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891A -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891A
KR19980056891A KR1019960076161A KR19960076161A KR19980056891A KR 19980056891 A KR19980056891 A KR 19980056891A KR 1019960076161 A KR1019960076161 A KR 1019960076161A KR 19960076161 A KR19960076161 A KR 19960076161A KR 19980056891 A KR19980056891 A KR 1998005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eal
flange
panel
welded
se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섭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891A/ko
Publication of KR1998005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891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실의 내측패널(2)을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플로어패널(4)과 크로스멤버(5)가 직접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측부 충돌에 대한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실이 2개의 패널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측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강성이 향상되도록 된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사이드실은 자동차의 측부하단을 지정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하부 안착면을 제공하고, 자동차의 외관을 이루는 한편, 차량의 좌우측부에서 최외곽에 위치된 부분으로서 측부로부터의 충돌에 대비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종래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측으로 절곡성형된 외측패널(1)에 차량의 내측으로 절곡성형된 내측패널(2)이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용접되고, 이 내부의 공간에 상기 외측패널(1)과 외측패널(2)의 접합부 사이에 접합되는 보강부재(3)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내측패널(2)의 수직평면부(2a)에 플로어패널(4)의 플랜지(4a)가 용접되고, 이 플로어패널(4)의 상부에 플로어패널(4)과 평행한 크로스멤버(5)가 취부되되, 이 크로스멤버(5)는 양단에 수직의 플랜지(5a)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5a)가 다시 수평으로 절곡되어 수평플랜지(5b)가 형성되며, 이 수평플랜지(5b)가 상기 플로어패널(4)의 끝부분에 용접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멤버(5)에 양단이 용접되어 강성이 보강된 플로어패널(4)에 의해 상기 내측패널(2)의 수직평면부(2a)가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측부로 부터의 충격에 대응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크로스멤버(5)가 내측패널(2)을 직접 지지해 주지 못하고, 단지 플로어패널(4)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사이드실의 강성을 보강해 주는 구조로 된 것으로서, 사고시의 큰 충격에는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사이드실부가 차내로 함입되어 들어오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크로스멤버가 사이드실을 직접 지지해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사이드실의 강성이 향상되어 사고시 변형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자동차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I-I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대응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의 단면도이다.
1 : 외측패널, 2 : 내측패널,
2a : 수직평면부, 3 : 보강부재,
4 : 플로어패널, 4a : 플랜지,
5 : 크로스멤버, 5a : 플랜지,
5b : 수평플랜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패널과 내측패널이 상호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용접되고, 이 빈공간에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한편, 크로스멤버의 플랜지가 상기 내측패널의 수직평면부에 직접 용접되고, 이 크로스멤버의 플랜지에 플로어패널의 플랜지가 용접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평행한 플로어패널과 상기 크로스멤버가 직접 내측패널을 지지해주게 됨으로써 사이드실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시한 자동차의 측면도로서,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도2는 도1의 I-I선 단면도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의 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호간의 사이에 밀폐된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측패널(1)과 외측패널(2)이 용접되고, 이 외측패널(1)과 내측패널(2)의 사이에 보강부재(3)가 구비되는 한편, 차량의 폭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크로크멤버(5)의 양단에 수직의 플랜지(5a)가 형성되어, 이 수직플랜지(5a)가 상기 내측패널(2)의 수직평면부(2a)에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멤버(5)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플로어패널(4)의 양단에 수직의 플랜지(4a)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4a)가 상기 크로스멤버(5)의 플랜지(5a)에 용접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패널(2)의 수직평면부(2a)는 이 수직평면부(2a)에 대해 수직상태인 두 패널 즉, 상기 크로스멤버(5)와 플로어패널(4)에 의해 직접 지지되게 됨으로써 측방으로 부터의 충격에 대해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멤버가 내측패널에 직접 취부되어 실사이드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실사이드의 강성이 향상되어, 측면충돌시 잘 변형되지 않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측패널(1)과 내측패널(2)이 상호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용접되고, 이 빈공간에 보강부재(3)가 구비되는 한편, 크로스멤버(5)에 수직상태의 플랜지(5a)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5a)가 상기 내측패널(2)의 수직평면부(2a)에 직접 용접되고, 이 크로스멤버(5)의 상기 플랜지(5a)에 플로어패널(4)의 플랜지(4a)가 용접되는 구조로 된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1019960076161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19980056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161A KR19980056891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161A KR19980056891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891A true KR19980056891A (ko) 1998-09-25

Family

ID=6639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161A KR19980056891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8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515B1 (ko) * 2004-07-14 2007-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실 플랜지부 제작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515B1 (ko) * 2004-07-14 2007-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실 플랜지부 제작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6944A (ko) 자동차의 프런트필러패널어셈블리 구조
KR19980056891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JPS6320619Y2 (ko)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JPH03112791A (ja) 車両の車体側部構造
KR200161056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취부구조
KR100262173B1 (ko) 자동차 지붕의 보강구조
KR100268991B1 (ko) 자동차 센터필라의 상부 보강구조
KR200191169Y1 (ko) 자동차의 실 사이드
KR100320821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200192389Y1 (ko) 승용차량의 바디 센터 필러
KR0120435Y1 (ko) 자동차의 측하단부 구조
KR200260745Y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20030006713A (ko) 차량 전방의 보강구조물
KR100204509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0135439Y1 (ko)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KR200252717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연결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0137506Y1 (ko) 차량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100197872B1 (ko) 자동차용 실사이드
KR100188154B1 (ko) 자동차 리어측면도어의 충격흡수용 보강재
KR19980035544U (ko) 차량 도어의 스티프너
KR19980045300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JPH05653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