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871U -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871U
KR19980032871U KR2019960045770U KR19960045770U KR19980032871U KR 19980032871 U KR19980032871 U KR 19980032871U KR 2019960045770 U KR2019960045770 U KR 2019960045770U KR 19960045770 U KR19960045770 U KR 19960045770U KR 19980032871 U KR19980032871 U KR 199800328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s
fixed
seat rail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2770Y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5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7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플로워판넬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시트레일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를 고정하는 제 1,2시트레일(7,8)이 단지 차량용 플로워인너판넬(4)의 제 1,2지지브라켓(5,6)에 취약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물리적 충격으로 부터 차량용 시트의 제 1,2시트레일(7,8)이 쉽게 탈거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용 플로워인너판넬(4)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의 사이에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보강브라켓(11,1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보강브라켓(11,12)은 각각의 일단이 차량용 사이드인너판넬(3)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지지브라켓(5)측 제 1,2보강브라켓(11,12)에 상응하여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타측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의 사이에도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패치브라켓(13,14)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패치브라켓(13,14)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터널부(9)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에 상호 동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물리적 충격으로 부터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좀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플로워판넬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시트레일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플로워판넬의 양측 소정부위에 각각 고정되는 제 1,2지지브라켓측에 상기 시트레일의 장착을 강화하는 보강수단을 구비하여 차량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물리적 충격에도 차량용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레일이 좀더 견고하게 위치유지될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실내의 소정부위에는 시트(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구비되는 바 상기 시트(도시되지 않음)는 차량의 플로워아웃터판넬(1)측 절곡식 패치판넬(2)과 사이드인너판넬(3)의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플로워인너판넬(4)의 제 1,2지지브라켓(5,6)측 제 1,2시트레일(7,8)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고정하는 제 1,2시트레일(7,8)이 단지 차량용 플로워인너판넬(4)의 제 1,2지지브라켓(5,6)에 취약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차량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물리적 충격으로 부터 차량용 시트(도시되지 않음)의 제 1,2시트레일(7,8)이 쉽게 탈거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물리적 충격으로 부터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좀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플로워인너판넬의 일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시트의 시트레일을 나타내는 개략 부분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플로워아웃터판넬 2: 절곡식 패치판넬 3: 사이드인너판넬 4: 플로워인너판넬 5,6: 제 1,2지지브라켓 7,8: 제 1,2시트레일 9: 터널부 10: 보강빔 11,12: 제 1,2보강브라켓 13,14: 제 1,2패치브라켓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용 플로워인너판넬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제 1지지브라켓과 제 1시트레일의 사이에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보강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보강브라켓은 각각의 일단이 차량용 사이드인너판넬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지지브라켓과 제 1시트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지지브라켓측 제 1,2보강브라켓에 상응하여 상기 플로워인너판넬의 타측 제 2지지브라켓과 제 2시트레일의 사이에도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패치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패치브라켓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플로워인너판넬의 터널부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2지지브라켓과 제 2시트레일에 상호 동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플로워아웃터판넬(1)의 터널부(9)측 절곡식 패치판넬(2)과 사이드인너판넬(3)을 사이로 하여 고정되는 플로워인너판넬(4)의 상측 제 1,2지지브라켓(5,6)에 소정의 보강빔(10)을 통해 각각 고정되는 제 1,2시트레일(7,8)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의 사이에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보강브라켓(11,1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보강브라켓(11,12)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사이드인너판넬(3)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지지브라켓(5)측 제 1,2보강브라켓(11,12)에 상응하여 상기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의 사이에도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패치브라켓(13,14)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패치브라켓(13,14)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터널부(9)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에 상호 동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용 플로워인너판넬(4)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의 사이에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보강브라켓(11,1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보강브라켓(11,12)은 각각의 일단이 차량용 사이드인너판넬(3)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지지브라켓(5)측 제 1,2보강브라켓(11,12)에 상응하여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타측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의 사이에도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패치브라켓(13,14)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패치브라켓(13,14)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터널부(9)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에 상호 동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물리적 충격이 차량용 시트(도시되지 않음)의 제 1,2시트레일(7,8)에 가해져도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제 1지지브라켓(5)에 각각 고정된 제 1,2보강브라켓(11,12)과 상기 제 2지지브라켓(6)에 고정된 제 1,2패치브라켓(13,14)에 의해서 상기 제 1,2시트레일(7,8)이 견고히 위치유지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는 차량용 플로워인너판넬(4)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의 사이에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보강브라켓(11,1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보강브라켓(11,12)은 각각의 일단이 차량용 사이드인너판넬(3)의 일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지지브라켓(5)측 제 1,2보강브라켓(11,12)에 상응하여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타측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의 사이에도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패치브라켓(13,14)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패치브라켓(13,14)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터널부(9)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에 상호 동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정면충돌시 발생되는 물리적 충격으로 부터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자를 좀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용 플로워아웃터판넬(1)의 터널부(9)측 절곡식 패치판넬(2)과 사이드인너판넬(3)을 사이로 하여 고정되는 플로워인너판넬(4)의 상측 제 1,2지지브라켓(5,6)에 소정의 보강빔(10)을 통해 각각 고정되는 제 1,2시트레일(7,8)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의 사이에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보강브라켓(11,1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보강브라켓(11,12)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사이드인너판넬(3)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지지브라켓(5)과 제 1시트레일(7)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지지브라켓(5)측 제 1,2보강브라켓(11,12)에 상응하여 상기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의 사이에도 추가로 소정형상의 제 1,2패치브라켓(13,14)이 구비되되, 상기 제 1,2패치브라켓(13,14)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플로워인너판넬(4)의 터널부(9)측 소정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제 2지지브라켓(6)과 제 2시트레일(8)에 상호 동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KR2019960045770U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KR200142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770U KR200142770Y1 (ko)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770U KR200142770Y1 (ko)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871U true KR19980032871U (ko) 1998-09-05
KR200142770Y1 KR200142770Y1 (ko) 1999-06-01

Family

ID=1947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770U KR200142770Y1 (ko) 1996-12-05 1996-12-05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7015B1 (fr) * 2020-02-06 2024-04-1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Ensemble de siège de véhicule à glissière et véhicule automobile, en particulier microhybride, comprenant un tel ensemble de siège de vé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2770Y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2770Y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JPH10138957A (ja) 車体のロッカー構造
KR200141617Y1 (ko) 차량용 시트의 장착구조
KR200158282Y1 (ko) 자동차의 카울 강성보강구조
KR0136873Y1 (ko) 시트 트랙의 레일 강성 보강구조
KR200192389Y1 (ko) 승용차량의 바디 센터 필러
KR100411004B1 (ko) 차량의 후방충돌 보강구조물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200143414Y1 (ko) 상용차의 시트벨트앵커 보강재
KR100195500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빔의 취부구조
KR200216711Y1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구조
KR19980032905U (ko) 자동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9980051320U (ko) 자동차의 후부 패널 구조
KR19980062522A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
KR20000002025U (ko) 차체 보강 구조
KR19980056891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19990003469U (ko) 자동차의 시트 결합구조
KR19980059602A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바
KR19980041726U (ko) 자동차용 루프(roof) 보강구조
KR19980040673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49863U (ko) 강성을 향상시킨 언더바디 크로스 멤버
KR19980043089U (ko)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패널 멤버의 고정구조
KR19980029312U (ko) 차량용 패키지패널 트레이 구조
KR19980037511A (ko) 자동차의 루프 패널 보강구조
KR19980010942U (ko) 자동차용 플로어패널의 크로스멤버 설치구조(a mounting structure for cross member of floor panel for an auto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