킴과 동시에 바닥 저부는 공기 냉각이 가능한 공냉구조로 이루어진 경사바닥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통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금류 구이실내에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삽탈식의 목재 훈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통 구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이실내에 가금류를 매어 달기 위한 수단이, 신축성의 섬유사를 종횡으로 제직하여하단이 집속되고 상단이 개방된 주머니형의 망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통 구이장치.실
KR1019970015342A 1997-04-24 1997-04-24 가금류 통구이 장치 KR10025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42A KR100256784B1 (ko) 1997-04-24 1997-04-24 가금류 통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42A KR100256784B1 (ko) 1997-04-24 1997-04-24 가금류 통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989A KR19980077989A (ko) 1998-11-16
KR100256784B1 true KR100256784B1 (ko) 2000-05-15

Family

ID=1950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342A KR100256784B1 (ko) 1997-04-24 1997-04-24 가금류 통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097B1 (ko) * 2002-05-21 2005-01-13 김정섭 오리구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985A (ko) * 2001-08-20 2003-02-26 (주)케이.씨.씨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KR100811976B1 (ko) * 2006-11-08 2008-03-10 이근진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바비큐 그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097B1 (ko) * 2002-05-21 2005-01-13 김정섭 오리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989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3359A (en) Cooking apparatus
US4979436A (en) Smoking and baking apparatus
CA2911721C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US50063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food products, specially for broiling whole chickens and other meats
KR101910103B1 (ko) 회전형 구이장치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100256784B1 (ko) 가금류 통구이 장치
US5173320A (en) Method for cooking whole chickens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US5176068A (en) Apparatus for cooking whole chickens
KR101835805B1 (ko) 훈연 기능을 갖는 컨벡션 오븐
KR102516300B1 (ko) 훈연구이기를 이용한 구이방법
RU2602755C1 (ru) Способ копчения мясных изделий с внешней подачей коптильных ароматизатор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010425B1 (ko) 훈연고기구이기
CA3037207A1 (en) Smoker with top heat source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1018466B1 (ko) 연소열이 균등순환되는 바베큐장치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0717073B1 (ko) 바비큐 장치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KR200324762Y1 (ko) 구이기
CN111772497B (zh) 烧烤机
CN215937091U (zh) 一种火力可调节的不锈钢串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