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516A - 모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516A
KR19980024516A KR1019970046601A KR19970046601A KR19980024516A KR 19980024516 A KR19980024516 A KR 19980024516A KR 1019970046601 A KR1019970046601 A KR 1019970046601A KR 19970046601 A KR19970046601 A KR 19970046601A KR 19980024516 A KR19980024516 A KR 19980024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group
hair
weight
poly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403B1 (ko
Inventor
도모아끼 히와따시
야스오 기따니
간지 나라자끼
가요 이또오
가즈히테 하야마
Original Assignee
미우라 아끼라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940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01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940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01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491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01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605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016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 아끼라,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 아끼라
Publication of KR1998002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1Aerosol hair pr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2Resin hair settings

Abstract

뛰어난 정발성을 가지며, 양호한 유연성 및 양호한 마무리 감촉을 주는 모발 화장품을 제공한다.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로서, (a)/(b)의 중량비가 1/10∼10/1이고, (a) 와 (b)의 합계량이 모발 화장품 조성물 중, 0.1∼1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Description

모발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은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a) 와,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뛰어난 정발성(整髮性)을 갖고, 양호한 유연성 및 양호한 마무리 감촉을 주기 때문에,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헤어 세트 로션, 헤어 젤 등의 용도에 유용하다.
두발을 소망하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방법으로, 피막 형성이 가능한 고분자 화합물을 물, 저급알콜, 혹은 이들의 혼합용매 등에 용해시킨 용액을 두발에 도포, 건조함으로써 정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져 왔다.
이러한 피막형성 고분자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사 발행의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에 기재된 PVP, PVP/VA COPOLYMER ; 공개특허공보 소46-19637호, 공개특허공보 소51-144480호 등), 정발효과를 높이기 위해 형성 피막은 단단하고,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머리카락에 뻣뻣한 감을 주며, 고습시에는 끈적거림을 생기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정발 효과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 정발 후, 머리카락을 빗질하면 형성 피막이 작은 파편으로 되는 프레이킹 현상을 낳고, 대전에 의해 모발이 부풀어 정리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도 있어,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 피막 형성 고분자로서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도 사용되고 있으나, 정발 효과를 높이기에는 형성 피막은 단단하고,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뻣뻣한 감을 주며, 정발 효과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 정발 후, 머리카락을 빗질하면 형성 피막이 작은 파편으로 되는 프레이킹 현상을 낳고, 대전에 의해 모발이 부풀어 정리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어,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점, 그 중에서도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에 유지류, 계면활성제 등의 화장품용 첨가물을 첨가하는 시도가 있어 왔으나, 정발력을 더 저하시킬 뿐, 아직 성능적으로 균형잡힌 정발품은 얻을 수 없었다.
또한, 피막 형성 고분자로서 두발을 소망하는 형상으로 유지하려는 목적, 또 화장품을 모발에 적용할 때의 감촉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이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두발을 소망하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정발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 형성 피막이 유연하기 때문에, 특히 고습도 하에서 형상을 유지한 모발의 탄력성이 적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품을 장기간 반복 사용한 경우,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이 모발에 축적, 빗질성을 악화시키거나 모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등의 빌드 업이라고 불리는 문제점이 있어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피막 형성 고분자로서, 양(兩) 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이 널리 사용되게 되었지만 (공개특허공보 소49-14647호 공개특허공보 소51-97326호, 공개특허공보 55-104209호 등),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뻣뻣한 감을 주며, 고습도 하에서 두발을 소망하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정발 효과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데다가, 세발 제거성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만족할 만한 것도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점, 그 중에서도 정발 효과, 탄성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소55-59107호에는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과 양이온성 폴리머를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고, 또 공개특허공보 소58-124712호에는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과 양 이온성 폴리머를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로부터는 정발 효과, 탄력성 등에서 아직 성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정발품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피막 형성 고분자의 양이온성 고분자, 음이온성 고분자, 비이온성 고분자 및 양성 이온성 고분자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뛰어난 정발성을 가지며, 양호한 탄력성, 양호한 마무리 감촉을 주는 정발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피막 형성 고분자로서, 공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500,000인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과 신규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고분자 화합물을 조합시킴으로써, 뛰어난 정발성을 가지고, 양호한 유연성, 양호한 마무리 감촉을 주며, 또 화장품을 모발에 적용할 때의 감촉도 양호한 정발용 화장품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루렀다.
본 발명은,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로서, (a)/(b)의 중량비가 1/10∼10/1이고, (a) 와 (b)의 합계량이 모발 화장품 조성물 중, 0.1∼1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여기에서 사용된 수용성이란 용어는, 아민옥시드기를 함유한 수지 1 중량부와 탈이온수 99 중량부를 60℃에서 2시간 가열함으로써 수득한 수용액이 냉각후에 실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였을 때도 균일하고, 1㎝×1㎝ 셀에서 655nm에서 70% 이상의 투과도를 가지고 있어, 수 용해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성분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는 (a1) 아민옥시드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구조를 갖는 것, 또는 (a2) 아민옥시드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의 구조를 갖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아민옥시드기 함유 단량체 15∼90 중량%, 및 소수성 단량체 단위 85∼1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에서 (a1) 성분이 아민옥시드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구조를 갖는 것이란, (a) 성분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를 하기 ①∼④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중합체 중에 아민옥시드기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다음의 ①∼④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②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① 질소 함유 단량체를 옥시드화하여 수득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단량체(A)를 중합시키는 방법.
② 질소 함유 단량체를 중합한 후, 질소 함유기를 옥시드화하는 방법.
③ 반응 활성인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한 후, 그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기 또는 아민옥시드기를 겸비한 물질을 반응시키는 방법.
④ 반응 활성인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한 후, 그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기 및 질소 함유기를 겸비한 물질을 반응시키고, 다음에 질소 함유기를 옥시드화하는 방법.
또 (a2) 성분이 공중합체의 구조를 갖는 것 (이하,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라고 하기도 한다)이란, 아민옥시드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및 소수성 불포화 단량체(B)를 하기 ⑤∼⑧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공중합체 중에 아민옥시드기 및 소수성 불포화 단량체에 기초한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다음의 ⑤∼⑧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⑥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⑤ 질소 함유 단량체를 옥시드화하여 수득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단량체(A)와 소수성 불포화 단량체(B)를 공중합시키는 방법.
⑥ 질소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 소수성 불포화 단량체(B)를 공중합한 후, 질소 함유기를 옥시드화하는 방법.
⑦ 반응 활성인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소수성 불포화 단량체(B)를 공중합한 후, 그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기 또는 아민옥시드기를 겸비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방법.
⑧ 반응 활성인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소수성 불포화 단량체(B)를 공중합한 후, 그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기 및 질소 함유기를 겸비하는 물질을 반응시켜서 다음에 질소 함유기를 옥시드화하는 방법.
아민옥시기 함유 단량체(A) :
(A) 성분의 아민옥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에 표시되어 있는 일반식 (Ⅰ)∼(Ⅳ)에서 나타내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또는 R3는 동일 또는 달라도 되는 탄소수 1∼24의 알킬기, 탄소수 6∼24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24의 아릴알킬기를, R4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24의 알킬기, 탄소수 6∼24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24의 아릴알킬기를, X는 2가의 결합기를, m은 0∼1의 정수를, n은 0∼4의 정수를, p는 0∼3의 정수를, Y는
R6∼R13의 내에서 적어도 하나는
다른 R6∼R1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4의 알킬기, 탄소수 6∼24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24의 아릴알킬기를, a와 b는 동일 또는 달라도 되는 1∼10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일반식(1)에서 나타내는 단량체에는, N, 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하,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라고 약기한다), N, 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비닐, p-디메틸아미노메틸스틸렌, p-디메틸아미노에틸스틸렌, p-디에틸아미노메틸스틸렌, p-디에틸아미노에틸스틸렌 등의 질소원자를 옥시드화하여 수득하는 아민옥시드화물 ;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무수크로톤산 등의 불포화기 함유 산 무기물과 이들 산 무수기와의 반응성기 및 제 3 급 아미노기를 동시에 갖는 N, N-디메틸-1,3-프로판아민, N, N-디메틸-p-페닐렌디아민 등의 화합물과의 반응물의 질소원자를 옥시드화하여 수득한 아민옥시드화물 ;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와, 이들 에폭시기의 반응성기 및 제 3 급 아미노기를 동시에 갖는 N, N-디메틸-1, 3-프로판아민, N, N-디메틸-p-페닐렌디아민 등의 화합물과의 반응물의 질소원자를 옥시드화하여 수득하는 아민옥시드 화합물이 예시된다. 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와 히드록시에틸-N, N-디메틸아민옥시드와 같이 에폭시기와 반응활성인 기를 함유한 아민옥시드 함유물과의 생성물, 2-이소시아네이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와 히드록시에틸-N, N-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활성인 기를 함유한 아민옥시드 함유물과의 생성물이 예시된다.
일반식(Ⅱ)에서 나타내는 단량체에는 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메틸-5-비닐피리딘, 3-메틸-5-비닐피리딘, 4-메틸-5-비닐피리딘, 6-메틸-5-비닐피리딘, 2-메틸-4-비닐피리딘, 3-메틸-4-비닐피리딘, 2-라우릴-5-비닐피리딘, 2-라우릴-4-비닐피리딘, 2-(t-부틸)-5-비닐피리딘, 2-(t-부틸)-4-비닐피리딘 등의 알킬, 아릴, 알킬아릴기의 부가물 등의 질소원자를 옥시드화한 아민옥시드화물이 예시된다.
일반식(Ⅲ)에서 나타내는 단량체에는 1-비닐아미다졸, 2-메틸-1-비닐이미다졸, 4-메틸-1-비닐아미다졸, 5-메틸-1-비닐아미다졸, 2-라우릴-1-비닐아미다졸, 4-(t-부틸)-1-비닐이미다졸 등의 질소원자를 옥시드화하여 수득하는 아민옥시드화물이 예시된다.
일반식(Ⅳ)에서 나타내는 단량체에는 4-비닐몰포린, 2-메틸-4-비닐몰포린, 4-아릴몰포린, 1-비닐피페리딘, 4-메틸-4-비닐피페리딘, 2-라우릴-1-비닐피페라진, 4-메틸피페라지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민옥시드화물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일반식(Ⅰ)에서 나타내는 단량체가 가장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렌화합물로서, 일반식(Ⅰ)의 R2와 R3가 탄소수 1∼4의 알킬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질소함유 단량체:
옥시드화되기 전의 질소 함유 단량체로는,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난 식(Ⅵ)∼(Ⅸ)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식중의 R1∼R10, a, b, m, n, p, X, Y의 정의는, 상기 식(Ⅰ)∼(Ⅳ)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아민옥시드기 함유 단량체는 그 30 중량% 이하를 (A) 성분 이외의 친수성 단량체(C)로 치환해도 된다.
친수성 단량체(C) :
이러한 친수성 단량체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단일 분자내에 음이온성과 양이온성을 가지고 있는 양성 이온성의 단량체가 있다.
그러한 단량체 중, 비이온성 단량체의 구체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N-시클로헥실마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토아미드, N-(메타)아크릴로일몰포린 ;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N-폴리옥시알킬렌(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아미드와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친수성 모노머가 예시된다.
음이온성 단량체의 구체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불포화 다염기산 무수물(예를 들면, 무수 숙신산, 무수 푸말산 등)과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하프에스테르, 스틸렌술폰산, 술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산 포스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등이 예시된다.
이들 음이온성 불포화 단량체는 산 그대로, 또는 염기성 화합물에서 부분중화 또는 완전중화하여 사용할 수 있고, 혹은 산 그대로 공중합을 한 후, 염기성 화합물무에서 부분중화 또는 완전중화할 수도 있다. 중화에 사용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 암모니아수 등의 무기염기성 화합물 ;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 3-프로판디올, 아미노멜캅토프로판디올 등의 알카노일아민류 ; 리진, 알기닌,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 단량체의 구체예를 들면,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아미드, p-디메틸아미노메틸스틸렌, p-디메틸아미노에틸스틸렌, p-디에틸아미노메틸스틸렌, p-디에틸아미노에틸스틸렌 등의 제 3 급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를, 양이온화제, 예를 들면 염화메틸, 브롬화메틸, 요드화메틸 등의 할로겐화 알킬류, 디메틸황산 등의 디알킬황산류, N-(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N, N, N-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제 3 급 아민광산염의 에피클로로히드린 부가물,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염,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카르복실산 등에서 카티온화한 양이온성 단량체가 예시된다.
양성 불포화 단량체의 구체예를 들면, 상술한 양이온성 단량체의 전구체인 제 3 급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 칼륨,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모노브로모프로피온산 칼륨 등의 모노할로지방산염류, 프로피오락톤, 부틸로락톤, 프로판술톤 등의 변성화제를 사용, 양성화함으로써 양성 이온계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a) 성분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A) 아민옥시드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15∼90 중량%, (B)소수성 불포화 단량체 85∼10 중량%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공중합체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A) 성분이 15 중량% 미만이면, 수득하는 공중합체는 수용성이 저하하고, 또 세발 시에 세정제거가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90 중량%를 넘으면 끈적임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소수성 단량체(B) :
이러한 소수성 단량체(B)로는, 탄소수 1∼2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틸렌, p-메틸스틸렌, p-클로로스틸렌,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시클로헥실에테르, 아세트산비닐, 말레인산디에틸, 말레인산디부틸 등의 소수성 비닐모노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또 (메타)아크릴산의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등이 예시된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실리콘 마크로머 등의 마크로모노머가 예시된다.
그리고, 상기 탄소수 1∼2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s-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 s-펜틸, (메타)아크릴산 1-에틸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메틸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펜틸, (메타)아크릴산 t-펜틸, (메틸)아크릴산 3-메틸부틸, (메타)아크릴산네오펜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2-메틸펜틸, (메타)아크릴산 4-메틸펜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펜틸,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헵틸, (메타)아크릴산 2-헵틸, (메타)아크릴산 3-헵틸,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2-옥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3, 3, 5-트리메틸헥실, (메타)아크릴산 데실, (메타)아크릴산 운데실, (메타)아크릴산 라우릴, (메타)아크릴산 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알릴, (메타)아크릴산 에이코실, (메타)아크릴산 도코실, (메타) 아크릴산 테트라코실, (메타)아크릴산 메틸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산 노르보르닐, (메타)아크릴산 벤질, (메타)아크릴산 펜에틸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된 탄소수 1∼24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5]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R14는 탄소수 1∼2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B)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10∼85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85 중량%를 넘으면 공중합체의 피막은 평활성 및 투명성이 악화하고, 또 물에 녹기 어려운 성질이 되어 세발시의 세정 제거가 곤란해지고, 10 중량% 미만이면 끈적임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중합 방법;
아민옥시기 함유 수지는, 상기 단량체 성분을 통상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용액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특히 용액 중합에 의해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중합용매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s-부탄올,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등의 유기용제가 단독 또는 이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된다. 용매 사용량은 생성 공중합체 용액의 폴리머 농도가 10∼65 중량%가 될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개시제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2'-아조비스(2, 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 2'-아조비스 (4-메톡시-2, 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디메틸-2, 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2, 2'-아조비스 (2-메틸부티로니트릴), 1, 1'-아조비스 (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조일퍼옥시드, 디쿠밀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라우로일퍼옥시드 등의 과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중합개시제는 (A)∼(C) 성분에 대하여 통상 0.01∼5 중량% 사용할 수 있다.
중합은 통상 질소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30∼120℃, 바람직하게는 40∼100℃에서 1∼20 시간의 범위에서 행해진다. 단량체는 그 모든 종류 및 전량을 중합 개시시에 첨가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단량체의 종류 및/또는 량에 관하여 분할 첨가를 행할 수도 있다.
옥시드화 :
단량체 성분을 중합시켜서 수득한 수지 용액에 옥시드화제를 가하여 20∼100℃의 범위에서 0.1∼100시간, 바람직하게는 1∼50시간 옥시드화함으로써 아민옥시드기 함유 수지를 수득할 수 있다.
수득한 전구체 폴리머를 옥시드화하기 위한 옥시드화제로는, 과산화물 또는 오존 등의 산화제가 사용된다.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소다, 과아세트산, 메타클로로과벤조산,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과산화수소가 사용된다. 옥시드화제의 사용량은 전구체 폴리머 중에 함유된 옥시드화 가능한 관능기에 대하여, 0.2∼3 배 몰 당량의 비율로 사용하고, 또한 0.5∼2배 몰 당량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잔존한 과산화물은 미처리한 채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공지의 방법으로 처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원제 첨가, 또는 금속촉매 첨가에 의한 처리, 이온교환 처리, 활성탄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수득한 수지 용액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재침전, 용매 증류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아민옥시드기 함유 수지를 단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단리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수지는, 필요하다면 재침전이나 용제세정, 막분리, 흡착처리 등에 의해 더 정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수지는, 통상,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지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미만에서는 정발력이 저하하고, 500,000을 넘으면, 물 등과의 상용성이 악화하고, 또 용액 점도가 상승하며 작업성, 도포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b)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
(b) 성분의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는, 비이온성 중합체(b1), 양이온성 중합체(b2), 음이온성 중합체(b3)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b4)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5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100,000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여기에서 사용된 수용성이란 용어는, (b1) 내지 (b4)에서 선택된 중합체 1 중량부와 탈이온수 99 중량부를 60℃에서 2시간 가열함으로써 수득한 수용액이 냉각후에 실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였을 때도 균일하고, 1㎝×1㎝ 셀에서 655nm에서 70% 이상의 투과도를 가지고 있어, 수용해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b1) 비이온성 중합체 :
비이온성 중합체는 피롤리돈고리, 카프로락탐고리, 아미드기, N-알킬치환 아미드기, 폴리에테르기, 또는 아세트 아미드기, 포름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이며, 피롤리돈고리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구체예로는, 루비스콜 K-12, K-17, K-30, K-60, K-80, K-90(이상, BASF 사제), PVP K-15, K-30, K-60, K-90, K-120(이상, ISP 사제) 등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 루비스콜 VA28, VA 37, VA55, VA64, VA73(이상, BASF 사제), PVP/VA-735, PVP/VA-635, PVP/VA-535, PVP/VA-335, PVP/VA-235, S-630(이상, ISP 사제) 등의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 공중합체 ; 루비스콜 VAP 343(BASF 사제) 등의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프로피온산 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N-알킬치환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의 구체예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불포화 단량체의 단독 라디칼 중합체, 혹은(C1∼C24)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등과의 라디칼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아세트아미드기, 포름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의 구체예로는,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포름아미드 등의 불포화 단량체의 단독 라디칼 중합체, 혹은 (C1∼C24)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등과의 라디칼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b2) 양이온성 중합체 ;
양이온성 중합체의 구체예를 들면, 합성계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가프컷 755N, 755, 734(이상, ISP 사제), 루비컷 PQ11(BASF 사제) 등의 N-비닐피롤리돈/4급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코폴리머 845, 937, 958(이상, ISP 사제) 등의 N-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가픽스 VC-713 (이상, ISP 사제) 등의 N-비닐피롤리돈/N-비닐카프롤락탐/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가프컷 HS-100(ISP사제) 등의 N-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 염화트리메틸암모늄 공중합체; 루비컷 FC370, FC 550, FC905, HM-552 (이상, BASF 사제) 등의 N-비닐피롤리돈/4급화 메틸비닐아미다졸륨 공중합체 ; 메르코트 100, 550 (이상 칼곤사제) 등의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중합체,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 공개특허공보 평 4-21623 호, 및 공개특허공보 평 5-310538 호 기재의 4급화 디알킬아미노알킬렌메타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천연물 변성계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셀컷, H-100, L200 (이상, 내셔널 스타치 사제) 등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공중합체 ; 셀컷 SC-240, SC-240C, SC-230M (이상, 내셔널스타치 사제), 유케어폴리머 JR-125, JR-400, JF-30M (이상, 아마콜 사제), 레오가드 G(라이온 사제), 카티날 HC, LC (이상, 도호가가꾸사제) 등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의 에폭시화 트리메틸암모늄 화합물에 의한 반응물 ; 기타머 KC(아마콜 사제) 등의 4급화 키토산 등을 들 수 있다.
(b3) 음이온성 중합체 :
음이온성 중합체는 카르복실기 또는 슬폰산기 등의 산성기를 갖는 중합체이다, 구체예로는, 간트렛 ES-225, ES-425, A-425, V-225, V-425 (이상, ISP 사제) 등의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알킬하프에스테르 공중합체 ; 레진 28-1310 (내셔널스타치사), 루비셋 CA (BASF 사제) 등의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 레진 28-2930 (내셔널스타치사) 등의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네오데칸산비닐 공중합체 ; 루비컷 CAP (BASF 사제) 등의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프로피온산비닐 공중합체 ; 어드밴티지 CP (ISP 사제) 등의 아세트산비닐/말레인산모노부틸/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루비머 100P (BASF 사제), 다이어홀드 (미쓰비시가가꾸 사제) 등의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 울트라홀드 = 스트롱, 울트라홀드 8(이상, BASF 사제), 버스틸 42 (내셔널스타치사), 플러스 사이즈 L53P (상응화학)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 유도체 공중합체 ; 루비플렉스 VBM35 (BASF 사제)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 이스트맨 AQ 폴리머 (이스트맨 케미컬사제) 등의 디에틸글리콜/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소프탈산디메틸/술폰화이소프탈산디메틸계 축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양이온성 공중합체 중의 산성기는, 그 산성기의 일부, 혹은 전량을 염기성 화합물에서 중화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수용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 암모니아수 등의 무기염기성 화합물 ;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 3-프로판디올, 아미노멜캅토프로판디올 등의 알카노일아민류 ; 리진, 알기닌,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수용성의 면에서,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4) 양성 이온성 중합체 :
양성 이온성 중합체는 카르복시베타인기, 술포베타인기, 혹은 포스포베타인기 등의 베타인구조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 또는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등의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제 4급 암모늄염을 갖는 기, 혹은 제 3 급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양자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로서, 베타인구조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의 구체예로는, 유카포머 205S, SM, AMPHOSET, 301, R102, R402, 510, 201, W(이상, 미쓰비시가가꾸 사제)등의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모노할로아세트산염 변성물인 메타크릴계카르복시베타인 중합체를 들 수 있고, 공개특허공보 소 51-9732 호, 공개특허공보 소 55-104209 호, 공개특허공보 소 61-258804 호, 공개특허공보 평 7-285832 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등의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제 4 급 암모늄염을 갖는 기, 또는 제 3 급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양자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의 구체예로는, 암포머 28-4910, LV-71, LV-47 (이상, 내셔널스타치 사제) 등의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아크릴산옥틸아미드 공중합체인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제 3 급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양자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 메르코트 295 (칼곤 사제) 등의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아크릴산 공중합체, 메르코트 플러스 3330 (칼곤 사제) 등의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인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및 제 4 급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양자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비 :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풍에서는, 성분 (a) 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와 성분(b1)의 비이온성 중합체의 중량비 (a)/(b1)는, 1/10∼10/1이고, 바람직하게는 1/5∼10/1 이다. (a)/(b1)의 비가 1/10 미만이면 유연성이 부족하고 머리카락에 뻣뻣한 감을 주며, 정발 효과가 불충분하여 빗질할 때 프레이킹 현상이나 정전기에 의해 모발을 정리하기 어려운 점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 비가 10/1을 넘으면, 단단함이 부족하여 머리카락의 마무리 상태에 탄력, 윤기가 나기 어렵고, 마무리 감이 무거운 감촉이 되며, 수득한 감촉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성분 (a)와 (b)의 합계량은 모발 화장품 전량의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8 중량% 이고, 0.1 중량% 미만에서는 정발력이 불충분하며, 10 중량% 를 넘으면 뻣뻣한 감이 증가하여 감촉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 성분 (a)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와 성분 (b2)의 양이온성 중합체의 중량비 ((a)/(b2)는, 1/10∼10/1 이고, 바람직하게는 1/5∼10/1이다. (a)/(b2)의 비가 1/10 미만이면, 정발 효과가 불충분하여 소망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고습도하에서 모발의 탄력성이 부족하여, 끈적이는 감이 생기게 된다. 또 장기간 반복 사용한 경우, 빌드 업의 문제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한다. 이 비가 10/1을 넘으면, 화장품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할 때에 매끄러운 감이 부족하고 빗질도 하기 어려우며, 건조후의 부드러움도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성분 (a) 와 (b)의 합계량은, 모발 화장품 전량의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8 중량% 이며, 0.1 중량% 미만에서는 정발력이 불충분해지고, 10 중량% 를 넘으면 뻣뻣한 감이 증가하여 감촉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 성분 (a)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와 성분 (b3)의 비이온성 중합체의 중량비 ((a)/(b3)는, 1/10∼10/1 이고, 바람직하게는 1/5∼10/1이다. (a)/(b3)의 비가 1/10 미만이면, 유연성이 부족하여 머리카락에 뻣뻣한 감을 주며, 정발 효과가 불충분하고, 빗질할 때 프레이킹 현상이나 정전기에 의해 모발을 정리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를 낳게 된다. 이 비가 10/1을 넘으면 단단함이 부족하여 머리카락의 마무리상태에 탄력, 윤기가 나기 어렵고, 마무리감이 무거운 감촉이 되어 수득한 감촉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성분 (a) 와 (b3)의 합계량은, 모발 화장품 전량의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8 중량% 이며, 0.1 중량% 미만에서는 정발력이 불충분해지고, 10 중량% 를 넘으면 뻣뻣한 감이 증가하여 감촉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성분 (a)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와 성분 (b4)의 양성 이온성 중합체의 중량비 ((a)/(b4)는, 1/10∼10/1 이고, 바람직하게는 1/5∼10/1이다. (a)/(b4)의 비가 1/10 미만이면 유연성이 부족하여 머리카락에 뻣뻣한 감을 주며, 고습도하에서 두발을 소망하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정발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세발 제거성도 불충분해진다. 이 비가 10/1을 넘으면, 굳기가 부족하므로 머리카락의 마무리 상태에 탄력, 윤기가 생기지 않고, 마무리감이 무거운 감속이 되며, 수득한 감촉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데다가 또 정발 후에 머리카락을 빗질하면 형성 피막이 작은 파편으로 되는 프레이킹 현상을 낳는 등의 문제가 있다. 성분 (a) 와 (b4)의 합계량은, 모발 화장품 전량의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8 중량% 이며, 0.1 중량% 미만에서는 정발력이 불충분해지고, 10 중량% 를 넘으면 뻣뻣한 감이 증가하여 감촉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중,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는 0.1∼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b) 수용성 중합체는 0.1 ∼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사용된다.
(b) 성분의 수용성 중합체 (b1), (b2), (b3), (b4)는, 겔화하지 않는 조합으로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1) 과 (b2), (b1) 과 (b2) 와 (b4), (b1) 과 (b3), (b1) 과 (b4), (b2) 와 (b4), (b3) 과 (b4) 이다.
또 발명의 모발 화장품에는, 상기 필수 성분의 성분 (a), (b)의 외에 통상의 화장품으로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피마자유, 카카오유, 밍크유, 아보카도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올리브유 등의 글리세라이드 ; 밀랍, 라놀린 등의 밀랍류 ; 유동 파라핀, 고형 파라핀, 이소파라핀, 수크알란 등의 탄화수소류 ; 세틸알콜, 올레일알콜, 스테알릴알콜, 이소스테알릴알콜, 라우릴알콜, 2-옥틸도데카놀 등의 직쇄 및 분지쇄 고급알콜류 ;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등의 가알콜류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스테알릴에테르 등 고급알콜의 산화에틸렌 및/또는 산화프로필렌 부가물류 ;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라우릴산헥실, 젖산세틸 등의 에스테르류 ; 올레인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아미노변성실리콘 등의 실리콘 유도체 ; 스테알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살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술포숙신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라우릴디메틸카르복시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 콜라겐 가수분해물, 케라틴 가수분해물, 폴리아미노산 등의 단백 유도체, 아미노산 유도체류 ; 식물추출물, 생약, 비타민류, 옥시벤젠 등의 자외선 흡수제, EDTA-Na 등의 킬레이트제, 파라벤 등의 방부제, 산화방지제, 색소, 안료, 향료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정하게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의 용도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아 예를 들면, 에어로졸 헤어 스프레이, 펌프식 헤어 스프레이. 폼 상태 헤어 스프레이, 헤어미스트, 세트 로션, 헤어 젤, 헤어 크림, 헤어 오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은 상기 성분 (a)와 (b)를 함유하는 각 성분을 물 및/또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의 용매에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각 모발 화장품에서의 배합은 다음과 같다.
(i) 포말상태로 분사가능한 모발용 무스 ;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5 중량%
(d) 액화 가스3∼25 중량%
(e) 수용성 용매60 중량% ∼ 잔여.
(ⅱ) 헤어 스프레이 ;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f) 비점이 50∼300℃인 유기용매 또는 물 30∼80 중량%
(g) 분사제10∼60 중량%
(ⅲ) 모발용 젤 ;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h) 젤 베이스 0.1∼3 중량%
(i) 물72 중량%∼잔여
(ⅳ) 헤어 세트 로션 ;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e) 수용성 용매 잔여부분(적어도 5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
(ⅴ) 모발 샴푸 :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01∼3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01∼3 중량%
(c)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0.01∼1 중량%
(i) 물95 중량%∼잔여.
(ⅵ) 모발 린스 :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05∼3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01∼3 중량%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01∼1 중량%
(e) 수용성 용매95 중량% ∼ 잔여.
샴푸, 린스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c)의 예를 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N-코코일-N-메틸-β-알라닌나트륨,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나트륨 등의 N-지방산 아실-N-메틸-β-알라닌염 등이, 양성 계면활성제 기재로는 코코아 시드프로필베타인, 디메틸라우릴베타인, 비스(2-히드록시에틸), 라우릴베타인, 고리식 라우릴아민옥시드, 디메틸라우릴아민옥시드, 비스(2-히드록실) 라우릴아민옥시드 등이, 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기재로는, 스테알린산 디에탄올 아미드, 야자유 지방족 디에탄올아미드, 솔비탄세스키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알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기재의 예를 들면, 염화스테알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알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알릴디메틸벤질암모늄 등이다.
또, 무스에 사용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로는, 예를 들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레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알카노일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무스에 사용하는 액화가스 (d)로는, 액화 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트리크롤모노플루오로메탄, 디크롤디프롤메탄 등이, 또 스프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액화가스 및 압축가스의 분사제 (g)로는, 액화 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의 액화가스 및 공기, 이산화탄소가스, 질소가스 등의 압축가스 등이 있다.
수용성 용매 (e)로는, 물,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이고, 주로 물이 이용된다.
(f) 성분의 비점이 50∼300℃인 유기용매로는,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잇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를 들어서 다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그 발명의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들의 제조예,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조예 및 실시예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중량기준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제조예 1
환류냉각기, 적하 깔대기,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및 교반장치가 있는 반응기에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5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부, 및 무수에탄올 150부를 넣고,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6부를 첨가후, 질소 분위기하, 80℃에서 8시간 반응후, 60℃로 냉각하였다.
다음에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당몰의 과산화수소의 31% 수용액을 적하 깔대기로 중합용액에 1시간에 적하하고, 또 20시간 교반을 계속함으로써 디메틸아미노기의 옥사이드화를 행하며, 무수에탄올을 첨가하여 폴리머 농도를 30%로 조정하였다. 옥사이드화 반응의 종료는, 반응액의 아민가 측정에 의해 확인하였다. 스득한 폴리머를 「P-1」라고 한다.
그리고 수득한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10,000이었다. 또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 N-O의 흡수가 인정되었으며, 아민옥시드기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동일한 반응기에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7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부,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20부, 및 무수에탄올 100부를 넣고, 2, 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2부를 넣어 질소 분위기하, 80℃에서 8시간 반응후, 60℃로 냉각하였다.
다음에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1.2 배몰의 과산화수소 31% 수용액을 1시간에 적하하고, 다시 15시간 교반을 계속함으로써 디메틸아미노기의 옥사이드화를 행하고, 무수에탄올을 첨가하여 폴리머 농도를 35%로 조정하였다. 옥사이드화 반응의 종료는, 반응액의 아민가 측정에 의해 확인하였다.
또한 수득한 용액 100부를 재생 완료된 음이온성 교환수지(다이아이온 PA416) 50부를 충진한 칼럼에 통과, 잔존한 과산화수소의 처리를 행하고, 무수에탄올을 첨가하여 폴리머 농도를 30%로 조저하였다. 수득한 폴리머를 「P-2」라고 한다.
그리고 수득한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00이었다. 또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 N-O의 흡수가 인정되었으며, 아민옥시드기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3
환류냉각기, 적하 깔대기,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및 교반장치가 있는 반응기에 N-비닐포름아미드 200부 및 순수 800부, 2, 2-아조비스 (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 0.6부를 넣어 질소 분위기하, 60℃에서 6시간 중합반응을 행하였다.
또한 수득한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00이었다. 수득한 비이온성 폴리머를 「P-3」이라고 한다.
제조예 4
환류냉각기, 적하 깔대기,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및 교반장치가 있는 반응기에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6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15부,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15부 및 무수에탄올 100부를 넣고,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부를 첨가후, 질소 분위기하, 80℃에서 8시간 반응 후에, 45℃로 냉각하였다.
다음에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당몰의 디에틸황산을 적하하고, 또 60℃에서 3시간 교반을 계속함으로써 디메틸아미노기의 카티온화를 행하고 무수에탄올을 첨가하여 폴리머 농도를 40%로 조정하였다.
그리고 수득한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0,000이었다. 수득한 양이온성 폴리머를 「P-4」이라고 한다.
실시예 1∼6,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펌프 스프레이)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이들을 모발에 사용했을 때의 정발력(세트 유지력), 모발의 탄력, 윤기, 프레이킹 및 폴리프로필렌피막의 도포했을 때의 대전 방지성 (표면저항)을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평가하였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고온다습 조건하에서도 컬한 모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동 조건하에서도 끈적이는 감이 없고, 또 모발에 윤기있는 탄력을 주며, 프레이킹도 없으며, 대전방지에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4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고온다습하에서 끈적임이 발생, 모발에 탄력을 줄 수가 없거나, 프레이킹이 발생, 대전 방지성이 부족하다는 등 모발 화장품으로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시험평가 방법- 1
(1) 정발력(세트 유지력)
23㎝, 2g의 곧은 모발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또는 에어로졸의 형태로) 모발에 일정량 도포하고, 곧 직경 1. 2㎝의 봉에 말아 건조시킨다. 이어서 봉에서 빼어낸 모발을 30℃/95% RH의 항온항습기에 걸어 3시간 후의 모발의 신장을 측정하고 컬 유지율 공식에 대입하여 컬 유지력 (%)을 구한다.
[수식 1]
컬 유지율(%) = (L-Lt)/(L-Lo) ×100
(L : 완전히 신장된 모발의 길이(23㎝)
Lo : 노출되기 전의 모발의 길이
Lt : 노출된 후 모발의 길이)
○ - 컬 유지력 값 : 71% 이상
△ - 컬 유지력 값 : 40∼70%
× - 컬 유지력 값 : 20% 이상 40% 미만
×× - 컬 유지력 값 : 20% 미만
(2) 모발의 탄력, 윤기
상기 정발력 (세트 유지력)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수득한 컬한 모발을 23℃/5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으로 방치, 컬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의 윤기, 탄력 특성의 촉감을 평가한다.
○ - 윤기가 있고, 양호한 탄력성이 있다
△ - 윤기가 있으나, 탄력성이 없어 약하다
× - 윤기가 없고 감촉이 나쁘다
(3) 고습시의 끈적임
상기 정발력 (세트 유지력)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수득한 컬한 모발을 30℃/9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으로 방치, 컬을 손가락으로 건드렸을 때의 감촉을 평가한다.
○ - 끈적이는 감 없음
△ - 끈적이는 감이 약간 있다
× - 끈적이는 감이 크다
(4) 프레이킹
23㎝, 2g의 곧은 모발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또는 에어로졸의 형태로) 모발에 일정량 도포하고, 에어로졸의 형태로 모발에 일정량 도포하여 곧 손가락으로 고르게 하여 평판상의 모속을 작성한 후 건조시켰다. 다음에 23℃/6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에 방치, 빗질을 하고 모발상에 존재하는 박리한 폴리머 조각의 양을 실체현미경 (20배)으로 관찰한다.
○ - 폴리머 조각이 보이지 않는다∼약간 보인다
△ - 폴리머 조각이 보인다
× - 폴리머 조각이 다량 보인다
(5) 대전방지성(표면 저항)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액을 (분사제 (디메틸에테르 : DME, 액화 석유가스 : LPG)을 사용하는 경우는 충진하기 전의 액에 분사제와 동일한 중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용액을 조정한다) 준비한다.
이 용액을 방전처리를 한 폴리프로필렌피막의 22mill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헤어 드라이어로 건조한 후, 23℃/6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에 방치하여 절연저항계 (HIGH MEGOHM METER : 다께다 리겐사제)로 표면저항치를 측정한다.
○ - 1×1010Ω/미만
△ - 1×1010이상 ∼1×1012Ω/미만
× - 1×1012Ω/이상
실시예 7∼10, 비교예 5∼8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함수 에어로졸, 무수 에탄올)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한 바,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7∼10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컬한 모발의 형상을 고온다습 조건하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고온다습 조건하에서도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또 모발에 윤기가 있는 탄성을 주어 프레이킹도 없고 대전방지에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5∼8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고온다습하에서 끈적임이 생겨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없거나 프레이킹이 발생, 대전방지성이 부족한 것 등 모발 화장품으로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실시예 11∼13, 비교예 9∼11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헤어 젤)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 및 하기의 (6) 젤 상태의 평가를 행한 바,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젤 상태는 투명성도 좋고 젤 강도의 저하도 보이지 않으며, 헤어 젤의 제형으로는 양호했다. 실시예 11∼13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컬한 모발의 형상을 고온다습 조건하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고온다습 조건하에서도 끈적이는 감이 없으며, 또 모발에 윤기가 있는 탄성을 주어 프레이킹도 없고 대전방지에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9∼11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고온다습하에서 끈적임이 생겨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없거나 프레이킹이 발생, 대전방지성이 부족한 것 등 모발 화장품으로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시험평가 방법-2
(6) 젤 상태
수득한 젤을 50㎖의 투명 유리병에 넣어 탈기를 행한다. 육안으로 액의 투명도를 관찰하고 다시 병을 뒤집어 병 안의 젤 용액의 유동성을 관찰한다.
○ - 액이 거의 투명∼투명이고, 유동성이 거의 없다.
△ - 액이 백탁하거나 혹은 유동성이 있다.
[표 1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1b]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2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2b]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3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3b] (% : 유효성분량 환산)
P-1 : 제조예 1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P-2 :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비이온성 수지 ① : 루비스콜 VA64 (BASF 사제)
비이온성 수지 ② : 루비스콜 K90 (BASF 사제)
P-3 : 제조예 3에서 조제한 N-비닐포름아미드 단독 중합체
(*) 카르복시비닐폴리머중화제 : 카르보폴940 (BF 굿리치사제)의 산 부분의 70 몰%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로 중화한 것
실시예 14∼19, 비교예 12∼15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펌프식 헤어 스프레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모발에 사용했을 때의 정발력 (세트 유지력), 고습하에서의 모발의 모발의 탄력성 및 끈적이는 감, 도포시의 매끄러운 감, 빗질성의 감촉, 건조후의 모발의 부드러움을 평가하였다.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4∼19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컬한 모발의 형상을 고온다습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고습하에서도 끈적이는 감이 없는 양호한 탄력성을 주며, 도포시에도 양호한 손에 닿는 느낌, 빗질성이 있으며, 건조후의 모발도 부드러운 촉감이었다.
한편, 비교예 12∼15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고습하에서 끈적이는 감이 있거나, 탄력성이 부족한 등의 문제가 있어 모발 화장품으로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행한 이외의 평가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7) 모발의 탄력성
상기 정발력 (세트 유지력)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수득한 컬한 모발을 25℃/8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으로 방치, 컬을 손가락으로 누를 때의 모발의 탄력성을 평가한다.
○ - 양호한 탄력성이 있다
△ - 탄력성이 약간 있다
× - 탄력성이 약하다
(8) 모발의 끈적이는 감
상기 정발력 (세트 유지력)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수득한 컬한 모발을 25℃/8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으로 방치, 컬을 손가락으로 건드렸을 때의 끈적임을 평가한다.
○ - 끈적이는 감 없음
△ - 끈적이는 감 약간 있다
× - 끈적이는 감이 크다
(9) 습윤시의 매끄러운 감
23㎝, 2g의 곧은 모발에 시험 제작한 화장품을 모발에 일정량 도포하여 곧 손가락으로 건드렸을 때의 부드러운 감 및 빗질할 때 쉽게 되는가를 평가한다.
○ - 매끄러운 감이 있고 빗질도 용이하다
△ - 매끄러운 감이 부족하며 빗질도 약간 어렵다
× - 매끄러운 감이 없고 빗질도 곤란하다
(10) 건조후의 모발의 부드러움
23㎝, 2g의 곧은 모발에 시험 제작한 화장품을 모발에 일정량 도포하여 헤어 드라이어로 건조시킨다. 다음에 23℃/6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에 방치, 모발을 손가락으로 건드렸을 때의 부드러움을 평가한다.
○ - 부드러운 감촉이다
△ - 부드러움이 부족하다
× - 부드러움이 없고, 걸리는 감촉이다.
실시예 20∼23, 비교예 16∼19
표 5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폼 상태 헤어 스프레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실시예 14와 동일한 평가를 GOD한 바,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0∼23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컬한 모발의 형상을 고온다습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고습하에서도 끈적이는 감이 없는 양호한 탄력성을 주며, 도포시에도 양호한 손에 닿는 느낌, 빗질성이 있으며, 건조후의 모발도 부드러운 촉감이었다.
한편, 비교예 16∼19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고습하에서 끈적이는 감이 있거나, 탄력성이 부족한 등의 문제가 있어 모발 화장품으로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표 4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4b]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5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5b] (% : 유효성분량 환산)
P-1 : 제조예 1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P-2 :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양이온성 수지 ① : 유케어 폴리머 JR-400(아미콜 사제)
양이온성 수지 ② : 제조예 4에서 조제한 제 4 급 암모늄염기 함유 아크릴수지(P-4)
양이온성 수지 ③ : 가프컷 755N (ISP 사제)
(*) 폴리옥시에틸렌 (9몰) 라우릴에테르 (닛꼬케미컬즈사제 NIKKOL BL9-EX)
실시예 24∼29, 비교예 20∼23
표 6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펌프 스프레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모발에 사용했을 때의 정발력 (세트 유지력), 모발의 탄력, 윤기, 프레이킹, 및 폴리프로필렌피막에 도포했을 때의 대전 방지법 (표면 저항)을 평가하였다.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4∼29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컬한 모발의 형상을 고온다습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모발에 윤기가 있는 탄성을 주며, 프레이킹도 없고, 대전방지에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20∼23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없거나, 프레이킹이 발생, 대전 방지성이 부족한 등 모발 화장품으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도 아니었다.
실시예 30∼33, 비교예 24∼27
표 7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함수 에어로졸, 무수에어로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평가한 바,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30∼33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컬한 모발의 형상을 고온다습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모발에 윤기가 있는 탄성을 주며, 프레이킹도 없고, 대전방지에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24∼27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없거나, 프레이킹이 발생, 대전 방지성이 부족한 등 모발 화장품으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표 6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6b]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7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7b] (% : 유효성분량 환산)
P-1 : 제조예 1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P-2 :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음이온성 수지 ① : 다이어 홀드 LP503 (미쓰비시 가가꾸 사제)
음이온성 수지 ② : 간트렛 ES-225 (ISP 사제)의 산 부분의 20 몰% 를 2- 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에서 중화를 행한 것
음이온성 수지 ③ : 레진 28-2930 (내셔널 스타치 사제)의 산 부분의 90 몰% 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에서 중화를 행한 것
실시예 34∼40, 비교예 28∼32
표 8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펌프 스프레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모발에 사용했을 때의 정발력 (세트 유지력), 모발의 탄력, 윤기, 프레이킹, 세발 제거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 평가하였다.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34∼40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고온다습 조건하에서도 컬한 모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모발에 윤기가 있는 탄력을 주며, 프레이킹도 없고, 세발 제거성도 뛰어난 양호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28∼32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없거나, 프레이킹이 발생, 세발 제거성이 불충분한 등 모발 화장품으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실시예 41∼44, 비교예 33∼36
표 9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발 화장품 (함수 에어로졸, 무수에어로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이들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한 바,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41∼44의 모발 화장품은, 뛰어난 정발력을 가지며 컬한 모발의 형상을 고온다습 조건하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프레이킹도 없으며 세발 제거성도 뛰어난 양호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33∼36의 모발 화장품은, 정발력이 부족하거나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없거나, 프레이킹이 발생하거나, 세발 제거성이 불충분한 등 모발 화장품으로는 성능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표 8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8b]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9a] (% : 유효성분량 환산)
[표 9b] (% : 유효성분량 환산)
P-1 : 제조예 1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P-2 :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아민옥시드기 함유 공중합체
양성이온성 수지 ① : 유카포머 AMPHOSET (미쓰비시 가가꾸 사제)
양성이온성 수지 ② : 유카포머 SM (미쓰비시 가가꾸 사제)
양성이온성 수지 ③ : 유카포머 28-4910 (내셔널 스타치 사제) : 산 당량의 100%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에서 중화
양성이온성 수지 ④ : 메르코트 플러스 3330 (칼곤 사제)
DME : 디메틸 에테르
LPG : Liquid Petroleum Gas
수용해도
중합체 1 중량부와 탈이온수 99 중량부를 6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수용액을 냉각하여 하루동안 보관한 후, 1㎝×1㎝ 셀에서 655nm의 파장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수용해도는 투과율이 각각 70 내지 100%, 30 내지 70%, 및 0 내지 30% 일때를 A, B, C 등급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중합체, 즉 아민옥시기 함유 중합체 P1 내지 P4, 비이온성 수지 1 및 2, 양이온성 수지 1 내지 3, 음이온성 수지 1 내지 3, 그리고 양성 이온성 수지 1 내지 4는 A등급이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가 여러 가지 변경과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모발 화장품 조성물은 뛰어난 정발성(整髮性)을 갖고, 양호한 유연성 및 양호한 마무리 감촉을 주기 때문에, 헤어 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 세트 로션, 헤어 젤 등의 용도에 유용하다.

Claims (18)

  1.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로서, (a)/(b)의 중량비가 1/10∼10/1이고, (a) 와 (b)의 합계량이 모발 화장품 조성물중, 0.1∼1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가,
    (A) 아민옥시드기 함유 단량체 15∼90 중량%
    (B) 소수성(疏水性) 단량체85∼10 중량%
    를 중합시켜서 수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아민옥시드기 함유 단량체 (A)가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난 일반식 (Ⅰ)∼(Ⅳ)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화학식 1]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또는 R3는 동일 또는 달라도 되는 탄소수 1∼24의 알킬기, 탄소수 6∼24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24의 아릴알킬기를, R4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24의 알킬기, 탄소수 6∼24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24의 아릴알킬기를, X는 2가의 결합기를, m은 0∼1의 정수를, n은 0∼4의 정수를, p는 0∼3의 정수를, Y는
    R6∼R13의 내에서 적어도 하나는를,
    다른 R6∼R1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4의 알킬기, 탄소수 6∼24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24의 아릴알킬기를, a 와 b는 동일 또는 달라도 되는 1∼10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수성 불포화 단량체 (B)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화학식 5]
    (식중의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R14는 탄소수 1∼2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5.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비이온성 중합체가 피롤리돈 고리, 카프로락탐 고리, 아미드기, N-알킬치환아미드기, 폴리에테르기, 포름아미드기, 아세토아미드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양이온성 중합체가 하기 ①∼④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고분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① 일종이상의 N-비닐피롤리돈와 N-비닐카프로락탐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양이온성 중합체.
    ② 디메틸디알릴암모늄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양이온성 중합체,
    ③ 일종이상의 4급 암모늄 염의 아크릴 에스테르와 4급 암모늄 염의 메타아크릴 에스테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양이온성 중합체, 그리고
    ④ 셀룰로즈 또는 키토산 화합물의 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성 중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음이온성 중합체가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산기를 갖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양성 이온성 중합체가 베타인기를 함유하고 있는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가지고 있는 양성 이온성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양성 이온성 중합체가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제 4 급 암모늄염을 갖는 기 또는 제 3급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수용성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11.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5 중량%
    (d) 액화 가스3∼25 중량%
    (e) 수용성 용매60 중량% ∼ 잔여.
    를 함유하는 포말 상태에서 분사가능한 모발용 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e) 수용성 용매가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무스.
  13.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f) 비점이 50∼300℃의 유기용매 또는 물30∼80 중량%
    (g) 분사제10∼60 중량%
    를 함유하는 헤어 스프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f) 성분의 유기용매가,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프레이.
  15. 제 13 항에 있어서, (g) 성분의 분사제가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액화 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할로겐화 탄화수소, 압축공기, 압축이산화탄소가스, 압축질소가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것이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프레이.
  16.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h) 젤베이스 0.1∼3 중량%
    (i) 물72 중량% ∼ 잔여.
    를 함유하는 모발용 젤.
  17. 제 16 항에 있어서, (h) 젤베이스가 카르복시비닐폴리머의 염기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젤.
  18. (a)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500,000의 수용성 아민옥시드기 함유 중합체
    0.1∼9 중량%
    (b)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및 양성 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 0.1∼9 중량%
    (e) 수용성 용매90 중량% ∼ 잔여.
    를 함유하는 헤어 세트 로션.
KR1019970046601A 1996-09-10 1997-09-10 모발화장품조성물 KR100509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39409 1996-09-10
JP23940996A JP3620163B2 (ja) 1996-09-10 1996-09-10 毛髪化粧料組成物
JP96-239406 1996-09-10
JP23940696A JP3620162B2 (ja) 1996-09-10 1996-09-10 毛髪化粧料組成物
JP24491096A JP3620164B2 (ja) 1996-09-17 1996-09-17 毛髪化粧料組成物
JP96-244910 1996-09-17
JP24605596A JP3620165B2 (ja) 1996-09-18 1996-09-18 毛髪化粧料組成物
JP96-246055 1996-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516A true KR19980024516A (ko) 1998-07-06
KR100509403B1 KR100509403B1 (ko) 2006-04-17

Family

ID=2747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601A KR100509403B1 (ko) 1996-09-10 1997-09-10 모발화장품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75932B1 (ko)
KR (1) KR100509403B1 (ko)
CN (1) CN115176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54B1 (ko) * 2002-07-06 2005-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KR101051897B1 (ko) * 2009-04-28 2011-07-2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정발용 화장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6920B1 (en) * 1999-08-23 2003-09-09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Nail-care composition containing nail-care polymer
EP1440680A4 (en) * 2001-09-13 2005-08-17 Mitsubishi Chem Corp COSMETIC POLYMER COMPOSITION AND COSMETIC ARTICLES
US6709551B2 (en) * 2001-12-17 2004-03-23 Ondeo Nalco Company High molecular weight cationic and anionic polymers comprising zwitterionic monomers
JP4784102B2 (ja) * 2004-02-09 2011-10-05 三菱化学株式会社 水溶性樹脂及びこ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ならびにシリコンオイル吸着助剤
US20060094944A1 (en) 2004-10-28 2006-05-04 Sontra Med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alyte sampling and analysis with error correction
EP1907067B2 (en) * 2005-07-26 2017-06-28 Solvay USA Inc. Polymers with pendant poly(alkyleneoxy) substituent groups and their use in personal care applications
DE102006051729A1 (de) * 2006-10-30 2008-05-08 Henkel Kgaa Kosmetisches Mittel
DE102007047687A1 (de) * 2007-10-04 2009-04-09 Henkel Ag & Co. Kgaa Haarbehandlungsmittel, insbesondere Stylingmittel, enthaltend zwei Copolymere
BRPI0820991A2 (pt) * 2007-12-14 2014-09-30 Alberto Culver Co Composições para modelagem de cabelo e métodos de uso
JP5577637B2 (ja) * 2008-07-18 2014-08-27 三菱化学株式会社 アミンオキシド基含有樹脂溶液、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化粧料用樹脂組成物
JP5108817B2 (ja) * 2009-03-31 2012-12-26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US9456978B2 (en) * 2012-12-28 2016-10-04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silicone-organic polymer hybrid compound
JP6645155B2 (ja) * 2014-12-08 2020-02-1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毛髪化粧料用水系ポリマーエマルジョン、毛髪化粧料組成物
KR102394637B1 (ko) * 2015-09-30 2022-05-09 (주)아모레퍼시픽 에어로졸 제형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EP3644980A4 (en) * 2017-06-29 2021-03-24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N-OXIDE AND ECTOINMONOMERS, POLYMERS, THEIR COMPOSITIONS AND RELATED PROCEDURES
US11357714B2 (en) 2020-07-21 2022-06-14 Chembeau LLC Diester cosmetic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3734A (en) * 1963-05-01 1967-04-11 Procter & Gamble Detergent composition
US4013787A (en) 1971-11-29 1977-03-22 Societe Anonyme Dite: L'oreal Piperazine based polymer and hair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S5919729B2 (ja) 1974-06-15 1984-05-0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アミンオキシド基含有高分子界面活性剤
JPS6011734B2 (ja) 1974-08-15 1985-03-27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用乳化剤
US4059688A (en) 1976-06-29 1977-11-22 Clairol Incorporated Hair fixing compositions containing fluoroterpolymers and method
US4135524A (en) 1977-03-30 1979-01-23 Clairol Incorporated Process for reducing critical surface tension and coefficient of friction in hair
US4358567A (en) 1979-02-06 1982-11-09 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imited Resins for hairdressings
US4714610A (en) * 1984-07-20 1987-12-22 Revlon, Inc. Low pH hair conditioner compositions containing amine oxides
JPH0647608B2 (ja) 1985-05-10 1994-06-22 三菱油化株式会社 コンディショニング効果賦与剤
DE3851139T2 (de) * 1987-10-02 1994-12-08 Shiseido Co Ltd Tonikhaarlotion.
US4897262A (en) * 1988-03-22 1990-01-30 Playtex Jhirmack, Inc. Non-aerosol hair spray composition
US5021238A (en) * 1989-09-18 1991-06-04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Water-based two-phase aerosol hairsprays
JP2879596B2 (ja) * 1990-07-11 1999-04-05 株式会社資生堂 頭髪化粧料
US5094838A (en) * 1990-08-22 1992-03-10 Playtex Beauty Care, Inc. Aerosol hair spray composition
US5126126A (en) * 1990-11-20 1992-06-30 Dow Corning Corporation Hair fixatives
NZ243273A (en) 1991-06-28 1995-02-24 Calgon Corp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mpholytic terpolymers
JP2608499B2 (ja) * 1991-12-25 1997-05-07 花王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US5176898A (en) * 1992-02-21 1993-01-05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Aerosol hairsprays containing low VOC content
EP0729342A1 (en) * 1993-11-18 1996-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ing agent for leave-on foaming cosmetic compositions
JPH08283127A (ja) * 1995-04-07 1996-10-29 Lion Corp 液体毛髪洗浄剤組成物
US5614173A (en) * 1995-12-08 1997-03-25 Isp Investments Inc. Hair spray composition having 80% or less VOC and advantageous physical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6017860A (en) * 1996-04-15 2000-01-25 Stepan Company Cleaning, conditioning and styling hair care composi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54B1 (ko) * 2002-07-06 2005-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KR101051897B1 (ko) * 2009-04-28 2011-07-2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정발용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5932B1 (en) 2002-04-23
CN1151769C (zh) 2004-06-02
CN1176094A (zh) 1998-03-18
KR100509403B1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576B1 (ko) 모발화장재료
KR100509403B1 (ko) 모발화장품조성물
KR100622353B1 (ko) 각질을 처리하기 위한 분지형/블록형 공중합체
RU2266300C2 (ru) Пленкообразующий разветвленный блок-сополимер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ы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US6090376A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with silicone grafts and an amphiphilic polymer with a fatty chain
KR100554552B1 (ko)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그의 용도
JPH08291206A (ja) 被膜形成樹脂及びこ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
JP3520674B2 (ja) 毛髪化粧料
EP1377260B1 (en) Hair fixat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anionic polymer
JP3711165B2 (ja) 化粧品の活性成分として適当な四級化コポリマー、該ポリマーを含有するヘア化粧品およびスキン化粧品
JP2009256212A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毛髪化粧料
US5663261A (en) Film-forming resin and hair care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US20020172655A1 (en) Cosmetic-use polymer, cosmetic employing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3620162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4684498B2 (ja) 化粧料用基剤およびそれからなる化粧料
US6589539B1 (e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rosslinked and branched amphoteric copolymers and their use
JP3620163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KR20000070112A (ko) 수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3620165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3620164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4129940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を用いた毛髪化粧料
JP4028991B2 (ja) 化粧料用樹脂、それを用いた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27522A (ja) 化粧料
JPH1036455A (ja) 被膜形成樹脂及びこ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
FR2783709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susceptible d'etre obtenu a partir d'hydroxystyr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