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673U -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673U
KR19980040673U KR2019960053754U KR19960053754U KR19980040673U KR 19980040673 U KR19980040673 U KR 19980040673U KR 2019960053754 U KR2019960053754 U KR 2019960053754U KR 19960053754 U KR19960053754 U KR 19960053754U KR 19980040673 U KR19980040673 U KR 199800406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instrument panel
panel fixing
cen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3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673U/ko
Publication of KR19980040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67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대시 패널 인접부에서 차체를 횡단하여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시 패널 인접부에서 차체를 횡단하여 양측단이 브라켓에 의해 카울 사이드 패널에 고정되고, 플로어 패널 중앙의 터널 상부에 안착되는 센터 지지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로서, 센터 지지대와 브라켓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좌우 각각 2개씩의 보강 빔과, 상기 보강 빔들과 고정 바 사이를 연결하는 수 개의 수직 보강 부재를 포함하여, 정면 충돌시 승객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대시 패널 인접부에서 차체를 횡단하여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부에는 미터기, 오디오 세트, 에어컨 유닛, 글로브 박스 및 각종 스위치류 등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대시 패널(미도시)에 인접한 부근에는 차체를 횡단하여 통상 T-Bar라고 일컬어지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1)가 설치된다. 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1)는 강철 프레임의 골조재로서, 차체의 양측벽을 이루는 카울 사이드 패널(미도시)에 브라켓(2)에 의해 장착되며, 체결 수단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이 고정된다.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1)는 오디오 세트나 시가 라이터 혹은 애쉬 트레이가 지지되는 센터 지지대(3)에 연결 및 지지된다. 센터 지지대(3)는 플로어 패널(미도시) 중앙의 터널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자동차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브라켓 및 센터 지지대에 근접한 부분에는 보강재(4)가 설치되어 충돌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렇게 설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1)는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 엔진을 비롯한 각종 장치들이 대시 패널을 밀고 들어와 승객을 압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는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충돌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가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객의 무릎에 부딪히게 되어 탑승객의 무릎에 심한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정면 충돌시 탑승객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탑승객의 무릎에 대한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2 : 브라켓
3 : 센터 지지대4 : 보강 빔
5 : 수직 보강 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시 패널 인접부에서 차체를 횡단하여 양측단이 브라켓에 의해 카울 사이드 패널에 고정되고, 플로어 패널 중앙의 터널 상부에 안착되는 센터 지지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로서, 센터 지지대와 브라켓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좌우 각각 2개씩의 보강 빔과, 상기 보강 빔들과 고정 바 사이를 연결하는 수 개의 수직 보강 부재를 포함하여, 정면 충돌시 승객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 보강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1)는 브라켓(2)에 의해 양측단이 각각 카울 사이드 패널(미도시)에 고정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중앙부로부터 하측으로는 센터 지지대(3)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 지지대(3)는 하측단이 플로어 패널 중앙의 터널 상부에 안착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1)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센터 지지대(3)와 브라켓(2) 사이에는 좌우에 각각 2개씩의 보강 빔(5)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각 보강 빔(5)들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1)는 수직 보강 부재(6)들에 의해 연결,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 보강 구조는 충돌시 각각의 보강 빔들과 수직 보강 부재들에 의해 충격이 골고루 분산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보강 빔들과 수직 보강 부재들에 의해 충돌시의 충격이 골고루 분산되어 충돌에 의한 변형이 적으며, 충돌시 보강 빔 또는 수직 보강 부재가 탑승객의 무릎에 부딪히더라도 탑승객의 무릎의 상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대시 패널 인접부에서 차체를 횡단하여 양측단이 브라켓에 의해 카울 사이드 패널에 고정되고, 플로어 패널 중앙의 터널 상부에 안착되는 센터 지지대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로서, 센터 지지대와 브라켓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좌우 각각 2개씩의 보강 빔과, 상기 보강 빔들과 고정 바 사이를 연결하는 수 개의 수직 보강 부재를 포함하여, 정면 충돌시 승객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의 강성 보강 구조.
KR2019960053754U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406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754U KR19980040673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754U KR19980040673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673U true KR19980040673U (ko) 1998-09-15

Family

ID=5399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754U KR19980040673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67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6192A (en) Knee protector
CA1126781A (en) Kneepad structure
US3498402A (en) Driver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
KR19980040673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 바 강성 보강 구조
KR100324661B1 (ko)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KR200142770Y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KR19980034052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바
KR19980059602A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고정바
JP2556485Y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ー構造
KR100418677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부재 보강 구조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JPH0529183Y2 (ko)
KR0136873Y1 (ko) 시트 트랙의 레일 강성 보강구조
KR840000399Y1 (ko) 캐브 오우버형 차의 차체 구조
KR100227521B1 (ko) 자동차의 전방 충격량 흡수장치
KR200216711Y1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구조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JPS6364850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9980043089U (ko)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패널 멤버의 고정구조
KR19980036717U (ko) 자동차의 타이바 고정구조
JPH0926777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KR19980032346U (ko) 자동차의 타이바(t - bar) 고정구조
KR19990032170U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KR19980044691U (ko)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 바 보강구조
KR19990026392U (ko) 자동차 엔진룸 골격강성 증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