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954B1 -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 Google Patents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954B1
KR100470954B1 KR10-2002-0039109A KR20020039109A KR100470954B1 KR 100470954 B1 KR100470954 B1 KR 100470954B1 KR 20020039109 A KR20020039109 A KR 20020039109A KR 100470954 B1 KR100470954 B1 KR 10047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unit
hair
weight
met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889A (ko
Inventor
최병길
박광명
송종근
손지숙
노동덕
김대중
최화춘
박현석
랑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3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9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0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에 관한 것으로서,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0.0001 내지 20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95중량%;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2 내지 14중량%;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0.1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정발제는 자외선 흡수능력이 탁월하면서도 내추출성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하여 모발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끈적임 없이 모발에 유연성과 세트 유지력을 부여한다.

Description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Hair setting agent having ultraviolet absorbing properties}
본 발명은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흡수능력이 탁월하면서도 내추출성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하여 모발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끈적임 없이 모발에 유연성과 세트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정발제에 관한 것이다.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투과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피부과학적으로, 태양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은 400 ~ 320nm의 장파장 자외선(UV-A), 320 ~ 290nm의 중파장 자외선(UV-B), 290nm 이하의 단파장 자외선(UV-C)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단파장 자외선(UV-C)은 대기중의 오존층에 의해 흡수되어 지표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으나, 중파장 자외선(UV-B)과 장파장 자외선(UV-A)은 인체에 여러 가지 피부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장파장 자외선(UV-A)은 피부의 흑화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그 에너지가 진피까지 도달하여 혈관 벽이나 결합조직중의 탄소 섬유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피부가 중파장 자외선(UV-B)과 장파장 자외선(UV-A)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경우, 피부에 붉은 반점이나 수포가 발생하고 피부의 노화가 촉진되며, 주름, 주근깨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은 모발에 대해서도 악영향을 미친다. 즉, 자외선은 모발 내부의 멜라닌을 산화, 분해시켜 모발을 적화시키며 모발의 강도 저하를 야기한다. 이와 같이, 자외선이 인간의 피부와 모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소 61-257910호, 특개평 5-230394호에는 산화티탄 입자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방어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산화티탄 입자가 자외선 방어능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입자크기를 가져야 하나 그 크기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일한 입자 분산이 곤란하며, 입자표면이 딱딱하여 감촉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6-336417호 및 특개평 6-341619호에는 4-아미노 안식향산계, 계피산계, 벤조페논계 등과 같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방어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는 저분자형으로서 휘발성, 이행성, 추출성 등의 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특히 사용빈도가 높은 고온다습한 여름에는 자외선 흡수 효율성 및 효과 지속성이 저하되며 땀이나 수욕에 의해 흘러 내릴 우려가 높다. 또한, 이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대부분이 유용성이고, 수계 모발용 화장품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알코올에 용해하고 난 뒤 수상에 용해시키거나 유화제를 첨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외선 흡수능력이 탁월하면서도 내추출성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하여 모발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끈적임 없이 모발에 유연성과 세트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정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0.0001 내지 20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95중량%;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2 내지 14중량%;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0.1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를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 1 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 2 는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임.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는 문제되는 장파장 자외선(UV-A) 및 중파장 자외선(UV-B)에 대한 강한 흡수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자외선에 대한 모발보호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와는 달리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된 고분자로 되어 있으므로, 증발 또는 추출에 의한 경시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로는 하이드록시 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프로필페닐 벤조트리아졸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정발제로 도포된 모발의 자외선 침해에 따른 방어효과, 모발의 유연성 및 밀착성이 양호한 범위로서,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 20중량%가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는 모발에 도포된 정발제의 막 강도를 조절하며, 에어로졸형 헤어스프레이의 조성물에 사용될 경우에는 탄화수소계 분사제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므로써 장기간 보관시에도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초기 물성을 꾸준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정발제 사용시 모발에 도포된 필름의 연화에 따른 모발의 엉킴 현상이 없으며 고화 현상에 따라 딱딱해져 깨지지 않는 범위를 고려할 때,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 95중량%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로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는 공중합체에 친수성질을 부여하여 젤이나 무스 등의 정발제 제조시 수용해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모발 세정시 세발성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모발로부터 정발제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양호한 모발의 세정성 및 수용해성을 유지하며, 대기중의 수분 흡수시에도 높은 세팅력을 유지하면서도 모발의 엉김을 유발하는 끈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할 때,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4중량%가 적절하며, 바람직하게는 5 ~ 1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디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는 모발에 도포된 정발제 막의 윤활성과 유연성을 부여하며, 끈적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의 함량은 타 단량체에 비해 고가인 점과 과량 사용시 정발제에 기포가 발생하여 모발상에 비드(Bead)가 형성되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30중량%가 적절하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다음과 같은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공중합체를 이루는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용제에 용해시킨다. 용제로는 수용성 유기 용제인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 탄소수가 1 ~ 2인 알코올류를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 및 교반하여 중합시키는데, 첨가되는 반응 개시제로는 공중합체를 이루는 비닐 단량체들과 용제에 용해되기 쉬우며 라디칼 생성 능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겐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사이드 또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이나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반응 개시제의 첨가량은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 100,000 정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온도는 사용 용제의 환류 온도를 기준으로 하고, 반응시간은 공중합체를 이루는 단량체의 전환율이 99.8% 이상이 되도록 4 ~ 6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한 공중합체는 모발에 적용 후의 세정성과 끈적임 및 모발 세팅력을 고려할 때 50 내지 100몰%의 중화율로 중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용성 유기 염기성 중화제 또는 무기 염기성 중화제 등을 알코올 등에 용해시켜 공중합체와 반응시켜 중화를 실시한다. 이 때 사용되는 수용성 유기 염기성 중화제로는 예를 들어 몰포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이 있으며, 수용성 무기 염기성 중화제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 의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적당량의 고급 알코올이나 리놀린 유도체, 실리콘 오일 등과 배합하여 적절한 용제에 용해시킨 다음, 이를 용기에 충전시키고 밸브를 장착한 후에 제품 특성에 맞게 탄화수소계 분사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온도계, 질소투입관, 환류냉각기 및 교반기를 장착한 2ℓ 반응용기에 무수 에탄올 131g을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8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3중량% 용액 58g을 일시에 반응용기에 투입한 후, t-부틸아크릴레이트 205.9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29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34.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0.29g의 비율로 충분히 혼합한 단량체 용액을 적하기를 통해 반응용기 내로 약 3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면서 환류하에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단량체 혼합용액의 투입이 완료되면,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6중량% 용액 116g을 약 1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응용기 내로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중합체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2중량% 용액 58g을 첨가하고, 약 2시간 이상 동일온도에서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 내부 온도를 약 40℃이하로 냉각시킨 다음, 에탄올로 용해한 수산화칼륨 8.7중량% 용액 217g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중화시켰다.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 한 워터사의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약 70,000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88.2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34.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0.29g으로 변화시키고, 중화제로 수산화칼륨 대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82,300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87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34.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1.45g으로 변화시키고, 중화제로 수산화칼륨 대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85,400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48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5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5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9g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73,000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투입된 단량체의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45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5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58g 및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5.8g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72,720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온도계, 질소투입관, 환류냉각기 및 교반기를 장착한 2ℓ 반응용기에 무수 에탄올 131g을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8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3중량% 용액 58g을 일시에 반응용기에 투입한 후, t-부틸아크릴레이트 241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3g, 아크릴산 29g의 비율로 충분히 혼합한 단량체 용액을 적하기를 통해 반응용기 내로 약 3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면서 환류하에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단량체 혼합용액의 투입이 완 료되면,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0.6중량% 용액 116g을 약 1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응용기 내로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중합체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에탄올로 용해한 벤조일퍼옥사이드 2중량% 용액 58g을 첨가하고, 약 2시간 이상 동일온도에서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 내부 온도를 약 40℃이하로 냉각시킨 다음, 에탄올로 용해한 수산화칼륨 8.7중량% 용액 217g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중화시켰다.
폴리스티렌을 표준물질로 한 워터사의 겔 퍼미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약 65,700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
투입된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을 t-부틸아크릴레이트 148g,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3.5g, 아크릴산 37.7g,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58g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수득한 중화 공중합체(평균 분자량 약 72,720)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9g을 블렌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 에 따라 제조한 중합체 5g(유효성분)과 에탄올 95g을 혼합, 교반한 배합물에 대하여 하기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세트 유지력, 유연성, 끈적임 자외선 흡수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세트 유지력 평가>
23cm, 2g 정도의 모발에 전술한 배합물을 일정량 도포하고 직경 2cm의 clip 에 감아서 건조시켰다. 그런 다음, clip을 뺀 모발을 온도 30℃, 상대습도 90%의 항온 항습실에 방치하고 3시간 경과 후의 모발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의 컬 리텐션(Curl retention)공식에 따라 세트 유지력을 산출하였다.
컬 리텐션(%) = (L0 - L2)/(L0 - L1)
L0 : 배합물 처리 전의 모발 길이
L1 : 항온 항습실에 방치하기 전의 모발 길이
L2 : 항온 항습실에 3시간 방치한 후의 길이
<유연성 평가>
헤어 스타일링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는 200명의 평가자에 대하여 전술한 배합물을 사용토록 한 후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0점 스케일을 기준으로 유연성이 없는 배합물의 배점을 1로 평가하고, 매우 유연성이 높은 배합물의 배점을 10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그 평균 점수를 구하였다.
(배점)
평균점수 = 총점/평가자 수
<끈적임 평가>
DIASTRON사의 Miniature tensile tester-160기기를 사용하여 끈적임을 측정하였다. 가로 6cm, 세로 4cm, 높이 0.3cm의 아크릴판 위에 일정량의 배합물을 배치한 다음, 가로 13cm, 세로 3cm인 일반 OHP 필름을 U자로 제작한 필름홀더로 눌러서 20g의 힘이 걸리면 떼어내는 과정을 동일시간으로 반복하면서 아크릴판과 OHP필름이 측정 샘플(배합물)의 점착성에 의해서 떨어질 때 걸리는 힘을 측정하였다.
<자외선 흡수강도 평가>
자외선 흡수강도는 미국 휴렛 패커드사 자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석영 셀 10ml에 전술한 배합물을 담고 최대 파장영역인 338nm에서 의 흡수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경시에 따른 광안정화 지속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배합물 제조 직후, 24시간 경과 후, 72시간 경과 후의 흡수강도를 측정하였다.
배합물의 유효성분 유효성분 내의 각 단량체 함량A/B/C/D/E 중화제중화도(%) 평균분자량(g/mol) 세트 유지력(%) 유연성 끈적임(gmf) 자외선 흡수강도
제조직후 24시간 경과후 72시간 경과후
실시예 1 71/7/10/12/0.1 80 70,000 92 9.4 46 0.476 0.464 0.458
실시예 2 64.9/7/13/15/0.1 70 82,300 96 9.6 58 0.478 0.461 0.442
실시예 3 64.5/7/13/15/0.5 80 85,400 94 9.5 54 1.673 1.665 1.651
실시예 4 51/15/13/20/1 80 73,000 90 9.8 49 2.344 2.341 2.338
실시예 5 50/15/13/20/2 80 72,720 91 9.8 50 2.588 2.581 2.575
비교예 1 83/7/10/0/0 80 65,700 78 6.5 114 0.012 ND ND
비교예 2 51/15/13/20/1 80 68,000 90 8.7 69 2.366 2.094 1.875
상기 표 1에서, A는 t-부틸아크릴레이트, B는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C는 아크릴산, D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이고, E는 실시예 1 ~ 5에서는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옥시 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을, 비교예 2에서는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메타)아크 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로 구성된 공중합체(실시예 1 ~ 5)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합물은 세트 유지력이 높고 유연하면서도 끈적임이 매우 적으며, 자외선을 흡수하는 능력 및 광안정화 지속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배합물은 특히 자외선 흡수강도가 불량하며, 실시예의 공중합체와는 달리 저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단순히 블렌딩한 비교예 2의 배합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외선 흡수강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로 구성된 공중합체는 자외선 흡수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내추출성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하여 고온다습한 여름에도 자외선 흡수 효율성 및 효과 지속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또한, 세트 유지력이 높고 유연하면서도 끈적임이 매우 적으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므로 정발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유니트 0.0001 내지 20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니트 50 내지 95중량%;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2 내지 14중량%; 및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유니트 0.1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 1 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 2 는 탄소수가 1 내지 3인 알킬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및 α-부틸디메틸실록시-ω-(δ-디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5. 50 내지 100몰%의 중화율로 중화된 제1항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KR10-2002-0039109A 2002-07-06 2002-07-06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KR10047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109A KR100470954B1 (ko) 2002-07-06 2002-07-06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109A KR100470954B1 (ko) 2002-07-06 2002-07-06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889A KR20040004889A (ko) 2004-01-16
KR100470954B1 true KR100470954B1 (ko) 2005-02-21

Family

ID=3731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109A KR100470954B1 (ko) 2002-07-06 2002-07-06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72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스프레이용 고정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82B1 (ko) * 2004-03-15 2011-07-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끈적임 없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스프레이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048A (en) * 1989-07-10 1991-11-05 Shionogi & Co., Ltd. Uv light-absorbing skin-protecting composition
KR960000206A (ko) * 1994-06-03 1996-01-25 쟝-마리 까제 자외선 차단계 및 특별한 중합체를 함유하는 광보호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9980024516A (ko) * 1996-09-10 1998-07-06 미우라 아끼라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20000011141A (ko) * 1997-03-18 2000-02-25 크레이쯔만 로버트 케이. 머리 염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0212051A (ja) * 1999-01-21 2000-08-02 Osaka Ship Building Co Ltd 頭髪用エアゾ―ル製品
KR20000058177A (ko) * 1999-02-26 2000-09-25 겜마 아키라 모발 화장품
KR20000076503A (ko) * 1999-01-21 2000-12-26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내구성이 향상된 벤조트리아졸 uv 흡수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048A (en) * 1989-07-10 1991-11-05 Shionogi & Co., Ltd. Uv light-absorbing skin-protecting composition
KR960000206A (ko) * 1994-06-03 1996-01-25 쟝-마리 까제 자외선 차단계 및 특별한 중합체를 함유하는 광보호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9980024516A (ko) * 1996-09-10 1998-07-06 미우라 아끼라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20000011141A (ko) * 1997-03-18 2000-02-25 크레이쯔만 로버트 케이. 머리 염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0212051A (ja) * 1999-01-21 2000-08-02 Osaka Ship Building Co Ltd 頭髪用エアゾ―ル製品
KR20000076503A (ko) * 1999-01-21 2000-12-26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내구성이 향상된 벤조트리아졸 uv 흡수제
KR20000058177A (ko) * 1999-02-26 2000-09-25 겜마 아키라 모발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72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스프레이용 고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889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7864B1 (en) Hairstyl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with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a non-ionic polymer
RU2745393C2 (ru) Безво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 аэрозольной форме, содержащая антиперспирантное действующее вещество, нерастворимый в воде пленкообразующий блочный этиленовый полимер и фенильное кремнийорган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US4107290A (en) Anti-solar polymers,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2005517518A (ja) 側鎖に酸基を有するビニルポリマーを含む油中水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方法
MXPA96003589A (en) Method to improve the absorption of the ultraviolet radiation of a composite
JP6820951B2 (ja) ラテックス粒子およびuv吸収剤を含有する組成物
JPH04360812A (ja) 新規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3894017B1 (en) Polymer blend for personal care formulation
JPH06340721A (ja) ターポリマー
JP2010523520A (ja) ランダムターポリマーを含んでいる日焼け止め組成物
JP2014097948A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毛髪化粧料
EP2501731B1 (en) Acrylic polymer
KR100470954B1 (ko) 자외선 흡수성 정발제
KR100505467B1 (ko) 헤어젤 조성물
JP4684498B2 (ja) 化粧料用基剤およびそれからなる化粧料
CN112672730A (zh) 防晒调配物
CN113015517A (zh) 包含具有碳硅氧烷的多级聚合物的个人护理配制物
KR20040056256A (ko) 헤어무스 조성물
KR20140139337A (ko)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된 양이온성 구아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192159B2 (ja) 整髪剤用基剤
KR100505468B1 (ko)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펌프 타입의헤어스프레이 분사 시스템
KR100505466B1 (ko)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US20190343734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latex particles and uv absorbers
JP6525334B2 (ja) 毛髪化粧料用基剤及び毛髪化粧料
JP2958193B2 (ja) 水溶性紫外線吸収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6