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920A -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920A
KR19980032920A KR1019970053283A KR19970053283A KR19980032920A KR 19980032920 A KR19980032920 A KR 19980032920A KR 1019970053283 A KR1019970053283 A KR 1019970053283A KR 19970053283 A KR19970053283 A KR 19970053283A KR 19980032920 A KR19980032920 A KR 1998003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movable contact
shaped movable
cent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로 이시하라
게이지 가이자키
히로시 마츠이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오이치
마쓰시다 덴키 산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441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20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62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4959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오이치, 마쓰시다 덴키 산교(주)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오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3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9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여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도 조작을 다방향에 대하여 행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가, 탄성을 가지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돔 형상 가동 접점과, 상자형 케이스와, 해당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갖는 커버와, 축부와 해당 축부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조작체를 구비한다. 해당 케이스는 그 저면에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가 재치되는 외측 고정 접점과,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보다 내측으로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이면서 등각도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을 가진다. 해당 조작체에 있어서, 해당 축부가 해당 커버의 해당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해당 플랜지부의 상면이 해당 커버의 이면에 접하고, 외주가 해당 케이스의 내벽에 회전은 하지 않지만 경도 및 상하 동작은 가능한 상태에서 결합 지지되고, 하면 중에서 해당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에 대응한 부분에 각각 제 1 가압부가 설치되고, 해당 복수의 제 1 가압부가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에 접촉하고 있다.

Description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
도 1 은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일부 노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각각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 은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6(B) 은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상의 주요부인 조작체의 사시도.
도 7 은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평면도.
도 8(A) 및 (B)는 각각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포함되는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 및 도 10 은 각각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 은 돔 형상 가동 접점을 밀어 내리는 조작에 있어서의, 조작 스트로크에 대한 조작력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
도 12(A) 는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포함되는 돔 형상가동 접점에 관하여, 바람직한 조작감을 만족하는 형상에 대한 검토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포함되는 돔 형상 가동 접점 및 내측 가압부의 부분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 는 도 13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 는 도 13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평면도.
도 16(A) 은 도 13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6(B) 는 그 부분 확대도.
도 17(A) 및 (B) 는 각각 도 13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포함된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형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8 은 도 13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0 은 도 19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평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2 는 도 21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3 은 도 21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5 는 도 24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7 은 도 26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9 는 도 28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포함되는 전도성탄성체의 형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0 은 도 28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2 는 도 31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3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4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6(A) 는 도 3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6(B) 는 도 3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상의 주요부인 조작체의 사시도.
도 37 은 도 3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주로 휴대전화, 페이저 등의 이동체 통신 기기, 혹은 리모콘 기기, 오디오 기기, 게임 기기,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전자 카메라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입력 조작부에 사용되어, 조작축의 경도 및 푸시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기술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 는 그 일부의 노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수지제의 상자형 케이스(1)를 갖고, 그 개구부가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2)로 덮어져 있다. 케이스(1)의 저면부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고정 접점(3A 및 3B) (참조 번호 3 으로 총칭적으로도 나타낸다) 과, 중심 고정 접점(3)의 배치 위치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주변 고정 접점 (4 내지 7) 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 고정 접점 (3 내지 7) 의 각각은 외부 회로로의 접속을 위한 단자(14 내지 18)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중심 고정 접점(3)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접점(3A) 상에는 돔 형상 가동 접점(8)이 놓여진다. 한편, 주변 고정 접점(4 내지 7) 상에는 더보(1A)에 의해 고정된 공통 가동 접점체(9)의 탄성 접속 부재(10 내지 13)가 각각 배치된다. 탄성 접속 부재(10 내지 13)는 접점(19)을 통해, 외부 회로에의 접속을 위한 단자(19A)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의 측벽부의 내주를 따라서, 압축 코일 스프링(20)이 설치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20)은 지지체(2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힘을 가하여, 그 상단부(21A)를 커버(2)의 하면에 탄성 접속시킨다.
지지체(21)의 중앙에는 구덩이부(21B)가 설치되어 있어, 반구형상의 회전체(22)를 보유하고 있다. 회전체(22)의 하단부 외주의 플랜지부(22A)는 지지체(21)의 중앙의 구덩이부(21B)의 저면상에 재치되며, 상부 구면부(22B)는 커버(2) 중앙의 구면의 원형 구멍(2A)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접속하고 있다. 또한, 회전체(22)의 비원형의 중앙 수직 구멍(22C)에는 막대 형상의 금속재료제의 조작축(23)이, 상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유되어 있다.
조작축(23)은 그 하단부(23A)가 회전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의 저면부 중앙의 돔 형상 가동 접점(8)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의 상방으로 돌출된 선단부(23B)에는 조작용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21)의 외주부 하면에는 공통 가동 접점체(9)의 각 탄성 접속 부재(10 내지 13)에 각각 대응한 가압부(25A 내지 25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을, 도 1 과 더불어 도 3 및 도 4 를 또한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 및 도 4 는 각각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조작축(23)이 수직인 중립위치에 있고, 그 하단부(23A)가 돔 형상 가동 접점(8)을 가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어떠한 접점간도 오프 상태에 있다.
그것에 대하여, 도 3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24)의 일단부(도 3 의 예에서는 좌측)를 하방으로 누르면, 조작축(23)이 기울어짐과 동시에, 회전체(22)가 커버(2)의 구면의 원형 구멍(2A)에 접촉하면서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서, 회전체(22)의 하면의 플랜지부(22A)의 단부가 지지체(21)의 구덩이부(21B)의 저면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눌려진 면과는 반대측의 사각형 근처의 상단부(21A)를 지점으로 하여, 지지체(21)가 왼쪽으로 기울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가압부(25A)에 대응한 탄성 접촉 부재(10)가 하방으로 눌러져서, 대응하는 주변 고정 접점(4)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서, 공통 가동 접점체(9)와 주변 고정 접점(4) 사이가 온되어, 단자(19A, 15)를 통해서 외부로 신호가 공급된다.
이 때, 지지체(21)의 외주의 상단부(21A) 중에 도 3 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압축 코일 스프링(20)을 하방으로 눌러 압축하면서 커버(2)의 하면이 떨어진다. 그 후에, 손잡이(24)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압축 코일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서, 지지체(21) 및 회전체(22)가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탄성 접촉 부재(10)는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주변 고정 접점(4)으로부터 떨어져 원위치(도 1 참조)까지 복귀되며, 스위치 접점은 오프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4)의 상면의 어느 장소를 가압함으로써, 눌려진 위치(방향)에 대응한 단자(16 내지 18)를 통해서, 스위치로부터 외부에 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도 4 에 회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24)의 상면 중앙부, 즉 조작축(23)을 상방으로부터 수직으로 눌러서, 조작축(23)을 밀어 내리면, 그 하단부(23A)가 돔 형상 가동 접점(8)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돔 형상 가동 접점(8)이 반전 동작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중심 고정 접점(3)(3A 및 3B 사이)을 온시키어, 단자(14)를 통해서 외부에 신호를 발생시킨다.
손잡이(24)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돔 형상 가동 접점(8)의 복원력에 의해서 조작축(23)이 밀어 올려지고, 도 22 에 도시된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각종 전자 기기의 소형화가 강하게 요구되는 속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외경 및 두께가 지나치게 크고 소형화 요구에 응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구성 부품의 수가 많아,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조작축(23)을 비스듬하게 기울여 스윗칭 동작을 행할 때에 클릭감이 없고, 스위치의 동작을 감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탄성을 갖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돔 형상 가동 접점과,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가 재치되는 외측 고정 접점과,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 보다 내측으로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서 등거리 또한 등각도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을 저면에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해당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중앙에 통과 구멍을 갖는 커버와, 축부와 해당 축부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한 조작체로서, 축부가 커버의 해당 통과 구멍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해당 플랜지부의 상면이 커버의 이면에 접촉하며, 외주가 해당 케이스의 내벽으로 회전하지 않지만 경도 및 상하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되며, 하면 중에서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에 대응한 곳에 각각 제 1 가압부가 설치되고, 해당 복수의 제 1 가압부가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에 접촉하고 있는 조작체를 구비하며,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도 조작을 다방향에 대하여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의 상기 경도 조작시에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케이스가 그 저면 중에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중심 고정 접점을 또한 가지며, 상기 조작체가 그 하면 중에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중심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2 가압부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부의 각각의 높이는 상기 제 2 가압부의 높이 보다도 낮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 고정 접점은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의 각각의 높이는 해당 중심 고정 접점의 높이보다도 낮다.
상기 제 1 가압부는 그 중앙에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상기 구멍보다도 큰 오목부를 갖는 다각형 링 형상 가압부 혹은 원형링 형상 가압부일 수 있고, 상기 제 2 가압부는 해당 제 1 가압부의 오목부에 제 1 가압부와 거의 같은 높이의 전도체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가 그 저면 중에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외측 고정 접점에서 높게 돌출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를 또한 갖고, 상기 조작체가 그 하면의 중앙에 해당 케이스의 해당 중앙 돌기부를 끼워 맞추는 오목부를 또한 갖고 있다.
상기 제 1 가압부는 그 중앙에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상기 구멍보다도 큰 오목부를 그 중앙에 갖는 다각형 링 형상 가압부 혹은 원형링 형상 가압부일 수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부의 각각이 탄성체로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 가압부가 탄성을 갖는 전도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가 전도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외측 고정 접점과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 사이에 배치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반전동작력 보다도 작은 반발력을 갖는 전도성 탄성체를 또한 구비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버의 이면과 상기 조작체의 상기 플랜지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를 또한 구비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은 그 외주부가 원추대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 부분은 중앙이 약간 불룩해진 대략 구면 형상을 갖고, 해당 원추대 형상과 대략 구면형상 사이의 경계는 완만한 곡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은 탄성 금속 박판의 스로틀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상기 원추대 형상의 경사면과 저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25 도 내지 약 35 도이고,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전체의 높이에 대한 해당 원추대 형상 높이의 비율이 약 70% 내지 약 95% 이고,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외부 직경에 대한 상기 조작체의 제 1 가압부의 직경의 비율이, 약 40% 내지 약 60% 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조작체는 상기 축부의 상단면에서 하방을 향해 설치된 구멍을 갖고, 각부를 갖는 조작 손잡이가 해당 각부를 조작체의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조작체에 결합되어 있고, 해당 구멍의 깊이는 축부의 상기 커버에서의 돌출 길이 보다도 크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조작체의 구멍의 내벽면에 오목부 혹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상기 각부의 외주면에, 해당 조작체의 오목부 혹은 볼록부가 결합되는 볼록부 혹은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체의 구멍 및 조작 손잡이의 상기 각부의 각각은 상부가 하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가 제공된다. 해당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체의 축부를 수직 하방으로 밀어 내리면, 상기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의 적어도 대각 방향의 2개가 동시에 온되고, 해당 장치는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의 2개가 동시에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를, 개개의 해당 내측 고정 접점만이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체의 축부를, 상기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의 인접하는 2개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이면, 해당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동시에 온되며, 상기 처리부는 해당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동시에 온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를, 개객의 내측 고정 접점만이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상기 신호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해서 제공되는 다방향 조작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다. 해당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체의 상기 축부를,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의 인접하는 2개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이면, 해당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동시에 온되며, 해당 장치는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동시에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를, 개개의 내측 고정 접점만이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케이스가 그 저면 중에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중심 고정 접점을 또한 가지며, 상기 조작체가 적어도 하면 중에서 해당 돔 가동 접점의 중심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2 가압부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의 상기 축부의 경도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복수의 표시 항목 중에서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축부의 푸시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해당 선택된 항목을 확정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조작부의 축부의 경도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복수의 백터 신호가 미리 할당된 벡터 방향 신호를 선택하여, 표시되어 있는 대상물을 선택된 벡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해당 축부의 푸시 조작 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이동된 대상물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명령을 실행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의 축부의 푸시 조작을 소정의 시간내에 복수회 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검지된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명령 신호를 차례로 실행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조작부의 상기 축부의 푸시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축부의 경도 조작시에 축부의 각각의 경도 방향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명령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순서대로 전환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의 축부의 상기 경도 조작시에, 해당 축부를 소정의 경도 방향으로 경도함으로써, 경도 방향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능의 업·다운 조정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1) 조작축을 경사지게 기울여 스윗칭을 행할 때에도, 클릭감을 동반하여 스윗칭을 확실하게 행하며, 또한 스윗칭 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 부품수가 적은 소형 또는 저비용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 및 (2) 그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제 1 실시형태]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 은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 은 그 구성상의 주요부인 조작체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은 도 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수지제의 상자형 케이스(31)를 갖고, 그 개구부가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32)로 덮어져 있다. 케이스(31)의 저면부에는 도 7 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구멍(38A)이 설치되어 있는 탄성 금속 박판제의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가 재치된 4개의 외측 고정 접점(33),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중심 위치 하방에 배치된 중심 고정 접점(48) 및 중심 고정 접점(48)의 중앙부를 중심으로하는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은 중심 고정 접점(48)으로부터 각 외측 고정 접점(33)을 향한 거의 중간점에 위치하고 있다. 중심 고정 접점(48)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중앙의 구멍(38A)보다도 작고, 또한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보다도 등이 높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고정 접점(33 내지 37, 48)의 각각은 외부 회로에의 접촉을 위한 단자(43 내지 47, 49)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외측 고정 접점(33) 및 그것에 접촉하는 단자(43)의 수는 도시된 4세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세트라도 무방하다.
돔 형상 가동 접점(38)은 도 8(a)의 사시도 및 도 8(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금속 박판을, 중앙에 구멍(38A)이 설치된 원형 돔 형상으로 스로틀 가공하여 형성된다. 그 형상은 외주부(38B)가 원추대 형상이며, 그 내측의 중심부(38C)가 상방을 향해 약간 부풀려진 대략 구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쪽 부분(38B, 38C)의 경계는 완만한 곡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체(40)는 축부(40B)와, 그 하단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사각형의 플랜지부(40A)를 포함한다. 축부(40B)는 커버(32) 중앙의 통과구멍(32A)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부(40A)는 케이스(31)의 내벽의 4곳에 설치된 각부(31A)에 의해서, 회전할 수 없지만 경도 및 상하 동작은 가능하도록, 걸어맞추어 지지되어 있다.
조작체(40)의 플랜지부(40A)의 하면에는 케이스(31)의 저면에 설치된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의 중심 위치에 외주의 단부가 위치하도록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부(내측 가압부) (41)가 설치되어 있다. 원형링 형상의 내측 가압부(41)의 중앙의 구덩이에는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중앙 구멍(38A)보다도 큰 중심가압부로서의 전도체(50)가 내측 가압부(41)와 동일 높이 혹은 내측 가압부(41)보다도 약간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돔 형상 가동 접점(38)은 케이스(3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케이스(31)의 내벽의 원형부에 의해서 위치 결정되며, 또한 케이스(31)의 저면에 설치된 외측 고정 접점(33)상에 놓여져 있다. 조작체(40)는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상면부에 의해서, 그 플랜지부(40A)의 하면이 밀어 올려지고, 그에 따라 플랜지부(40A)의 상면이 커버(32)의 이면에 꽉 눌려져, 수직 중립 위치를 보유하고 있다.
조작체(40)의 상방의 축부(40B)의 상단면에서, 축부(40B)의 커버(32)로부터의 돌출 길이 보다도 깊고, 플랜지부(40A)에 도달할 때까지 개방된 구멍(40C)에, 조작 손잡이의 각부(42A)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을, 도 5 와 더불어 도 9 및 도 10 을 또한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 은 각각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가 있는 조작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조작체(40)가 수직 중립 위치에 있고, 그 하면의 내측 가압부(41)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가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모든 접점 사이도 오프 상태에 있다.
그에 대하여, 도 9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42)의 일단부(도 9 의 예에서는 좌측)를 하방으로 누르면, 조작체(40)가 커버(32)의 이면에 접촉한 플랜지부(40A)의 상면의 정점부(40D)를 지점으로 해서 기울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조작체(40)의 하면의 내측 가압부(41)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눌러 부분 반전시키어,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케이스(31)의 저면에 대응하는 곳에 설치된 내측 고정 접점(34)에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접촉시키어, 외측 고정 접점(33)과 내측 고정 접점(34) 사이를 온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발생한 신호는 단자(43 및 44)를 통해서 외부로 공급된다.
이 때,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중앙부가 케이스(31)의 저면측으로 반전하여도, 중심 고정 접점(48)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38A)보다도 작기 때문에, 돔 형상 가동 접점(38)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링 형상의 내측 가압부(41)의 링 중앙에 배치된 전도체(50)는 링 형상 내측 가압부(41)의 외주의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중심 고정 접점(48)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역시 중심 고정 접점(48)에 접촉하지 않는다.
손잡이(42)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조작체(40)의 플랜지부(40A)의 하면의 내측 가압부(41)가 눌려서 올려지고 수직 중립 위치로 복귀되어 돔 형상 가동 접점(38)은 내측 고정 접점(34)으로부터 분리되어, 스위치 접점은 오프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42)의 상면이 있는 곳을 가압함으로써, 가압된 위치(방향)에 대응한 단자(45 내지 47)를 통해서, 스위치로부터 외부로 신호가 공급된다.
손잡이(42)의 상면 단부를 하방으로 눌러 조작체(40)를 기울여 조작할 때에, 조작체(40)의 플랜지부(40A)와 케이스(31)의 내벽이 사각형의 네개의 각부(31A)에서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조작체(40), 즉 손잡이(42)가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접점간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42), 즉 조작체(40)를 기울여 조작할 때에, 조작체(40)의 축부(40B)의 구멍(40C)과 손잡이(42)의 각부(42A) 사이의 결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흔들리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구멍(40C)과 각부(42A)는 긴 치수의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덜거덕거림이 작다.
다음에, 도 10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40)의 축부(40B)에 장착된 손잡이(42)의 상면 중앙부, 즉 조작체(40)의 축부(40B)를 상방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압하여, 조작체(40)를 밀어 내리면, 조작체(40)의 플랜지부(40A)의 하면에 배치된 내측 가압부(41) 및 중앙 가압부에서의 전도체(50)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서,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반전 동작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조작체(40)의 하면 중앙의 전도체(50)를 통해 돔 형상 가동 접점(38)과 중심 고정 접점(48)이 접촉하여, 외측 고정 접점(33)과 중심 고정 접점(48) 사이가 온된다. 이것에 의해서 발생한 신호는 단자(49)를 통해서 외부로 발생된다.
손잡이(42)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돔 형상 가동 접점(8)의 복원력에 의해서 조작체(40)가 밀어 올려지고, 수직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한 개의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하방에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과 중심 고정 접점(48)을 설치하여, 조작체(40)의 축부(40B)를 기울이는 각각의 방향과 조작체(40)의 축부(40B)를 수직으로 가압하는 방향에 대응한 스윗칭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구성 부품수가 감소되어, 외경 및 두께가 작게 되며,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경도 조작 시에도, 조작체의 하면의 내측 가압부(41)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눌러 내려 부분 반전시킴으로써, 명확한 클릭감을 생기게 한다.
또한, 내측 가압부(41)는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에 각각 대응한 위치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도 되고, 혹은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에 각각 대응한 위치에 정점이 설치되어 있는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측 가압부(41)의 단부가 약간의 곡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내측 가압부(41) 전체를 전도체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중심 가압부로 되는 전도체(50)를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하면, 그 탄력성에 의해서 접점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중심 가압부(50)와 내측 가압부(41)를 일체의 전도체로 형성하면, 플랜지부(40A)의 하면이 간단한 구조로 되어, 소형화의 실현을 위해 유리하다.
여기에서, 클릭감에 따른 조작감은 일반적으로, 도 11 의 특성도와 같이 도식화된다. 도 11 의 특성도는 돔 형상 가동 접점을 밀어 내리는 조작에 있어서의 조작 스트로크에 대한 조작력의 변화를 나타낸다. 통상은 돔 형상 가동 접점의 반전 조작력(A)과 반발 복귀력(B)의 비 B/A=약 40% 내지 약 60% 일 때가 바람직한 조직감으로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의 바람직한 조건을 만족하는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형상에 관한 검토 결과를, 도 12(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형상, 특히 케이스(31)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외측 고정 접점(33),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 및 중심 고정 접점(48)의 배열 상태를 고려하면,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을 외측 고정 접점(33)과 중심 고정 접점(48)의 거의 중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각 고정 접점간의 전기적 절연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해서이고, 특히 소형화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외경(D)과 내측 가압부(41)의 직경(d)의 비율 d/D=50%를 전체 조건으로서, 내측 가압부(41)의 단부에서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밀어 내려 동작시키는 경우에 관하여,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저면과 외주의 원추대 형상 부분의 경사면부가 이루는 각도(θ) 및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전체의 높이(H)와 원추형상 부분의 높이(h) 사이의 비 h/H를 여러가지로 바꾸면서, 조작감이 최적으로 되는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형상을 검토하였다.
도 12(b) 는 돔 형상 가동 접점(38) 및 내측 가압부(41)의 모식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상술의 D, d, θ, H, 및 h를 설명하고 있다. 도 12(a) 는 횡축에 θ, 세로축에 h/H의 값을 잡고, θ와 h/H의 각 조합에 있어서, 앞서 기술된 비 B/A가 어떠한 값을 갖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a) 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바람직한 조작감을 준다고 일반적으로 말할 수 있는 반전 동작력(A)과 반발 복귀력(B)의 비 B/A=40% 내지 60%를 나타내는 플롯 ◎는 θ= 약 25도 내지 약 35도, 또한 h/H= 약 70% 내지 약 95%의 범위에 존재한다. 또, 도 12(a) 의 결과를 d/D=50%에 고정하여 얻은 결과이지만, d/D= 약 40% 내지 약 60%의 범위에서 변화시켜 같은 검토를 행하여도, 상기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θ= 약 25도 내지 약 35도 또한 h/H= 약 70% 내지 약 95%를 만족하는 형상을 갖는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사용함으로써, 손잡이(42), 즉 조작체(40)를 기울여 조작하는 경우 및 밀어 내려 조작하는 경우의 양방향에 있어서, 양호 또한 명료한 클릭감을 얻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양호한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을 배치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조작체(40)의 축부(40B)를 경도시킴으로써, 4방향의 스윗칭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조작체(40)의 축부(40B)를 인접한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이면, 조작체(40)는 커버(32)의 이면에 접촉한 플랜지부(40A)의 상면이 경사진 방향과는 반대측의 정점부를 지점으로서 기울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조작체(40)를 경사진 방향의 바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모두 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에 있어서, 외부 출력 단자에 접촉된 마이크로 컴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소정의 스윗칭 인식 회로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작체(40)의 축부(40B)를 인접한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인접하는 2개의 스위치 점점의 온 타이밍이 어긋났을 때에, 그 어긋난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에 또한 시간 측정 회로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된 어긋난 시간(타이밍차)이 어느 소정의 시간차 이내이면 동시에 온되었다고 판단하고, 개별의 스위치 접점만이 온된 경우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한다. 이것에 의해서, 내측 고정 접점의 설치수의 2배수의 방향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4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에 의해서 8방향의 신호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 는 도 13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 는 도 13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다. 단지,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31)의 저면에 중심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하는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수지제의 상자형 케이스(31)를 갖고, 그 개구부가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32)로 덮어져 있다. 케이스(31)의 저면부에는 탄성 금속 박판제의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가 실린 4개의 외측 고정 접점(33) 및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은 각 외측 고정 접점(33)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고정 접점(33 내지 37)의 각각은 외부 회로에의 접촉을 위한 단자(43 내지 47)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도 16(A) 은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가 있는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은 조작체(40)의 상면을 도 16 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눌러서 조작체(40)를 기울여 조작하였을 때에,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반전하고 그 중앙 하면이 접촉하는 케이스(31)의 저면 중앙부(31B)와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 사이의 높이의 차 H(도 16(B)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이외의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이 돔 형상 가동 접점(38)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7(A) 및 (B)는 각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형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형상 가동 접점(38)에 슬릿(38B)이나 리브(38C)를 설치함으로써, 조작체(40)를 기울여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반전시켰을 때에,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피가압부 이외의 반전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피가압부 이외의 내측 고정 접점과, 돔 형상 가동 접점(38)간의 절연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고, 확실하고 안정된 스윗칭이 실현되는 동시에, 클릭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 메카니즘은 조작체(40)의 푸시 조작에 관한 점을 제외하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 메카니즘과 동일하다. 또한, 이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사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도, 제 1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장치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체(40)의 상방향 선단부(40C)에 장착된 손잡이(42)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힘을 가하고, 즉, 조작체(40)를 상방으로부터 수직으로 밀어 내리면, 조작체(40)의 하면에 배치된 가압부(41)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서,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반전시켜,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중에 2개 이상이 온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 중에, 적어도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2개가 모두 온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에 있어서, 외부 출력 단자에 접촉된 마이크로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에 소정의 스윗칭 인식 회로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작체(40)를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제 2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행한 설명을 참조)와 같이, 대각 방향의 2개의 스위치 접점의 온 타이밍이 어긋났을 때에, 그 어긋난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에 또한 시간 측정 회로부를 설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된 어긋난 시간(타이밍 차)이 어느 소정의 시간차 이내이면 동시에 온된다고 판단하고, 개별의 스윗치 접점만이 온된 경우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한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와 같이, 중심 고정 접점이 케이스(31)의 저면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푸시 조작에 의한 스윗칭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내측 고정 접점의 설치수의 2배수의 방향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실시형태]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 은 도 19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다. 단지,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31)의 저면에 중심 고정 접점(160)이 설치되어 있고, 중심 고정 접점(160)은 또한 외부 출력용 단자(161)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40)의 하면에는 중심 고정 접점(160)에 대응하는 중앙 가압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하는 것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는 조작체(40)의 하면에 설치된 내측 가압부(41)의 조작체(40)의 하면에서의 높이가 중앙 가압부(162) 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손잡이(42)의 수직의 힘을 가하여 조작체(40)를 밀어 내리고, 조작체(40)의 중앙 가압부(162)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반전시켜도, 내측 가압부(41)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가압하지 않는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 메카니즘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 메카니즘과, 실질적으로 같다. 또한, 이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도, 제 1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장치와 같이 구성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2 는 도 21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3 은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또한 조작부(40)의 플랜지부(40A)의 상면과 커버(32)의 이면 사이에 시트상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51)를 삽입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체(51)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함에 따라, 케이스(31), 커버(32), 조작체(40) 및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가공이나 조합시에 약간의 크기 변동이나 격차가 생겨도 탄성체(51)의 휘는 범위내에 있으면, 탄성체(51)가 휘어짐에 따라 그와 같은 크기의 변동이나 격차가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서, 조작체(40)에 덜거덕거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도 23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40)의 구멍(40C)에 장착된 손잡이(42) 상면의 일측 단부(도 23 에서는 좌측 단부)를 누르면, 조작체(40)는 플랜지부(40A) 상면의 우측 정점부(40D)를 지점으로 하여 기울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조작체(40) 하면의 내측 가압부(41)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눌러서 부분적으로 반전시킨다. 이 결과, 클릭감이 생기는 동시에, 케이스(31)의 저면부가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내측 고정 접점(34)과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접촉하여, 외측 고정 접점(33)과 내측 고정 접점(34)의 사이가 온 된다. 이에 따라 발생한 신호는 단자(43, 44)를 통해서 외부로 공급된다.
상기의 동작에 있어서, 탄성체(51)는 정점부(41D)에 국부적으로 눌려져서 다른 부분보다도 크게 압축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체(40)의 축부(40B)의 경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40)의 축부(40B)의 경도시의 충격력, 또한 조작체(40)에 이상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그 힘을 또한 압축 변형함으로써 흡수하여 스위치 접점부를 보호한다.
[제 6 실시형태]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5 는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31) 저면의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에 대응한 조작체(40) 하면의 내측 가압부를 고무 등의 탄성체(52)로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체(40)의 하면에 설치한 링 형상의 오목부(40E)에 탄성체(52)가 압입 장착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체(52)는 케이스(31) 저면의 외측 고정 접점(33) 상에 놓여진 돔 형상 가동 접점(38)에 접촉하여 있지만, 그 압축 변형력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반전 동작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5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40)의 구멍(40C)에 장착된 손잡이(42) 상면의 일측 단부(도 25 에서는 좌측 단부)를 누르면, 조작체(40)는 플랜지부(40A) 상면의 우측 정점부(40D)를 지점으로 하여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서, 조작체(40) 하면의 탄성체(52)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눌러서 부분적으로 반전시킨다. 이 결과, 클릭감이 생기는 동시에, 케이스(31) 저면이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내측 고정 접점(34)과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접촉하여 외측 고정 접점(33)과 내측 고정 접점(34)의 사이가 온된다. 이에 따라서 발생한 신호는 단자(43 및 44)를 통해서 외부로 공급된다.
상기의 동작에 있어서, 탄성체(51)는 손잡이(42)에 큰 힘이 가해지면, 탄성체(52)는 압축 변형되어 그 힘이 흡수된다. 또한, 조작체(40)의 축부(40B)가 커버(32) 중앙의 관통 구멍(32A)의 주위에 설치된 벽부(32B)에 접촉하여, 조작체(40)가 더욱 기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손잡이(42)를 통해 조작체(40) 상면 중앙에 하향의 큰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탄성체가 압축 변형되어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손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 이상에서는 제 1 실시형태 구성의 개변으로서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있지만, 도 26 및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의 개변으로서, 본 실시형태의 탄성체(52)를 조작체(40) 저면의 링 형상 오목부(40E)에 설치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돔 형상 가동 접점(38)과 케이스(31)의 외측 고정 접점(33) 사이에 도 29 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도성 탄성체(53)를 배치하고 있다. 이 전도성 탄성체(53)는 돔 형상 가동 접점(38)의 반전 동작력보다도 약간 작은 반발력을 가지며, 전도성 탄성체(53)의 설치에 의해서,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케이스(31)의 저면으로부터 약간 「뜬 상태」에 위치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 은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가 어떠한 조작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40)의 구멍(40C)에 장착된 손잡이(42)의 상면의 일측 단부(도 30 에서는 좌측 단부)를 누르면, 조작체(40)는 플랜지부(40A) 상면의 우측 정점부(40D)를 지점으로서 기울어진다. 이것에 의해서,조작체(40)의 하면의 내측 가압부(41)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누른다. 이 때, 돔 형상 가동 접점(38)과 케이스(31)의 외측 고정 접점(33) 사이의 전도성 탄성체(53)가 눌려져서 오그라듬에 따라, 조작체(40) 하면의 내측 가압부(41)에 의해서 눌려진 돔 형상 가동 접점(38)은 조작체(40)의 플랜지부(40A)의 도면중에서 좌측이 제 1 실시형태의 대응하는 단계에서 보다 크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반전한다. 이에 따라서, 클릭감이 생기는 동시에, 케이스(31) 저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내측 고정 접점(34)과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접촉하고, 외측 고정 접점(33)과 내측 고정 접점(34)의 사이가 온된다. 이에 수반하여 발생한 신호는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외부로 공급된다.
손잡이(42)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돔 형상 가동 접점(38) 및 전도성 탄성체(53)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체(40) 하면의 내측 가압부(41)가 눌려서 올려지고, 조작체(40)는 수직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서,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내측 고정 접점(34)으로부터 멀어지고,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도, 손잡이(42) 상면의 어떠한 부분을 누름에 따라, 눌려진 위치(방향)에 대응한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스위치로부터 외부로 신호가 공급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중립상태에 있어서의 내측 고정 접점(34 내지 37)과 돔 형상 가동 접점(38)이 용이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양자간에 큰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위치의 오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40)를 보다 큰 각도까지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확실하고도 안정한 스윗칭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는 제 1 실시형태 구성의 개변으로서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있지만, 도 31 및 도 3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 구성의 개변으로서, 본 실시형태의 전도성 탄성체(53)를 돔 형상 가동 접점(38)과 케이스(31)의 외측 고정 접점(33)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제 8 실시형태]
도 33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조작체(40)의 구멍(40C)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42)의 각부(42A)의 외주부에, 또한 볼록 형상의 계지 클릭(42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멍(42C)의 내측 벽면에는 이 계지 클릭(42B)이 결합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40F)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손잡이(42)의 각부(42A)를 조작중에 조작체(40)의 구멍(40C)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하여 보유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도 34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조작체(40)의 구멍(40C)과 손잡이(42) 각부(42A)의 사이의 결합 부분의 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구멍(40C)의 상부(40G)가 큰 직경을 가지며, 하부(40H)가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이들에 대응하는 각부(42A)의 상부(42C)가 큰 직경을 가지고, 하부(42D)가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상부(40G 및 42C) 및 하부(40H 및 42D)를 각각에 압입 결합되고, 손잡이(42)를 조작체(40)에 장착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도, 큰 직경을 갖는 상부의 상측 단부로부터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축부(40B)의 커버(32)로부터의 돌출길이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조작체(40)와 손잡이(42) 사이의 유효 결합 길이는 제 1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의 값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조작체(40)의 구멍(40C)과 손잡이(42) 각부(42A) 사이의 결합 부분의 덜거덕거림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2)를 기울여서 조작할 때에 큰 힘이 인가되는 조작체(40)의 축부(40B)의 하단부 및 손잡이(42)의 각부(42A) 중에서 마찬가지로 큰 힘이 인가되는 큰 직경을 갖는 상부(42C)의 두께를 큰 값으로 설정하고, 한편, 손잡이(42)를 기울여서 조작할 때에 큰 힘이 인가되지 않는 조작체(40) 축부(40B)의 상단부, 및 손잡이(42)의 각부(42A) 중에서 마찬가지로 큰 힘이 인가되지 않는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42D)의 두께를 작은 값에 설정하면, 조작체(40) 축부(40B)의 외부 직경을 크게 하지 않고서, 손잡이(42)를 기울여서 조작시키는 경우의 기계적 응력에 대한 내성을 크게 할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6(A)는 도 35 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6(B) 는 그 구성상의 주요부인 조작체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7 은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떠한 조작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의 저면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중심 고정 접점을 대신하여, 케이스(60)의 저면 중앙에, 돔 형상 가동 접점(38) 중앙의 구멍(38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앙 돌기부(60A)를 설치하고, 한편, 조작체의 중심 가압부가 되는 전도체를 대신하여, 조작체(61)의 플랜지부(61A)의 하면의 중앙에, 상기 중앙 돌기부(60A)에 끼워 맞추는 지지용 오목부(61B)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붙이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로 끼워 맞추는 중앙 돌기부(60A) 및 지지용 오목부(61B)를 설치함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조작체(61)를 기울인 경우에만 스윗칭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 도 37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42)의 일측 단부(도 37 의 예에서는 좌측)를 하방으로 누르면, 조작체(61)가 플랜지부(61A) 상면의 정점부(61C)를 지점으로서 기운다. 이것에 의해서, 플랜지부(61A) 하면의 내측 가압부(61D)가 돔 형상 가동 접점(38)을 눌러서 부분 반전시키고, 클릭감을 발생시키면서 스윗칭을 행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케이스(60) 저면 중앙의 중앙 돌기부(60A)가 조작체(61)의 플랜지부(61A)의 하면의 지지용 오목부(61B)와 끼워 맞춤으로써, 조작체(61)와 케이스(60) 사이의 위치 관계가 가로방향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정확히 보유된다. 이것에 의해서, 명확한 클릭감을 수반한 확실하고 안정된 스윗칭이 달성된다.
또, 이상 설명에서는 케이스(60)에 돌기부(60A)를 설치하고, 조작체(61)의 플랜지부(61A)의 하면에 지지용 오목부(61B)를 설치하고 있지만, 조작체(61)의 플랜지부(61A)의 하면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케이스(60)에 지지용 오목부(61B)를 설치하고, 양자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다방향 조작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체 통신기기로의 응용을 예로 들면, 예를 들면 휴대전화라든지 페이저 등의 동체 통신 기기로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할 때, 조작체의 축부를 경도 조작함에 의해 액정 화면 등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이나 메뉴, 문자 등의 스크롤 혹은 검색을 행하고, 축부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메뉴의 확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푸시조작에 의해서 발신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종 리모콘이나 오디오 기기로의 응용을 예로 들면, 각종 리모콘이나 오디오 기기로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할 때, 조작체 축부의 푸시 조작을 반복함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제어라든지 재생/정지 조작 등을 차례로 전환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축부를 전후 방향으로 경도하는 조작과 좌우 방향으로 경도하는 조작(방향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선국, 선곡, 음량 조정, 빨리 감기, 돌려 감기 등의 명령 세트를 미리 할당하고, 축부의 경도 조작에 의해 미리 할당된 명령의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축부의 푸시조작에 의해, 명령이 할당 상태의 전환(예를 들면, 제 1 명령 세트와 제 2 명령세트 사이의 전환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게임기기나 카 네비게이션 기기로의 응용을 예로 들면, 게임기나 카 네비게이션 기기에 본 발명의 다방향 스위치를 장착할 때, 축부를 경도 조작함에 의해 디스플레이상의 캐릭터라든지 지도를 축부의 경도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고, 축부를 푸시 조작함에 의해 지도 배율의 전환이나 캐릭터 점프 동작 등, 미리 정해진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카메라로의 응용을 예로 들면, 전자 카메라에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할 때, 축부를 경도 조작함에 의해서 셔터 속도라든지 조리개값 등의 설정을 행한 후에, 축부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상기에서 설정한 내용을 확정하거나, 혹은 축부를 경도 조작함에 의해 파인더 내에서의 초점 대상 위치를 설정한 후, 축부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초점을 맞추고, 또한 일정 시간내에 재차 축부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셔터를 누르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기기로의 응용을 예로 들면, 컴퓨터 기기로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할 때, 축부를 경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이동이나 메뉴 선택을 행하고, 축부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선택 내용의 확정이나 선택한 명령의 실행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여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도 조작을 다방향에 대하여 행할 수 있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 그 구성 부품수를 적게 하고, 스위치의 외부 직경 및 두께, 손잡이를 포함시킨 전체 구성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저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면서, 조작체를 비스듬히 기울여서 스윗칭을 행할 때에도 클릭감이 제공되고, 확실하고도 안정된 스윗칭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가 제공된다. 또한, 소정의 위치에 중심 고정 접점을 마련하면, 조작축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 푸시조작에 의해서 신호가 발생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물론, 푸시조작에 있어서도, 양호한 클릭감이 발생된다.
또한, 내측 고정 접점이 마련되어 있는 위치의 중간 방향으로 조작축을 기울인 경우라든지 조작축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 푸시 조작에 있어서 발생되는 신호와는 다른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 다방향 조작 장치를 구성하면, 다양한 조작이 간단한 방법으로써의 집중처리와 전체 구성의 소형 박형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여러가지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포함되는 돔 형상 가동 접점은 예를 들면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강판, 스프링용 청동판, 혹은 베릴륨 동판 등 적절한 용수철 특성을 가지고 원하는 부분 반전을 실현하는 재료로써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적절한 재료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경도 조작시에도 클릭감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8)

  1. 탄성을 갖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돔 형상 가동 접점과,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가 재치되는 외측 고정 접점과,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외측 가장자리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내측이며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이면서 등각도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을 저면에 갖는 상자형 케이스와,
    해당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갖는 커버와,
    축부와 해당 축부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조작체로서,
    해당 축부가 해당 커버의 해당 관통구멍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해당 플랜지부의 상면이 해당 커버의 이면에 접하며, 외주가 해당 케이스 내벽으로 회전은 하지 않지만 경도 및 상하 동작은 가능한 상태에서 결합 지지되고, 하면 중에서 해당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에 대응한 부분에 각각 제 1 가압부가 설치되며, 해당 복수의 제 1 가압부가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에 접촉하는 조작체를 구비하며,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여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도 조작을 다방향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상기 경도 조작시에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그 저면 중에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중심 고정 접점을 가지며,
    상기 조작체가 그 하면 중에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중심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2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부 각각의 높이는 상기 제 2 가압부의 높이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 고정 접점은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의 각각의 높이는 해당 중심고정 접점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그 중앙에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상기 구멍보다도 큰 오목부를 갖는 다각형 링 형상 가압부 혹은 원형 링 형상 가압부이며,
    상기 제 2 가압부는 해당 제 1 가압부의 해당 오목부에 해당 제 1 가압부와 거의 같은 높이의 전도체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가 그 저면 중에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해당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외측 고정 접점보다도 높게 돌출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체가 그 하면의 중앙에 해당 케이스의 해당 중앙 돌기부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그 중앙에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상기 구멍보다도 큰 오목부를 그 중앙에 갖는 다각형 링 형상 가압부 혹은 원형 링 형상 가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부 각각이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압부가 탄성을 갖는 전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가 전도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 접점과,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사이에 배치된, 해당 돔 형상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력보다도 작은 반발력을 갖는 전도성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이면과 상기 조작체의 상기 플랜지 상면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은 그 외주부가 원추대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 부분은 중앙이 약간 부풀어진 거의 구면 형상을 가지며, 해당 원추대 형상과 해당 대략 구면 형상 사이의 경계는 완만한 곡선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은 탄성 금속 박판의 스로틀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상기 원추대 형상의 사면과 저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25도 내지 약 35도이고,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전체 높이에 대한 해당 원추대 형상의 높이 비율이 약 70% 내지 약 95%이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외부 직경에 대한 상기 조작체의 제 1 가압부 직경의 비율이 약 40% 내지 약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축부의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을 항하여 설치된 구멍을 가지며,
    각부를 갖는 손잡이가 각부를 조작체의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조작체에 결합되어 있고,
    구멍의 깊이는 축부의 상기 커버로부터의 돌출길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구멍의 내벽면에 오목부 혹은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상기 각부의 외주면에, 조작체의 오목부 혹은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볼록부 혹은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상기 구멍 및 조작 손잡이의 각부의 각각은 상부가 하부와 비교하여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20. 제 1 항에 기재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에 있어서,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체의 상기 축부를 수직 하방으로 눌러서 내리면, 상기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의 적어도 대각 방향의 2개가 동시에 온되며,
    장치는 해당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 2개가 동시에 온 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를 단체의 해당 내측 고정 접점만이 온 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체의 상기 축부를 상기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 인접하는 2개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이면, 해당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동시에 온되고,
    상기 처리부는 해당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동시에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를 단체의 내측 고정 접점만이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상기 신호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2. 제 1 항에 기재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에 있어서,
    해당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체의 상기 축부를 상기 복수의 내측 고정 접점 중의 인접하는 2개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이면, 해당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함께 온되고,
    해당 장치는 해당 인접하는 2개의 내측 고정 접점이 동시에 온 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를 단체의 내측 고정 접점만이 온 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와는 다른 신호로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그 저면 중에서 상기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중심 고정 접점을 또한 가지며,
    상기 조작체가 그 하면 중에서 돔 형상 가동 접점의 중심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2 가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의 축부의 경도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복수의 표시 항목 중에서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고,
    축부의 푸시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선택된 항목을 확정하는 다방향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조작부의 축부의 경도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복수의 백터 신호의 미리 할당된 벡터 방향 신호를 선택하고, 표시되어 있는 대상물을 선택된 벡터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축부의 푸시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이동한 대상물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의 상기 축부의 푸시 조작을 소정 시간 내에 복수회 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검지된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명령 신호를 차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의 상기 축부의 푸시 조작시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지하여, 검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축부의 경도 조작시에 축부 각각의 경도 방향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명령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순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의 축부의 경도 조작시에, 축부를 소정의 경도 방향으로 경도함으로써, 해당 경도 방향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의 업·다운 조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장치.
KR1019970053283A 1996-10-17 1997-10-17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 KR19980032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74419 1996-10-17
JP27441996A JP3812008B2 (ja) 1996-10-17 1996-10-17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97-123700 1997-05-14
JP12370097 1997-05-14
JP97-199622 1997-07-25
JP19962297A JP3814959B2 (ja) 1997-05-14 1997-07-25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20A true KR19980032920A (ko) 1998-07-25

Family

ID=2731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283A KR19980032920A (ko) 1996-10-17 1997-10-17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89242A (ko)
EP (1) EP0837419B1 (ko)
KR (1) KR19980032920A (ko)
CN (1) CN1107330C (ko)
DE (1) DE69736046T2 (ko)
MY (1) MY127524A (ko)
SG (1) SG65689A1 (ko)
TW (1) TW3732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98B1 (ko) * 2000-08-22 2005-05-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다방향 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8813B2 (ja) * 1998-07-03 2007-12-0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837926B2 (ja) 1998-07-30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形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0224280A (ja) 1999-01-28 2000-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JP3531540B2 (ja) 1999-06-10 2004-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330704B2 (ja) * 1999-06-21 2009-09-1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3900749B2 (ja) 1999-07-16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CN100474476C (zh) 1999-10-01 2009-04-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5向按键操纵装置
GB2355143A (en) * 1999-10-08 2001-04-11 Nokia Mobile Phones Ltd Fast scrolling through data by simultaneous depression and displacement of user input device
JP3875438B2 (ja) 1999-12-16 2007-01-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1221700A (ja) * 2000-02-08 2001-08-17 Nitta Ind Corp 静電容量式センサ
JP2001283690A (ja) * 2000-03-29 2001-10-12 Hosiden Corp 多接点入力装置
JP3819676B2 (ja) 2000-06-02 2006-09-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3890863B2 (ja) * 2000-08-23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100879B2 (ja) * 2001-03-12 2008-06-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4123793B2 (ja) * 2002-03-01 2008-07-23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4006069A (ja) * 2002-03-26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スイッチならびに多方向操作ユニット
FR2840447B1 (fr) * 2002-05-30 2004-11-26 Itt Mfg Entpr S Inc Commutateur electrique miniaturise a voies multiples de commutation
US7480522B2 (en) * 2002-12-31 2009-01-20 Nokia Corporation Rocker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US20050061639A1 (en) * 2003-09-22 2005-03-24 Stringwell Roderick W. Switch stabilizer
US6791037B1 (en) * 2003-12-22 2004-09-14 Zippy Technology Corp. Multi-direction switch
JP2005302462A (ja) * 2004-04-09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TWI255477B (en) * 2005-01-07 2006-05-21 Lite On It Corp Touching rib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US7337671B2 (en) 2005-06-03 2008-03-04 Georgia Tech Research Corp. Capacitive microaccelerometers and fabrication methods
JP4673695B2 (ja) * 2005-07-29 2011-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DE102006003415A1 (de) * 2006-01-24 2007-08-02 Siemens Ag Verfahren zur Analyse einer Probe
US7578189B1 (en) * 2006-05-10 2009-08-25 Qualtre, Inc. Three-axis accelerometers
US8108092B2 (en) 2006-07-14 2012-01-3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behaviors for a remote vehicle
US7843431B2 (en) * 2007-04-24 2010-11-30 Irobot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 remote vehicle
US8077883B2 (en) * 2007-01-11 2011-12-13 Xfrm Incorporated Intelligent solo-mute switching
US7902474B2 (en) * 2008-05-01 2011-03-08 Apple Inc. Button assembly with inverted dome switch
KR20100075165A (ko)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M413205U (en) * 2011-03-08 2011-10-01 Weistech Technology Co Ltd Portable appliance key module structure
DE102011010229A1 (de) * 2011-02-03 2012-08-09 Audi Ag Vorrichtung zur Bedienung mehrerer unterschiedlicher Funktionen eines Kraftfahrzeugs
JP5224076B2 (ja) 2011-03-24 2013-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入力装置
JP5299716B2 (ja) 2011-03-24 2013-09-25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入力装置
JP2012204069A (ja) * 2011-03-24 2012-10-22 Denso Corp 操作入力装置
JP5360509B2 (ja) 2011-03-24 2013-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入力装置
US9429978B2 (en) * 2013-01-25 2016-08-30 Woodward, Inc. Passive control stick
CN107851530B (zh) * 2015-07-24 2020-05-19 信越聚合物株式会社 按钮开关用部件
JP6954189B2 (ja) * 2018-03-09 2021-10-27 オムロン株式会社 切替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装置
CN108682587A (zh) * 2018-08-24 2018-10-19 商洛市虎之翼科技有限公司 一种多向开关
CN108930920A (zh) * 2018-08-24 2018-12-04 商洛市虎之翼科技有限公司 一种多向开关照明装置
US10635188B2 (en) * 2018-09-17 2020-04-28 Facebook Technologies, Llc Magnetic user input assembly of a controller device
JP7138191B2 (ja) * 2018-11-20 2022-09-1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JP2022174352A (ja) * 2019-10-29 2022-11-2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KR20210078782A (ko) * 2019-12-19 2021-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방향 스위치
CN118197845B (zh) * 2024-05-17 2024-08-06 宁波普瑞均胜汽车电子有限公司 微行程开关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8476A (en) * 1954-06-25 1957-10-01 Gen Motors Corp Electric switch
US2849549A (en) * 1956-11-13 1958-08-26 Gen Motors Corp Electric switch
US4428649A (en) * 1981-06-26 1984-01-31 Cherry Electrical Products Corporation Power mirror control switch
US4394548A (en) * 1982-03-08 1983-07-19 Amp Incorporated Joystick switch
US4486629A (en) * 1983-07-18 1984-12-04 Coleco Industries, Inc. Joystick controller
GB2144582B (en) * 1983-08-05 1987-06-10 Nintendo Co Ltd Multi-directional electrical switch
US4501939A (en) * 1983-11-04 1985-02-26 Personal Peripherals Inc. Digital joystick controller
JPS614326U (ja) * 1984-06-14 198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操作装置
US4947461A (en) * 1989-03-03 1990-08-07 Murakami Kaimeido Co. Ltd. Multi-position electrical switch
DE4118743C2 (de) * 1991-06-05 1994-07-28 Mannesmann Ag Mehrstufenschalter
US5378862A (en) * 1992-08-18 1995-01-03 Casio Computer Co., Ltd. Universal pivot switch with a hemispheric pivotal support member
US5510584A (en) * 1995-03-07 1996-04-23 Itt Corporation Sequentially operated snap action membrane switch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98B1 (ko) * 2000-08-22 2005-05-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다방향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6046T2 (de) 2007-05-10
TW373204B (en) 1999-11-01
EP0837419A2 (en) 1998-04-22
EP0837419A3 (en) 2002-11-06
US5889242A (en) 1999-03-30
MY127524A (en) 2006-12-29
CN1107330C (zh) 2003-04-30
CN1180915A (zh) 1998-05-06
DE69736046D1 (de) 2006-07-20
EP0837419B1 (en) 2006-06-07
SG65689A1 (en) 199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920A (ko)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
JP353154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8283583B2 (en) Switch
KR20010029954A (ko)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
JP3896734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8262720A (ja) 多方向入力装置
US6979785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KR20020072775A (ko) 2 개의 가동접점을 통하여 전환조작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KR100477775B1 (ko) 다방향 스위치장치
CN111919275A (zh) 多方向输入装置
US670357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JP3812008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4213019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814959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WO2021085309A1 (ja) スイッチ装置
JP2010003424A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489998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4720470B2 (ja) 複合スイッチ
JP3097504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4662351B2 (ja) 多方向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68893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52237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227006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3047746B2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3841557B2 (ja) 多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914

Effective date: 200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