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661B1 -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661B1
KR100324661B1 KR1019970053592A KR19970053592A KR100324661B1 KR 100324661 B1 KR100324661 B1 KR 100324661B1 KR 1019970053592 A KR1019970053592 A KR 1019970053592A KR 19970053592 A KR19970053592 A KR 19970053592A KR 100324661 B1 KR100324661 B1 KR 10032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ar
cowl cross
steering column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528A (ko
Inventor
심양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6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컬럼이 장착되는 카울 크로스 바의 일측단 구간을 분리하고 여기에 일체형 주물로 제작한 지지부를 연결함으로써, 무게가 적게 나가면서도 자체 강성을 높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카울 크로스 바의 단부를 분리하고 여기에 일체로 주물 제작된 지지부를 연결하되, 상기 지지부는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몸체와 이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리된 카울 크로스 바와 필러 패널에 고정된 결합용 브라켓에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한쌍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컬럼이 장착되는 카울 크로스 바의 일단부를 분리하고, 여기에 주물로 제작된 지지부를 연결하여 스티어링 컬럼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티어링 컬럼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높인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100)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카울 크로스 바(100)는 차체의 대쉬 패널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이때 이 카울 크로스 바(100)의 양단은 차체의 마주하는 한 쌍의 필러 패널에 장착된 결합용 브라켓(16)에 얹혀져서 볼트나 융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카울 크로스 바(100)에는 스티어링 컬럼과 조수석 에어 백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4)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고정 브라켓(14)은 미도시된 대쉬 패널 및 스티어링 컬럼이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브라켓(14)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그 하부에 스티어링 컬럼이 그리고 그 상부에 에어백이 장착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카울 크로스 바 구조는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고정 브라켓이 프레스 가공을 통해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성이 낮아 정면 충돌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스티어링 컬럼이 실내로 밀리면서 운전자의 부상을 더욱 크게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엔진룸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소음이 프레스 가공된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더욱 증폭이 되면서 실내로 전달되어 운전자의 운전 방해는 물론 다른 탑승자의 승차감을 떨어 뜨리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티어링 컬럼이 장착되는 카울 크로스 바의 일측단 구간을 분리하고 여기에 일체형 주물로 제작한 지지부를 연결함으로써, 무게가 적게 나가면서도 자체 강성을 높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카울 크로스 바의 단부를 분리하고 여기에 일체로 주물 제작된 지지부를 연결하되, 상기 지지부는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몸체와 이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리된 카울 크로스 바와 필러 패널에 고정된 결합용 브라켓에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한쌍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울 크로스 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 11 : 몸체
12 : 지지대 13, 15 : 리브
14 : 고정 브라켓 16 : 결합용 브라켓
17a, 17b, 17c, 18a : 체결구멍 18 : 연결 브라켓
100 : 카울 크로스 바 200 : 대시 패널
210 : 연장판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이 장착되는 카울 크로스 바(100)의 일측단 구간을 분리하고 분리된 구간에 주물로 제작된 지지부(10)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부(10)는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몸체(11)와 그 양측에 나란하게 연장 돌출된 한쌍의 지지대(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몸체(11)는 적어도 이단 이상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리브(13)가 일체로 돌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카울 크로스 바를, 200은 대쉬 패널을, 210은 연장판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되는 카울 크로스 바(100)의 단부를 분리하여 여기에 주물로 제작된 지지부(10)를 연결 설치하고, 이 지지부(10)와 카울 크로스 바(100)의 각 단부를 각각 필러 패널에 고정된 종래의 결합용 브라켓(16)에 고정시켜, 상기 지지부(10)에 카울 크로스 바(1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컬럼과 카울 크로스 바(100) 및 대쉬 패널(200)의 결속력을 높이면서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는 스티어링 컬럼이 체결 고정되는 몸체(11)와, 이 몸체(11)의 양측면에 각각 동일 선상에 오도록 일체로 돌출 성형되도록 주물 제작된 한 쌍의 지지대(12)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몸체(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굴곡진 형태로 주물 제작하여 자체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리브(13)가 윗쪽으로 연장 성형되어 있어 지지부(10)의 자체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는 양측면에 각각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지지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지지대(12)의 하면에는 자체 강성을 보완해 주기 위해 다수개의 리브(15)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의 뒷면 상부에는 별도의 체결구멍(17b)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체결구멍(17b)은 상기 대쉬 패널(200)에 고정되어 지지부(10)까지 연장된 연장판(210)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결속력을 높여주고 이와 함께 진동 및 소음 흡수율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몸체(11)는 저면에 적어도 2쌍 이상의 체결구멍(17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구멍(17c)에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미도시된 지지 브라켓을 체결고정시켜 주게 된다.
즉, 미도시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2개의 체결구멍(17c) 사이에 오도록 몸체(11) 하부에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이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지지 브라켓(미도시됨)이 상기 체결구멍(17c)에 의해 볼트로 체결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쪽의 상기 지지대(12)는 필러 패널에 융착 고정되는 결합용 브라켓(16)에 볼트 체결되고, 뒤쪽의 지지대(12)는 단부가 분리된 카울 크로스 바(100)에 연결 브라켓(18)을 매개로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용 브라켓(16)은 양측에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리브(15)를 한꺼번에 감싸는 요홈 형상의 전부와 이 전부의 일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후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부는 리브(15)를 감싸면서 지지대(12)에 형성된 체결구멍(17a)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후부는 종래의 결합용 브라켓(16)과 마찬가지로 미도시된 필러 패널에 융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18)은 양단에 각각 체결구멍(18a)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박스형태로 체결 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상기 몸체(11)의 뒤쪽에 형성된 지지대(12)와 단부가 분리된 카울 크로스 바(100)의 단부가 끼워져서 체결구멍을 통해 볼트 체결됨에 따라 일체로 체결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 브라켓(18)은 카울 크로스 바(100)의 단부가 끼워지는 내면이 실린더 형상으로 제작하여 볼트 고정시 이 카울 크로스 바(100)와 연결 브라켓(18) 사이에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지지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브라켓(18)에 의해 분리된 카울 크로스 바(100)와 연결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앞쪽의 지지대(12)와 첨부도면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울 크로스 바(100)의 타단부를 각각 필러 패널에 융착 고정된 한 쌍의 결합용 브라켓(16)에 걸쳐 볼트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10)는 앞쪽 지지대(12)와 연결 브라켓(18)에 고정된 볼트를 이완시키게 되면 카울 크로스 바(100)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는 일부 구간이 분리된 카울 크로스 바(100)에 하나로 연결 설치되어 스티어링 컬럼의 결속력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이나 소음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 바의 일부 구간을 분리하고, 분리된 구간에 스티어링 컬럼을 결합할 수 있는 몸체와 이 몸체에 스티어링 컬럼침차체에 고정된 결합용 브라켓에 체결 가능한 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일체로 주물 제작함으로써,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이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카울 크로스 바(100)의 단부를 분리하고 여기에 일체로 주물 제작된 지지부(10)를 연결하되,
    상기 지지부(10)는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해 주는 몸체(11)와 이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리된 카울 크로스 바(100)와 필러 패널에 고정된 결합용 브라켓(16)에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한 쌍의 지지대(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는 적어도 이단 이상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리브(13)가 일체로 돌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구조.
KR1019970053592A 1997-10-18 1997-10-18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KR10032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592A KR100324661B1 (ko) 1997-10-18 1997-10-18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592A KR100324661B1 (ko) 1997-10-18 1997-10-18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528A KR19990032528A (ko) 1999-05-15
KR100324661B1 true KR100324661B1 (ko) 2002-08-08

Family

ID=3747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592A KR100324661B1 (ko) 1997-10-18 1997-10-18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5774A (zh) * 2011-09-05 2013-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颈横向组件
KR101439148B1 (ko) * 2013-05-03 2014-09-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바의 장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30B1 (ko) * 2015-07-13 2016-09-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버스용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5774A (zh) * 2011-09-05 2013-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颈横向组件
KR101439148B1 (ko) * 2013-05-03 2014-09-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바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528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5800A (ko)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0324661B1 (ko)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US6007099A (en) Vehicle intrusion energy management frame element
KR20130027247A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346031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KR100513463B1 (ko) 캡마운팅 타입 엔진 마운팅 브라켓트 구조
KR100478043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KR101354230B1 (ko) 프런트 바디 구조
JPH1026483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JPH0534301Y2 (ko)
JP3861516B2 (ja) 自動車用ダッシュ廻り支持構造
JPH0529183Y2 (ko)
KR100218180B1 (ko) 지지바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차체 결합구조
JPH0113009Y2 (ko)
KR100412516B1 (ko) 자동차용 카울 언더커버 패널 조립체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200216711Y1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구조
KR20220052523A (ko) 전방 차체 구조
JPH0926777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KR10032469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체결구조
CN117382745A (zh) 仪表板横梁以及车辆
KR20210155082A (ko) 차량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장착 구조
KR100308977B1 (ko) 차량용대쉬로워맴버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